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966B1 -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966B1
KR101619966B1 KR1020140127348A KR20140127348A KR101619966B1 KR 101619966 B1 KR101619966 B1 KR 101619966B1 KR 1020140127348 A KR1020140127348 A KR 1020140127348A KR 20140127348 A KR20140127348 A KR 20140127348A KR 101619966 B1 KR101619966 B1 KR 10161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int
mode
interest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730A (ko
Inventor
김준모
유연희
Original Assignee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9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음성인식에 따라 생성된 텍스트를 기초로 관심지점을 분석하고 해당 관심지점에 따른 경로설정, 경로요약 및 경로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는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의 모드를 목적지 설정 여부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내비게이션 모듈의 현재 모드를 판단하고, 현재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각 명령어에 매칭된 별칭에 한정하여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 생성된 텍스트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관심지점과 해당 관심지점에 적용되는 명령어에 대한 매칭 정확도 및 오차 범위를 줄일 수 있어, 별도의 내비게이션 모듈에 대한 조작 없이 음성 인식을 통해 변환된 텍스트만으로 경로 설정, 경로 요약 및 경로 안내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사용자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Voice analyz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route}
본 발명은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음성인식에 따라 생성된 텍스트를 기초로 관심지점을 분석하고 해당 관심지점에 따른 경로설정, 경로요약 및 경로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는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음성인식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해당 음성인식 기술은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반환하여 각종 전자기기에서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명령을 수행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더군다나, 음성인식 기술은 최근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컨트롤러를 대체하고 있으며, 전자기기마다 상이한 컨트롤러의 사용방법을 숙지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욱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발전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내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음성인식 기술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내비게이션에 적용된 각종 명령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운전 중 내비게이션 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 음성인식 기술이 적용된 내비게이션은 단순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관심지점 정도를 매칭시키는데 한정하고 있으며, 내비게이션의 다양한 기능을 음성인식을 통해 제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내비게이션은 음성인식을 통해 관심지점을 검색하는데 그치며, 관심지점 검색 이후 목적지 또는 경유지 설정에 대한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해야 하므로 음성인식에 따른 편의성 향상이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음성인식 기술과 연동하여 내비게이션의 동작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 및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보완책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9227호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통해 생성된 텍스트 수신시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의 현재 상태에 따른 모드를 판단하고, 해당 모드에서 사용가능한 명령어로 한정하여 음성인식에 따라 생성된 텍스트에서 대응되는 명령어를 추출하고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모듈을 동작시킴으로써 음성인식에 따른 정확한 경로안내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통해 반환되는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내비게이션 모듈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와 관심지점 명칭을 추출하여 내비게이션 모듈로 제공함으로써, 내비게이션 모듈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관심지점을 정확히 검색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관심지점을 이용한 명령어를 정확히 수행하도록 제공하여 음성인식을 통한 경로안내에 대한 신뢰성 및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는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 모듈로부터 전체 텍스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위 텍스트로 파싱하는 파싱부와,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에 대하여 목적지 설정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모드 중 현재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 및 상기 모드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을 위한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기초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관심지점 명칭을 검색하여 일치되는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관심지점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인 경우 상기 특정 관심지점 명칭과 일치되지 않는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상기 현재 모드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를 상기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대한 경로설정, 경로안내 및 경로요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분석부는 단위 텍스트 중 미리 설정된 음절 이하의 텍스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명령어는 모드 변경, 목적지 설정, 경유지 설정, 경로 안내, 경로 요약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명령어별 별칭 그룹은 각 명령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별칭(alia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모드 판단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에서 제공되는 위치변화에 따른 이동상태 정보를 기초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며, 목적지 미설정 및 정지상태의 상기 경로설정 모드, 목적지 미설정 및 주행상태의 주행 모드 또는 목적지 설정 및 주행상태의 경로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현재 모드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분석부는 서로 다른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경우 상기 각 단위 텍스트의 정렬 순서에 따라 각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명령어를 매칭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분석부는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 생성시 각 관심지점 정보마다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된 명령어를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을 통해 각 관심지점 정보에 따른 관심지점이 목적지 또는 경유지로 설정되도록 하고 경로설정, 경로안내, 경로요약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모드 판단부의 판단에 따른 상기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 모드인 상태에서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경우 현재 모드를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로 직접 변환하고,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텍스트를 변환된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방법은 음성분석 모듈이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 모듈로부터 전체 텍스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위 텍스트로 파싱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분석 모듈이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에 대하여 목적지 설정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모드 중 현재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을 위한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 상기 음성분석 모듈이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기초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관심지점 명칭을 검색하여 일치되는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관심지점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인 경우 상기 음성분석 모듈이 상기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 이외의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상기 현재 모드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를 상기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대한 경로설정, 경로안내 및 경로요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시스템은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 모듈과,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 및 상기 음성인식 모듈로부터 전체 텍스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위 텍스트로 파싱하고, 목적지 설정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모드 중 현재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을 위한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기초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관심지점 명칭을 검색하여 일치되는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인 경우 상기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 이외의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상기 현재 모드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를 상기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대한 경로설정, 경로안내 및 경로요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음성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의 모드를 목적지 설정 여부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내비게이션 모듈의 현재 모드를 판단하고, 현재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각 명령어에 매칭된 별칭에 한정하여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 생성된 텍스트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관심지점과 해당 관심지점에 적용되는 명령어에 대한 매칭 정확도 및 오차 범위를 줄일 수 있어, 별도의 내비게이션 모듈에 대한 조작 없이 음성 인식을 통해 변환된 텍스트만으로 경로 설정, 경로 요약 및 경로 안내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사용자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성분석을 통해 생성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명령어가 없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매칭 가능한 명령어를 피드백받아 각 명령어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음성에 기반한 내비게이션 모듈의 제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 및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모듈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모듈의 경로설정 모드에 따른 동작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모듈의 주행 모드 또는 경로안내 모드에 따른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모듈의 복수 관심지점 정보 생성시 동작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모듈에 포함된 분석부의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 모듈(100)과, 목적지 설정을 통해 경로를 안내하거나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300) 및 상기 음성인식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관심지점 명칭을 포함하는 관심지점 정보와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에서 상기 관심지점 정보를 이용한 경로설정, 경로안내, 경로요약을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하는 음성분석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성인식 모듈(100), 음성분석 모듈(200) 및 내비게이션 모듈(300)은 하나의 장치에 구성되거나 일부가 별도의 장치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장치에 구성되어 상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모듈(300)은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관심지점(POI: Point Of Interest)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포함된 POI DB부(310)에 저장할 수 있으며, POI DB부(310)에는 복수의 관심지점 각각에 대한 관심지점 명칭이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음성분석 모듈(200)은 음성인식 모듈(100)의 음성인식에 따라 생성된 텍스트를 하나 이상의 단위 텍스트로 파싱할 수 있으며, 일례로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단어로 파싱하여 각 단어를 단위 텍스트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성분석 모듈(200)은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모드를 목적지 설정 여부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현재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각 명령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별칭(alias)으로 구성된 별칭 그룹과 각 단위 텍스트를 비교하여, 단위텍스트와 일치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성분석 모듈(200)은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현재 모드에서 사용가능한 명령어를 판단할 수 있으며, 각 명령어에 매칭되는 별칭을 미리 설정하여 음성 인식을 통해 생성된 단위 텍스트와 일치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를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전송하여 관심지점을 이용한 명령어에 따른 기능 수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대한 조작 없이 음성 인식을 통해 변환된 텍스트만으로 경로 설정, 경로 요약 및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실시예를 이하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모듈(200)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싱부(210), 분석부(230), 모드 판단부(240) 및 저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파싱부(210)는 음성인식 모듈(100)로부터 음성인식을 통해 생성된 전체 텍스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단위 텍스트로 파싱할 수 있다. 일례로, 파싱부(210)는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전체 텍스트를 하나 이상의 단어로 파싱할 수 있으며, 이때 각 단어가 단위텍스트를 의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전체 텍스트를 하나 이상의 단위 텍스트로 파싱할 수 있다.
한편, 모드 판단부(240)는 내비게이션 모듈(300)과 연동하여 목적지 설정 여부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모드 중 현재 모드가 어느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30)는 상기 모드 판단부(240)의 판단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을 위한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기초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미리 저장된 각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명칭을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230)는 각 단위 텍스트 중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저장된 복수의 관심지점 명칭 중 특정 관심지점 명칭과 일치되는 단위 텍스트를 기초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따른 관심지점을 목적지로 설정하여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부(22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심지점 정보는 상기 특정 관심지점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분석부(230)는 현재 모드가 경로 설정을 위한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 목적지 설정 및 경로 안내만이 요구되므로, 각 단위 텍스트에서 관심지점 명칭과 일치하는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위 텍스트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기 위하여 경로설정 모드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를 저장부(220)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석부(230)는 경로설정 모드에서 관심지점에 한정하여 텍스트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이외의 다른 명령어 관련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관심지점 명칭 위주로 텍스트와 매칭하여 매칭 정확도를 높여 정확한 목적지 설정 및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경로설정 모드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는 목적지 설정에만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분석부(230)는 경로설정 모드에서 관심지점 정보와 목적지 설정에 대한 명령어를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하여 내비게이션 모듈(300)에서 목적지 설정과 함께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자동으로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분석부(230)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현재 모드가 상기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인 경우 전체 텍스트에서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매칭되는 단위 텍스트를 기초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하고, 관심지점에 매칭되지 않는 각 단위 텍스트를 상기 현재 모드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별칭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상기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명령어별 별칭 그룹은 서로 다른 각 모드에 매칭되어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서로 다른 각 명령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별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230)는 저장부(220)로부터 현재 모드에 매칭되는 명령어별로 별칭 그룹에 포함된 각 별칭을 관심지점 명칭에 매칭되는 단위 텍스트를 제외한 각 단위 텍스트와 비교하여 단위 텍스트와 매칭되는 별칭이 포함된 별칭 그룹을 식별하고, 식별된 별칭 그룹에 매칭된 명령어를 추출하여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명령어는 모드 변경, 목적지 설정, 경유지 설정, 경로요약 및 경로 안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석부(230)로부터 제공되는 관심지점 정보와 명령어를 수신한 내비게이션 모듈(300)은 관심지점 정보를 기초로 특정 관심지점을 검색하고, 검색된 특정 관심지점을 목적지로 설정하여 명령어에 대응되는 경로설정, 경로요약 및 경로 안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분석부(230)는 경로 설정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드를 목적지 설정 여부 및 주행 여부를 기초로 구분하여 각 모드에서 이용가능한 명령어를 한정하고, 각 명령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텍스트를 별칭으로 설정하여, 음성인식을 통해 생성된 단위 텍스트와 별칭의 비교를 통해 단위 텍스트가 어느 명령어에 해당하는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석부(230)는 경로설정 모드가 아닌 현재 모드에서 명령어에 해당하는 단위 텍스트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해당 단위텍스트가 의미하는 명령어를 정확하게 매칭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성인식에 따른 기능 수행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음성분석 모듈(200)의 동작 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은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에 음성분석 모듈(200)의 동작 구성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싱부(210)는 음성인식 모듈(100)로부터 음성인식을 통해 생성된 전체 텍스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단위 텍스트로 파싱하며, 일례로 '에버랜드 가자'와 같은 전체 텍스트를 '에버랜드'의 단위텍스트 1과 '가자'의 단위텍스트 2로 파싱할 수 있다.
이후, 분석부(230)는 단위텍스트 1 및 2를 수신하는 경우 모드 판단부(240)와 연동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현재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모드 판단부(240)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에서 목적지가 설정되었는지 여부와 주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특히 주행중인지 여부는 내비게이션 모듈(300)에서 제공하는 GPS 기반의 위치변환에 따른 이동상태 정보를 기초로 주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드 판단부(240)는 목적지가 미설정되고 주행중이 아닌 경우 현재 모드를 경로설정을 위한 경로설정 모드로 판단할 수 있으며, 분석부(230)는 모드 판단부(240)의 판단에 따라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 목적지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각 단위텍스트에서 관심지점 명칭에 해당하는 단위텍스트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석부(230)는 단위텍스트 1 및 2를 기초로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저장된 관심지점 명칭을 검색하여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해당하는 단위텍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위텍스트 1의 '에버랜드'에 해당하는 특정 관심지점 명칭이 존재하므로 단위텍스트 1을 기초로 '에버랜드'에 대응되는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위텍스트 2의 '가자'는 관심지점 명칭을 특정할 수 없으므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30)는 저장부(220)로부터 상기 관심지점 정보의 목적지 설정 및 경로 안내를 위한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모듈(300)은 관심지점 정보에 포함된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따라 특정 관심지점을 검색하고, 해당 특정 관심지점을 명령어에 따라 목적지로 설정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석부(230)는 현재모드가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 관심지점 명칭에 관련된 단위텍스트만을 추출하여 텍스트 분석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키는 동시에 관심지점에 대한 단위텍스트만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목적지 설정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인 경우에 대해서 음성분석 모듈(200)은 각 모드에 기반하여 텍스트가 의미하는 정확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부(230)는 파싱부(210)를 통해 단위텍스트 1 및 2를 수신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판단부(240)와 연동하여 주행 여부와 목적지 설정 여부를 기초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현재 모드가 주행모드 또는 경로안내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230)는 모드 판단부(240)의 판단에 기초하여 현재 모드가 목적지 설정 없이 주행중인 주행 모드인 경우 경로설정 모드와 마찬가지로 단위 텍스트 1 및 2를 기초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저장된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해당하는 단위 텍스트 1을 추출하여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30)는 저장부(220)에서 주행 모드에 대응되어 설정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을 단위 텍스트 2와 비교하여, 주행 모드에서 단위 텍스트 2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부(230)는 단위텍스트 2의 '가자'를 저장부(220)에서 주행모드에 대응되는 각 명령어에 매칭된 별칭 그룹에 포함된 별칭과 비교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텍스트 2와 일치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 1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1은 '가자'에 대응되어 목적지 설정 및 경로 안내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230)는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명령어 1을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하며, 내비게이션 모듈(300)은 주행 중에 관심지점 정보에 따른 특정 관심지점 명칭으로 관심지점을 검색하여, 검색된 관심지점을 명령어 1에 따라 목적지로 설정하고 경로 안내를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단위 텍스트 2가 '얼마나', '걸려' 등과 같은 텍스트로 구성되는 경우 분석부(230)는 저장부(220)에서 '얼마나'에 매칭되는 경로요약에 대한 명령어를 추출하여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모듈(300)은 관심지점 정보에 따른 관심지점을 경로요약에 대한 명령어에 따라 목적지로 설정하여 경로정보, 예상도착시간 정보 등과 같은 경로요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분석부(230)는 모드 판단부(240)의 판단에 따른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현재 모드가 목적지를 설정하여 경로 안내 중인 경로안내 모드인 경우 상술한 주행 모드와 마찬가지로 단위텍스트 1을 기초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하고, 단위텍스트 2를 저장부(220)에서 경로안내 모드에 대응되어 설정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230)는 단위텍스트 2의 '가자'를 저장부(220)에서 경로안내 모드에 대응되는 각 명령어에 매칭된 별칭 그룹에 포함된 별칭과 비교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텍스트 2와 일치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 2를 저장부(22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2는 단위 텍스트인 '가자'에 대응되어 목적지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행 모드에서 동일 단위 텍스트인 '가자'에 대응되어 추출된 명령어와 상이한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목적지 설정없이 주행중인 주행 모드에서 '가자'는 목적지 설정의 의미로 판단될 수 있으며, 목적지를 설정하여 경로 안내중인 경로안내 모드에서 '가자'는 목적지 변경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동일 텍스트에 대해서 서로 다른 모드에서 최적화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명령어가 매칭되어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230)는 경로안내 모드에서 단위 텍스트 2의 '가자'에 대응되어 목적지 변경을 위한 명령어 2를 추출하고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모듈(300)은 이미 목적지가 설정되어 경로 안내 중인 상태에서 명령어 2에 따라 이미 설정된 목적지를 관심지점 정보에 따른 관심지점으로 변경하여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분석 모듈(200)은 경로설정 모드에서는 관심지점 명칭에 대한 단위 텍스트만을 추출하여 텍스트 분석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고 관심지점과 관계없는 텍스트를 제외하여 정확한 목적지 설정 및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성분석 모듈(200)은 목적지 설정 없이 주행중인 상태와 목적지를 설정하여 경로 안내 중인 상태를 서로 상이한 모드로 구분함으로써, 각 모드에서 동일 텍스트를 서로 상이하게 해석하여 현재 모드에 대응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정확하게 동작하도록 내비게이션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목적지와 경유지를 음성으로 입력하여 음성인식 모듈(100)이 생성한 전체 텍스트에 복수의 서로 다른 관심지점 명칭이 포함된 경우 음성분석 모듈(200)은 각 관심지점 명칭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을 목적지와 경유지로 용이하게 구분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달함으로써 경로 설정, 경로 요약 및 경로 안내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부(230)는 전체 텍스트를 파싱한 단위 텍스트 1 내지 4를 기초로 내비게이션 모듈(300)에서 관심지점 명칭을 검색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저장된 서로 다른 관심지점 명칭에 일치되는 단위 텍스트 1의 '에버랜드'와 단위 텍스트 2의 '강남역'을 기초로 각 단위 텍스트에 대응되는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분석부(230)는 관심지점 명칭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 1 및 3을 제외한 단위텍스트 2 및 4를 모드 판단부(240)의 판단에 따른 현재 모드(주행 모드 또는 경로안내 모드)에 대응되어 저장부(220)에 저장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부(230)는 단위 텍스트 2와 일치되는 별칭인 '들렸다가'를 기초로 경유지 설정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단위 텍스트 4와 일치되는 별칭인 '가자'를 기초로 목적지 설정 및 경로 안내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분석부(230)는 모드 판단부(240)의 판단에 따른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 모드인 상태에서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경우 경로설정 모드를 주행 모드 또는 경로안내 모드로 직접 변환하여,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텍스트를 주행모드 또는 경로안내 모드에 대응되는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여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230)는 단위 텍스트 1 및 3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와 단위 텍스트 2 및 4에 매칭되어 추출된 명령어를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230)는 각 관심지점 정보에 적용되는 명령어를 매칭한 후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하여, 각 관심지점 정보에 따른 정확한 명령어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도 6에 도시된 분석부(230)의 구성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부(230)는 필터링부(231), 정렬부(232), 비교부(233), 매칭부(234) 및 피드백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부(231)는 단위 텍스트 중에서 '음..', '어..'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음절 이하로 구성된 단위 텍스트를 제외시켜 필요없는 단위 텍스트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정렬부(232)는 파싱부(210)로부터 제공되는 단위 텍스트의 수신 순서에 따라 단위 텍스트를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으며, 비교부(233)는 각 단위 텍스트를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관심지점 명칭과 비교하거나 저장부(220)에 저장된 각 모드에 대응되는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매칭하여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하거나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비교부(233)는 모드 판단부(240)에 따른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 모드인 상태에서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경우 경로설정 모드인 현재 모드를 주행 모드 또는 경로안내 모드로 직접 변환하여 주행 모드 또는 경로안내 모드에 대응되는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텍스트를 상호 비교하여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매칭부(234)는 정렬부(232)의 정렬 순서에 따라 관심지점 정보에 적용되는 명령어를 관심지점 정보와 상호 매칭시키며, 일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텍스트 1을 통해 생성된 관심지점 정보를 정렬 순서에 따라 단위 텍스트 1의 다음 순서에 있는 단위 텍스트 2에 대응되는 명령어와 매칭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단위 텍스트 3을 통해 생성된 관심지점 정보를 단위 텍스트 4에 대응되는 명령어와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매칭부(234)는 각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되는 명령어에 대한 매칭정보를 생성하여 관심지점 정보 및 명령어와 함께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내비게이션 모듈(300)은 분석부(230)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 및 명령어와 매칭정보를 기초로 각 관심지점 정보에 따른 관심지점을 목적지 및 경유지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경로 설정, 경로 요약 및 경로 안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과 같이 음성분석 모듈(200)은 복수의 관심지점을 서로 다른 명령어로 설정하기 위한 전체 텍스트를 용이하게 분석하여 정확한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분석부(230)는 피드백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부(235)는 비교부(233)를 통해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일치되지 않는 단위 텍스트를 사용자에게 오류정보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오류정보로 제공된 단위 텍스트를 현재 모드의 명령어별 별칭 그룹 중 어느 하나에 추가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드백부(235)는 명령어 추출에 실패한 단위 텍스트에 대하여 매칭 가능한 명령어를 사용자로부터 피드백받아 각 명령어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성분석 모듈(200)이 사용자의 다양한 음성을 정확하게 해석하여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제어에 대한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상술한 구성에 따른 음성분석 모듈(200)의 음성분석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우선 음성분석 모듈(200)은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 모듈(100)로부터 전체 텍스트를 수신하여(S1)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위 텍스트로 파싱할 수 있다(S2).
이후, 음성분석 모듈(200)은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대하여 목적지 설정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모드 중 현재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S3).
이때, 음성분석 모듈(200)은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을 위한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S4)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기초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관심지점 명칭을 검색하여(S5) 일치되는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후(S6) 상기 관심지점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S7).
또한, 음성분석 모듈(200)은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인 경우(S4) 상기 관심지점 명칭과 일치되지 않는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상기 현재 모드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여(S8, S9) 단위 텍스트와 일치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를 추출하며(S10), 추출된 명령어를 상기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300)로 전송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대한 경로설정, 경로안내 및 경로요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
이와 같이, 음성분석 모듈(200)은 내비게이션의 현재 모드를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현재 모드에서 사용가능한 명령어에 한정하여 각 명령어에 설정된 텍스트와 동일한 단위 텍스트가 수신된 경우 정확하게 명령어 기반으로 관심지점을 이용한 경로설정, 경로요약 및 경로 안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내비게이션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성분석 모듈(200)은 현재 모드에서 사용가능한 명령어를 한정하고, 각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텍스트를 한정하여 음성인식에 따른 오차를 줄이는 동시에 정확도를 높여 사용자 편의성 및 음성 기반의 내비게이션 모듈(300)의 동작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음성인식 모듈 200: 음성분석 모듈
210: 파싱부 220: 저장부
230: 분석부 231: 필터링부
232: 정렬부 233: 비교부
234: 매칭부 235: 피드백부
240: 모드 판단부 300: 내비게이션 모듈

Claims (10)

  1.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 모듈로부터 전체 텍스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위 텍스트로 파싱하는 파싱부;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에 대하여 목적지 설정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모드 중 현재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 및
    상기 모드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을 위한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기초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관심지점 명칭을 검색하여 일치되는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관심지점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인 경우 상기 특정 관심지점 명칭과 일치되지 않는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상기 현재 모드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를 상기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대한 경로설정, 경로안내 및 경로요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서로 다른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경우 상기 각 단위 텍스트의 정렬 순서에 따라 각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명령어를 매칭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단위 텍스트 중 미리 설정된 음절 이하의 텍스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모드 변경, 목적지 설정, 경유지 설정, 경로 안내, 경로 요약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별 별칭 그룹은 각 명령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별칭(alia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 판단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에서 제공되는 위치변화에 따른 이동상태 정보를 기초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며, 목적지 미설정 및 정지상태의 상기 경로설정 모드, 목적지 미설정 및 주행상태의 주행 모드 또는 목적지 설정 및 주행상태의 경로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현재 모드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 생성시 각 관심지점 정보마다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된 명령어를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을 통해 각 관심지점 정보에 따른 관심지점이 목적지 또는 경유지로 설정되도록 하고 경로설정, 경로안내, 경로요약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모드 판단부의 판단에 따른 상기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 모드인 상태에서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경우 현재 모드를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로 직접 변환하고,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텍스트를 변환된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9. 음성분석 모듈이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 모듈로부터 전체 텍스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위 텍스트로 파싱하는 단계;
    상기 음성분석 모듈이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에 대하여 목적지 설정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모드 중 현재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을 위한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 상기 음성분석 모듈이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기초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관심지점 명칭을 검색하여 일치되는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관심지점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인 경우 상기 음성분석 모듈이 상기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 이외의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상기 현재 모드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를 상기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대한 경로설정, 경로안내 및 경로요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경우 상기 각 단위 텍스트의 정렬 순서에 따라 각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명령어를 매칭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방법.
  10.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 모듈;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모듈; 및
    상기 음성인식 모듈로부터 전체 텍스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위 텍스트로 파싱하고, 목적지 설정 및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모드 중 현재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현재 모드가 경로설정을 위한 경로설정 모드인 경우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기초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관심지점 명칭을 검색하여 일치되는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경로설정 모드 이외의 모드인 경우 상기 특정 관심지점 명칭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 이외의 상기 각 단위 텍스트를 상기 현재 모드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별 별칭 그룹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별칭에 매칭된 명령어를 상기 관심지점 정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대한 경로설정, 경로안내 및 경로요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음성분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분석 모듈은 서로 다른 복수의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한 경우 상기 각 단위 텍스트의 정렬 순서에 따라 각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명령어를 매칭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시스템.
KR1020140127348A 2014-09-24 2014-09-24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61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348A KR101619966B1 (ko) 2014-09-24 2014-09-24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348A KR101619966B1 (ko) 2014-09-24 2014-09-24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30A KR20160035730A (ko) 2016-04-01
KR101619966B1 true KR101619966B1 (ko) 2016-05-11

Family

ID=5579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348A KR101619966B1 (ko) 2014-09-24 2014-09-24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9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1370A (zh) * 2018-07-03 2018-11-2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导航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220070466A (ko) * 2019-10-29 202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적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572880B1 (ko) * 2020-12-01 2023-08-30 (주)다울디엔에스 빅데이터 기반 음성인식 poi 시스템, 그 시스템을 위한 처리방법, 그 시스템 처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30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3871B (zh) 作为语音识别错误预测器的用于语法适合度评估的方法和系统
US9076451B2 (en) Operat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US9105267B2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US20140100847A1 (en)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US8965697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KR20200072907A (ko)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6537492B (zh) 具有用于语音识别的校正策略的机动车操作装置
KR102191101B1 (ko) 내비게이션 방법, 내비게이션 장치, 기기 및 매체
JP2013068532A (ja) 情報端末、サーバー装置、検索システムおよびその検索方法
KR101619966B1 (ko)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201014526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2660562A1 (en) Route Guidance Apparatus and Method with Voice Recognition
CN106463115B (zh) 借助于语音输入能够控制的、具有功能装置和多个语音识别模块的辅助系统
CN101033977B (zh) 导航仪的语音导航方法
KR101063607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명칭 검색 기능을 가지는 네비게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6826B1 (ko)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4199428A1 (ja) 候補告知装置、候補告知方法及び候補告知用プログラム
CN110556104B (zh) 语音识别装置、语音识别方法以及存储程序的存储介质
KR101063159B1 (ko) 명령횟수를 줄일 수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주소 검색 방법
CN105955698B (zh) 一种语音操控方法及装置
JP2018059940A (ja) 情報提供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9900283A (zh) 导航路线规划方法与装置
US20150192425A1 (en) Facility search apparatus and facility search method
JP2009251470A (ja) 車載情報システム
KR100820319B1 (ko) 네비게이션 서버를 이용하여 길 안내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