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826B1 -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826B1
KR101786826B1 KR1020160001916A KR20160001916A KR101786826B1 KR 101786826 B1 KR101786826 B1 KR 101786826B1 KR 1020160001916 A KR1020160001916 A KR 1020160001916A KR 20160001916 A KR20160001916 A KR 20160001916A KR 101786826 B1 KR101786826 B1 KR 101786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ning
word
identification
word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755A (ko
Inventor
김준모
문정미
이순우
예상국
유연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엠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엠앤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엠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8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08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speech input, e.g. using 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음성인식에 따라 복합어로 구성된 텍스트를 파싱하고, 파싱된 단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되는 경로 안내 관련 기능을 정확히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기반으로 변환된 텍스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단어 중 관심지점 관련 단어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관심지점이 정확히 설정되지 않아 경로 안내 서비스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기존의 경로 안내 관련 장치들과 달리 사용자의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에 포함된 각 단어에 의미를 부여하고 의미 조합에 따른 패턴과 관련된 검색식을 추출하여 이를 통해 정확하게 사용자가 의도하는 관심지점이 설정되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명령어에 해당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를 기준으로 텍스트를 복수의 실행 단위로 분리하여 각 실행 단위별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명령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어 음성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음성인식에 따라 복합어로 구성된 텍스트를 파싱하고, 파싱된 단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되는 경로 안내 관련 기능을 정확히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음성인식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해당 음성인식 기술은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반환하여 각종 전자기기에서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명령을 수행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더군다나, 음성인식 기술은 최근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컨트롤러를 대체하고 있으며, 전자기기마다 상이한 컨트롤러의 사용방법을 숙지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욱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발전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내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음성인식 기술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내비게이션에 적용된 각종 명령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운전 중 내비게이션 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 음성인식 기술이 적용된 내비게이션은 단순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관심지점 정도를 매칭시키는데 한정하고 있으며, 내비게이션의 다양한 기능을 음성인식을 통해 제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내비게이션은 음성인식을 통해 관심지점을 검색하는데 그치며, 관심지점 검색 이후 목적지 또는 경유지 설정에 대한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해야 하므로 음성인식에 따른 편의성 향상이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음성인식 기술과 연동하여 관심지점의 정확한 설정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동작이 정확히 실행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대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3613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 생성된 텍스트를 개별 단어로 파싱하고,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적합한 경로 안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확도 및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단어를 의미 종류에 따라 필터링 과정 또는 조합 과정을 포함하는 보정 과정을 거쳐 불완전한 단어에 의한 오인식을 방지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경로 안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과 연관된 패턴에 따라 단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의사에 해당하는 기능이 정확하게 실행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를 단어 단위로 파싱한 식별 단어를 생성한 후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 정렬하는 파싱 단계와, 각 식별 단어를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미리 구분된 복수의 의미 각각에 대한 의미 단어가 저장된 DB와 비교하여 상기 각 식별 단어에 의미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미리 설정된 의미 조합별 보정 규칙에 따라 상기 의미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결합, 분류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보정하는 보정 단계 및 상기 각 식별 단어 중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의미 단어와 일치하여 지시의 의미가 설정된 상기 식별 단어 및 각 식별 단어의 정렬 순서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그룹핑하여 실행 단위를 구분하고, 상기 실행 단위별로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각 식별 단어의 의미를 조합하여 생성한 의미 조합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검색식과 상기 식별 단어를 기초로 관심지점을 검색 및 설정하고, 상기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에 따라 상기 관심지점을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의미 단어와 일치되지 않는 식별 단어에 대하여 POI의 의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보정 단계는 정렬 순서에 따라 연속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에 설정된 의미를 조합하여 의미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의미 조합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상기 보정 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보정하며, 보정을 통해 생성된 식별 단어에 보정에 사용된 보정 규칙에 따른 의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의미는 지시, 업종, 사용자 설정에 따른 고유지점, 주소, 가격, 순서, 메뉴, 조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에 따라 상기 관심지점을 출발지, 목적지 및 경유지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경로를 검색하거나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에 따라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메뉴 정보의 제공 및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한 환경 설정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실행 단계는 실행 단위별로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식별 단어 중 지시에 해당되는 식별 단어를 제외한 나머지 식별 단어를 기초로 관심지점, 메뉴 및 상기 환경 설정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지시의 의미가 설정된 식별 단어와 매칭되는 의미 단어에 미리 설정된 명령어에 따라 관심지점을 이용한 경로 안내, 메뉴 이동 및 환경 설정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를 단어 단위로 파싱한 식별 단어를 생성한 후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 정렬하는 음성 인식부와, 각 식별 단어를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미리 구분된 복수의 의미 각각에 대한 의미 단어가 저장된 DB와 비교하여 상기 각 식별 단어에 의미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미리 설정된 의미 조합별 보정 규칙에 따라 상기 의미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결합, 분류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보정하는 보정부 및 상기 각 식별 단어 중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의미 단어와 일치하여 지시의 의미가 설정된 상기 식별 단어 및 각 식별 단어의 정렬 순서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그룹핑하여 실행 단위를 구분하고, 상기 실행 단위별로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각 식별 단어의 의미를 조합하여 생성한 의미 조합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검색식과 상기 식별 단어를 기초로 관심지점을 검색 및 설정하고, 상기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에 따라 상기 관심지점을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의미 단어와 일치되지 않는 식별 단어를 POI의 의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보정부는 정렬 순서에 따라 연속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에 설정된 의미를 조합하여 의미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의미 조합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상기 보정 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보정하며, 보정을 통해 생성된 식별 단어에 보정에 사용된 보정 규칙에 따른 의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기반으로 변환된 텍스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단어 중 관심지점 관련 단어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관심지점이 정확히 설정되지 않아 경로 안내 서비스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기존의 경로 안내 관련 장치들과 달리 사용자의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에 포함된 각 단어에 의미를 부여하고 의미 조합에 따른 패턴과 관련된 검색식을 추출하여 이를 통해 정확하게 사용자가 의도하는 관심지점이 설정되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명령어에 해당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를 기준으로 텍스트를 복수의 실행 단위로 분리하여 각 실행 단위별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명령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어 음성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의미를 조합한 다양한 의미 조합에 따른 검색식이 서로 다른 의미 조합별로 설정되어 상기 검색식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어를 이용하여 관심지점을 검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유지 설정이나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을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있는 관심지점 중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을 설정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관심지점을 검색할 수 있어 단순 단어와 관심지점의 일대일 매칭 뿐만 아니라 관심지점 검색 방식에 대한 다양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생성된 텍스트를 구성하는 실행 단위에 속한 식별 단어에 설정된 지시의 의미를 기초로 경로 검색, 메뉴 이동 및 환경 설정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음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을 조작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의미 부여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의미 조합에 따른 식별 단어에 대한 보정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실행 단위 구분에 대한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실행 단위별 실행 과정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설정딘 의미 조합 패턴에 따른 검색식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의 명령어 기반 다양한 기능 실행에 대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 출력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로 구성되거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마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마이크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140)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도정보, POI(Point Of Interest) 정보(관심지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40)는 별도의 DB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출력부(120)는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통신부(130)는 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외부 장치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부가 상기 통신부(130)에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여 경로 안내, 경로 검색, 메뉴 이동 및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명령 실행시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GPS부를 통해 제공되는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음성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는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반환한 후 단어 단위로 파싱(parsing)하여 개별 단어와 일치하는 관심지점이나 명령어를 선택하는 형태로 동작함으로 인해, 텍스트의 파싱 과정을 통해 생성된 단어가 관심지점이나 명령어에 해당되는 단어와 일치하지 않거나 관심지점과 관련된 복수의 단어가 존재하여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관심지점을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가 의도한 동작과 전혀 상이한 동작을 수행함으로 인해 음성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관심지점의 검색에 이용되는 관심지점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과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경로 안내, 경로 검색, 메뉴 이동 및 환경 설정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호출하기 위한 명령어 관련 속성을 각각 의미로서 구분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단어 단위로 파싱하여 생성한 개별 식별 단어별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의미 조합(패턴) 각각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보정규칙에 따라 의미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결합, 분류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의미 단어에 대응되도록 보정함과 동시에 보정 과정을 거친 복수의 식별 단어 각각에 설정된 의미를 조합한 의미 조합(패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검색식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관심지점이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정확하게 사용자가 의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인식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정확히 실행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관심 지점과 관련된 속성의 일례로 주소, 업종, 위치, POI,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고유지점, 메뉴, 가격, 순서, 조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속성이 의미(또는 의미종류)로서 설정되며 상기 각 의미에 매칭되는 의미 단어가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어 관련 속성은 지시의 의미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지시의 의미에 해당되는 의미 단어가 상기 지시의 의미와 매칭되어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40)에는 상기 지시의 의미에 대응되는 복수의 의미 단어 각각에 매칭되는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상기 제어부(150)의 상세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어부(150)의 동작 순서를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S1), 상기 텍스트를 단어 단위로 파싱한 식별 단어를 생성한 후 각 식별 단어를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 정렬할 수 있다(S2).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각 식별 단어를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미리 구분된 복수의 의미 각각에 대한 의미 단어가 저장된 저장부(140)와 비교하여(S3) 상기 식별 단어에 매칭되는 의미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S4) 상기 식별 단어와 매칭되는 의미 단어에 설정된 의미를 상기 식별 단어에 설정(부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를 구성하는 식별 단어별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S5).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식별 단어와 매칭되는 의미 단어가 없는 경우 해당 식별 단어를 POI의 의미로 설정할 수 있다(S6).
한편, 상기 제어부(150)에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의미를 조합한 의미 조합이 설정되고 각 의미 조합에 대응되는 보정 규칙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각 식별 단어에 부여된 의미를 상기 의미 조합과 비교하여 상기 의미 조합과 일치하는 의미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결합, 분류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보정할 수 있다(S7).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조합 패턴에 대응되는 보정 규칙에 따라 보정된 식별 단어에 대응되는 의미를 해당 보정된 식별 단어에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지시에 대응되는 의미가 설정된 식별 단어를 기준으로 실행 단위를 구분할 수 있으며(S8), 실행 단위에 속한 단어별 의미를 기초로 관심 지점 관련 의미인 경우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단어를 기초로 관심지점을 검색하고,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지시 관련 단어에 대응되는 명령어에 따라 검색된 관심지점에 대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호출한 후 상기 지도정보에 따른 지도 상에 상기 경로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경로정보에 따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S9).
이때, 상기 제어부(150)에는 복수의 의미를 조합한 의미 조합에 따른 검색식이 서로 다른 의미 조합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실행 단위에 관심지점과 관련된 복수의 의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의미를 조합한 의미 조합에 대응되는 검색식에 따라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단어를 이용하여 관심지점을 검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유지 설정이나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을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있는 관심지점 중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을 설정할 수 있어 단순 단어와 관심지점의 일대일 매칭을 통한 관심지점 검색 뿐만 아니라 관심지점 검색 방식에 대한 다양성을 보장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면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상기 제어부(150)의 상세 동작을 이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음성 인식부(151), 설정부(152), 보정부(153) 및 실행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3을 통해 음성 인식부(151), 설정부(152) 및 보정부(153)의 기능을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인식부(151)는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를 단어 단위로 파싱하여 개별 식별 단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각 식별 단어를 생성 순서(또는 파싱 순서)에 따라 순차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성 인식부(151)는 상기 텍스트에서 띄어쓰기 또는 미리 설정된 음절에 따라 텍스트를 단어 단위로 파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부(152)는 상기 각 식별 단어를 저장부(140)에 저장된 의미 단어와 비교하여 식별 단어와 매칭되는 의미 단어에 대응되는 의미를 상기 식별 단어에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별 식별단어마다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부(152)는 식별 단어와 일치하는 의미 단어가 없는 경우 해당 식별 단어를 POI의 의미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부(153)는 상기 식별 단어를 통한 의미 해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의미 조합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보정규칙에 따라 복수의 식별 단어를 대상으로 하나의 식별 단어로 결합하거나, 일부 식별 단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정 규칙의 다른 일례를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식별 단어 4의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부(151)의 파싱 과정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식별 단어로 인식되어 상기 설정부(152)가 식별 단어 4를 구성하는 '우리'와 '집'에 각각 'POI'와 '고유 지점'에 대한 의미를 설정한 경우 상기 보정부(153)는 상기 'POI'와 '고유지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보정규칙에 따라 서로 다른 식별 단어 '우리'와 '집'을 하나의 식별 단어인 '우리집'으로 보정하고, 보정에 이용된 보정 규칙에 따라 해당 식별 단어에 '고유지점'을 의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정 규칙에는 보정을 통해 생성된 식별 단어에 설정될 의미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보정부(153)는 보정에 사용된 보정규칙에 설정되어 있는 의미를 보정을 통해 생성된 식별 단어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정부(153)는 '주소'의 의미를 가진 복수의 서로 다른 식별 단어가 연속되는 경우 연속된 '주소'의 의미 조합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보정규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식별 단어를 하나의 식별 단어로 결합하여 보정할 수 있으며, 보정을 통해 생성된 하나의 식별 단어에 대응되어 보정규칙에 따라 '주소'를 의미로서 설정할 수 있다.
더하여,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정부(153)는 '위치'의 의미를 가진 복수의 서로 다른 식별 단어가 연속되는 경우 연속된 '위치'의 의미 조합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보정 규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식별 단어 중 일부 식별 단어를 삭제하고, 나머지 식별 단어에 포함된 조사(助詞)를 삭제하여 하나의 식별 단어로 보정하고, 보정된 식별 단어에 대응되어 '위치'를 의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정부(153)는 '업종'의 의미가 설정된 식별단어와 'POI'의 의미가 설정된 식별단어가 연속되는 경우 이에 대한 미리 설정된 보정규칙에 따라 상기 '업종'과 'POI'에 각각 해당되는 복수의 식별 단어를 하나의 식별 단어로 결합하고, 결합된 해당 식별 단어에 'POI'를 의미로서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정부(153)는 사용자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개별 단어에 의미를 부여하고, 의미간 관계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와 정확하게 매칭되는 단어로 보정할 수 있으므로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실행부(154)는 상기 각 식별 단어 및 식별 단어의 정렬 순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단어 중 지시의 의미를 가진 식별 단어를 기준으로 실행 단위를 구분하여 각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에 따라 경로 안내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행부(154)는 각 식별 단어 중 지시의 의미가 설정된 식별 단어를 식별하고, 해당 식별 단어의 이전에 위치하는 식별 단어와 지시의 의미를 가진 식별 단어를 하나의 실행 단위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부(154)는 그룹핑되지 않은 식별 단어 중 지시의 의미를 가진 식별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그룹핑되지 않은 식별 단어를 대상으로 지시의 의미를 가진 식별 단어의 이전에 위치하는 식별 단어와 지시의 의미를 가진 식별 단어를 그룹핑하여 다른 실행 단위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행부(154)는 상술한 구성에 따라 도시된 예시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따른 텍스트에 대응되어 실행 단위 1 및 실행 단위 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실행 단위의 그룹핑 순서에 따라 상기 각 실행 단위의 실행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행부(15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먼저 생성된 실행 단위 1을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 단위 1에 속한 각 식별 단어의 의미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행부(154)는 관심지점의 검색과 관련된 의미를 가진 식별 단어를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식별 단어의 정렬 순서에 따라 각 식별 단어의 의미를 조합하여 의미 조합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서로 다른 복수의 의미 조합에 대한 패턴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관심지점과 관련된 의미의 일례로 업종, 고유지점, 위치,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심지점 관련 의미는 상기 실행부(154)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의미 조합과 관심지점의 검색을 위한 검색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행부(154)는 실행 단위 1의 각 식별단어에 설정된 의미를 식별하고 조합할 수 있으며, 일례로 관심지점과 관련된 각 식별 단어의 의미인 '위치'와 'POI'를 조합하여 '위치+POI'에 대한 의미 조합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위치+POI'에 매칭되는 검색식을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실행부(154)는 상기 검색식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POI 반경을 검색'하는 조건이므로 상기 '위치'에 해당되는 '여기서'에 따라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POI'에 해당되는 킨덱스를 검색하여, 관심지점을 '킨덱스'로 미리 설정된 지도정보에 따른 지도 상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부(154)는 상기 지시의 의미에 해당되는 식별 단어를 상기 저장부(140)와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지시의 의미에 해당되는 식별 단어와 매칭되는 명령어를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추출한 후 해당 명령어에 따라 경로를 설정하거나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행부(154)는 지시의 의미가 부여된 '갔다가'를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의미 단어와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상기 '갔다가'의 의미 단어에 매칭된 명령어를 추출하고, 해당 명령어에 따라 상기 관심지점으로 설정된 '킨덱스'를 경유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40)에는 지시의 의미에 매칭된 의미 단어에 대응되는 명령어가 상기 의미 단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행부(154)는 상기 실행 단위 1 다음에 생성된 실행 단위 2를 실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실행 단위 2에 속한 각 식별 단어에 설정된 의미를 식별하고, 관심지점과 관련되어 식별된 의미를 각 식별 단어의 정렬 순서에 따라 조합한 의미 조합과 저장부(140)에 저장된 패턴정보를 비교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단위 2에 대응되는 '고유지점+위치+POI'의 의미 조합과 일치하는 패턴정보로부터 검색식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행부(154)는 추출된 검색식을 기초로 '고유지점'에 해당되는 '우리집'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우리집'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POI'에 해당되는 '이마트'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이마트'를 관심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실행부(154)는 상기 실행 단위 2에 속한 지시의 의미가 설정된 '가자'를 저장부(140)에 저장된 의미 단어와 비교하고, 해당 '가자'의 의미 단어에 매칭된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실행부(154)는 추출된 명령어에 따라 상기 관심지점으로 설정된 '이마트'를 목적지로 설정한 후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킨덱스'를 경유하여 '이마트'를 목적지로 하는 경로정보를 생성한 후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보정부(153)는 상기 식별 단어에서 조사(助詞)에 해당되는 단어를 분리하여 하나의 식별 단어를 복수의 서로 다른 식별 단어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조사에 해당되는 식별 단어에 조사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조사에 대응되는 의미 단어와 매칭되는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실행부(154)는 상기 조사의 의미가 설정된 식별 단어와 매칭되는 명령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조사의 의미가 설정된 식별 단어를 기준으로 실행 단위를 구분할 수 있으며, 해당 식별 단어에 매칭되는 명령어에 따라 상기 실행 단위에서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정부(153)는 '~과', '~다음에' 등과 같은 조사의 의미를 가진 식별 단어를 분류하고, 상기 저장부(140)에는 상기 '~과', '~다음에'와 같이 조사에 해당되는 의미 단어와 매칭되는 명령어가 경유지 설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실행부(154)는 상기 보정부(153)를 통해 분류된 '~과', '~다음에'에 해당되는 식별 단어를 기초로 해당 식별 단어와 동일 실행 단위에 속한 다른 식별 단어를 통해 설정된 관심지점을 경유지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기반으로 변환된 텍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단어 중 관심지점 관련 단어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관심지점이 정확히 설정되지 않아 경로 안내 서비스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에 포함된 각 단어에 의미를 부여하고 의미 조합에 따른 패턴과 관련된 검색식에 따라 관심지점이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일치하는 관심지점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명령어에 해당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를 기준으로 텍스트를 복수의 실행 단위로 분리하여 각 실행 단위별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명령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어 음성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은 상기 패턴정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 정보는 가장 처음에 위치하는 의미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 정보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패턴정보에는 검색식이 설정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생성된 텍스트로부터 정확하게 사용자가 의도한 관심지점이 설정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실행 단위에 속한 식별 단어에 설정된 지시의 의미를 기초로 경로 검색, 메뉴 이동 및 환경 설정 등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도 9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행부(154)는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식별 단어 중 지시의 의미를 가진 식별 단어에 매칭되는 명령어가 검색 관련 명령어인 경우 상기 관심지점 관련 의미가 설정된 식별 단어를 기초로 상기 명령어에 따라 관심지점 또는 경로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부(154)는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식별 단어 중 지시의 의미를 가진 식별 단어에 매칭되는 명령어가 메뉴 이동 관련 명령어인 경우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식별 단어를 기초로 이동할 메뉴를 식별하고, 미리 설정된 메뉴 관련 계층 구조에 따라 상기 식별 단어에 대응되는 메뉴로 상기 명령어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대상인 메뉴 관련 정보를 상기 출력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실행부(154)는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식별 단어 중 지시의 의미를 가진 식별 단어에 매칭되는 명령어가 환경 설정 관련 명령어인 경우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식별 단어 중 환경 설정과 관련된 설정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설정 대상을 상기 명령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 대상은 지도, 음량, 경로 안내 취소 등과 같은 다양한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입력부 120: 출력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151: 음성 인식부
152: 설정부 153: 보정부
154: 실행부

Claims (10)

  1.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를 단어 단위로 파싱한 복수의 식별 단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식별 단어를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 정렬하는 파싱 단계;
    상기 순차 정렬된 복수의 식별 단어를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미리 구분된 복수의 의미 각각에 대한 의미 단어가 저장된 DB와 비교하여 상기 순차 정렬된 복수의 식별 단어에 의미를 각각 설정하는 설정 단계;
    미리 설정된 의미 조합별 보정 규칙에 따라 상기 의미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결합, 분류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보정하는 보정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식별 단어 중에서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의미 단어와 일치하여 지시의 의미가 설정된 특정 식별 단어 및 상기 복수의 식별 단어의 정렬 순서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그룹핑하여 실행 단위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실행 단위별로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단어의 의미를 조합하여 의미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의미 조합을 미리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생성된 의미 조합에 대응하는 검색식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검색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단어를 기초로 관심지점을 검색 및 설정하고, 상기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에 따라 상기 관심지점을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는,
    상기 특정 식별 단어에 대응하는 명령어로, 경로 검색, 메뉴 이동 및 환경 설정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패턴 정보는,
    상기 의미 조합과 관심 지점의 검색을 위한 검색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의미 단어와 일치되지 않는 식별 단어에 대하여 POI의 의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정 단계는 정렬 순서에 따라 연속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에 설정된 의미를 조합하여 의미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의미 조합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상기 보정 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보정하며, 보정을 통해 생성된 식별 단어에 보정에 사용된 보정 규칙에 따른 의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미는 지시, 업종, 사용자 설정에 따른 고유지점, 주소, 가격, 순서, 메뉴, 조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에 따라 상기 관심지점을 출발지, 목적지 및 경유지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경로를 검색하거나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에 따라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메뉴 정보의 제공 및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한 환경 설정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는 실행 단위별로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식별 단어 중 지시에 해당되는 식별 단어를 제외한 나머지 식별 단어를 기초로 관심지점, 메뉴 및 환경 설정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지시의 의미가 설정된 식별 단어와 매칭되는 의미 단어에 미리 설정된 명령어에 따라 관심지점을 이용한 경로 안내, 메뉴 이동 및 환경 설정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8.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를 단어 단위로 파싱한 복수의 식별 단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식별 단어를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 정렬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순차 정렬된 복수의 식별 단어를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미리 구분된 복수의 의미 각각에 대한 의미 단어가 저장된 DB와 비교하여 상기 순차 정렬된 복수의 식별 단어에 의미를 각각 설정하는 설정부;
    미리 설정된 의미 조합별 보정 규칙에 따라 상기 의미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결합, 분류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보정하는 보정부; 및
    상기 복수의 식별 단어 중에서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의미 단어와 일치하여 지시의 의미가 설정된 특정 식별 단어 및 상기 복수의 식별 단어의 정렬 순서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그룹핑하여 실행 단위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실행 단위별로 상기 실행 단위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단어의 의미를 조합하여 의미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의미 조합을 미리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생성된 의미 조합에 대응하는 검색식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검색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단어를 기초로 관심지점을 검색 및 설정하고, 상기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에 따라 상기 관심지점을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 단위에 대응되는 명령어는,
    상기 특정 식별 단어에 대응하는 명령어로, 경로 검색, 메뉴 이동 및 환경 설정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패턴 정보는,
    상기 의미 조합과 관심 지점의 검색을 위한 검색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의미 단어와 일치되지 않는 식별 단어를 POI의 의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정렬 순서에 따라 연속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에 설정된 의미를 조합하여 의미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의미 조합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상기 보정 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식별 단어를 보정하며, 보정을 통해 생성된 식별 단어에 보정에 사용된 보정 규칙에 따른 의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60001916A 2016-01-07 2016-01-07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86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16A KR101786826B1 (ko) 2016-01-07 2016-01-07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16A KR101786826B1 (ko) 2016-01-07 2016-01-07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755A KR20170082755A (ko) 2017-07-17
KR101786826B1 true KR101786826B1 (ko) 2017-10-18

Family

ID=5944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916A KR101786826B1 (ko) 2016-01-07 2016-01-07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2680B2 (en) * 2017-08-08 2020-02-04 Here Global B.V.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ambiguation of points of-interest in a field of view
KR102333819B1 (ko) * 2020-01-03 2021-12-02 박지윤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CN111782600A (zh) * 2020-05-25 2020-10-16 厦门快商通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语音识别的文件操作方法、系统及移动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254B1 (ko) * 2014-09-22 2015-11-05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경로 안내를 위한 음성인식 지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254B1 (ko) * 2014-09-22 2015-11-05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경로 안내를 위한 음성인식 지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755A (ko)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91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accuracy by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CN102243871B (zh) 作为语音识别错误预测器的用于语法适合度评估的方法和系统
KR102281178B1 (ko) 멀티-레벨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JP5089955B2 (ja) 音声対話装置
US20140244258A1 (en) Speech recognition method of sentence having multiple instructions
US10515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interactive voice recognition
US20080312906A1 (en) Reclassification of Training Data to Improve Classifier Accuracy
CN105895103A (zh) 一种语音识别方法及装置
KR101786826B1 (ko)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2863385B1 (en) Function execution instruction system, function execution instruction method, and function execution instruction program
JP2015176099A (ja) 対話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08579A (ja) 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装置、機器及び媒体
EP2660562A1 (en) Route Guidance Apparatus and Method with Voice Recognition
CN111341309A (zh) 一种语音交互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20190032498A (ko) 수정된 용어들을 사용하는 음향 모델 트레이닝
CN110502227A (zh) 代码补全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06463115B (zh) 借助于语音输入能够控制的、具有功能装置和多个语音识别模块的辅助系统
KR101619966B1 (ko)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6653015A (zh) 一种机器人语音识别方法及装置
van den Bosch et al. Detecting problematic turns in human-machine interactions: Rule-induction versus memory-based learning approaches
WO2014199428A1 (ja) 候補告知装置、候補告知方法及び候補告知用プログラム
CN105955698B (zh) 一种语音操控方法及装置
CN109783608B (zh) 目标假设的确定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1063159B1 (ko) 명령횟수를 줄일 수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주소 검색 방법
KR101566254B1 (ko) 경로 안내를 위한 음성인식 지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