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907A -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907A
KR20200072907A KR1020180161007A KR20180161007A KR20200072907A KR 20200072907 A KR20200072907 A KR 20200072907A KR 1020180161007 A KR1020180161007 A KR 1020180161007A KR 20180161007 A KR20180161007 A KR 20180161007A KR 20200072907 A KR20200072907 A KR 20200072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vehicle
user
new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서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2907A/ko
Priority to US16/411,670 priority patent/US11017770B2/en
Publication of KR20200072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10L15/1822Parsing for meaning understan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8Instrument input by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5Feedback of the input spee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고, 음성을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으로 변환하는 입력 처리부와 발화문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수행 하고, 수행의 결과, 발화문과 관련된 도메인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자연어 처리부와 복수의 도메인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특정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의 도메인에 신규 도메인을 추가하고, 복수의 도메인 및 신규 도메인 중에서 도메인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결정된 도메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생성하는 결과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EQUIPPED WITH DIALOGUE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적용되는 다양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의 기본적인 기능인 주행 이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차량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사용자의 조작 부하가 증가되고, 조작 부하의 증가는 운전에 대한 집중도를 저하시키고, 사용자의 안전 운전을 방해한다. 또한, 기기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는 차량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음성 인식 기술이 적용된 차량들이 양산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발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고, 상기 음성을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으로 변환하는 입력 처리부; 상기 발화문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수행 하고, 상기 수행의 결과, 상기 발화문과 관련된 도메인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자연어 처리부; 복수의 도메인을 저장하는 저장부; 특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도메인에 신규 도메인을 추가하고, 상기 복수의 도메인 및 상기 신규 도메인 중에서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도메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생성하는 결과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건은 일정 기간 및 검색 건수이고, 상기 일정 기간에 상기 검색 건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신규 도메인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도메인이 추가되도록 한 상기 특정 조건이 해제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신규 도메인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위치이고, 상기 차량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지역에 속하면, 상기 복수의 도메인을 신규 도메인으로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지역에서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를 포함한 신규 도메인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건은 일정 시간대 이고, 상기 일정 시간대에 검색 건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신규 도메인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이벤트 도메인으로 클러스터링 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이벤트 도메인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 도메인을 상기 복수의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목적지가 입력되면, 주행 예정 도로의 정보 및 상기 목적지의 정보와 관련된 신규 도메인을 상기 이벤트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날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날짜에 해당하는 행사와 관련된 신규 도메인을 상기 이벤트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대화 시스템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부합하는 도메인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새로운 도메인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고, 상기 음성을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발화문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수행 하고, 상기 수행의 결과, 상기 발화문과 관련된 도메인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단계; 특정 조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도메인 중에서 신규 도메인을 추가하고, 상기 복수의 도메인 및 상기 신규 도메인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부합하는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도메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조건은 일정 기간 및 검색 건수이고, 상기 일정 기간에 상기 검색 건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신규 도메인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도메인을 추가되도록 한 상기 특정 조건이 해제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신규 도메인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위치이고, 상기 차량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지역에 속하면, 상기 복수의 도메인을 신규 도메인으로 한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지역에서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를 포함한 신규 도메인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조건은 일정 시간대 이고, 상기 일정 시간대에 검색 건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신규 도메인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되는 키워드를 포함한 신규 도메인을 이벤트 도메인으로 클러스터링 하고, 상기 이벤트 도메인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 도메인을 상기 복수의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목적지가 입력되면, 주행 예정 도로의 정보 및 상기 목적지의 정보와 관련된 신규 도메인을 상기 이벤트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날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날짜에 해당하는 행사와 관련된 신규 도메인을 상기 이벤트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부합하는 도메인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새로운 도메인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련성이 높은 소수의 도메인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대화 시스템에서의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대화 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는 대화 처리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100)의 제어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음성 및 음성 외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서비스 또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서비스 제공의 일 수단 또는 사용자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 시스템 발화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와의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정보의 제공, 차량의 제어,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 기능의 실행, 외부 서버로부터 가져온 컨텐츠의 제공 등 사용자의 필요나 사용자의 의도에 부응하기 위해 수행되는 모든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100)은 차량 환경에 특화된 대화 처리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100)은 차량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음성 및 음성 외 정보를 입력받고, 그에 따른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대화 시스템(100)과 사용자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는 차량 또는 차량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가 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화 시스템(100)은 차량에 마련될 수도 있고, 차량 외부의 원격 서버에 마련되어 차량 또는 차량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대화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차량에 마련되고 일부는 원격 서버에 마련되어 대화 시스템(100)의 동작을 차량과 원격 서버에서 부분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100)의 각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100)은 입력 처리부(110), 자연어 처리부(120), 저장부(130), 결과 처리부(140), 제어부(150), 통신부(160) 및 외부 컨텐츠 서버(200)를 포함한다.
입력 처리부(110)는 사용\자 음성과 음성 외 입력, 두 가지 종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외 입력은 사용자의 제스처 인식이나,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외 입력,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정보, 차량의 주행 환경과 관련된 주행 환경 정보, 사용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 외에도 차량과 사용자의 관련된 정보로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거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이면, 모두 입력 처리부(110)의 입력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전자와 탑승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처리부(110)는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으로 변환한다.
또한, 입력 처리부(110)는 사용자 음성 외에 차량의 상태나 주행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입력 처리부(110)는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을 자연어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의도와 상황에 관련된 정보 등을 자연어 처리부(120)으로 전달한다.
자연어 처리부(120)는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기술을 적용하여 발화문에 내포된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연스러운 대화(Dialogue)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대화 시스템(100)도 대화를 통해 명령어의 입력을 유도하거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부(120)는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수행한다. 형태소는 의미의 최소 단위로써, 더 이상 세분화될 수 없는 가장 작은 의미 요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형태소 분석은 자연어 이해의 첫 단계로서, 입력 문자열을 형태소열로 바꿔준다.
자연어 처리부(120)는 형태소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발화문으로부터 도메인을 추출한다. 도메인은 사용자가 발화한 언어의 주제를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메인은 스포츠, 경로 안내, 날씨 검색, 교통 검색, 일정 관리 등의 다양한 주제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화 될 수 있다.
자연어 처리부(120)는 발화문으로부터 개체명을 인식할 수 있다. 개체명은 인명, 지명, 조직명, 시간, 날짜, 화폐 등의 고유 명사로서, 개체명 인식은 문장에서 개체명을 식별하고 식별된 개체명의 종류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개체 명 인식을 통해 문장에서 중요한 키워드를 추출하여 문장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부(120)는 발화문이 갖는 화행을 분석할 수 있다. 화행 분석은 사용자 발화에 대한 의도를 분석하는 작업으로, 사용자가 질문을 하는 것인지, 요청을 하는 것인지, 응답을 하는 것인지, 단순한 감정 표현을 하는 것인지 등에 관한 발화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자연어 처리부(120)는 사용자의 발화 의도에 대응하는 액션을 추출한다. 발화문에 대응되는 도메인, 개체명, 화행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발화 의도를 파악하고, 발화 의도에 대응되는 액션을 추출한다. 액션은 오브젝트(Object)와 오퍼레이터(Operator)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자연어 처리부(120)는 액션 수행과 관련된 인자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션 수행과 관련된 인자는 액션을 수행하는데 직접적으로 필요한 유효 인자일 수도 있고, 이러한 유효 인자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유효 인자 일 수도 있다.
자연어 처리부(120)는 파스트리(Parse-tree)와 같이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의 수식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수단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자연어 처리 결과인, 형태소 분석 결과, 도메인 정보, 액션 정보, 화행 정보, 추출된 인자 정보, 개체명 정보, 파스트리 등은 제어부(150)로 전달된다.
저장부(130)는 개시된 대화 시스템(100)이 대화를 발화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에 사용되는 도메인, 액션, 화행, 개체명과 관련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개시된 대화 시스템(100)이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다양한 주제 별로 그룹화 한 복수의 도메인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메인은 메인은 스포츠, 경로 안내, 날씨 검색, 교통 검색, 일정 관리 등의 다양한 주제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화 된 것이다.
결과 처리부(140)는 제어부(150)가 결정한 명령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의 제공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의 제공 형태는 대화 시스템(100)이 선발화 하거나 추가 물음을 하는 등의 형태를 의미한다.
결과 처리부(140)는 전달된 액션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대화 응답 및 명령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대화 응답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오디오로 출력될 수 있고, 명령어가 출력되면 출력된 명령어에 대응되는 차량 제어, 외부 컨텐츠 제공 등의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대화 시스템은 복수의 도메인을 순서에 상관없이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따라서, 저장부(130)에 저장된 도메인의 종류가 증가할수록 음성 인식률은 낮아진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은 복수의 도메인 전체를 검색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 대상을 전체 도메인에서 신규 도메인으로 한정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30)에 저장된 도메인의 수가 많을수록 대화 시스템의 음성 인식률은 낮아진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도메인 중에서 신규 도메인 범위 안에서 하나의 도메인을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는 도메인의 개수를 한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선택될 수 있는 도메인의 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특정 조건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특정 조건에 충족되는 도메인만을 선택하되,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도메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저장된 도메인을 출력하도록 하고, 특정 조건에 충족되지 않은 경우 외부 컨텐츠 서버(200)와의 정보 송수신을 통해 관련 서비스 도메인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대화 시스템(100)이 상황 정보 및 기타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로로써, 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 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6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도 외부에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 및 출력된 명령어에 대응되는 차량 제어나 외부 컨텐츠 요청에 기초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도나 차량 제어 이력 등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상술한 입력 처리부(110), 자연어 처리부(120), 저장부(130), 결과 처리부(140), 제어부(150)는 대화 시스템(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1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100)은 입력 처리부(110), 자연어 처리부(120), 저장부(130), 결과 처리부(140), 제어부(150), 컨텐츠 제공부(170) 및 외부 컨텐츠 서버(200)를 포함한다.
입력 처리부(110), 자연어 처리부(120), 저장부(130), 결과 처리부(140), 제어부(150)에 관하여는 상술한 도 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2에 도시된 대화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명령어에 대응되는 차량 제어, 외부 컨텐츠 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도메인 및 외부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웹검색을 통한 외부 도메인을 이용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170)은 저장부(130) 및 외부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도메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대화 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특정 기간에 한정하여 많은 검색 건수의 유입이 예상되는 도메인을 미리 저장부(130)와 연동함으로써, 웹 검색으로 인한 프로세싱 타임을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간이 월드컵 기간인 경우, 제어부(150)는 저장부(130)에서 월드컵 도메인을 바로 선택할 수 있도록 월드컵 도메인을 새롭게 추가하고 우선 순위로 배치할 수 있다. 도 3은 특정 기간이 월드컵 기간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4는 특정 기간이 월드컵 기간이 도과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드컵 기간에 제어부(150)는 별도의 웹 검색이 없이 저장부(130)에 저장된 제1 내지 제4 도메인 중에서 월드컵과 관련한 도메인(제3 도메인)을 선정할 수 있다. 월드컵 기간이 도과한 경우, 제어부(150)는 도메인 검색이 저장부(130)가 아닌 외부 컨텐츠 서버(200)를 통하여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특정 기간이 7월 내지 8월인 경우, 여름 휴양지, 장마, 태풍, 기상 정보에 관한 도메인을 우선 순위로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특정 조건에 따라 복수의 도메인에 신규 도메인을 추가하고,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조건은 일정 기간 및 검색 건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월드컵 기간에 월드컵과 관련한 도메인이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 복수의 도메인 중 신규 도메인으로 추가 및 선정하여 월드컵에 관한 도메인이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도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도메인에 기간 속성을 부여하여 특정 시점에만 해당 도메인을 운영함으로써 설정된 기간에는 해당 도메인이 우선하고, 이외에는 해당 도메인이 제외되어 도메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된 예로, 특정 조건은 차량의 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차량이 미리 설정된 지역에 속하면, 선택되는 도메인의 대상을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위치가 공항 주변 지역인 것으로 감지되면, 공항과 관련성이 높은 면세점에 관한 도메인으로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지역에서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를 포함한 신규 도메인으로 추가 및 선정할 수 도 있다.
또한, 특정 조건은 일정 시간 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일정 시간 대에 검색 건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신규 도메인을 추가하고, 우선 순위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된 신규 도메인은 상술한 특정 조건이 해제되면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드컵 기간이 도과된 경우, 월드컵 도메인은 저장부에서 삭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조건이 차량의 위치인 경우, 상기 차량이 미리 설정된 지역에서 벗어나면, 새롭게 추가된 신규 도메인이 저장부에서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는 대화 처리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추가되는 구성 요소인 차량 감지부(180)에 관하여 설명한다.
차량 감지부(180)는 차량의 시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감지부(180)는 EPB(Electronic Parking Brake) 해제 신호, 차량 시동 인가 신호를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감지부(180)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관한 결과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되는 키워드를 포함한 신규 도메인을 이벤트 도메인으로 클러스터링 하고, 저장부(130)는 클러스터링 된 도메인을 이벤트 도메인으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키워드가 하나의 도메인을 구성하기에 유사도가 낮은 경우, 이를 이벤트 도메인으로 포함시키고, 사용자의 발화 시점에 맞추어 빠른 응답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도메인은 “한남대교 사고 현황”, “실시간 검색어”, “현재 소나기 내리는 지역” 등 일 수 있다.
한편, 차량 감지부(180)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것을 감지하고,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이벤트 도메인을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도메인에 우선 순위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고,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에 목적지가 입력되면, 목적지에 기초한 주행 예정 도로의 정보 및 목적지의 정보와 관련된 신규 도메인을 이벤트 도메인에 우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5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날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날짜에 해당하는 행사와 관련된 신규 도메인을 이벤트 도메인에 우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차량이 출발 후 20분이 경과한 경우에는 교통 상황, 유가 정보 및 휴게소 정보에 관한 도메인이 우선될 수 있고, 차량이 도착 전 20분인 경우에는 목적지 부근의 음식점에 관한 도메인이 우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100)이 구비된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력 처리부는 사용자의 발화를 감지하면(710),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720), 사용자의 발화를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으로 출력한다. 출력된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은 자연어 처리부로 전달되어 자연어 이해 기술이 적용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자연어 이해 과정(730)은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에 기초하여 형태소 분석(731)을 수행하고, 형태소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도메인을 추출(732)하고, 개체명을 인식(733)하고, 화행을 분석(734)하고, 액션을 추출(735)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메인 추출, 개체명 인식 및 액션 추출을 위해 저장부에 저장된 추론 규칙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자연어 처리부의 출력, 즉 자연어 이해 결과는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되는 도메인, 액션, 화행, 형태소 분석 결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특정 조건을 감지하고(740), 특정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의 도메인 중에서 명령어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을 선택한다(750).
제어부는 선택된 도메인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 또는 외부 컨텐츠 이용을 위한 명령어를 생성한다(760).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대화 시스템
110: 입력 처리부
120: 자연어 처리부
130: 저장부
140: 결과 처리부
150: 제어부
160: 통신부

Claims (22)

  1.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고, 상기 음성을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으로 변환하는 입력 처리부;
    상기 발화문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수행 하고, 상기 수행의 결과, 상기 발화문과 관련된 도메인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자연어 처리부;
    복수의 도메인을 저장하는 저장부;
    특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도메인에 신규 도메인을 추가하고, 상기 복수의 도메인 및 상기 신규 도메인 중에서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도메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생성하는 결과 처리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건은 일정 기간 및 검색 건수이고, 상기 일정 기간에 상기 검색 건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신규 도메인을 선정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도메인이 추가되도록 한 상기 특정 조건이 해제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신규 도메인을 삭제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위치이고, 상기 차량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지역에 속하면, 상기 복수의 도메인을 신규 도메인으로 한정하는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지역에서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를 포함한 신규 도메인으로 선정하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건은 일정 시간대 이고, 상기 일정 시간대에 검색 건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신규 도메인을 선정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이벤트 도메인으로 클러스터링 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이벤트 도메인을 저장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 도메인을 상기 복수의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차량.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목적지가 입력되면, 주행 예정 도로의 정보 및 상기 목적지의 정보와 관련된 신규 도메인을 상기 이벤트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차량.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날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날짜에 해당하는 행사와 관련된 신규 도메인을 상기 이벤트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차량.
  11.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부합하는 도메인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새로운 도메인을 제공하는 차량.
  12.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고, 상기 음성을 텍스트 형태의 발화문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발화문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수행 하고, 상기 수행의 결과, 상기 발화문과 관련된 도메인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단계;
    특정 조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도메인 중에서 신규 도메인을 추가하고, 상기 복수의 도메인 및 상기 신규 도메인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부합하는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도메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도메인에서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부합하는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조건은 일정 기간 및 검색 건수이고, 상기 일정 기간에 상기 검색 건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신규 도메인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도메인이 추가되도록 한 상기 특정 조건이 해제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신규 도메인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위치이고, 상기 차량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지역에 속하면, 상기 복수의 도메인을 신규 도메인으로 한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지역에서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를 포함한 신규 도메인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조건은 일정 시간대 이고, 상기 일정 시간대에 검색 건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신규 도메인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신규 도메인이벤트 도메인으로 클러스터링 하고, 상기 이벤트 도메인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도메인에서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부합하는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 도메인을 상기 복수의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목적지가 입력되면, 주행 예정 도로의 정보 및 상기 목적지의 정보와 관련된 신규 도메인을 상기 이벤트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날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날짜에 해당하는 행사와 관련된 신규 도메인을 상기 이벤트 도메인에 우선하여 상기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부합하는 도메인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새로운 도메인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화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80161007A 2018-12-13 2018-12-13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2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07A KR20200072907A (ko) 2018-12-13 2018-12-13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6/411,670 US11017770B2 (en) 2018-12-13 2019-05-14 Vehicle having dialogu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07A KR20200072907A (ko) 2018-12-13 2018-12-13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07A true KR20200072907A (ko) 2020-06-23

Family

ID=7107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007A KR20200072907A (ko) 2018-12-13 2018-12-13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17770B2 (ko)
KR (1) KR202000729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901A1 (ko) * 2020-10-29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2191366A1 (ko) * 2021-03-09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04833A1 (en) 2019-07-05 2021-01-07 Talkdesk, Inc. System and method for querying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using agent assist within a cloud-based contact center
US11328205B2 (en) 2019-08-23 2022-05-10 Talkdesk, Inc. Generating featureless service provider matches
US20210117882A1 (en) 2019-10-16 2021-04-22 Talkdes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orkforce management system deployment
US20210136220A1 (en) 2019-10-31 2021-05-06 Talkdesk, Inc. Monitoring and listening tools across omni-channel inputs in a graphically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US11736615B2 (en) 2020-01-16 2023-08-22 Talkdesk,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naging concurrent communications in a networked call center
US11677875B2 (en) 2021-07-02 2023-06-13 Talkdes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quality management of communication records
US11856140B2 (en) 2022-03-07 2023-12-26 Talkdesk, Inc. Predictive communications system
US11736616B1 (en) 2022-05-27 2023-08-22 Talkdes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king action based on the content of call center communications
US11971908B2 (en) 2022-06-17 2024-04-30 Talkdes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omalies in communication data
US11943391B1 (en) 2022-12-13 2024-03-26 Talkdes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ommunications within a contact cen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3823A1 (en) * 2004-09-10 2012-10-04 Thomas Barton Schalk Hybrid Dialog Speech Recognition for In-Vehicle Automated Interaction and In-Vehicle Interfaces Requiring Minimal Driver Processing
US7813771B2 (en) * 2005-01-06 2010-10-12 Qnx Software Systems Co. Vehicle-state based parameter adjustment system
JP4188989B2 (ja) * 2006-09-15 2008-1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音声認識装置、音声認識方法、及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US20090271200A1 (en) * 2008-04-23 2009-10-29 Volkswagen Group Of America, Inc. Speech recognition assembly for acoustically controlling a function of a motor vehicle
US8892439B2 (en) * 2009-07-15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Combination and federation of local and remote speech recognition
JPWO2015151157A1 (ja) * 2014-03-31 2017-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意図理解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901A1 (ko) * 2020-10-29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2191366A1 (ko) * 2021-03-09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17770B2 (en) 2021-05-25
US20200193983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2907A (ko) 대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0839797B2 (en) Dialogu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dialogue processing method
KR102414456B1 (ko) 대화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유고 정보 처리 방법
US10665242B2 (en) Creating modular conversations using implicit routing
KR20190041569A (ko) 대화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대화 서비스 처리 방법
US10741178B2 (en)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AI service and device using the same
US10950233B2 (en) Dialogu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dialogue processing method
CN107293294B (zh) 一种语音识别处理方法及装置
CN109961792A (zh) 用于识别语音的方法和装置
CN110795532A (zh) 一种语音信息的处理方法、装置、智能终端以及存储介质
US11270683B2 (en) Interactiv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0861460B2 (en) Dialogu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dialogue processing method
EP2863385B1 (en) Function execution instruction system, function execution instruction method, and function execution instruction program
JP2015176099A (ja) 対話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69351B1 (en) Vehicle voice user interface
KR20210098880A (ko) 차량용 기기의 음성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EP3570276A1 (en) Dialogue system, and dialogue processing method
US20190371300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210153165A (ko)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 지능 기기, 인공 지능 기기의 동작 방법
KR20150077580A (ko) 음성 인식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487669B1 (ko) 대화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대화 처리 방법
WO2014199428A1 (ja) 候補告知装置、候補告知方法及び候補告知用プログラム
KR101619966B1 (ko) 경로안내를 위한 음성분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85253B1 (ko) 대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5955698B (zh) 一种语音操控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