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573B1 -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 Google Patents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573B1
KR102074573B1 KR1020180040907A KR20180040907A KR102074573B1 KR 102074573 B1 KR102074573 B1 KR 102074573B1 KR 1020180040907 A KR1020180040907 A KR 1020180040907A KR 20180040907 A KR20180040907 A KR 20180040907A KR 102074573 B1 KR102074573 B1 KR 102074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rface
hole
base portion
ground reinforcement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7939A (en
Inventor
이석진
박스칸
도남영
김봉찬
이준호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573B1/en
Publication of KR20190117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5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벽면부를 관통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의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벽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벽면부 중 일측 벽면부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벽면부 중 타측 벽면부에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that can smoothly perform a tension operation using a tensioner for applying a tension to the wire penetrating the wall surface portion of the ground for the reinforcement bracket.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base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hole; And at least one pair of wall surfaces that are bent and extended inwardly of the base portion at a position facing the edge of the base portion, wherein one side wall portion of the pair of wall surfaces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wire passes. The other side wall portion of the pair of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is fixed to the wire is inserted.

Description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보강을 위한 강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으로서, 특히,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벽면부를 관통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for installing a steel wire for ground reinforcement, and in particular, by mounting a wedge in a wire passing through the wall surface por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tension force It relates to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that can smoothly perform the tension operation using a tensioner to give.

일반적으로, 지반 또는 암반이 느슨해지거나 붕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볼트 또는 락 볼트로 불리는 앵커(anchor)와, 숏크리트(shotcrete), H형 강, 거더(girder),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등의 지반 보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Ground reinforcements such as anchors, also called cable bolts or lock bolts, and shotcrete, H-shaped steel, girders, and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to prevent ground or rock from loosening or collapsing. Is being used.

상술한 지반 보강재 중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중앙부에 고정홀이 형성된 판상의 브래킷에 강선을 연결하여 긴장력을 줌으로써 지반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Among the above ground reinforcement members,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configured to reinforce the ground by connecting a steel wire to the plate-like bracket having a fixing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o give a tension force.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의 고정홀에 락 볼트, 케이블 볼트, 강선 등이 관통된 후 고정되도록 하여 굴착, 취약지반이나 벽면 등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Specifically, lock bolts, cable bolts, steel wires, and the like are fixed to the fixing holes of the brackets so as to be fixed, thereby improving shear strength of excavation, weak ground or walls.

종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일예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출원번호 제10-2017-0144399호)'가 있다.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ther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pplication number No. 10-2017-0144399)' filed by the applicant.

상기 종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벽면을 형성하는 지지부에 형성된 지지홀을 통해 상, 하 방향과 좌, 우 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강선을 입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conventional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has a three-dimensional steel wire can be installed in the up, down and left,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through a support hole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forming the wall surfac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지압부와 지지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이 협소하여, 인장기를 이용하여 쐐기를 장착하는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acupressur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narrow and it is difficult to attach the wedge by using a tensioner.

출원번호 제10-2017-0144399호(출원일자 2017년 11월 1일)Application No. 10-2017-0144399 (filed November 1, 2017)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보강을 위한 강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으로서, 특히,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벽면부를 관통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to be able to install a steel wire for ground reinforcement, in particular, by mounting a wedge to the wire through the wall surface por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tension force To provide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that can smoothly perform the tension work using a tensioner to giv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는,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의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벽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벽면부 중 일측 벽면부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벽면부 중 타측 벽면부에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ase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hole; And at least one pair of wall surfaces that are bent and extended inwardly of the base portion at positions facing the edges of the base portion, wherein one side wall portion of the pair of wall surfaces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wire passes. The other side wall portion of the pair of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is fixed to the wire is inserted.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와 벽면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ase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wall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타측 벽면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이웃하여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벽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이웃하여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wire penetrates is formed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wall portion, and an insertion hole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and fixe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one side wall portion may be 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일측 벽면부의 관통홀과 상기 타측 벽면부의 삽입홀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측 벽면부의 삽입홀과 상기 타측 벽면부의 관통홀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hrough-hole of the one side wall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of the other side wall portion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the insertion hole of the one side wall portion and the through hole of the other side wall portion is formed to be arrang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Can be.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의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두 쌍의 벽면부로 구성되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벽면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서로 마주하는 다른 한 쌍의 벽면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형성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it consists of two pairs of wall surface portions which are bent and extended inwardly of the base portion at opposite positions of the edges of the base portion, and a pair of other pairs facing each other with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pair of wall portions facing each other. The formation height of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wall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differently.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의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두 쌍의 벽면부로 구성되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벽면부에 형성된 삽입홀과 서로 마주하는 다른 한 쌍의 벽면부에 형성된 삽입홀의 형성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it consists of two pairs of wall surface portions which are bent and extended inwardly of the base portion at opposite positions of the edge of the base portion, and a pair of other pairs facing each other with the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pair of wall portions facing each other. The formation height of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wall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differently.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홀은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벽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l surfac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홀은 와이어가 인입되는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by extending a portion into which the wire is drawn.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의 단부 중앙 부분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벽면부가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단부가 지지되는 변형방지구가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wall surface portion, and the fitting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 deformation preventing tool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to prevent the wall surface portion from being deformed inward.

바람직하게, 상기 변형방지구는, 중심부를 관통하는 나사홀에 형성되고, 양단부에 플렌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싱; 및 상기 고정부싱의 내부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볼트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eformation preventing device is formed in a screw hole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a flange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the fixing bushing is fixed to the cent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a bolt screwed into the fixing bushing, and an end of the bolt may be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변형방지구는, 양단부에 플렌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봉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eformation preventing device, the flange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the central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ixed to the head; And a supporting rod formed integrally b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ead, and an end of the supporting rod may be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변형방지구는, 상기 벽면부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변형방지구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eformation prevention tool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wall surface portion, the end of the deformation prevention tool may be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고정홀의 주변 부분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ing hole of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는 압축성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ive pa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쐐기가 설치되는 벽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지반 보강을 위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using a tensioner for providing a tension by mounting the wedge to the wire for reinforcing the ground, so that the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wedge is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C-C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D-D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E-E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4.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4.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4.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ar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have", etc.,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or those in combination thereof should not be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와 벽면부(210, 220, 230, 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comprises a base portion 100 and the wall portion (210, 220, 230, 240).

먼저,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the base unit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부(100)는 평평한 판 형태의 부분으로서 지반, 또는 암반이나 터널 등에 견고한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인장, 압축, 굽힘, 비틀림 강도가 강한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The base portion 1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strong tensile, compressive, bending, and torsional strength to form a firm fixing force on the ground or a rock or a tunnel as a flat plate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0)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각판, 팔각판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팔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 예시하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base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for example,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an octagonal plate,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the case formed in the shape of an octagonal plate Do it.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홀(100h)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100h)은 지반 보강을 위한 강선(W)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다. A fixing hole (100h)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0, the fixing hole (100h) is a hole for fastening the steel wire (W) for the ground reinforcement.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내측면에 매립되어 일부분이 노출된 강선(W)이 상기 고정홀(100h)에 쐐기(wd)를 통해 견고하고 긴장력을 갖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0)에 의해 터널의 내측면이 견고하게 보강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steel wire W embed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and partially exposed is fastened to the fixing hole 100h through a wedge wd so as to have a strong and tensioned force.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can be firmly reinforced by the part 100.

한편, 상기 베이스부(100)의 타측면에는 압축성 패드(P)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성 패드(P)는 고무 재질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ive pad (P), the compressive pad (P) may be composed of a rubber pad.

상기 압축성 패드(P)는 상기 베이스부(100)가 터널의 불규칙한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밀착력을 높이도록 기능한다. The compressive pad (P) functions to increase the adhesion that the base portion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rregular inner surface of the tunnel.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홀(100h)의 주변 부분에 통공(101)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101 may be formed in a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ing hole 100h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art 100.

상기 통공(101)은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포함한 터널의 내측면을 콘크리트로 타설 시 상기 베이스부(100)와 터널 내측면의 사이 공간부(도 8의 'S')에 콘크리트가 상기 통공(101)을 통해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completed, the through hole 101 is spaced between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when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including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poured into concrete (FIG. 8). 'S') to allow the concrete to be in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01 so as not to create an empty space.

다음으로, 상기 벽면부(210, 220, 230, 24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Next, the wall portion 210, 220, 230, 240 will be described.

상기 벽면부(210, 220, 230, 24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가장자리의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The wall portions 210, 220, 230, and 240 are formed to be bent inwardly of the base portion 100 at positions facing the edges of the base portion 100.

상기 벽면부는 적어도 한 쌍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쌍의 벽면부, 즉, 제1벽면부(210), 제2벽면부(220), 제3벽면부(230), 제4벽면부(240)가 형성된 경우에 대해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wall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pair, and in this embodiment, two pairs of wall surface portions, that is,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nd An example in which the four wall surfaces 240 are formed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벽면부(210)와 상기 제3벽면부(230)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벽면부(220)와 상기 제4벽면부(240)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and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and the fourth wall surface portion 24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1벽면부(210), 제2벽면부(220), 제3벽면부(230), 제4벽면부(240)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nd the fourth wall surface portion 240 are formed in a plate shape.

상기 제1벽면부(210), 제2벽면부(220), 제3벽면부(230), 제4벽면부(24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nd the fourth wall surface portion 240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00.

한편, 서로 마주하는 제1벽면부(210)와 제3벽면부(23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벽면부(210)에는 제1와이어(w1)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210h1)이 형성되고, 상기 제3벽면부(230)에는 제1와이어(w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삽입홀(230h2)이 형성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and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facing each other, the first through hole 210h1 through which the first wire w1 penetrates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Is formed, and a third insertion hole 230h2 is formed in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to which the first wire w1 is inserted and fixed.

또한, 상기 제3벽면부(230)에 형성된 삽입홀(230h2)에 이웃하여 제2와이어(w2)가 관통하는 제3관통홀(230h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벽면부(210)에 형성된 제1관통홀(210h1)에 이웃하여 제2와이어(w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홀(210h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third through hole 230h1 through which the second wire w2 penetrates is formed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230h2 formed in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nd is formed in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A first insertion hole 210h2 is formed to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second wire w2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210h1.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벽면부(210)에 제1와이어(w1)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210h1) 및 제2와이어(w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홀(210h2)이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penetration hole 210h1 through which the first wire w1 penetrates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210h2 through which the second wire w2 is inserted are fixed to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do.

또한, 제3벽면부(230)에 제2와이어(w2)가 관통하는 제3관통홀(230h1) 및 제1와이어(w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삽입홀(230h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third through hole 230h1 through which the second wire w2 penetrates and a third insertion hole 230h2 through which the first wire w1 is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in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또한, 제2벽면부(220)에 제3와이어(w3)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220h1) 및 제4와이어(w4)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홀(220h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second penetration hole 220h2 through which the third wire w3 penetrates and a second insertion hole 220h2 through which the fourth wire w4 is inserted are fix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또한, 제4벽면부(240)에 제4와이어(w4)가 관통하는 제4관통홀(240h1) 및 제3와이어(w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4삽입홀(240h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fourth penetration hole 240h1 through which the fourth wire w4 penetrates and a fourth insertion hole 240h2 through which the third wire w3 is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in the fourth wall surface part 240.

이때, 상기 제1벽면부(210)의 제1관통홀(210h1)과 상기 제3벽면부(230)의 제3삽입홀(230h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1벽면부(210)의 제1삽입홀(210h2)과 상기 제3벽면부(230)의 제3관통홀(230h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hole 210h1 of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and the third insertion hole 230h2 of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re formed to b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wall surface The first insertion hole 210h2 of the portion 210 and the third through hole 230h1 of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벽면부(220)의 제2관통홀(220h1)과 상기 제4벽면부(240)의 제4삽입홀(240h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2벽면부(220)의 제2삽입홀(220h2)과 상기 제4벽면부(240)의 제4관통홀(240h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wall hole 220h1 of the second wall portion 220 and the fourth insertion hole 240h2 of the fourth wall portion 240 are formed to b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wall surface The second insertion hole 220h2 of the part 220 and the fourth through hole 240h1 of the fourth wall surface part 24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벽면부(210)의 제1관통홀(210h1) 및 제3벽면부(230)의 제3관통홀(230h1)의 형성 높이와, 상기 제2벽면부(220)의 제2관통홀(220h1) 및 제4벽면부(240)의 제4관통홀(240h1)의 형성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Here, the formation height of the first through hole (210h1) of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and the third through hole (230h1) of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nd the second of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The formation height of the through-hole 220h1 and the fourth through-hole 240h1 of the fourth wall surface part 240 is formed differently.

구체적으로, 상기 제1벽면부(210)의 제1관통홀(210h1) 및 제3벽면부(230)의 제3관통홀(230h1)이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벽면부(220)의 제2관통홀(220h1) 및 제4벽면부(240)의 제4관통홀(240h1)이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through hole 210h1 of the first wall portion 210 and the third through hole 230h1 of the third wall portion 230 are formed at a low position, and the second wall portion 220 is formed. The second through hole 220h1 and the fourth through hole 240h1 of the fourth wall surface part 240 are formed at a high position.

한편, 상기 제1벽면부(210)의 제1삽입홀(210h2) 및 제3벽면부(230)의 제3삽입홀(230h2)의 형성 높이와 상기 제2벽면부(220)의 제2삽입홀(220h2) 및 제4벽면부(240)의 제4삽입홀(240h2)의 형성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ormation height of the first insertion hole (210h2) of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and the third insertion hole (230h2) of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nd the second insertion of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The height of formation of the hole 220h2 and the fourth insertion hole 240h2 of the fourth wall surface part 240 is different.

구체적으로, 상기 제1벽면부(210)의 제1삽입홀(210h2) 및 제3벽면부(230)의 제3삽입홀(230h2)이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벽면부(220)의 제2삽입홀(220h2) 및 제4벽면부(240)의 제4삽입홀(240h2)이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insertion hole 210h2 of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and the third insertion hole 230h2 of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re formed at a low position, and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is formed. The second insertion hole 220h2 and the fourth insertion hole 240h2 of the fourth wall portion 240 are formed at a high position.

한편, 상기 제1관통홀(210h1), 제2관통홀(220h1), 제3관통홀(230h1), 제4관통홀(240h1)은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Meanwhile, the first through hole 210h1, the second through hole 220h1, the third through hole 230h1, and the fourth through hole 240h1 ar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se part 100.

그리고, 상기 제1삽입홀(210h2)은 상기 제1벽면부(2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홀(220h2)은 상기 제2벽면부(220)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삽입홀(230h2)은 상기 제3벽면부(230)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삽입홀(240h2)은 상기 제4벽면부(240)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insertion hole 210h2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20h2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The third insertion hole 230h2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nd the fourth insertion hole 240h2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urth wall surface portion 240. do.

이때, 상기 제1삽입홀(210h2), 제2삽입홀(220h2), 제3삽입홀(230h2), 제4삽입홀(240h2)은 와이어(w1, w2, w3, w4)가 인입되는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와이어(w1, w2, w3, w4)의 밴딩 시 와이어(w1, w2, w3, w4)와 간섭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insertion hole (210h2), the second insertion hole (220h2), the third insertion hole (230h2), the fourth insertion hole (240h2) is a portion where the wire (w1, w2, w3, w4) is introduced It may be formed to be extended, through which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por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wire (w1, w2, w3, w4) when bending the wire (w1, w2, w3, w4).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벽면부(210), 제2벽면부(220), 제3벽면부(230), 제4벽면부(240)의 구성에 따르면, 제1와이어(w1)가 제1벽면부(210) 제1관통홀(210h1)을 관통한 후 제3벽면부(230)의 제3삽입홀(230h2)을 삽입한 상태에서 쐐기(w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nd the fourth wall surface portion 24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wire w1 is the first wall surface.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210h1 of the portion 210, the third insertion hole 230h2 of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may be fixed by a wedge wd.

또한, 제2와이어(w2)가 제3벽면부(230) 제3관통홀(230h1)을 관통한 후 제1벽면부(210)의 제1삽입홀(210h2)을 삽입한 상태에서 쐐기(w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second wire w2 passes through the third wall portion 230 and the third through hole 230h1, the wedge w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insertion hole 210h2 of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is inserted. It can be fixed by).

또한, 제3와이어가 제2벽면부(220) 제2관통홀(220h1)을 관통한 후 제4벽면부(240)의 제4삽입홀(240h2)을 삽입한 상태에서 쐐기(w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third wire passes through the second wall portion 22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0h1, the wedge wd is inserted in the state where the fourth insertion hole 240h2 of the fourth wall portion 240 is inserted. Can be fixed.

또한, 제4와이어가 제4벽면부(240) 제4관통홀(240h1)을 관통한 후 제2벽면부(220)의 제2삽입홀(220h2)을 삽입한 상태에서 쐐기(w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fourth wire passes through the fourth wall portion 240 and the fourth through hole 240h1, the wedge wd is inserted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insertion hole 220h2 of the second wall portion 220 is inserted. Can be fixed.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벽면부(210), 제2벽면부(220), 제3벽면부(230), 제4벽면부(240)의 외측면으로 관통하여 노출된 와이어(w1, w2, w3, w4)에 쐐기(wd)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1, w2, w3, w4)에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ires w1 exposed through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the second wall surface portion 220, the third wall surface portion 230, and the fourth wall surface portion 240 are formed to be inclined. As it is configured to mount the wedge (wd) on the w2, w3, w4,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he tension operation using a tensioner for applying tension to the wire (w1, w2, w3, w4).

한편, 상기 제1벽면부(210), 제2벽면부(220), 제3벽면부(230), 제4벽면부(240)가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형방지구(300)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wall surface part 210, the second wall surface part 220, the third wall surface part 230, and the fourth wall surface part 240 from being deformed inwards, the deformation preventing tool 300 is provided. It may be provided.

상기 제1벽면부(210)의 단부 중앙 부분에는 제1끼움홈(210h3)이 형성되고, 제2벽면부(220)의 단부 중앙 부분에는 제2끼움홈(220h3)이 형성되며, 제3벽면부(230)의 단부 중앙 부분에는 제3끼움홈(230h3)이 형성되고, 제4벽면부(240)의 단부 중앙 부분에는 제4끼움홈(240h3)이 형성된다. A first fitting groove 210h3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d of the first wall surface portion 210, and a second fitting groove 220h3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wall portion 220. A third fitting groove 230h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d of the portion 230, and a fourth fitting groove 240h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d of the fourth wall surface portion 240.

상기 변형방지구(300)는 상기 제1끼움홈(210h3), 제2끼움홈(220h3), 제3끼움홈(230h3), 제4끼움홈(240h3)에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The deformation preventing device 300 is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210h3, the second fitting groove 220h3, the third fitting groove 230h3, and the fourth fitting groove 240h3,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변형방지구(300)는 중심부를 관통하는 나사홀(311)에 형성되고, 양단부에 플랜지부(312, 313)가 형성되며, 중앙부(314)가 상기 제1끼움홈(210h3), 제2끼움홈(220h3), 제3끼움홈(230h3), 제4끼움홈(240h3)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싱(310) 및 상기 고정부싱(310)의 내부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볼트(320)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0)에 지지된다. In detail, the deformation preventing tool 300 is formed in the screw hole 311 penetrating the center portion, flange portions 312 and 313 are formed at both ends, and the center portion 314 is the first fitting groove 210h3. , A fixing bushing 310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cond fitting groove 220h3, the third fitting groove 230h3, and the fourth fitting groove 240h3, respectively, and a bolt 320 that is screwed into the fixing bushing 310. ) And an end of the bolt 320 is supported by the base part 100.

한편, 상기 변형방지구(300)는 양단부에 플랜지부(312', 313')가 형성되며, 중앙부(314')가 상기 제1끼움홈(210h3), 제2끼움홈(220h3), 제3끼움홈(230h3), 제4끼움홈(240h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머리부(310') 및 상기 머리부(3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봉(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봉(320')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rain relief 300 has flanges 312 ', 313' are formed at both ends, the central portion 314 'is the first fitting groove 210h3, the second fitting groove 220h3, the third The insertion groove 230h3, the fourth insertion groove 240h3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ead portion 310 'and comprises a support rod 320'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ead 310 ' In addition, an end of the support rod 320 ′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100.

또한, 상기 변형방지구는 상기 벽면부(210, 220, 230, 240)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다리(L)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다리(L)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eformation prevention tool may be composed of a support leg (L)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wall portion (210, 220, 230, 240), the end of the support leg (L) is the base portion ( It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100).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different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100:베이스부
100h:고정홀
101:통공
210, 220, 230, 240:벽면부
210h1, 220h1, 230h1, 240h1:관통홀
210h2, 220h2, 230h2, 240h2:삽입홀
210h3, 220h3, 230h3, 240h3:끼움홈
300, 300':변형방지구
310:고정부싱
310':머리부
311:나사홀
312, 313:플랜지부
312', 313':플랜지부
314:중앙부
320:볼트
320':지지봉
P:압축성 패드
100: base part
100h: fixed hole
101: Through
210, 220, 230, 240: Wall part
210h1, 220h1, 230h1, 240h1: Through hole
210h2, 220h2, 230h2, 240h2: Insertion hole
210h3, 220h3, 230h3, 240h3: Fitting groove
300, 300 ': Strain Relief
310: Fixed high
310 ': head
311: screw hole
312, 313: flange
312 ', 313': Flange section
314: center part
320: Bolt
320 ': support rod
P: Compression pad

Claims (14)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의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벽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벽면부 중 일측 벽면부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벽면부 중 타측 벽면부에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벽면부의 단부 중앙 부분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벽면부가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단부가 지지되는 변형방지구가 구비되되,
상기 변형방지구는,
중심부를 관통하는 나사홀에 형성되고, 양단부에 플렌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싱; 및 상기 고정부싱의 내부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볼트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거나,
양단부에 플렌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지지봉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벽면부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A base part having a fixing hole formed therein; And
And at least one pair of wall surfaces bent and extended inwardly of the base portion at a position facing the edge of the base portion.
One side wall portion of the pair of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the other side wall portion of the pair of wall surface portion is configured to form an insertion hole is fixed by inserting the wire,
A fitting groove is formed at an end center portion of the wall surface portion, and the fitt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deformation preventing tool for supporting an end portion thereof to prevent the wall surface portion from being deformed inward.
The strain relief,
A fixing bushing formed in a screw hole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a flange portion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central portion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And a bolt screwed into the fixing bushing, so that the end of the bolt is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A flange portion formed at both ends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And a support ro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ead to be integrally formed, such that an end of the support rod is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It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wall portion,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 of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the b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벽면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ortion and the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wall surface portion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벽면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이웃하여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벽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이웃하여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
A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wire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wall portion,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is fixed to the wire is inserte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one side wall portion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벽면부의 관통홀과 상기 타측 벽면부의 삽입홀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측 벽면부의 삽입홀과 상기 타측 벽면부의 관통홀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3,
The through-hole of the one side wall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of the other side wall portion is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insertion hole of the one side wall portion and the through hole of the other side wall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Brackets for ground reinforce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의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두 쌍의 벽면부로 구성되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벽면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서로 마주하는 다른 한 쌍의 벽면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형성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3,
Consists of two pairs of wall surface portion which is bent and extend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t the position facing the edge of the base portion,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ation height of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pair of wall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other pair of wall portion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different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의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두 쌍의 벽면부로 구성되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벽면부에 형성된 삽입홀과 서로 마주하는 다른 한 쌍의 벽면부에 형성된 삽입홀의 형성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3,
Consists of two pairs of wall surface portion which is bent and extend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t the position facing the edge of the base portion,
Brackets for ground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ation height of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pair of wall surface por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other pair of wall surface portion facing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벽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the insertion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l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와이어가 인입되는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sertion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extending the portion where the wire is draw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고정홀의 주변 부분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ing hole of the b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는 압축성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ve pa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KR1020180040907A 2018-04-09 2018-04-09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KR102074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07A KR102074573B1 (en) 2018-04-09 2018-04-09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07A KR102074573B1 (en) 2018-04-09 2018-04-09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39A KR20190117939A (en) 2019-10-17
KR102074573B1 true KR102074573B1 (en) 2020-02-06

Family

ID=6842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07A KR102074573B1 (en) 2018-04-09 2018-04-09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57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91Y1 (en) * 2002-05-17 2002-09-09 금호엔지니어링 (주) A protective fence for falling rock with shock absorber
JP2008267136A (en) * 2008-05-12 2008-11-06 Hitoshi Shiobara Shearing resistance type anchoring disk
KR101638783B1 (en) * 2016-06-07 2016-07-12 주식회사 성화휀스 Falling stone prevention fence of dual connection structure with improved safe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7422B2 (en) * 1994-12-28 1998-08-20 東京製綱株式会社 Protective fences for avalanch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91Y1 (en) * 2002-05-17 2002-09-09 금호엔지니어링 (주) A protective fence for falling rock with shock absorber
JP2008267136A (en) * 2008-05-12 2008-11-06 Hitoshi Shiobara Shearing resistance type anchoring disk
KR101638783B1 (en) * 2016-06-07 2016-07-12 주식회사 성화휀스 Falling stone prevention fence of dual connection structure with improved safe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39A (en)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688B1 (e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openings and cross-sectional reinforcement structures
WO2005066419A1 (en) Method of applying prestress and connecting means used therein and prestressed concrete beam therefrom
KR101789567B1 (en) Concrete anchor block for strengthening an anchor component force on the slope
KR20200068205A (en) Seismic retrofit using strand and length adjustable truss
KR102074573B1 (en)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JP2004324265A (en) Bridge fall preventing device, movement limiting device and bridge fall preventing method
US3755980A (en) Bracing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 frames
KR20150010421A (en) Cap beam assembly
KR20070027432A (en) A fastener for fixing a reinforcing bar assembly, a mold panel, and a ceiling panel by fixing pin
JP6532906B2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precast wall column
KR102095634B1 (en)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KR102238294B1 (en) the high performance Hybrid beam structure for seismic reinforc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50801B1 (en)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for openings of building and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thereof
KR20180092499A (en) supporting system for strut using wale girders with plural row
KR100516769B1 (en) A reinforcement method by anchoring & tensioning steel strand.
KR1017617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inforcement a concrete structure using a pre stressed panel
JP3233259B2 (en) Steel column base using U-shaped anchor bolt
KR20190123408A (en)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Frames
KR101561043B1 (en) Composite pressing ahchoraging apparatus and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JP7059487B2 (en) Outer wall structure
CN211340846U (en) Arched waist rail
KR20180126261A (en) Seismic retrofitting structure by enlarged cross section
KR101803487B1 (en) Reinforcement for Connecting formwork
KR102285004B1 (en) Concrete Column Structures Reinforcing Method Using Reinforced Steel Plate
KR101980550B1 (en) Method of aseismic reinforcement for reinforcing columns of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