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427B1 - 특히 can 버스 시스템을 위한 호환 네트워크 노드 - Google Patents

특히 can 버스 시스템을 위한 호환 네트워크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427B1
KR101618427B1 KR1020140010977A KR20140010977A KR101618427B1 KR 101618427 B1 KR101618427 B1 KR 101618427B1 KR 1020140010977 A KR1020140010977 A KR 1020140010977A KR 20140010977 A KR20140010977 A KR 20140010977A KR 101618427 B1 KR101618427 B1 KR 101618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version
network node
bu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703A (ko
Inventor
마르쿠스 호프너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9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72Driv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3Management of data rate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제 1 프로토콜 또는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비활성화되고, 상이한 제 2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상이한 제 2 버전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비활성화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특히 에러 검출 로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특히 CAN 버스 시스템을 위한 호환 네트워크 노드{COMPATIBLE NETWORK NODE, IN PARTICULAR, FOR CAN BUS SYSTEM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1월 31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Compatible Network Node, In Particular, for can Bus Systems"인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759,10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것은 참조에 의하여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네트워크 노드에 관한 것이며, 특히, CAN 버스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및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전기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스, 특히 CAN 버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들에서, 다양한 개별 시스템 모듈들, 예를 들어, 다양한 전자/전기 어셈블리들, 다양한 전자/전기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집적 회로들 등과 같은 다양한 반도체 컴포넌트들, 동일한 컴포넌트 또는 집적 회로 등에 제공된 다양한 서브-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과 같은 전송 매체를 통해 통신한다.
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전송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들은 몇몇에 의해, 특히 각 시스템의 2개 이상의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에 의해 공동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수의 종래 버스 시스템들은 몇몇 부분 시스템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들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버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라인들로 구성되어 있는 어드레스 버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어 라인들로 구성되어 있는 제어 버스 등을 포함한다.
이것과 비교했을 때, 다른 버스 시스템들은 훨씬 더 단순한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소위 IBCB 버스(IBCB = Inter Block Communication Bus)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개별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전송 라인들을 포함할 뿐이다.
상대적으로 단순한 버스 시스템들에 대한 다른 예들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전송 라인들만을 포함하는 LIN 버스들 (LIN = 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 일반적으로 2개 또는 3개 라인들(예컨대, CAN_HIGH, CAN_LOW, 및 - 선택적으로는 - CAN_GND (ground))만을 포함하는 CAN 버스들 (CAN = Controller Area Network) 등이다.
CAN 프로토콜, 예를 들어 CAN 2.0 프로토콜에 따르면, CAN 버스를 통하여 전송되는 각 데이터 프레임은 다수의 미리 정의된 필드들(예컨대, "베이스 프레임 포맷(Base frame format)"에 정의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스타트 오브 프레임(start of frame)" 필드, "ID" 필드, "DLC(Data length code)" 필드, 그 뒤를 이어 "Data" 필드 (전송되는 실제의 유용한 데이터를 포함), "CRC(Cyclic redundancy checksum)" 필드 등 및 "EOF(End of frame)"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CAN 프로토콜에 따르면, 프레임들에 포함된 데이터는 미리 정의된 데이터 전송속도, 예를 들어 고속 버스의 경우 1 Mbit/s, 및 예를 들어, 저속 버스의 경우 125 kbit/s로 송신된다.
데이터 전송속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소위 CAN FD(CAN flexible data rate) 프로토콜이 정의되었다.
CAN FD 프로토콜에 따르면, CAN 프레임(즉, 실제의 유용한 데이터)의 "Data"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 - 그러나 CAN 프레임의 다른 필드들에는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 - 는 CAN 2.0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것보다 높은 전송 속도로 전송된다.
그러나, 상기 상이한 데이터 전송속도로 인해, CAN FD 프로토콜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은 일반적으로 CAN 2.0 프로토콜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과 호환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CAN FD 프로토콜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 및 CAN 2.0 프로토콜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 모두가 동일한 CAN 버스에 연결되는 경우, 문제들이 일어날 수 있다.
이들 또는 다른 이유들을 위해, 개선된 네트워크 노드, 특히, CAN 버스 시스템용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는 개선된 방법, 및 버스, 특히 CAN 버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개선된 전기 또는 전자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더욱 깊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한다. 본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 및 본 발명의 다수의 의도된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양호하게 이해될 시에 쉽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토콜 핸들러(protocol handler)를 구비한 네트워크 노드가 이용될 수 있는 버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자/전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프로토콜 핸들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검출 로직의 엔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것의 일부를 형성하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 특정 실시례들의 방식으로 나타낸 첨부 도면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또는 다른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의 견지에서 취해지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핸들러를 구비한 네트워크 노드가 이용될 수 있는 버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자/전기 시스템(1)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1)은 버스(2)를 통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한다.
컴포넌트들(1a, 1b, 1c)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여러개의 집적 회로들, 예를 들어 각각의 ASICS(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등,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집적 회로들, 또는 집적 회로들을 포함하는 컴포넌트들과 같은 반도체 컴포넌트들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1)은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모듈/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 예를 들어 2개보다 많거나, 특히 5개보다 많거나 10개인 모듈/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 예를 들어, 5개보다 많거나 10개인 별개의 집적 회로들을 포함한다.
버스(2)는,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2개의 각각의 전송 라인들(2a, 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데이터가, 예를 들어 차동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르게는, 버스가 예를 들어 단 하나의 전송 라인, 또는 2개 보다 많은,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전송 라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스(2)는 각각의 IBCB 버스(IBCB = Inter Block Communication Bus), 또는 LIN 버스(LIN = Local Interconnect Network),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버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 에서, 버스는 CAN 버스(CAN = Controller Area Network)이며, 2개 또는 3개의 전송 라인들(예컨대, 제 1 전송 라인(2a)("CAN_HIGH"), 제 2 전송 라인(2b)("CAN_LOW"), 및 - 선택적으로 - 제 3 전송 라인("CAN_GND(ground)"(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1)은, 연소 엔진, 및/또는 전기 엔진을 포함하는 운송 수단, 예를 들어 자동차, 트럭, 비행기, 헬리콥터, 모터사이클 등에서, 특히 자동차에서, 또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임의의 다른 종류의 산업 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임의의 종류의 자동화 환경에서, 예를 들어, 세탁기, 식기 세척기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버스(2)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은 상이한 프로토콜들/버스 프로토콜들, 또는 상이한 버전의 프로토콜들/버스 프로토콜들에 따라 사용/작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버스(2)(예컨대, 제 1 버전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컴포넌트들)에 연결된 하나 또는 여러개의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은, 예를 들어 버스(2)(예컨대, 제 2 버전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컴포넌트들)에 연결된 다른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 보다 -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스(2)에 연결된 하나 또는 여러개의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은 CAN 2.0 프로토콜에 따라 이용/작동할 수 있으며, 버스(2)에 연결된 하나 또는 여러개의 다른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은 CAN FD (CAN flexible data rate) 프로토콜에 따라 이용/작동할 수 있다.
CAN 프로토콜에 따르면, 버스(2)를 통해 전송되는 각 데이터 프레임은 다수의 미리 정의된 필드들, 예를 들어, "스타트 오브 프레임(start of frame)" 필드, "ID" 필드, "DLC(Data length code)" 필드, 그 뒤를 따르는 "Data" 필드(전송되는 실제의 유용한 데이터를 포함), "CRC(Cyclic redundancy checksum)" 필드 등 및 "EOF(End of fram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CAN 2.0 프로토콜에 따라 작동하는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은 버스(2)를 통하여 제 1 미리 정의된 데이터 전송 속도, 예를 들어 1 Mbit/s, 예를 들어 데이터 CAN 2.0 프로토콜에 정의된 전송 속도로 프레임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데이터 전송 속도는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 즉 "ID" 필드, "DLC" 필드, "EOF" 필드 등에 포함된 데이터 및 "Data" 필드에 포함된 실제 유용한 데이터에 대한 이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에 의해 이용된다.
한편, CAN FD(CAN flexible data rate) 프로토콜에 따라 작동하는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은, 상기 제 1 미리 정의된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높은 전송 속도, 예를 들어 CAN 2.0 프로토콜에 정의된 데이터 전송 속도로 CAN 프레임의 "Data"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즉, 실제의 유용한 데이터) - 그러나 CAN 프레임의 다른 필드들(예컨대, "ID" 필드, "DLC" 필드, "EOF" 필드 등에 포함된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는 아님 - 를 전송할 수 있다. "Data" 필드("제 2 의,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 FD 데이터 전송 속도)에 포함된 데이터를 위해 이용된 데이터 전송 속도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미리 정의된 데이터 전송 속도, 예컨대 CAN 2.0 프로토콜에 정의된 데이터 전송 속도에 비하여 10%, 25%, 50%보다 많이 높거나, 100% 보다 많이 높거나 또는 200% 보다 많이 높을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은 프로토콜 핸들러(11a, 11b, 11c)를 포함한다. 프로토콜 핸들러(11a, 11b, 11c)는, 예를 들어 버스(2)에 대한 직접적인 상호 연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CAN FD(CAN flexible data rate) 프로토콜에 따라 작동하는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 예를 들어 컴포넌트(1b)는 종래의 CAN FD 프로토콜 핸들러(11b), 특히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정밀한 발진기,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정밀한 수정 또는 크리스탈 발진기에 의해 제공된 상대적으로 정밀한 내부 발진기 신호를 이용하는 프로토콜 핸들러(11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예의 방식과 같이, CAN 2.0 프로토콜에 따라 작동하는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 예를 들어 컴포넌트(1a)는 전용 프로토콜 핸들러(11a)를 포함할 수 있다. CAN 2.0 컴포넌트의 프로토콜 핸들러(11a)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정밀하지 않은 발진기에 의해 제공되는 상대적으로 정밀하지 않은 내부 발진기 신호 OSC를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CAN 2.0 컴포넌트(1a)의 프로토콜 핸들러(11a)에 의해 이용된 내부 발진기 신호/ 발진기는, CAN FD 컴포넌트(11b)의 프로토콜 핸들러(11b)에 의해 이용되는 발진기 신호/발진기보다 덜 정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25%, 50% 보다 많이, 또는 100%보다 많이, 또는 200% 보다 많이 덜 정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잡도가 낮고, 크기가 더 작으며, 덜 비싸고, 및/또는 전력 소모가 더 적은 발진기가 사용될 수 있다.
버스(2)에 연결된 각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은, 예를 들어 정규 작동 모드, 또는 예를 들어 제 1 전력 절전 모드로 존재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나타낸 실시예들의 제 1 변형에서, 각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의 각 프로토콜 핸들러는, 프로토콜 핸들러가 버스(2) 상에서 임의의 데이터 트래픽(traffic)을 검출할 때 마다, 전력 절전 모드로부터 정규 작동 모드로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예컨대, 각 프로토콜 핸들러와 관련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그 일부)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서, 각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의 각 프로토콜 핸들러는, 프로토콜 핸들러가 각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로 향하는 버스(2) 상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검출하는 경우에만, 전력 절전 모드로부터 정규 동작 모드로 모듈들/컴포넌트들/요소들(1a, 1b, 1c)(또는 그 일부)을 움직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콜 핸들러(11a)는, 예를 들어 BTL(Bit Time Logic)(12), EOF(End of frame) 검출 로직(13), 상태 머신(14), 에러 검출 로직(16), 및 스토리지(15), 특히 수신된 CAN FD 제어 비트(EDL, BRS, ESI)용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2)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 RX는 BTL(Bit Time Logic)(12), 및 EOF(End of frame) 검출 로직(13)에 전달된다. 상대적으로 유사한, 상기 내부 발진기 신호 OSC는, BTL(Bit Time Logic )(12), 및 EOF(End of frame) 검출 로직(13)에 전달된다. 상기 신호들 RX는, 예를 들어 상기 전송 라인들(2a, 2b)상에 수신된 상기 차동 신호("CAN_HIGH", "CAN_LOW")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AN 2.0 컴포넌트(1a)의 프로토콜 핸들러(11a)/BTL(Bit Time Logic)(12)에 의해 사용되는 발진기 신호 OSC는, 대응하는 CAN FD 컴포넌트(예컨대, CAN FD 컴포넌트 (1b)의 프로토콜 핸들러(11b))의 대응하는 프로토콜 핸들러에 의해 사용되는 대응 발진기 신호보다 덜 정밀할 수 있다. 특히, CAN 2.0 컴포넌트(1a)의 프로토콜 핸들러(11a)/BTL(Bit Time Logic)(12)에 의해 사용되는 발진기 신호 OSC의 클록 주파수는 상기 제 1 미리 정의된 데이터 전송 속도, 예를 들어 CAN 2.0 프로토콜에 정의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폴트-프리(fault-free) 또는 실질적인 폴트-프리 샘플링을 허용할 만큼 높을 수 있지만, 상기 제 2 의,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FD 데이터 전송 속도)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폴트-프리 또는 실질적인 폴트 프리 샘플링을 허용하기에는 너무 낮을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BTL(Bit Time Logic)(12)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는 그 후에 상기 EOF(End of frame) 검출 로직(13), 상태 머신(14), 및 에러 검출 로직(16)에 제공될 수 있다.
종래의 CAN 2.0 컴포넌트들의 종래의 프로토콜 핸들러들 이외에, CAN 2.0 컴포넌트(1a)의 프로토콜 핸들러(11a)는 - 상태 머신(14)의 사용에 의해 - CAN FD 프로토콜 데이터 프레임 제어 필드 비트들, 즉 CAN FD 프로토콜에 따라 제공되나 CAN 2.0 프로토콜에 따라서는 제공되지 않는 (추가의) 제어 비트들을 디코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프로토콜 핸들러(11a)는, 상태 머신(14)의 사용에 의해, 수신된 CAN 데이터 프레임이 CAN 2.0 데이터 프레임인지 또는 CAN FD 데이터 프레임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태 머신(14)은, 수신된 CAN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CAN FD 관련 제어 비트들 EDL, BRS, 및/또는 ESI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스토리지(15)에 저장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CAN 2.0 데이터 프레임인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또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CAN FD 데이터 프레임이 아닌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에러 검출 로직(16)은 활성 상태로 유지되며(또는 활성화되며), 대응하는 에러 검출, 예를 들어, 비트 스터핑(bit stuffing), 및/또는 CRC 확인/체크섬(checksum) 확인, 및/또는 폼(form) 에러 확인이 수행된다. 에러 검출의 결과에 따라, 특히, 에러가 검출되는 경우, 에러 신호는, 컴포넌트(1a)에 의해, 버스(2)를 통하여 버스(2)에 연결된 다른 컴포넌트들(1b, 1c)로 송신될 수 있다. 에러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및/또는 데이터 프레임이 컴포넌트(1a)로 향하는 것으로 또한 검출되는 경우), 컴포넌트(1a)는 정규 작동 모드(그것이 여전히 상기 전력 절전 모드에 있는 경우)로 움직여 질 수 있다.
한편,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CAN FD 데이터 프레임인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에러 검출 로직(16)은 비활성화된다(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에는, 어떠한 에러 검출도 수행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어떠한 비트 스터핑, 및/또는 CRC 확인/체크섬 확인, 및/또는 폼 에러 확인도 수행되지 않는다. 대신에, 수신된 CAN 데이터 프레임이 삭제된다. 또한, 그 후에 프레임 엔드가 검출될 때까지, 상태 머신(14)은 대기 루프를 수행할 수 있다(하기 참조).
따라서, 에러 신호가 컴포넌트(1a)에 의해 버스(2)를 통하여 버스(2)에 연결된 다른 컴포넌트들(1b, 1c)로 송신되는 것이 방지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토콜 핸들러(11a)/BTL(Bit Time Logic)(12)에 의해 사용되는 발진기 신호 OSC의 클록 주파수가, 상기 제 2 의,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FD 데이터 전송 속도)를 포함하는 데이터, 즉 CAN FD 프레임의 "Data" 필드에 포함된 실제의 유용한 데이터의 폴트-프리 또는 실질적인 폴트 프리 샘플링을 허용하기엔 너무 낮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수신된 CAN FD 데이터 프레임이 삭제되기 때문에, 컴포넌트(1a)가 정규 작동 모드(그것이 계속 전력 절전 모드로 있는 경우)로 잘못 움직여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 후에 프레임의 엔드(EOF 필드)가 검출 되는 경우, 에러 검출 로직(16)은 다시 활성화될 수 있으며/있거나, 상태 머신(14)이 상기 대기 루프를 중단할 수 있다.
상기 CAN FD 프레임의 프레임 엔드(EOF 필드)를 검출하기 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검출 로직(100)의 엔드가 컴포넌트(1a)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검출 로직(100)의 엔드는 카운터(101), 및 필터/에지 검출 유닛(102)을 포함한다. 카운터(101)는, 라인(101a)를 통하여, BTL(Bit Time Logic)(12)에 의해 샘플링되는, 즉 상기 발진기 신호 OSC의 이용에 의해 샘플링되는, 비트들을 수신하며, BTL(Bit Time Logic)(12)로부터, 라인(101a)을 통하여, 수신되는 논리적 "1"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에지 검출 유닛(102)은, 라인(101b)을 통하여 버스(2)/그것의 개별 물리 계층에 직접 커플링된다. 버스(2)에 활성(activity)이 있을 때마다/에지가 버스에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될 때마다, 버스 활성 검출/에지 검출 신호가, 라인(101c)을 통하여, 필터/에지 검출 유닛(102)으로부터 카운터(101)로 전송되며, 그 후에 이는 0 으로 리셋된다.
카운터가 7의 카운트에 도달할 시(그 동안에 리셋됨 없이)에는, "프레임의 엔드"가 검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 및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도시 및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이 다양한 다른 및/또는 동등 구현들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논의된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임의의 응용들 또는 변형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그 동등물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22)

  1. 네트워크 노드로서,
    제 1 프로토콜 또는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에 따른 신호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버스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되고, 상이한 제 2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과 상이한 제 2 버전에 따른 신호가 상기 버스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비활성화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회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에러 검출 로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 로직은 비트 스터핑(bit stuffing), 및/또는 체크섬(checksum) 확인, 및/또는 폼 에러(form error) 확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은 CAN 버스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상이한 제 2 버전은 CAN 버스 프로토콜의 상이한 제 2 버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은 CAN FD 프로토콜이며,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제 2 버전은 CAN 2.0 프로토콜인
    네트워크 노드.
  6.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버스 상에 제 1 프로토콜 또는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관련된 에러 검출 회로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버스 상에 제 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 2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상이한 제 2 버전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에러 검출 회로를 비활성화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에 따른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엔드(end)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에러 검출 회로를 재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은 CAN FD 프로토콜이며,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제 2 버전은 CAN 2.0 프로토콜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10.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토콜 핸들러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버스 상에 제 1 프로토콜 또는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관련된 에러 검출 회로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또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 1 프로토콜 또는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컴포넌트와,
    제 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 2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상이한 제 2 버전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컴포넌트와,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상기 제 2 컴포넌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버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상기 제 2 컴포넌트 각각은 발진기(oscillator)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발진기는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발진기보다 더 정확한
    시스템.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포넌트는 제 1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컴포넌트는 제 2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는 상기 제 1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보다 낮은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컴포넌트는, 상기 제 1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이한 제 2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상이한 제 2 버전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비활성화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에러 검출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은 CAN FD 프로토콜이며,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상이한 제 2 버전은 CAN 2.0 프로토콜인
    시스템.
  16. 전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된 버스 상에 제 1 프로토콜 또는 제 1 프로토콜의 제 1 버전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에러 검출 로직을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스 상에 제 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 2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상이한 제 2 버전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에러 검출 로직을 비활성화시키지 않도록 구성되는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프레임 엔드 검출 로직(a end of frame detection logic)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엔드가 상기 프레임 엔드 검출 로직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에러 검출 로직을 재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엔드 검출 로직은 카운터(counter)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엔드 검출 로직은 필터 또는 에지 검출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또는 에지 검출기는 상기 버스 상의 활동(activity)을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를 리셋(reset)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40010977A 2013-01-31 2014-01-29 특히 can 버스 시스템을 위한 호환 네트워크 노드 KR101618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9107P 2013-01-31 2013-01-31
US61/759,107 2013-01-31
US13/871,043 US9280501B2 (en) 2013-01-31 2013-04-26 Compatible network node, in particular, for can bus systems
US13/871,043 2013-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703A KR20140098703A (ko) 2014-08-08
KR101618427B1 true KR101618427B1 (ko) 2016-05-04

Family

ID=5122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977A KR101618427B1 (ko) 2013-01-31 2014-01-29 특히 can 버스 시스템을 위한 호환 네트워크 노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80501B2 (ko)
KR (1) KR101618427B1 (ko)
CN (1) CN103973531A (ko)
DE (1) DE102014001197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646A (ko) * 2020-07-14 2022-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7846B2 (en) * 2012-07-17 2015-06-16 Teledyne Instrumen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bsea optical can buses
US9419737B2 (en) 2013-03-15 2016-08-16 Concio Holdings LLC High speed embedded protocol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s
EP2800316A1 (en) * 2013-05-01 2014-11-05 Renesas Electronics Europe GmbH Can fd
US9652423B2 (en) * 2013-06-05 2017-05-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N and flexible data rate CAN node apparatus and methods for mixed bus CAN FD communications
US10452504B2 (en) * 2013-10-02 2019-10-22 Nxp B.V. Controller area network (CAN) device and method for emulating classic CAN error management
EP2985955B1 (en) * 2014-08-15 2019-06-12 Nxp B.V. Controller area network (can) device and method for emulating classic can error management
US10673565B2 (en) 2014-09-30 2020-06-02 Concio Holdings LLC Confirming data accuracy in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KR101602225B1 (ko) * 2014-12-12 2016-03-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리프로그래밍 시스템 및 방법
US10326865B2 (en) 2015-03-24 2019-06-18 Concio Holdings LLC Filter or bridge for communications between CAN and CAN-FD protocol modules
US10153893B2 (en) * 2015-11-30 2018-12-11 Rohde & Schwarz Gmbh & Co. Kg Analysis device, analysi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0129150B2 (en) 2015-12-01 2018-11-13 Marvell World Trad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switched controller area network
CN106209841A (zh) * 2016-07-12 2016-12-07 四川大学 一种can fd通信协议验证系统
US11055615B2 (en) 2016-12-07 2021-07-06 Arilou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ignal waveform analysis for detecting a change in a wired network
CN109862054A (zh) * 2017-11-30 2019-06-07 北京通号国铁城市轨道技术有限公司 一种车载信号控制系统
EP3729766A1 (en) 2017-12-24 2020-10-28 Arilou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tunnel-based malware detection
US11323548B2 (en) 2019-01-20 2022-05-03 Arilou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pression based on data position in frames structure
CN110557313A (zh) * 2019-09-11 2019-12-10 福建省汽车工业集团云度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传统can与can fd的车载兼容网络及智能汽车
CN112491673B (zh) * 2019-09-12 2022-03-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总线网络管理方法、系统、车辆和存储介质
KR20220001350A (ko)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네트워크 라우팅 장치 및 방법
EP4231595A4 (en) * 2020-10-19 2023-11-15 Nissan Motor Co., Ltd. RELAY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DE102021205719A1 (de) 2021-06-07 2022-12-0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ende-Empfangseinrichtung für eine Teilnehmerstation eines seriellen Bussystems und Verfahren zur Kommunikation in einem seriellen Bussystem
CN113325780A (zh) * 2021-06-09 2021-08-3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通信系统以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2258A (ja) * 2010-03-02 2011-09-15 Renesas Electronics Corp CAN(ControllerAreaNetwork)システム、通信ユニット、及び通信方法
JP2012157003A (ja) * 2011-01-24 2012-08-16 Oce Printing Systems Gmbh 複数のデータバス区間を有する印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9205A1 (de) 1991-03-28 1992-10-0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aufbau von botschaften fuer den datenaustausch und/oder fuer die synchronisation von prozessen in datenverarbeitungsanlagen
US20020112070A1 (en) * 2000-12-08 2002-08-15 The Boeing Company Network controller for digitally controlling remote devices via a common bus
WO2002088972A1 (en) * 2001-04-26 2002-11-07 The Boeing Company A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proper termination and error free communication in a network bus
US6847316B1 (en) * 2003-10-31 2005-01-25 Ise Corporation Self-contained, on-board, CAN-to-fieldbus convert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E102008000561A1 (de) * 2008-03-07 2009-09-10 Robert Bosch Gmbh Kommunikationssystem mit einem CAN-Bu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Kommunikationssystems
DE102012101957B3 (de) * 2012-03-08 2013-05-29 Softing Ag Busteilnehmer-Einrichtung zum Anschluss an einen linienredundanten, seriellen Datenbu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Kommunikation eines Busteilnehmers mit einem linienredundanten, seriellen Datenbus
US9471528B2 (en) * 2012-11-02 2016-10-18 Nxp B.V. Controller area network (CAN) transceiv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CAN transceiver
DE102012224031A1 (de) 2012-12-20 2014-06-26 Robert Bosch Gmbh Datenübertragungsprotokoll mit Protokollausnahmezusta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2258A (ja) * 2010-03-02 2011-09-15 Renesas Electronics Corp CAN(ControllerAreaNetwork)システム、通信ユニット、及び通信方法
JP2012157003A (ja) * 2011-01-24 2012-08-16 Oce Printing Systems Gmbh 複数のデータバス区間を有する印刷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646A (ko) * 2020-07-14 2022-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4317B1 (ko) * 2020-07-14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412301B2 (en) 2020-07-14 2022-08-0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001197A1 (de) 2014-08-14
DE102014001197B4 (de) 2018-04-05
US20140215109A1 (en) 2014-07-31
KR20140098703A (ko) 2014-08-08
CN103973531A (zh) 2014-08-06
US9280501B2 (en)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427B1 (ko) 특히 can 버스 시스템을 위한 호환 네트워크 노드
KR102589373B1 (ko) 차량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웨이크업 방법 및 장치
US10241953B2 (en) Dynamic data-link selection over common physical interface
US724013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n 12C router
US6546496B1 (en) Network interface with power conservation using dynamic clock control
JP6538715B2 (ja) ハイブリッド仮想gpio
JP6469365B2 (ja) 汎用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汎用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
US20040268138A1 (en) Inter integrated circuit bus router
US20030014517A1 (en) Alerting system, architecture and circuitry
CN110535667A (zh) 用于选择性唤醒车辆网络中的通信节点的方法和装置
US20040267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ce detect and reset of a device coupled to an inter-integrated circuit router
US7630304B2 (en) Method of overflow recovery of I2C packets on an I2C router
EP3576353B1 (en) Flexible data rate handling in a data bus receiver
US68397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ing detection of serial bus device speed signals
KR20170117634A (ko) 네트워크에서 전력 공급 방법 및 장치
JP3920280B2 (ja) I2cルータを通じたデータ送信方法
US20040255071A1 (en) Inter-integrated circuit bus router for providing increased security
JP6332060B2 (ja) 車載ネットワーク
US20040255193A1 (en) Inter integrated circuit router err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60364245A1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in automotive network
Shreejith et al. Accelerating validation of time-triggered automotive systems on FPGAs
US7519846B2 (en) Detection of an in-band reset
KR101712370B1 (ko) 에러 패킷 분석을 지원하기 위한 이더넷 장치 및 시스템
JP2005004750A (ja) 集積回路間ルータ分析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4092970A1 (en) Monitoring controller area network (can) xl n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