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206B1 -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 Google Patents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206B1
KR101620206B1 KR1020140140438A KR20140140438A KR101620206B1 KR 101620206 B1 KR101620206 B1 KR 101620206B1 KR 1020140140438 A KR1020140140438 A KR 1020140140438A KR 20140140438 A KR20140140438 A KR 20140140438A KR 101620206 B1 KR101620206 B1 KR 101620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space unit
valve
unit
fric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952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206B1/ko
Priority to US14/627,658 priority patent/US9556826B2/en
Priority to DE102015103496.4A priority patent/DE102015103496A1/de
Priority to CN201510113334.4A priority patent/CN106032780B/zh
Publication of KR2016004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7Pintles; Spindles; Springs; Bearings; Sealings; Connections to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3/00Lift-valve,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Parts or accessories thereof
    • F01L3/08Valves guides; Sealing of valve stem, e.g. sealing by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1/00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17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in relation to the intake system
    • F02M26/21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in relation to the intake system with EGR valves located at or near the connection to the intak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0Flap valves; Rotary valves; Sliding valves; Resilien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t Valv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밸브 내부에 마련된 스템의 상하 운동시 상기 스템과 스템 가이드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그 측면에 복수 개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밸브 내측면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되는 스페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IMPROVED APPARATUS FOR REDUCING REFRICTION IN EGR DRIVER}
본 발명은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차량용 EGR 밸브 내부에 마련된 스템 가이드와 이 스템 가이드를 따라 상하 운동하는 스템에서 스템의 외주면 일지점에 밸브의 내측면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도록 그 측면에 복수개의 함몰부가 형성된 스페이스 유닛을 마련함은 물론, 이 스페이스 유닛으로 인해 종래 사용되었던 스템 가이드의 길이가 축소되어 EGR 구동부의 마찰력이 감소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엔진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에서 발생되는 질소산화물(NOx)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냉각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혼합기에 더하여 실린더 내로 흡입시키는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EGR밸브의 구성을 보면,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와, 상기 개폐장치를 동작시켜 왕복운동을 유발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하우징의 흡입구는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있고, 배출구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및 개폐장치의 동작에 따라서 배기 매니폴드에서 토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상기 EGR밸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흡기 매니폴드로 이동한다.
종래의 EGR밸브를 보면, 한국공개특허번호 10-2006-0029846과 같은 장치를 취하고 있었다. 종래의 장치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와 개폐장치 간의 기어 장치가 마련되어 있었고, 그러한 기어장치의 동작에 따라서 배기가스의 재순환 동작이 일어났었다.
한편, 도 1은 종래 배기가스와 EGR 가스가 유입되는 연결부에서의 밸브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가이드(3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템(20)과 이 스템의 상부에 립실(40)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EGR 밸브가 장착된 차량의 운행시 종종 엔진 시동이 꺼지거나 울컥거리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그 원인으로 스템 가이드(30)를 따라 상하 운동하는 스템(20)에서 생기는 마찰력에 의한 열이 립실(40)에 전달되어 고온에 의한 립실(40)의 수축 및 변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립실(40)과 스템(20) 및 스템 가이드(30)로 구성된 섭동부 간섭에 의한 섭동 부하가 증가함에 있었다.
또한, 스템 가이드(30)가 고온에 노출되어 차량 운행시 스템(20)의 상하 운동에 의한 마찰력의 증가로 인해 운전자에게 경고등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에 스템(20)의 상하 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연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스템 가이드(30)의 길이를 종래에 비해 축소하고, 밸브 내측면과 스템(20)과의 마찰력이 감소 되도록 그 측면에 다수개의 함몰부가 형성된 스페이스 유닛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1216호(2013.03.0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8880호(2011.03.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인 스템 가이드를 따라 상하 운동하는 스템에 의한 마찰열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의 추종성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밸브 내부에 마련된 스템의 상하 운동시 상기 스템과 스템 가이드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그 측면에 복수 개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밸브 내측면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되는 스페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스 유닛은, 상기 함몰부가 상기 스페이서 유닛 내부로 소정 깊이로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중심부에는 스템이 관통할 수 있는 스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상하 운동시 상기 밸브 내측면과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도록 그 상면에는 상기 스템홀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상면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상면요홈부가 상기 스템홀을 중심으로 위치한 각도와 다른 각도로 복수개의 하면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몰부는, 상기 복수개의 상면요홈부 및 하면요홈부가 상기 스템홀을 중심으로 위치한 각도와 다른 각도로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상부와 하부에는 립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상부에는 카본 재질의 부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의 상부에는 그 하부가 개방된 립실 부재가 형성되고, 이 립씰 부재의 개방된 하부에는 상기 립실이 립실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고정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스 유닛 하부에는 스템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길이의 스템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에 의한다면 종래 사용하던 스템가이드의 길이를 축소하고, 마찰 저항이 적은 장치인 스페이서 유닛을 채용함으로써 차량의 내구성이 확보되고, 그에 따른 연비 향상 및 부품 교체에 대한 비용 절감이 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종래 배기가스와 EGR 가스가 유입되는 연결부에서의 밸브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스페이스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스페이스 유닛이 스템에 결합되어 밸브 내부에 위치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스페이스 유닛이 스템에 장착되어 밸브 내부에 형성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페이스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이 스페이스 유닛이 스템에 결합된 채 밸브 내부에 위치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페이스 유닛(10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그 측면에는 복수 개의 함몰부(110)가 스페이스 유닛(10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스 유닛(100)은 그 중심부에 스템홀(H)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홀을 따라 스템(20)이 관통된 채 스템(20)과 함께 스페이스 유닛(100)은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이 스페이스 유닛(100)이 스템(20)에 장착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20)은 스페이스 유닛(100)과 함께 밸브 내부에서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이 스페이스 유닛(100)의 측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110)가 형성되어 있어서 밸브의 내측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듦은 물론, 종래 스템(20)이 이동할 수 있는 스템 가이드 대신에 이 스페이스 유닛(100)으로 대체함으로써 스템(20)의 이동에 의한 마찰력도 현격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구현된다.
이러한 스페이스 유닛(10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함몰부(110)는 스페이스 유닛의 측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데, 그 갯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최적의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를 중심으로 3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함몰부(110)의 형상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나, 그 내구성을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소정 깊이로 스페이스 유닛(100)의 내부를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몰부의 형성으로 함몰부(110)와 접촉하는 밸브 내측면과의 면적이 감소하여 스템(20)의 상하 이동시 종래 스템 가이드를 채용하는 경우에 생기는 마찰력에 비해 현격하게 감소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한편, 이 스페이스 유닛(100)의 중심부에는 스템(20)이 관통할 수 있는 스템홀(H)이 형성되어 있어, 이 스템홀(H)에 스템(20)이 관통한 채 스템(20)과 스페이스 유닛(100)이 함께 상하로 운동한다.
이때, 스페이스 유닛(100)의 상하 운동시 밸브 내측면과의 접촉면적이 더욱 감소되도록 그 상면에는 스템홀(H)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상면요홈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홀(H)을 중심으로 1200 만큼 각각 회전된 위치에 소정 깊이로 홈이 형성된 3개의 상면요홈부(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상면요홈부(120) 역시 이미 설명한 함몰부(110)와 마찬가지로 스템(20)이 밸브 내부에서 상하 이동시 밸브 내측면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구현된다.
또한, 스페이스 유닛(100)의 하면에는 이 복수개의 상면요홈부(120)가 스템홀(H)을 중심으로 위치한 각도와 다른 각도로 복수개의 하면요홈부(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복수개의 하면요홈부(130) 역시 그 밸브 내측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그 마찰력이 저감되는 효과가 구현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면요홈부(120)가 스템홀(H)을 중심으로 위치한 각도와 하면요홈부(130)가 스템홀(H)을 중심으로 위치한 각도는 서로 달리하여 어긋나게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스페이스 유닛(100)의 상하 운동시 비틀림에 의한 강성 저하가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함몰부(110)가 형성된 위치 역시 복수개의 상면요홈부(120) 및 하면요홈부(130)가 스템홀(H)을 중심으로 위치한 각도와 다른 각도로 스페이스 유닛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역시 스페이스 유닛(100)의 상하 운동시 비틀림에 의한 강성 저하가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결국, 상면요홈부(120), 함몰부(110) 및 하면요홈부(130)가 스템홀(H)을 중심으로 위치한 각도는 서로 달리하여 어긋나게 형성됨으로써 스페이스 유닛(100)의 상하 운동시 비틀림에 의한 강성 저하가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인 스페이스 유닛이 스템에 장착되어 밸브 내부에 형성된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스 유닛의 상부와 하부에는 립실(2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립실(200)과 스페이스 유닛(100)으로 인해 마찰력이 최소화됨은 물론, 내구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한편,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스 유닛(100)의 상부에는 카본 재질의 부시(3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 부시(300)의 상부에는 그 하부가 개방된 립실 부재(400)가 형성되되, 이 립실 부재(400)의 개방된 하부에는 립실 부재(400)가 립실 하우징(50)에 고정되도록 고정링(5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페이스 유닛(100) 하부에는 스템(2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길이의 스템 가이드(30)가 형성되는데, 이 스템 가이드(30)는 종래에 비해 그 길이가 축소되어 마찰력이 더욱 감소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스템(20)이 밸브 내부에서 상하 운동을 하더라도 종래에 비해 그 마찰력이 현저하게 줄어듦으로써 마찰력이 최소화됨은 물론 내구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밸브 20 : 스템
30 : 스템 가이드 40 : 립실
100 : 스페이스 유닛 110 : 함몰부
200 : 립실 300 : 부시
400 : 립실 부재 500 : 고정링

Claims (9)

  1. 밸브 내부에 마련된 스템의 상하 운동시 상기 스템과 스템 가이드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그 측면에 복수 개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밸브 내측면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되는 스페이스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스 유닛은,
    상기 함몰부가 상기 스페이서 유닛 내부로 소정 깊이로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중심부에는 스템이 관통할 수 있는 스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상하 운동시 상기 밸브 내측면과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도록 그 상면에는 상기 스템홀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상면요홈부가 상기 함몰부와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상면요홈부가 상기 스템홀을 중심으로 위치한 각도와 다른 각도로 복수개의 하면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복수개의 상면요홈부 및 하면요홈부가 상기 스템홀을 중심으로 위치한 각도와 다른 각도로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상부와 하부에는 립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7. 청구항 1, 4,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유닛의 상부에는 카본 재질의 부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상부에는 그 하부가 개방된 립실 부재가 형성되고, 이 립씰 부재의 개방된 하부에는 상기 립실이 립실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고정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유닛 하부에는 스템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길이의 스템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KR1020140140438A 2014-10-17 2014-10-17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KR10162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38A KR101620206B1 (ko) 2014-10-17 2014-10-17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US14/627,658 US9556826B2 (en) 2014-10-17 2015-02-20 Apparatus for reducing friction in EGR driver
DE102015103496.4A DE102015103496A1 (de) 2014-10-17 2015-03-10 Verbesserte Vorrichtung zum Verringern von Reibung in einem AGR-Treiber
CN201510113334.4A CN106032780B (zh) 2014-10-17 2015-03-16 用于在egr驱动器中减小摩擦的改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38A KR101620206B1 (ko) 2014-10-17 2014-10-17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952A KR20160045952A (ko) 2016-04-28
KR101620206B1 true KR101620206B1 (ko) 2016-05-13

Family

ID=5563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438A KR101620206B1 (ko) 2014-10-17 2014-10-17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56826B2 (ko)
KR (1) KR101620206B1 (ko)
CN (1) CN106032780B (ko)
DE (1) DE10201510349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0504A (ja) * 2007-02-07 200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軸シール保持用リング
JP2012097592A (ja) * 2010-10-29 2012-05-24 Toshiba Corp 蒸気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2255Y2 (ko) 1975-10-08 1979-10-06
KR100675432B1 (ko) 2004-10-04 2007-01-29 캄텍주식회사 차량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의 개폐 구조
KR101519904B1 (ko) 2009-09-14 2015-05-1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이지알밸브
JP5717556B2 (ja) * 2011-06-22 2015-05-13 愛三工業株式会社 Egrバルブ
KR101279947B1 (ko) 2011-08-22 2013-07-05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egr 밸브
US8910921B2 (en) * 2011-10-27 2014-12-16 Aegis Flow Technologies, L.L.C. Valve and stem seal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0504A (ja) * 2007-02-07 200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軸シール保持用リング
JP2012097592A (ja) * 2010-10-29 2012-05-24 Toshiba Corp 蒸気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952A (ko) 2016-04-28
DE102015103496A1 (de) 2016-04-21
CN106032780B (zh) 2019-05-17
US9556826B2 (en) 2017-01-31
US20160108863A1 (en) 2016-04-21
CN106032780A (zh)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539B1 (ko) 게이트밸브
KR101604415B1 (ko) 원통캠을 이용한 밸브조립체
US11156304B2 (en) Check valve
BRPI0706390A2 (pt) módulo de válvula para a alimentação, em particular, de meios em forma de gás
JP2016509647A (ja) 内燃機関の排ガス弁装置
WO2016075093A1 (en) Sealing system and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comprising same
CN102182564A (zh) 排气制动蝶阀的蝶片及其排气制动蝶阀
CN110100088B (zh) 具有改进的圆柱形凸轮操作的阀组件
KR101519904B1 (ko) 자동차용 이지알밸브
KR101620206B1 (ko) Egr 구동부의 마찰력 감소 개선 장치
KR101820829B1 (ko)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고압용 솔레노이드밸브
JP2008190504A (ja) 軸シール保持用リング
CN102182563A (zh) 限压密封活塞及其排气制动蝶阀
KR101820044B1 (ko) 에어 바이패스 밸브
CN103061844B (zh) 连续可变气门升程装置及具有该装置的发动机
KR20180080388A (ko) 리턴스프링 체결구조가 개선된 밸브조립체
KR101844167B1 (ko) 내연기관의 밸브 액튜에이터
JP2013185541A (ja) Egrバルブ
KR101237942B1 (ko) 차량용 egr 밸브
KR102155851B1 (ko) 전환 밸브
KR101961693B1 (ko) 복수의 스템 가이드부재를 갖는 차량용 egr밸브
KR101583983B1 (ko)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
KR20170090251A (ko) 경사면이 형성된 밸브샤프트를 포함하는 이지알 밸브
KR102062615B1 (ko) 차량용 egr 밸브
KR20150038655A (ko) 내연 기관의 직동형 밸브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