KR101620358B1 -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358B1
KR101620358B1 KR1020140115585A KR20140115585A KR101620358B1 KR 101620358 B1 KR101620358 B1 KR 101620358B1 KR 1020140115585 A KR1020140115585 A KR 1020140115585A KR 20140115585 A KR20140115585 A KR 20140115585A KR 101620358 B1 KR101620358 B1 KR 10162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contents
content
unit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707A (ko
Inventor
정일정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02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라인 강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학교의 학사일정에 따라 진행되는 온라인 강의에 대한 강의콘텐츠를 수강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하고, 수강자의 출결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시스템 및 강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Lecturing Contents Offer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라인 강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학교의 학사일정에 따라 진행되는 온라인 강의에 대한 강의콘텐츠를 수강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하고, 수강자의 출결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시스템 및 강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인트라넷 등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이러한 정보통신기술은 교육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인터넷 등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방법으로 대표적인 것이 온라인 강의이다. 온라인 강의는 온라인 통신망, 메인서버, 메인서버와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단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동영상파일, 음성파일 등의 강의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으므로, 교수자와 수강자는 시간적, 장소적 제약을 받지 않고 강의를 하거나 수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교수자와 수강자는 많은 학습의 편의를 제공받는다. 또한, 온라인 강의는 시간적, 장소적 제약이 없으므로 학교, 교수자 및 수강자는 오프라인 강의에 비해 비용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학교에서도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강의와 병행하여 온라인 강의방식으로 진행하는 과목이 있으며, 온라인 강의를 통해 특정한 과목을 수강한 수강자에게 오프라인 강의와 마찬가지로 해당과목 이수를 인정하고 그 과목에 대한 학점을 주는 학사제도도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강의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점에서, 학사일정에 따른 강의진행, 출결관리를 행하는데 있어서 오프라인 강의에 비해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강과목에 대한 출결관리는 교수자가 수강자의 출석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온라인 강의는 수강자와 교수자가 특정시간에 특정장소에서 서로 만나지 않는 점에서 출결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라인 강의의 출결관리의 어려움을 악용하여 수강자가 대리수강, 이른바 몰아서 수강하기 등의 편법수강을 행하는 경우에도 이를 확인하고 제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온라인 강의의 특성상 교수자가 대학교의 한 학기 강의에 관한 강의콘텐츠를 일시에 메인서버 등에 전부 업로드 하고 수강자가 이를 일시에 전부 다운로드하게 된다면, 온라인 강의는 오프라인 강의처럼 대학교의 학사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기도 힘든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온라인 강의시스템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8517호에 소개된 시스템이 있는데, 이러한 종래 시스템은 대학 학기기간 동안의 강의 일정과 무관하게 강의 일정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수강자에 의해 그 일정 또는 계획이 수립되므로 강의 일정이 개별적으로 모두 다르게 될 수밖에 없는 등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대학 온라인 강의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대학의 온라인 강의가 한 학기 동안의 학사일정에 맞추어 진행되어야 하는 특성에 맞추어, 학생들이 온라인 강의를 학기중 특정의 집중된 기간에 몰아쳐 수강하는 폐단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강의콘텐츠는 처음 작성되어 서버에 입력되면 그 다음 학기 또는 년도에도 계속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학기 동안의 모든 강의콘텐츠가 서버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아무런 제한 없이 해당 강의콘텐츠를 억세스하여 수강하도록 하면, 출결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주일이나 그보다 더 짧은 기간에 몰아서 모든 강의콘텐츠를 수강하고 학기 중의 대부분의 시간에는 해당 강의와 관련된 수강을 거의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학사일정에 맞추어 강의를 수강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출결관리를 수행하여 정해진 학사일정대로 수강이 이루어짐으로서 해당 강의에 대한 학습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는, 학사일정에 맞추어 온라인 강의가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강의스케쥴링 기술이 포함된다.
강의스케쥴링은, 설정된 강의이수기간에 대해 각각 설정된 기간 및 시작 시점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수강기간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설정되고, 각각의 강의콘텐츠가 복수의 단위수강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칭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강의스케쥴링은 온라인 강의시스템을 제공하는 메인서버에 설정되어 포함될 수 있다.
강의스케쥴링에 따라 메인서버는 강의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제한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강의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전송이 요청됨에 따라, 강의스케쥴링으로부터 요청된 그 강의콘텐츠에 매칭되어 설정된 해당 단위수강기간의 시작 시점이 시간적으로 도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 강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해주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별 강의콘텐츠에 대한 수강완료 체크 또는 출석체크는, 강의 콘텐츠의 요청이 해당 단위수강기간의 시작 시점 이후에 이루어졌는지, 상기 요청된 강의 콘텐츠의 전송이 개시되었는지, 그리고, 상기 요청된 강의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비율이 설정 비율 이상인지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구체적인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되며 명확히 드러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학사일정에 맞추어 온라인 강의가 이루어지도록 수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출석체크도 이루어지고 해당 강의에 대한 이수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학생들이 몰아치기식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학습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 도4, 및 도5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6은 메인서버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7은 강의스케쥴에 따라 강의콘텐츠가 매칭된 모습을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는 기술은, 온라인 수강을 위한 수강자정보를 입력받는 수강자 등록단계; 수강신청정보를 입력받는 수강신청단계; 수강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강자 등록단계에서 부여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수강자 인증단계; 온라인 강의콘텐츠를 선택받는 콘텐츠 선택단계; 및 상기 콘텐츠가 선택된 시점이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된 해당 콘텐츠 수강기간 내 또는 그 이후인 경우에 상기 수강자 단말에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수강기간은 복수개로 설정되고, 상기 콘텐츠는 복수개의 상기 콘텐츠 수강기간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며, 특정한 상기 콘텐츠 수강기간 내에 해당 콘텐츠의 최초전송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콘텐츠 수강기간 경과 후 각각의 상기 콘텐츠 수강기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츠는 반복하여 전송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의 전송이 특정한 상기 콘텐츠 수강기간 내에 시작된 경우, 특정한 상기 콘텐츠 수강기간에 해당 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수강자가 출석한 것으로 메인서버에 기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한 콘텐츠 수강기간에 해당 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수강자의 출석여부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관리시스템)에 기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의 전송이 정해진 비율 이상 완료된 경우, 상기 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출석한 것으로 상기 메인서버에 기록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는, 미리 등록된 상기 수강자 단말에만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는 저장없이 실시간 재생이 가능한 스트리밍 방식 또는 저장 후 재생이 가능한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강의콘텐츠 온라인 제공 기술을 위해, LMS를 포함하고, 복수의 강의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를 설정된 콘텐츠 수강기간 내 또는 그 이후인 경우에 전송하는 메인서버; 상기 메인서버와 연결되고, 수강자정보 및 수강신청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에 입력하는 정보입력부; 상기 메인서버와 연결되고, 복수의 강의콘텐츠를 상기 메인서버에 입력하는 콘텐츠 입력부; 및 상기 메인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강의콘텐츠를 전송받는 수강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1 및 도2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표기된 도면부호 및 도면상의 설명은 도1 및 도2에 한정하여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콘텐츠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강의콘텐츠 제공방법은 수강자 등록단계(S110), 수강신청단계(S120), 수강자 인증단계(S130), 콘텐츠 선택단계(S140) 및 콘텐츠 전송단계(S150)를 포함한다.
수강자 등록단계(S110)에서는, 메인서버가 수강자로부터 온라인 수강을 위한 수강자정보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수강자가 수강을 원하는 대학의 포털사이트 등에 온라인 상으로 접속하고, 수강자의 재적대학, 학과, 학번, 성명, 주민등록번호, 아이핀 등을 통해 발급받은 고유번호 등 수강자정보가 그 대학의 메인서버에 입력되고, 수강자는 ID 및 비밀번호를 부여받는다.
이때, 수강자는 반드시 자신의 재적대학에 개설된 온라인 강의에 대해 등록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대학 간 협의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타대학의 강의를 수강하고, 수강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인정하는 이른바, 대학 간 학점인정협력제도가 실시되는 경우라면, 이러한 제도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수강자는 자신의 재적대학인지 타대학인지를 불문하고 온라인 강의 수강을 위한 등록이 가능하다.
수강신청단계(S120)에서는, 메인서버가 수강자로부터 수강신청정보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수강자는 부여받은 ID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메인서버에 로그인하고, 로그인에 의해 메인서버는 수강자의 재적대학, 학번, 성명 등 수강자 정보를 입력받으며, 수강자는 메인서버에 접속이 허용된다. 단, 수강자 등록단계(S110)에서 메인서버에 접속이 허용된 경우라면 별도의 로그인은 불필요하다.
수강자가 메인서버에 접속한 이후, 수강자는 메인서버를 운용하는 대학교에 개설된 온라인 강의 중 수강할 과목, 수강시간 등을 선택하고, 이러한 수강신청내용이 메인서버에 기록된다.
수강자 인증단계(S130)에서는, 메인서버가 수강자 단말로부터 수강자 등록단계에서 부여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수강자는 수강자 단말을 통해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기 위해 수강자 단말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수강자 단말과 온라인으로 연결된 메인서버는 올바른 ID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수강자의 접속을 허용한다.
이때, 메인서버는 미리 등록된 수강자 단말에만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이는 수강자 이외의 타인이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대리수강을 하는 편법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메인서버는 수강자 단말의 일련번호, 기기정보 등 수강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정보를 별도로 수강자로부터 입력받아 기록한 후, 수강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으면 수강자 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기록된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강자의 접속을 허용한다.
콘텐츠 선택단계(S140)에서는, 메인서버에 저장된 온라인 강의콘텐츠가 수강자에 의해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수강자는 수강신청단계(S120)에서 신청한 수강과목을 신청한 수강시간에 맞추어 선택한다. 동일한 시간에 수강 가능한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수강자는 택일할 수 있다.
콘텐츠 전송단계(S150)에서는, 수강자에 의해 콘텐츠가 선택된 시점이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된 해당 콘텐츠 수강기간 내 또는 그 이후인 경우, 선택된 콘텐츠는 수강자 단말에 전송된다. 즉, 콘텐츠의 전송은 콘텐츠 수강기간과 관련되어 진행된다.
콘텐츠 수강기간은 한 학기에 걸쳐 학사일정에 따라 복수개로 설정되고, 콘텐츠는 이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강과목에 대해 한 학기에 총 10회의 온라인 강의를 마련한 경우 콘텐츠 수강기간은 총 10회로 구성되고, 각각의 콘텐츠 수강기간에는 이에 대응하는 총 10회의 콘텐츠가 수강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콘텐츠 수강기간이 학사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므로, 교수자는 각각의 콘텐츠 수강기간을 고려하여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메인서버에 입력할 수 있고, 수강자는 각각의 콘텐츠 수강기간이 도래하면 각각의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학기에 온라인 강의가 진행되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온라인 강의의 장점과 안정적인 학사일정 진행이 가능한 오프라인 강의의 장점을 조화시켜 강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인 학사일정의 진행을 위해서는 수강자가 이른바 몰아서 수강하기 등의 편법을 행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콘텐츠 수강기간 중 특정 콘텐츠 수강기간 내에 해당 콘텐츠의 최초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면 콘텐츠 수강기간이 도래하기 전에 미리 해당 강의를 몰아서 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콘텐츠 수강기간 경과 후 각각의 콘텐츠 수강기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츠는 반복하여 전송이 가능하다. 이는 콘텐츠 수강기간 경과 후에 수강자가 복습 등을 위해 반복하여 콘텐츠 수강기간이 경과한 콘텐츠들을 전송받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온라인 강의는 오프라인 강의와 마찬가지로 출결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의 전송여부, 콘텐츠의 전송시점 및 콘텐츠의 전송률을 고려하여 온라인 강의 출석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의 전송이 특정한 콘텐츠 수강기간 내에 시작된 경우, 특정한 콘텐츠 수강기간에 해당 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수강자가 출석한 것으로 인정한다. 이때, 콘텐츠의 전송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으므로, 콘텐츠의 전송 시작시점이 콘텐츠 수강기간 내인 경우에는 콘텐츠 전송 완료시점이 콘텐츠 수강기간을 경과한 경우에도 출석을 인정한다.
또한, 콘텐츠의 전송이 정해진 비율 이상 완료된 경우, 상기 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출석한 것으로 인정한다. 콘텐츠의 전송은 온라인상의 장애 기타 기술적 문제로 인해 콘텐츠에 관한 파일 전체가 모두 전송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수강자가 콘텐츠의 대부분을 전송받았음에도 극히 일부를 전송받지 않았음을 이유로 결석으로 처리하는 것은 가혹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콘텐츠마다 전송시점 및 전송률을 고려하여 수강자의 온라인 강의 출석여부를 판단하고, 각각의 출결결과는 학사관리를 위해 LMS에 기록된다. LMS에 기록된 출결결과는 수강자의 해당과목에 대한 이수여부, 학점을 결정하는 경우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콘텐츠는 동영상 파일, 음성파일, 문서파일, 그림파일 등 온라인 강의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전송방식도 파일의 종류, 수강자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저장없이 실시간 재생이 가능한 스트리밍 방식 또는 저장 후 재생이 가능한 다운로드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스트리밍 방식과 다운로드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은 메인서버(100), 정보입력부(200), 콘텐츠 입력부(300) 및 수강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메인서버(100)는 LMS(110)를 포함하고, 정보입력부(200)와 직접 또는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정보입력부(200)로부터 수강자정보 및 수강신청정보를 입력받고, 콘텐츠 입력부(300)와 직접 또는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콘텐츠 입력부(300)로부터 강의콘텐츠를 입력받는다. 또한, 메인서버(100)는 수강자 단말(400)과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강의콘텐츠를 수강자 단말(400)에 전송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서버(100)는 복수의 강의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를 설정된 콘텐츠 수강기간 내 또는 그 이후인 경우에 수강자 단말(400)에 전송한다.
LMS(110)는 온라인 강의에서 필요한 학급편성 기능, 협동학습 기능, 출결관리 기능, 게시판 기능 등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서버(100)에서 프로그램화되어 존재하며, 학생 또는 교수 기타 대학의 교육관계자가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정보입력부(200)는 메인서버(100)와 직접 또는 온라인으로 연결되고, 수강자는 정보입력부(200)를 통해 메인서버(100)에 전술한 수강자정보 및 수강신청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정보입력부(200)는 수강자정보 및 수강신청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PC,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 기타 어떠한 장치를 사용해도 무방하며, 수강자 단말(400)이 정보입력부(200)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콘텐츠 입력부(300)는 메인서버(100)와 직접 또는 온라인으로 연결되고, 교수는 콘텐츠 입력부(300)를 통해 메인서버(100)에 강의콘텐츠를 입력한다. 이때, 콘텐츠 입력부(300)는 동영상 파일, 음성파일, 문서파일, 그림파일 등으로 제작된 콘텐츠를 메인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PC,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 기타 어떠한 장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수강자 단말(400)은 메인서버(100)와 직접 또는 온라인으로 연결되고, 수강자는 수강자 단말(400)을 통해 부여받은 ID 및 패스워드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메인서버(100)에 저장된 강의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받는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서버(100)는 수강자의 편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등록된 수강자 단말(400)에만 메인서버(100)에 접속 및 콘텐츠 전송을 허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한 제2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의 실시예는, 한 학기의 기간 내에 복수의 단위수강기간이 순차적으로 정해지고, 각각의 상기 단위수강기간에는 서로 다른 각각의 강의콘텐츠가 적어도 1회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강의콘텐츠에 대해 해당 단위수강기간이 도래함에 따라 수강자가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된 메인서버; 및 상기 메인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강의콘텐츠를 전송받는 수강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단위수강기간이 종료되면 각각의 해당 강의콘텐츠는 상기 수강자 단말로 재전송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수강기간에 해당 강의콘텐츠가 상기 수강자 단말로 전송된 경우 상기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출석한 것으로 상기 메인서버에 기록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상기 강의콘텐츠마다 출석여부를 확인하고, 한 학기의 기간 내 각각의 상기 강의콘텐츠 전체에 대한 출석률이 정해진 비율 이상 완료된 경우, 상기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상기 메인서버에 기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의콘텐츠가 상기 수강자 단말로 정해진 비율 이상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출석한 것으로 상기 메인서버에 기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강자 단말의 고유정보는 상기 메인서버에 기록되고, 수강자 단말이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수강자 단말인 경우 접속을 허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2의 실시예는 방법적으로는, 각각의 단위수강기간마다 수강자 단말이 온라인으로 메인서버에 접속되는 메인서버 접속단계; 상기 단위수강기간의 해당 강의콘텐츠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수강자 단말로 전송되는 강의콘텐츠 전송단계; 상기 강의콘텐츠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수강자 단말로 전송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의 출석여부를 결정하는 출석여부 결정단계; 및 출석여부에 관한 기록을 상기 메인서버에 기록하는 출석정보 기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의콘텐츠 전송단계 종료 후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수강자 단말로 상기 강의콘텐츠가 재전송되는 강의콘텐츠 재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3, 도4, 및 도5를 이용하여 제2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 내지 도5에 표기된 도면 부호는 도3 내지 도5에만 한정하여 사용된다.
먼저, 도 3은 온라인 강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온라인 강의시스템은 메인서버(100) 및 수강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메인서버(100)는 수강자 단말(200)과 온라인으로 연결되고, 교수자로부터 전송되는 강의콘텐츠 등을 저장하고, 강의콘텐츠를 수강자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때, 메인서버(100)는 한 학기의 기간 내에 복수의 단위수강기간이 순차적으로 정해지고, 각각의 단위수강기간에는 서로 다른 각각의 강의콘텐츠가 적어도 1회 제공되며, 각각의 강의콘텐츠에 대해 해당 단위수강기간이 도래함에 따라 수강자가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강의콘텐츠는 동영상 파일, 음성파일, 문서파일, 그림파일 등 온라인 강의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강의콘텐츠 전송방식도 파일의 종류, 수강자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저장 없이 실시간 재생이 가능한 스트리밍 방식 또는 저장 후 재생이 가능한 다운로드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스트리밍 방식과 다운로드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단위수강기간은 한 학기에 걸쳐 학사일정에 따라 복수로 설정되고, 강의콘텐츠는 이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강과목에 대해 한 학기에 총 10회의 온라인 강의를 마련한 경우 단위수강기간은 총 10회로 구성되고, 각각의 단위수강기간에는 이에 대응하는 총 10회의 강의콘텐츠가 수강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단위수강기간은 시간단위, 일단위, 주단위 등 편의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수강기간이 시간적 길이가 동일할 필요가 없고, 각각의 단위수강기간 사이에 온라인 강의가 진행되지 않는 빈 시간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단위수강기간에는 상호 다른 과목에 대한 온라인 강의가 중복해서 진행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단위수강기간에 복수의 온라인 강의가 진행될 수 있고, 따라서 동일한 단위수강기간에 복수의 온라인 강의의 해당 강의콘텐츠도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수강자는 복수의 강의콘텐츠 중 선택하여 전송받아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단위수강기간이 학사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므로, 교수자는 각각의 단위수강기간을 고려하여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강의콘텐츠를 순차적으로 메인서버(100)에 입력할 수 있고, 수강자는 각각의 단위수강기간이 도래하면 각각의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안정적인 학사일정의 진행을 위해서는 수강자가 이른바 몰아서 수강하기 등의 편법을 행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단위수강기간 중 특정 단위수강기간 내에 해당 강의콘텐츠의 최초 전송이 가능하도록 메인서버(100)를 설정하면 단위수강기간이 도래하기 전에 미리 해당 강의를 몰아서 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단위수강기간 경과 후 단위수강기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강의콘텐츠는 재전송이 가능하다. 이는 특정 단위수강기간 경과 후에 수강자가 복습 등을 위해 반복하여 단위수강기간이 경과한 강의콘텐츠들을 전송받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수강자 단말(200)은 메인서버(100)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메인서버(100)로부터 강의콘텐츠를 전송받는다. 수강자는 수강자 단말(200)을 통해 메인서버(100)로부터 강의콘텐츠를 스트리밍방식 또는 다운로드방식으로 전송받아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온라인 강의는 오프라인 강의와 마찬가지로 출결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강의콘텐츠의 전송여부, 강의콘텐츠의 전송시점 및 콘텐츠의 전송률을 고려하여 온라인 강의 출석여부 또는 해당 강의콘텐츠에 대한 수강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강의콘텐츠의 전송이 특정한 단위수강기간 내에 시작된 경우, 특정한 단위수강기간에 해당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수강자가 출석한 것으로 인정한다. 이때, 강의콘텐츠의 전송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으므로, 강의콘텐츠의 전송 시작시점이 행당 단위수강기간 내인 경우에는 강의콘텐츠 전송 완료시점이 단위수강기간을 경과한 경우에도 출석을 인정한다.
또한, 강의콘텐츠의 전송이 정해진 비율 이상 완료된 경우, 상기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출석한 것으로 인정한다. 강의콘텐츠의 전송은 온라인상의 장애 기타 기술적 문제로 인해 강의콘텐츠에 관한 파일 전체가 모두 전송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수강자가 강의콘텐츠의 대부분을 전송받았음에도 극히 일부를 전송받지 않았음을 이유로 결석으로 처리하는 것은 가혹하기 때문이다.
수강자의 온라인 강의에 대한 출결결과는 수강자의 해당과목에 대한 이수여부, 학점을 결정하는 경우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학기 동안 행해지는 온라인 강의에 대한 수강자의 출결결과를 메인서버(100)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메인서버(100)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각각의 단위수강기간마다 해당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수강자의 출결결과를 각각 기록하고, 한 학기의 기간 내 각각의 강의콘텐츠 전체에 관한 수강자의 출석률이 정해진 비율 이상 완료된 경우, 해당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과목을 수강자가 이수한 것으로 인정한다.
온라인 강의에서 메인서버(100)에 기록된 출석률을 기준으로 수업과목의 이수를 인정하는 것이다.
이때, 온라인 강의의 출결결과 수업과목 이수 여부 등을 결정하기 위해 메인서버(100)에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관리시스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다. LMS는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인터넷 등을 이용하는 온라인 상에서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 진행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수강신청을 하는 등 교사와 학생이 학습에 참여하기 위한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준비과정이 끝난 후 실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추적하고 학습이력을 관리하여 학습자 개인에 대한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온라인 강의에서 필요한 학급편성 기능, 협동학습 기능, 출결관리 기능, 게시판 기능 등이 LMS의 주요기능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메인서버(100)는 미리 등록된 수강자 단말(200)에만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이는 수강자 이외의 타인이 메인서버(100)에 접근하여 대리수강을 하는 편법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를 위해 수강자 단말(200)의 고유정보는 메인서버(100)에 기록되고, 수강자 단말(200)이 메인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메인서버(100)는 기록된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수강자 단말(200)인 경우 접속을 허용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메인서버(100)는 수강자 단말(200)의 일련번호, 기기정보 등 수강자 단말(200)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정보를 별도로 수강자로부터 입력받아 기록한 후, 수강자 단말(200)이 메인서버(100)로 접속을 시도하면 수강자 단말(2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기록된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강자 단말(200)의 접속을 허용한다.
도 4는 온라인 강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온라인 강의방법은 메인서버(100) 접속단계(S100), 강의콘텐츠 전송단계(S200), 출석여부 결정단계(S300) 및 출석정보 기록단계(400)를 포함한다.
메인서버(100) 접속단계(S100)에서는, 메인서버(100)가 수강자 단말(200)로부터 수강자에게 미리 부여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수강자는 수강자 단말(200)을 통해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기 위해 수강자 단말(200)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수강자 단말(200)과 온라인으로 연결된 메인서버(100)는 올바른 ID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수강자의 접근을 허용한다. 이때, 수강자는 학사일정에 따른 각각의 단위수강기간마다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순차적으로 복수의 강의콘텐츠를 전송받는다.
이때, 메인서버(100)는 미리 등록된 수강자 단말(200)에만 접근을 허용할 수도 있다. 즉, 수강자 단말(200)이 메인서버(100)로 접속을 시도하면, 메인서버(100)는 수강자 단말(2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기록된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강자 단말(200)의 접속을 허용한다.
강의콘텐츠 전송단계(S200)에서는, 단위수강기간의 해당 강의콘텐츠가 메인서버(100)로부터 상기 수강자 단말(200)로 전송된다. 이때, 수강자가 접속한 단위수강기간에 복수의 강의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는 경우, 수강자는 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출석여부 결정단계(S300)에서는, 강의콘텐츠가 메인서버(100)로부터 수강자 단말(200)로 전송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의 출석여부를 결정한다. 출석여부의 결정은 각각의 단위수강기간마다 해당 강의콘텐츠 별로 진행하고, 강의콘텐츠의 전송률이 정해진 비율이상 전송이 완료된 경우 해당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출석한 것으로 인정한다.
출석정보 기록단계(400)에서는, 출석여부에 관한 기록을 메인서버(100)에 기록한다. 메인서버(100)는 각각의 단위수강기간마다 출석여부 결정단계(S300)에서 결정된 온라인 강의 수강자의 출석여부를 기록하여 저장한다.
기록된 출석정보는 온라인 강의 수강자의 수업과목 이수여부 및 학점산정의 자료로 사용된다. 즉, 한 학기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한 학기의 기간 내 각각의 강의콘텐츠 전체에 대한 출석률이 정해진 비율 이상 완료된 경우,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되고, 필요한 경우 한 학기 전체 출석률을 학점산정의 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위와 같은 또 다른 온라인 강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온라인 강의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강의콘텐츠 재전송단계(S210)를 더 포함한다. 강의콘텐츠 재전송단계(S210)에서는, 강의콘텐츠 전송단계 종료 후 메인서버(100)로부터 수강자 단말(200)로 상기 강의콘텐츠가 재전송 가능하다.
이는 단위수강기간이 종료된 후 해당 강의콘텐츠를 전송받아도 행당 강의콘텐츠에 관한 수업에 출석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굳이 해당 강의콘텐츠의 재전송을 제한할 필요가 없고, 수강자의 복습, 심화학습 등을 위해 강의콘텐츠의 재전송을 허용할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필요한 경우 재전송을 받을 수 있는 자를 일정한 범위내로 제한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한편, 도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는 메인서버(100)의 구성을 포함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메인서버(100)는, 인증부(120), 콘텐츠저장부(130), 콘텐츠저장부(140), 전송부(150), 수강체크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콘텐츠저장부(130)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가 저장된 부분으로서 메모리에 해당한다. 콘텐츠저장부(130)에는 1학기 동안 강의될 콘텐츠 전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콘텐츠저장부(140)는, 강의이수기간으로서 예컨대 1학기 동안의 기간에 대해 복수의 강의콘텐츠의 강의 스케쥴을 설정해 놓은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설정된 강의이수기간에 대해 각각 설정된 기간 및 시작 시점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수강기간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설정되며, 각각의 강의콘텐츠가 복수의 단위수강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칭되어 설정된다.
전송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복수의 강의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전송이 요청됨에 따라, 콘텐츠저장부(140)로부터 해당 강의콘텐츠에 매칭되어 설정된 단위수강기간의 시작 시점이 시간적으로 도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요청된 강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해주는 부분이다.
수강체크부(160)는, 개별 강의 콘텐츠의 수강에 대해 그 수강 완료 여부 또는 출석여부를 체크하여 기록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강의 콘텐츠의 요청이 해당 단위수강기간의 시작 시점 이후에 이루어졌는지, 상기 요청된 강의 콘텐츠의 전송이 개시되었는지, 그리고, 상기 요청된 강의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된 비율이 설정 비율 이상인지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수강완료 여부 또는 출석여부를 기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강의 콘텐츠의 전송 비율의 계산은, 예컨대, 해당 강의 콘텐츠의 용량을 기준으로 계산될 수 있다. 즉, 강의 콘텐츠의 전체 용량 중 몇%에 해당하는 내용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었는지를 이용하여 전송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전송 비율이 70%를 넘어선 경우 해당 강의 콘텐츠에 대해 수강을 완료한 것으로 체크하여 기록할 수 있다.
도7은 강의스케쥴링에 따라 각각의 강의 콘텐츠가 매칭되어 설정되어 있는 모습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7의 예에서는, 1학기의 강의이수기간은 시간적으로 순차적인 제1단위수강기간(UI), 제2단위수강기간(UII), 제3단위수강기간(UIII) 등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수강기간들은 다시 시간적으로 순차적인 3개의 기간으로 이루어진다.
3개의 시간 순차적인 소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단위수강기간(UI)은 그 시작 시점(UI-1) 및 각 소구간의 시작시점(UI-1, UI-2, UI-3)들이 설정되어 있다. 제1단위수강기간(UI)의 시작 시점(UI-1)은 그 첫 소구간의 시작시점과 동일하다. 이러한 설정은 제2단위수강기간(UII) 및 제3단위수강기간(UIII) 등 다른 단위수강기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단위수강기간(UI)의 각 소구간은 그에 해당하는 강의콘텐츠(C11, C12, C13)가 매칭되어 설정되어 있다. 즉, 도7에서 C11, C12, 및 C13가 제1단위수강기간(UI)에 대해 설정된 강의 콘텐츠이며, 그러한 각각의 강의콘텐츠는 제1단위수강기간(UI)의 각 소구간에 대해 매칭되어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C12의 강의콘텐츠 전송 요청이 입력된 경우, 메인서버(100)는 제1단위수강기간(UI)의 시작 시점(UI-1) 또는 제1단위수강기간(UI)의 해당 소구간의 시작 시점(UI-2)이 도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송부(150)를 통해 해당 강의 콘텐츠 C12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해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송부(150)는, 요청된 강의 콘텐츠를 해당 단위수강기간 내에서는 전체 사용자에 대해 전송을 허용하도록 설정되고, 해당 단위수강기간 이후에는 각 사용자별로 전송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단위수강기간(UI)의 시작 시점(UI-1)이 도래하고, 아직 제1단위수강기간(UI) 내인 경우에는 어떠한 수강자라도 요청만 하면 강의 콘텐츠 C11을 전송해 주지만, 제1단위수강기간(UI)이 끝난 경우에는 수강자별로 특정 조건의 만족 여부를 고려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특별한 조건은, 해당 강의를 그 단위수강기간 내에 수강하지 못한 사유서를 수강자가 제출하였는지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단위수강기간(UI)이 끝난 시점(UII-1 이후 시점)에 C11 강의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사용자가 그 전송을 요청하더라도, 전송해 주지 않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강하지 못한 사유서를 기재하여 제출하도록 한 후, 그 사유서가 제출되어 교수자가 승인한 경우에 한해, 그 수강자에게 C11 강의 컨텐츠를 전송해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메인서버(100)는 사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윈도우창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수강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그 윈도우창에 사유서를 작성하여 다시 메인서버(100)로 전송하며, 메인서버(100)는 전송받은 사유서를 교수자 단말로 전송해 주어 승인을 받고, 그와 같이 교수자로부터 승인이 입력된 경우에 한해 해당 수강자에게 그 강의 콘텐츠를 전송해 주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강체크부(160)는, 상기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에 대해 상기 수강여부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각각의 수강여부에 따라 상기 강의이수기간 동안 설정된 상기 복수의 강의 콘텐츠 전체에 대한 수강율을 산정하여, 상기 수강율이 설정된 이수수강율 이상인 경우 해당 강의에 대한 수강을 이수한 것으로 기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1학기 동안의 수강율이 80% 이상인 이수수강율 이상인 경우에 해당 강의에 대해 적어도 수강에 대한 이수가 완료된 것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150)는, 수강체크부(160)로부터 전송받은 수강율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수강자가 수시로 자신의 수강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강율이 상기 이수수강율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위해 경고메세지를 전송하고, 현재까지의 수강률과 남은 강의 콘텐츠 및 이수수강율을 비교하여 남은 강의 콘텐츠를 수강하더라도 해당 강의에 대한 이수를 할 수 없는 경우 해당 강의를 이수할 수 없다는 경고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150)는, 해당 단위수강기간이 경과된 강의 콘텐츠들에 대해 수강 완료한 콘텐츠 리스트와 수강하지 못한 콘텐츠 리스트가 구별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도록 강의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부(15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단위수강기간의 시작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강의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전송되면 수강 가능한 기간이 도래하지 않았다는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2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메인서버
110: LMS
200: 정보입력부
300: 콘텐츠 입력부
400: 수강자 단말
도3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메인서버
200: 수강자 단말
도6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메인서버
120: 인증부
130: 콘텐츠저장부
140: 강의스케쥴링부
150: 전송부
160: 수강체크부

Claims (8)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복수의 강의 콘텐츠가 저장된 강의콘텐츠저장부;
    특정 학기 기간으로 설정된 강의이수기간에 대해 각각 설정된 기간 및 시작 시점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수강기간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설정되고, 각각의 상기 강의콘텐츠가 상기 복수의 단위수강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칭되어 설정된 강의스케쥴링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강의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전송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강의스케쥴링부로부터 상기 요청된 강의콘텐츠에 매칭되어 설정된 해당 단위수강기간의 시작 시점이 시간적으로 도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요청된 강의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해주는 전송부; 및
    상기 강의 콘텐츠의 요청이 해당 단위수강기간의 시작 시점 이후에 이루어졌는지, 상기 요청된 강의 콘텐츠의 전송이 개시되었는지, 그리고, 상기 요청된 강의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비율이 설정 비율 이상인지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상기 요청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수강완료 여부를 기록하는 수강체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강체크부는, 상기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에 대해 상기 수강여부를 기록하며, 상기 기록된 각각의 수강여부에 따라 상기 강의이수기간 동안 설정된 상기 복수의 강의 콘텐츠 전체에 대한 수강율을 산정하여, 상기 수강율이 설정된 이수수강율 이상인 경우 해당 강의에 대한 수강을 이수한 것으로 기록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요청된 강의 콘텐츠를 해당 단위수강기간 내에서는 전체 사용자에 대해 전송을 허용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해당 단위수강기간 이후에는 각 사용자별로 각 사용자의 특정 데이터 입력 또는 교수자의 승인이 입력됨에 따라 그 전송을 허용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수강체크부로부터 전송받은 수강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수강율이 상기 이수수강율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위해 경고메세지를 전송하고, 현재까지의 수강률과 남은 강의 콘텐츠 및 이수수강율을 비교하여 남은 강의 콘텐츠를 수강하더라도 해당 강의에 대한 이수를 할 수 없는 경우 해당 강의를 이수할 수 없다는 경고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온라인 강의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해당 단위수강기간이 경과된 강의 콘텐츠들에 대해 수강한 콘텐츠 리스트와 수강하지 못한 콘텐츠 리스트가 구별되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강의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온라인 강의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단위수강기간의 시작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강의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전송되면 수강 가능한 기간이 도래하지 않았다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온라인 강의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체크부는, 상기 강의 콘텐츠에 대한 수강 완료 여부를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강의 콘텐츠에 대한 요청 또는 전송이 해당 단위수강기간 내에 이루어진 경우에 한해 수강 완료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온라인 강의시스템
KR1020140115585A 2013-08-30 2014-09-01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1620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371 2013-08-30
KR1020130104359 2013-08-30
KR20130104359 2013-08-30
KR20130104371 2013-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707A KR20150027707A (ko) 2015-03-12
KR101620358B1 true KR101620358B1 (ko) 2016-05-13

Family

ID=5302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585A KR101620358B1 (ko) 2013-08-30 2014-09-01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3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8292A (ja) * 2009-12-07 2011-06-16 Hiromi Watanabe eラーニング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8292A (ja) * 2009-12-07 2011-06-16 Hiromi Watanabe eラーニング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토익인강] YBM 토보코보험.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3.01.02., [2015.11.10. 검색], 인터넷 http://blog.naver.com/junjuly4/13015555284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707A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7954A1 (en)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Interaction with Online Educational Programs
US20040161728A1 (en) Distance learning system
US201903257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Academic Competition
US20070298401A1 (en)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Using Remote Communication Devices
US11694564B2 (en) Maze training platform
KR101387003B1 (ko) 학습 습관 형성을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71797B1 (ko)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203750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eriential skill development
US201501999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ducational platform providing a multi faceted learning environment
JP2002297011A (ja) 遠隔教育システム
KR101620359B1 (ko)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1923704B1 (ko)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210027644A1 (en) Method and systems for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KR20150027709A (ko)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Ryznar Lessons from Teaching Tax Online
KR101620358B1 (ko)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
KR20180049468A (ko) 이러닝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072846A (ja) 教育システム
TWM631602U (zh) 直播教學系統
Caudill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a Flipped Classroom: A Study of Undergraduates Enrolled in an Applied Child Development Course.
KR20130124693A (ko) 협력 학습을 통한 강의 보조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160126730A (ko) 학습자 단말을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JP4369460B2 (ja) 教育システム
KR20090003081A (ko) 독서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Padlet The following section provides a sampling of technological tools and platforms that can be implemented to facilitate a COIL course. It is important to state that this section is in no way intended to be a complete overview of all the tools that can be used in COIL VE, but rather a sample of some of the most common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