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628B1 - 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 - Google Patents

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628B1
KR101618628B1 KR1020140023289A KR20140023289A KR101618628B1 KR 101618628 B1 KR101618628 B1 KR 101618628B1 KR 1020140023289 A KR1020140023289 A KR 1020140023289A KR 20140023289 A KR20140023289 A KR 20140023289A KR 101618628 B1 KR101618628 B1 KR 10161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wale
box
retaining structure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1687A (en
Inventor
박민서
Original Assignee
박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서 filed Critical 박민서
Priority to KR1020140023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628B1/en
Publication of KR2015010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6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공사 현장의 여건에 맞는 위치로 강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여유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강선을 보호하고, 별도의 스티프너 없이 보강이 가능하도록 하며, 강선을 간섭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은, 토류판(2)에 직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제1지지부(112), 지중에 매설되는 어스 앵커의 강선(4)의 고정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13), 상기 제1,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14), 상기 제1,2지지부에 관통 형성되는 장방형의 박스홀(111)로 이루어진 띠장 본체(110)와; 상기 강선이 다수개가 수용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 형태이며 상기 띠장 본체의 박스홀(111)과 연통하도록 상기 띠장 본체에 설치되는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로 구성된다. 상기 띠장 본체의 박스홀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연결부가 없는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 겸용 강선 박스는 상기 연결부가 없는 박스홀에 삽입 설치되어 내부에서 상기 강선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 겸용 강선 박스는 중심선이 상기 띠장 본체의 제1지지부의 중심선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은 상기 토류판의 일면에 받침브래킷없이 상기 제1지지부가 상기 토류판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 공법은, (S10) 지중에 다수의 파일을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하는 제1단계와; (S20)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되는 파일들의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S30) 상기 제2단계 이후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의한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100)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S40)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에 갖추어진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를 통해 앵커공을 천공하는 제4단계와; (S50)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에 갖추어진 보강 겸용 강선 박스를 통해 상기 앵커공 안에 어스 앵커를 설치하는 제5단계와; (S60) 상기 제5단계에서 설치된 어스 앵커의 강선을 인장 및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에서 지압판으로 마감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e of a retain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structure using the wale of the retaining structure. It provides a space for installing a steel wire in a position suitable for a construction site, and also can protect a steel wire and reinforce it without a separate stiffener. And to allow the steel wire to be installed without interference.
The belt member of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112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ed on the earth plate 2, a second support portion 113 supporting a fixed cap of the steel wire 4 of an earth anchor buried in the ground, A connecting portion 114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and a rectangular box hole 111 form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And a reinforcing steel box 120 installed in the wale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x holes 111 of the wale body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whose both sides are open to receive a plurality of the steel wires. Wherein the box hole of the wale body is vertically symmetrical about the connecting portion and is formed as a hole without the connecting portion therein, and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is inserted into a box hole without the connecting portion, Adjust the angle.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is formed such that a center line thereof is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wrist body body so that the belt portion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is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earth plate with the support bracket Is installed.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structure using a wale band of a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10) setting up a plurality of fil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ground; (S20)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soil plate between the files installed through the first step; (S30) a third step of installing the wale band 100 of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5 after the second step; (S40) a fourth step of perforating the anchor holes through the reinforcing steel box 120 provided in the wale of the retaining structure; (S50) a fifth step of installing an earth anchor in the anchor ball through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provided in the wale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S60) a step of tensioning the steel wire of the earth anchor installed in the fifth step and finishing the tension of the ground anchor by using a tread plate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Description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 공법{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dge structure for a retaining structure,

본 발명은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의 여건에 맞는 위치로 강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여유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강선을 보호하고, 별도의 스티프너 없이 보강이 가능하도록 하며, 강선을 간섭없이 설치할 수 있는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e band of a retaining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structure using the wale b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e band of a retaining structure, And to provide a wale of a retaining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 굴착공사에 있어서 흙막이 공법 중 어스앵커 공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다수의 파일(1)(H 빔, I 빔 등)을 매설하고, 파일(1)들의 사이에 다수의 토류판(2)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설치하며, 파일(1)에 지지브래킷(3)을 설치한 후 지지브래킷(3)에 띠장(10)을 설치하고, 띠장(10)과 토류판(2)을 관통하도록 지중에 강선(4)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고정구로 고정하는 방법이다.As shown in FIG. 1, an earth anchor method is most commonly used in an underground excavation work in a building, and a plurality of piles 1 (H beams, I beams or the like) are embedded in the piles 1 and a plurality of soil boards 2 are stacked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ages between the piles 1. After the support brackets 3 are installed on the piles 1, And the steel wire 4 is sloped in the ground so as to pass through the wale band 10 and the current plate 2, and is fixed by a fixing member.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띠장(10)은 H 빔 등의 띠장 본체(11), 띠장 본체(11)에 형성되는 강선홀(12), 띠장 본체(11)를 보강하는 스티프너(stiffner)(13)로 구성된다.2 and 3, the wristband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wristband body 11 such as an H beam, a wire-line hole 12 formed in the wristband body 11, And a stiffener 13 for stiffening.

띠장 본체(11)는 서로 평행하도록 마주하는 제1,2지지부(11a,11b), 제1,2지지부(11a,11b)를 연결하는 수직[제1,2지지부(11a,11b)와 직각]의 연결부(11c)에 의해 H 또는 I형의 단면으로 구성된다.The wrist body 11 includes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1a and 11b and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1a and 11b tha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1a and 11b, And has an H- or I-shaped cross-section.

제1지지부(11a)는 토류판(2)에 지지되고 제2지지부(11b)는 강선(4)의 고정캡의 지지기반을 제공한다.The first support portion 11a is supported on the soil plate 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1b provides a support base for the fixed cap of the steel wire 4. [

강선홀(12)은 띠장 본체(11)의 제1,2지지부(11a,11b)에 서로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도록 천공되어 강선(4)이 삽입되도록 하며, 연결부(11c)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천공된다. 물론, 강선홀(12)의 수량을 달라질 수 있지만 수량에 상관없이 띠장 본체(11)의 연결부(11c)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된다.The steel wire holes 12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1a and 11b of the wrist main body 11 so as to be linearly aligned with each other so as to insert the steel wire 4, A total of four holes are drilled, two each. Of course, the number of the steel wire holes 12 can be varied, but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11c of the wrist body 11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he wires.

스티프너(13)는 강선홀(12)에 의한 띠장 본체(11)의 강도 손실을 막기 위한 것이며 강선홀(12)의 양측 2개소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스티프너(13)는 연결부(11c)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형성됨에 따라 최소 4개 이상이 적용된다.The stiffener 13 is provided to prevent strength loss of the wrist body 11 by the steel wire holes 12 and are provided at two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steel wire hole 12. [ Accordingly, the stiffeners 1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1c, so that at least four stiffeners 13 are applied.

스티프너(13)는 제1,2지지부(11a,11b)와 연결부(11c) 사이에 삽입되는 형상과 크기이며 용접을 통해 띠장 본체(11)에 고정된다.The stiffener 13 is shaped and siz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1a and 11b and the connecting portion 11c and fixed to the wrist body 11 through welding.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띠장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band member thus configured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 띠장은 트레일러 등에 의해 시공 현장으로 운반되어 하차 후 정리된 후, 강선홀(12)의 천공을 위한 거리 측정 공정, 거리 측정에 따른 위치에 강선홀(12)을 천공하기 위한 표시 공정, 천공 공정 그리고 홈메우기(띠장과 지주 사이) 공정을 필수적으로 요구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공기도 길어지며 공사비용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Conventionally, the belt strip is transported to a construction site by a trailer or the like and is taken out and sorted. Thereafter, a distance measurement process for perforating the steel wire hole 12, a display process for perforating the steel wire hole 1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measurement, Further, since the process of filling the groove (between the wale band and the strut) is essentially require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the air is length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공사 현장의 여건(지반 특성, 흙막이 시설의 크기 등)에 따라 강선의 좌우 위치가 달라지는데 종래 띠장(10)은 강선홀(12)이 정해질 수밖에 없고 크기가 강선(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는 크기이기 때문에 이미 강선홀(12)이 천공되어 있더라도 공사 현장에서 공사 현장에 적합한 강선홀을 추가로 천공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이 발생하여 시공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상승하며 띠장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강선(4)이 띠장(10) 안에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다.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teel wir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ground characteristics, the size of the earth retaining facility, etc.), but the conventional wale band 10 can not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eel wire 4, Even if the steel wire hole 12 is already drilled, a steel wire hole suitable for a construction site must be additionally drilled. As a result, workability is lowered, workability is lowered, cost is increased, strength of a belt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steel wire 4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wrist strap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e is damaged.

그리고, 강선홀(12)이 있는 부분은 띠장(10)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스티프너(13)를 사용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다수의 스티프너(13)의 용접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고, 전술한 것처럼 추가로 강선홀(12)을 천공하는 경우 스티프너(13)를 추가로 용접하여 보강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함과 더불어 스티프너(10)를 추가로 적용한다 하여도 강선홀(12)의 수량이 많아짐에 따라 띠장(10)의 강도가 매우 약한 문제점도 있다.Since the strength of the wale band 10 is weakened at the portion where the wire hole 12 is present, the use of the stiffener 13 is inevitabl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welding a plurality of stiffeners 13 is increased. The stiffener 13 must be further welded and reinforced when the steel wire hole 12 is further drill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st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he steel wire holes 12 is increased even if the stiffener 10 is additionally applied. The strength of the wale band 10 is very weak.

또한, 띠장(10)은 대개 기성품의 H 빔 등을 사용하고, 연결부(11c)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강선(4)을 배선함에 따라 연결부(11c)가 강선(4)의 배선을 간섭하게 되므로 강선(4)의 설치 작업이 불편하고 강선(4)의 각도를 토류판(2)에 대해 45˚ 의 각도로 설치 및 인장하여야 하는데 연결부(11c)로 인하여 강선(4)의 각도를 변경하지 못하여 흙막이 시설의 전체적인 강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이 강선(4)의 각도 조절과 위치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강선(4)이 편심되게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강선(4)의 편심에 의해 편심방향의 힘이 발생되므로 가시설의 견고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wristband 10 is usually made of H beam or the like and the connecting portion 11c interferes with the wiring of the steel wire 4 as the steel wire 4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1c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steel wire 4 is inconvenient and the angle of the steel wire 4 should be set and pull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late 2 and the angle of the steel wire 4 can not be changed due to the connection portion 11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all strength of the earth retaining facility is not satisfied. Since the adjustment of the angle of the steel wire 4 and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steel wire 4 are not possible in this way, the steel wire 4 is often eccentrically installed. In this case, since the force in the eccentric direction is generated by the eccentricity of the steel wire 4, There is a problem.

또한, 띠장(10)의 구조상 강선(4)을 45˚ 의 각도로 설치하기 위하여 띠장(10)과 토류판(2) 사이에 45˚ 의 각도를 갖는 별도의 받침브래킷(5)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시공 원가가 비싸지고 흙막이 시설의 시공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도 있다.In order to install the steel wire 4 at an angle of 45 degrees in the structure of the wrist strap 10, a separate bracket 5 having an angle of 45 degrees must be used between the wrist strap 10 and the dust bag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increas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earth retaining facility is prolonged.

등록특허 제10-1287687호Patent No. 10-1287687 등록특허 제10-1067870호Patent No. 10-1067870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강선홀의 천공을 위한 거리 측정과 그리기 및 천공 작업을 거치지 않고 하차 후 바로 시공이 가능하고, 어스 앵커의 강선을 설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공사 현장의 여건에 상관없이 강선홀을 추가로 천공하지 않아도 강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강선홀에 의한 강도 손실을 일으키지 않으며 강선을 보호할 수 있는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wire anchor, So that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teel wire even if the steel wire hole is not drilled, irrespective of the condi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so as to provide a wale of the retaining structure that does not cause the strength loss due to the steel wire hole and protects the steel wir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선홀에 의한 강도 손실을 별도의 스티프너(보강재)없이 보강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inforce the strength loss due to the steel wire hole without a separate stiffe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강선을 설치할 때 강선이 최적의 설치 각도를 유지하고 정확한 위치를 통해 편심 방향의 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teel wire from maintaining an optimal installation angle and generating a force in an eccentric direction through an accurate position when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install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띠장의 각도를 강선의 설계 각도에 맞추지 않아도 강선을 설계 각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wire with a designed angle without adjusting the angle of the belt to the design angle of the steel wire.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은, 토류판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 강선의 고정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제1,2지지부에 관통 형성되는 장방형의 강선홀로 이루어진 띠장 본체와; 지중에 매설되는 어스 앵커의 다수의 강선이 수용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 형태이며 상기 띠장 본체의 강선홀에 삽입 및 고정되는 보강 겸용 강선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lt member of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upporting portion supported by the earth plate, a second supporting portion supporting the fixed cap of the steel wir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A wrist body including a rectangular wire-hole; And a reinforcing steel wire box inserted and fixed in the steel wire hole of the wale body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having both sides opened to receive a plurality of steel wires of the earth anchor embedded in the ground.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에 의하면, 보강 겸용 강선 박스를 통해 띠장 본체에 다수의 강선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강선홀을 마련하여 공사 현장의 여건에 상관없이 강선의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사 현장에 강선의 설치를 위하여 띠장에 강선홀을 추가로 형성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추가 작업에 의한 손실(비용, 시간)을 방지하고 띠장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보강 겸용 강선 박스가 강선이 통과하는 양측만 개방된 구조이기 때문에 강선을 보호한다. 특히 종래 대비 강선홀의 천공을 위한 거리 측정과 그리기 및 천공 작업을 거치지 않고 하차 후 바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공기를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하며 아울러 종래보다 홈메우기 작업을 줄여 역시 공기를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le band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teel wire hole having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is provided in the wrist body through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the steel wire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Since there is no additional steel wire hole in the wale for installing the steel wire in the fiel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cost, time) due to unnecessary additional work and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steel wire band. It protects steel wire because it is open structure. Especially, sinc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immediately after getting off without measuring the distance and drawing and drilling work for drilling of the steel wire hol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ir and drastical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In addition, the air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그리고, 보강 겸용 강선 박스가 띠장 본체에 고정되어 강선홀 주변에서 띠장 본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때문에 별도의 스티프너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스티프너의 추가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한다. 즉, 띠장 본체에서 연결부를 제거하더라도 보강 겸용 강선 박스가 사각틀의 형태로서 제1,2지지부를 지지함에 따라 연결부보다 큰 강성을 발휘하여 비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띠장 본체의 연결부의 두께보다 보강 겸용 강선 박스의 두께가 얇더라도 보강 겸용 강선 박스가 사각틀의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연결부보다 더 큰 강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Further, since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is fixed to the wrist body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wrist body in the vicinity of the steel wire hole, a separate stiffener is not used, so that the cost for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stiffener is reduced and the air is shortened. That is, even if the connecting portion is removed from the wrist body,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can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thereby exhibiting greater rigidity than the connecting portion and preventing twisting and the lik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rist main body,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so that the stiffener can exhibit greater rigidity than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보강 겸용 강선 박스 안에는 강선의 설치를 간섭하는 띠장 본체의 구조물이 없으므로 강선을 보강 겸용 강선 박스 안에서 자유자재로 설치할 수 있고, 즉 강선의 각도와 위치를 설계 각도와 위치로 맞출 수 있으므로 편심방향의 힘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한 흙막이 시설을 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tructure of the wristband main body interfering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steel wire in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the steel wire can be freely installed in the steel wire box for reinforcement, that is, the angle and position of the steel wire can be adjusted to the design angle and position. It is effective to construct a hard earth retaining facility without generating the force of the earthquake.

또한, 보강 겸용 강선 박스를 띠장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로 설치하여 띠장 본체를 토류판에 직접 설치하더라도 강선은 설계 각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받침브래킷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시공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even i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is install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wale body, and the wale body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current plate, the steel wire is installed at a design angle, and therefore, no additional bracket is us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띠장을 보이기 위한 토류벽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띠장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띠장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띠장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띠장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띠장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띠장에 적용된 보강 겸용 강선 박스에 걸림턱이 적용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띠장의 다른 예를 보인 측면도와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하나 띠장에 적용된 보강 겸용 강선 박스의 다른 조립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e wall for showing a wale ba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lt strip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sid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belt mem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lt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a ban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a belt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locking jaw is applied to a reinforcing steel wire box applied to a wrist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to 10 are a sid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respective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other assembled state of a reinforcing steel wire box applied to one wa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 Example 1 >

도 4 내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100)은, 박스홀(111)을 갖는 띠장 본체(110), 띠장 본체(110)의 박스홀(111)과 연통하도록 띠장 본체(110)에 설치되며 내부에 강선(4)이 설치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로 구성된다.4 to 6, the wale band 100 of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le body 110 having a box hole 111 and a box hole 111 of the wale body 110, And a reinforcing steel box 120 installed in the wrist body 110 to provide a space for the steel wire 4 to be installed therein.

띠장 본체(110)는 토류판(2)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112), 제1지지부(112)와 평행하고 강선(4)의 고정캡(6)과 지압판(7)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13), 제1,2지지부(112,113)를 연결하는 연결부(114)를 갖는 단면의 모든 제품 예컨대 기성품인 H 빔, I 빔, 사각 단면 박스 등이 가능하다.The wrist body 11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112 supported by the earth plate 2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112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112 and supporting the fixed cap 6 of the steel wire 4 and the support plate 7, The I beam, the rectangular section box, and the like having all the cross-sectional products having the connecting portion 114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13 and 113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12 and 113.

박스홀(111)은 제1,2지지부(112,113) 모두에 형성된다. 즉, 기성품의 빔을 띠장 본체(110)로 사용하는 경우 제1,2지지부(112,113)에 사각형의 구멍을 천공하고 이 사각형의 구멍 안에 있는 연결부(114)도 제거하여 박스홀(111)을 형성한다. 물론, 기성품을 이용하지 않고 철판 등의 조합을 통해 박스홀(111)을 갖도록 신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ox hole 111 is formed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112 and 113. That is, when the ready-made beam is used as the wale body 110, a square hole is drill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12 and 113, and the connection portion 114 in the square hole is also removed to form the box hole 111 do.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newly manufacture a box hole 111 through a combination of steel plates without using a ready-made article.

박스홀(111)은 공사 현장의 여건에 맞는 위치에 강선(4)을 설치할 수 있도록 여유있는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도 6에서처럼 다수의 어스 앵커의 강선을 설치할 수 있는 여유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자유롭게 강선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박스홀(111)은 도면에 도시된 4각형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수의 어스 앵커의 강선을 수용할 수 있는 장방형, 타원형 등도 가능하다.The box hole 111 is formed as a space having a size to allow the steel wire 4 to be installed at a position suitable to the condi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 size to install steel wires of a plurality of earth anchors Allows you to set the position of the steel wire freely. Of course, the box hole 111 is not limited to the quadrangular shape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a rectang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the like, which can accommodate the steel wires of a plurality of earth anchors.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는 내부에 강선홀(121)이 구비된 박스이며 물론 도면에 도시된 4각형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띠장 본체(110)의 박스홀(111)과 동일한 장방형이다.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a box provided with a steel wire hole 121 therein and is not limited to a quadrangular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but is rectangular as the box hole 111 of the wale body 110. [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는 강선(4)의 설치를 위하여 양측이 개방된 박스 즉 강선(4)의 설치와 상관없은 둘레부가 막힌 구조이며 따라서 강선(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강선(4)을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close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of the box opened on both side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teel wire 4 and thus the steel wire 4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4).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는 강선(4)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강선(4)을 보호하면서도 별도의 스티프너를 사용하지 않고 띠장 본체(110)를 보강하도록 스틸 등 고강도 재질로 이루어지고 띠장 본체(110)의 박스홀(111)에 삽입된 후 띠장 본체(110)와 이웃하는 부분이 용접으로 고정된다.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installing the steel wire 4 and is made of a high strength material such as steel so as to reinforce the wale body 110 while protecting the steel wire 4 without using a separate stiffener,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box hole 111 of the main body 110, a portion adjacent to the wrist body 110 is fixed by welding.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를 띠장 본체(110)에 용접하기 전에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가 흔들리지 않고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와 띠장 본체(110)의 결속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둘레부에는 띠장 본체(110)의 박스홀(111) 주변에 걸리는 걸림턱(122)(도 7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처럼 걸림턱(122)은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둘레부[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모든 둘레부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국부적으로]에 돌출 형성되어 제2지지부(112)의 안쪽에 걸림으로써 용접 이전에도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가 띠장 본체(11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끼움 구조에 의한 결속력을 증대한다.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and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are combined so as not to shake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before welding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to the welt main body 110 and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and the wale body 110. [ A locking protrusion 122 (shown in FIG. 7) may be formed around the box hole 111 of the wrist body 110. The locking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x body 110, as shown in FIG. 7, the stopping jaws 122 are protrudingly formed at the peripheries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locally at all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or at regular intervals)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not detached from the wrist body 110 even before welding, and the binding force due to the fitting structure is increased.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는 박스 형태로 미리 제작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4장의 철판이 띠장 본체(110)의 박스홀(111)에 맞춰 용접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x or may be formed by welding four steel plates to match the box holes 111 of the wale body 110. [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는 박스홀(111) 안에 설치되어 자신의 내부에 강선(4)이 설치되도록 하는데, 강선(4)이 띠장 본체(110)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균등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띠장 본체(110)의 박스홀(111)은 연결부(114)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연결부(114)가 없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는 이러한 박스홀(111)에 삽입 설치되어 다수의 강선(4)이 균등한 힘을 받도록 설치되도록 한다.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installed in the box hole 111 so that the steel wire 4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box hole 111. The steel wire 4 is installed symmetrically to the wale body 110, The box hole 111 of the wrist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vertically symmetrical manner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14 as a center and formed as a hole having no connecting portion 114 therein and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are inserted into the box holes 111 so that the plurality of steel wires 4 are installed so as to receive uniform forc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2지지부(112,113)에 형성되는 박스홀(111)이 연결부(114)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중심선은 연결부(114)의 중심선과 일치하며 따라서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중심선은 제1지지부(112)의 중심선과 직각을 유지한다.Since the box holes 111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12 and 113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er line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14 The centerline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maintains a right angle with the centerli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2. [

전술한 구조로 인하여 본 실시예는 띠장(100)이 토류판(2)에 대해 45˚ 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종래 기술처럼 일정 각도를 갖는 받침브래킷(5)이 함께 사용된다.Du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together with the support bracket 5 having a certain angle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wale band 100 maintains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late 2.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는 도면에서처럼 띠장 본체(110)에 삽입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띠장 본체(110)의 제2지지부(113)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도 포함된다.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wrist body 110 as shown in the drawing or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13 of the wrist body 110.

본 실시예에 의한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은 다음과 같이 시공된다.The band zone of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ructed as follows.

지중에 다수의 파일(H 빔 등) 설치 공정 - 상기 파일들의 사이에 토류판 설치 공정 - 본 발명의 띠장 설치 공정 - 띠장(100)의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에 맞춰 앵커공 천공 공정 - 띠장(100)의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를 통해 어스 앵커 설치 공정 - 어스 앵커의 강선 인장 및 띠장(100)의 제1지지부(112)에 지압판 설치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띠장 설치 공정 전에 앵커공 천공 - 어스 앵커 설치 공정을 먼저 할 수도 있다.(H beam or the like) installed in the ground, a soil plate installation process between the files, a wal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chor hole drilling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steel wire box 120 for reinforcing the wale 100, 100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2 of the wale band 100.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2 of the wale band 100 may include a step of installing a grounding anchor through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of the ground anchor.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anchor hole and the earth anchor may be performed before the wale installation process.

상기 지중에 다수의 파일(H 빔 등) 설치 공정 - 상기 파일들의 사이에 토류판 설치 공정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A process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files (H beams, etc.) in the ground; a process of installing a soil plate between the files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lated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토류판에 지지브래킷(까치발)을 설치한 후 상기 지지브래킷 위에 본 발명의 띠장(100)을 거치 및 고정하여 설치한다[본 발명의 띠장(100)을 상기 파일에 용접으로 고정한 후 상기 지지브래킷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어스 앵커의 위치에 따라 상기 어스 앵커의 강선(4)을 인출할 수 있는 위치에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강선홀(121)이 배치되도록 한다.(Bracket) is installed on the earth plate, and then the wale b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fixed on the support bracket (the wale b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ile by welding and then the support bracket is installed It is also possible to do. At this time, the steel wire hole 121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teel wire 4 of the earth anchor can be drawn ou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arth anchor.

제1지지부(112)의 중심선이 토류판(2)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은 보강 강선 박스(120)가 강선(4)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설치 각도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The center li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2 is set so as to maintain a certain angle with the current plate 2. Since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teel wire 4,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t various installation angles.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는 강선홀(121)이 다수의 강선(4)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기 때문에 강선(4)을 띠장(100)의 간섭없이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선(4)은 강선홀(121)의 중심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강선(4)이 강선홀(121)에 편심 설치되더라도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가 보강을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다.Since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has a size such that the steel wire hole 121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steel wires 4, the steel wire 4 can be install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wale 100. Accordingly, the steel wire 4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teel wire hole 121 or may be disposed to be offset to one side. Even if the steel wire 4 is eccentrically installed in the steel wire hole 121,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tructure.

상기 어스 앵커의 강선(4)을 강선홀(121)을 통해 외부로 인출한 후 종래와 같이 인장기를 이용하여 인장한 후 고정캡(6)과 지압판(7)으로 고정하며 이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steel wire 4 of the earth anchor is pulled out through the steel wire hole 121 and then pulled out using a tensioner as in the prior art and fixed with the fixed cap 6 and the pressure plate 7. This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실시예 2>≪ Example 2 >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띠장(100)은, 실시예 1처럼 띠장 본체(110),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로 구성되며, 단 별도의 45˚ 의 각도를 갖는 받침브래킷을 사용하지 않아도 강선(4)을 적정 각도인 45˚ 로 설치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이때,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는 띠장(10)을 어느 위치로 설치하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즉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wristb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rist body 110 and a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constituted as follows so that the steel wire 4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angle of 45 degrees without using the support bracke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disposed symmetrically so that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wale band 10, that is, it is not shifted to one side.

제1,2지지부(112,113)의 천공에 의해 형성되는 박스홀(111)은 중심선이 제1지지부(112)의 중심선에 대해 40∼50˚ 의 각도로 형성되며, 따라서,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중심선은 제1지지부(112)의 중심선에 대해 40∼50˚ 의 각도로 형성된다.The box hole 111 formed by the perfo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112 and 113 is formed at an angle of 40 to 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2, Is formed at an angle of 40 to 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2. [

본 발명은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강선홀(121)이 여유 있는 크기이고 강선(4)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중심선이 45˚ 의 각도를 중심으로 하여 40∼50˚ 의 각도 안에 있다면 강선(4)을 적정 각도인 45˚ 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다.Since the steel wire hole 121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large and the angle of the steel wire 4 is adjustable, if the center line is within an angle of 40 to 50 degrees around an angle of 45 degrees, (4) can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angle of 45 degrees.

따라서, 제1지지부(112)는 토류판(2)의 면에 직접 면접촉되도록 설치되며,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는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강선홀(121)이 강선(4)을 일정 각도(예를 들어 20∼45˚ )로 설치할 수 있는 각도로 자연스럽게 설치된다.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formed such that the steel wire hole 121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connected to the steel wire 4 It is installed at an angle that can be set at a certain angle (for example, 20 to 45 degrees).

한편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띠장 본체(110)와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를 견고하게 조립하면서도 이 조립부를 심플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제1지지부(112)에 형성되는 박스홀(111)의 크기(W1)는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두께면이 제1지지부(112)의 안쪽에 지지되어 제1지지부(11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제2지지부(113)에 형성되는 박스홀(111)의 크기(W2)는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가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W1 < W2의 크기이다.11, in order to simplify the assembly of the wrist body 110 and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the size of the box hole 111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112 The thickness W1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supported inside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2 to protrude outside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2 And the size W2 of the box hole 111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113 is formed such that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inserted. That is, W1 < W2.

따라서,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가 제2지지부(113)쪽에서부터 삽입되면 일측 단부가 제1지지부(112)의 안쪽면에 지지되는 한편 타측 둘레부가 제2지지부(113)의 박스홀(111)의 둘레부에 지지됨에 따라 제1지지부(112)의 안쪽에서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가 용접됨으로써 제1지지부(111)의 바깥쪽은 돌출물이 없고 지압판을 간섭없이 설치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When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inserted from the second support portion 113 side, one end portion is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2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supported by the box hole 111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13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is weld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12 so that there is no protrusion outside the first supporting part 111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pporting plate can be installed without interference.

물론, 제1,2지지부(12,13)에 형성된 박스홀의 크기는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Of course, the sizes of the box 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12 and 13 may be reversed.

지금까지는 본 발명을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으로만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띠장 본체(110),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를 갖는 구조 하에서 다른 용도(파일 등)로 사용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ly as a wale band of a retaining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wale band body 110 and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as another use (file or the like) under the structure having the above- .

2 : 토류판, 4 : 강선
100 :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 110 : 띠장 본체
111 : 박스홀, 112,113 : 제1,2지지부
114 : 연결부, 120 : 보강 겸용 강선 박스
121 : 강선홀, 122 : 걸림턱
2: earth plate, 4: steel wire
100: wale of the retaining structure, 110: wale body
111: box hole, 112, 113: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14: connection portion, 120: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1: steel wire hole, 122:

Claims (9)

토류판(2)에 직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제1지지부(112), 지중에 매설되는 어스 상기 제1지지부와 평행하고 앵커의 강선(4)의 고정캡과 지압판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13), 상기 제1,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14), 상기 제1,2지지부에 관통 형성되는 장방형의 박스홀(111)로 이루어진 띠장 본체(110)와;
상기 강선이 다수개가 수용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강선홀(121)을 갖는 장방형의 박스 형태이며 상기 띠장 본체의 박스홀(111)과 연통하도록 상기 띠장 본체에 설치되는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를 포함하고,
상기 띠장 본체의 박스홀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연결부가 없는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 겸용 강선 박스는 상기 연결부가 없는 박스홀에 삽입 설치되어 내부에서 상기 강선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되, 중심선이 상기 띠장 본체의 제1지지부의 중심선에 대해 40~50°의 각도로 경사지면서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띠장 본체는 상기 토류판의 일면에 받침브래킷없이 상기 제1지지부가 상기 토류판에 지지되는 한편 상기 강선이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되면서 40~50°의 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
A first support portion 112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ed by the earth plate 2; a second support portion 113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buried in the ground and supporting the fixed cap of the anchor steel wire 4 and the support plate; A wedge body 110 including a connection part 114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and a rectangular box hole 111 form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And a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provided in the wale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x holes 111 of the wale body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having steel wire holes 121 opened at both sides to receive a plurality of steel wires and,
Wherein the box hole of the wale body is vertically symmetrical about the connecting portion and is formed as a hole without the connecting portion therein, and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is inserted into the box hole without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center line is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while being inclined at an angle of 40 to 50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of the wrist body body, Wherein the first supporting part is supported by the earth plate without a bracket and the steel wire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ing part at an angle of 40 to 50 degre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장 본체는 H 단면의 빔, I 단면의 빔, 사각 박스 단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The wale of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le body is any one selected from a beam of H section, a beam of I section, and a rectangular box s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겸용 강선 박스는 둘레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띠장 본체의 제1 또는 제2지지부에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The wale of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includes a retaining protrusion formed on a periphery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the retaining ring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or second supporting portion of the wal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겸용 강선 박스는 일측이 상기 띠장 본체의 제1지지부의 안쪽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지지부에 형성된 박스홀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한편 타측의 둘레부가 상기 제2지지부에 형성된 박스홀의 둘레부에 접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is suppor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wristband main body and is fixed so as not to protrude out of a box hol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ix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 peripheral portion of a box hole formed in the retaining structure. (S10) 지중에 다수의 파일을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하는 제1단계와;
(S20)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되는 파일들의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S30) 상기 제2단계 이후 청구항 1에 의한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100)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S40)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에 갖추어진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를 통해 앵커공을 천공하는 제4단계와;
(S50)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에 갖추어진 보강 겸용 강선 박스를 통해 상기 앵커공 안에 어스 앵커를 설치하는 제5단계와;
(S60) 상기 제5단계에서 설치된 어스 앵커의 강선을 인장 및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에서 지압판으로 마감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 공법.
(S10) a first step of setting up a plurality of fil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ground;
(S20)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soil plate between the files installed through the first step;
(S30) a third step of installing the wale band 100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econd step;
(S40) a fourth step of perforating the anchor holes through the reinforcing steel box 120 provided in the wale of the retaining structure;
(S50) a fifth step of installing an earth anchor in the anchor ball through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provided in the wale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S60)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structure using a wale band of a retaining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 of tensioning a steel wire of an earth anchor installed in the fifth step and finishing the wedge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with a supporting plate.
(S10) 지중에 다수의 파일을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하는 제1단계와;
(S20)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되는 파일들의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S30) 상기 토류판에서부터 지중에 걸쳐 앵커공을 천공하는 제3단계와;
(S40) 상기 앵커공에 어스 앵커를 설치하는 제4단계와;
(S50) 상기 제4단계 이후 청구항 1에 의한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100)을 설치하되,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100)의 보강 겸용 강선 박스(120)의 강선홀(121) 안에 상기 어스 앵커의 강선을 배선하여 설치하는 제5단계와;
(S60) 상기 제5단계에서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100)을 설치한 후 상기 어스 앵커의 강선을 인장 및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에서 지압판으로 마감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 공법.
(S10) a first step of setting up a plurality of fil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ground;
(S20)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soil plate between the files installed through the first step;
(S30) a third step of drilling an anchor hole from the soil plate to the ground;
(S40) a fourth step of installing an earth anchor on the anchor hole;
(S50) After the fourth step, the wale band 100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is installed. In the steel wire hole 121 of the reinforcing steel wire box 120 of the wale band 100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 fifth step of wiring and installing steel wires;
(S60) a sixth step of installing the wale band 100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in the fifth step and then finishing the steel wire of the earth anchor by using a torsion bar in the wale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structure using wale.
KR1020140023289A 2014-02-27 2014-02-27 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 KR101618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289A KR101618628B1 (en) 2014-02-27 2014-02-27 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289A KR101618628B1 (en) 2014-02-27 2014-02-27 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687A KR20150101687A (en) 2015-09-04
KR101618628B1 true KR101618628B1 (en) 2016-05-09

Family

ID=5424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289A KR101618628B1 (en) 2014-02-27 2014-02-27 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62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34A (en)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여주철강산업 Waling member for earth anchor
KR102077421B1 (en) * 2019-04-25 2020-02-13 (주)제이피이엔씨 Furring strip having groove filling bol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130519B1 (en) 2019-12-19 2020-07-06 주식회사 여주철강산업 Waling member for earth anch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22B1 (en) * 2019-04-26 2020-02-13 주식회사 이산 Single wale which can correct construction errors of perforation angle and perforation hole 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656B1 (en) 2004-01-10 2006-12-14 불독 (주)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03508B1 (en) 2007-08-16 2009-06-17 이창남 '?' Shape Waling Method Separated from the Basement Wa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656B1 (en) 2004-01-10 2006-12-14 불독 (주)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03508B1 (en) 2007-08-16 2009-06-17 이창남 '?' Shape Waling Method Separated from the Basement Wal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34A (en)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여주철강산업 Waling member for earth anchor
KR102077421B1 (en) * 2019-04-25 2020-02-13 (주)제이피이엔씨 Furring strip having groove filling bol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130519B1 (en) 2019-12-19 2020-07-06 주식회사 여주철강산업 Waling member for earth anch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687A (en)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628B1 (en) 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
AU2007339652B2 (en) Earth anchor bracket having saw-toothed and curved part
KR100675985B1 (en) A bracing for reinforcing support
KR20150010889A (en) Wale and strut with internal steel tube
KR20150010419A (en) Connecting structure of mid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0958426B1 (en) Fixing device for support beam
US11255065B2 (en)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KR101287687B1 (en) Wall construction structure in which wale angle is adjustable and wale for fixing tension cable for the same
KR20180092499A (en) supporting system for strut using wale girders with plural row
KR101988528B1 (en) Self-supporting pile structure using anchor
KR10186330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panel using reinforcement block
KR20150010421A (en) Cap beam assembly
KR101448390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quare steel strip and square steel supporting beam
JP5476170B2 (en) Tunnel construction method for soft ground
KR20150010422A (en) Mid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1705785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chor box for Tie-Back Anchor of H-Pipe Pile used in the Panel Retaining Wall Method without Wale and Method for Installing Tie-Back Anchor of H-Pipe Pile without Wale
JP4092647B2 (en) Tunnel support structure
KR102022203B1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the upper of pile
KR20100101437A (en) Tiebolt construction method between tunnel section
KR20160081710A (en) Tunnel elephant foot reinforcement beam construction method for tunnel stabilizing
KR20140133364A (en) Assembly of supporting beam
KR101531602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metal strip reinforce member for construct reinforcing strap of slope wall
JP2015030983A (en) Steel member fixing structure
KR102074573B1 (en)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KR101631526B1 (en) The seismic retrofit method of bridge columns using external tend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