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828B1 -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828B1
KR101617828B1 KR1020150129114A KR20150129114A KR101617828B1 KR 101617828 B1 KR101617828 B1 KR 101617828B1 KR 1020150129114 A KR1020150129114 A KR 1020150129114A KR 20150129114 A KR20150129114 A KR 20150129114A KR 101617828 B1 KR101617828 B1 KR 10161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cept
emphasis
detai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미선
Original Assignee
공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미선 filed Critical 공미선
Priority to KR102015012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F17/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은 온라인상의 인물, 사물 등이 포함된 각종 이미지 컨텐츠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이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미지 컨셉정보와 이미지 컨셉 추출을 위한 이미지 컨텐츠 내 이미지 강조점 선택항목 등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컨텐츠 DB와 유무선 통신 기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강조점의 선택과 평가를 통해 이미지 컨셉이 추출되는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비전문가인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서도 이미지 컨셉 도출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메인 이미지 컨셉의 추출과 표시, 이미지 세부컨셉의 추출과 표시, 메인 이미지 컨셉과 이미지 세부컨셉의 동시 추출과 표시 등 다양한 범주 수준(category level)에서 추출될 수 있는 컨셉을 단독으로 표시하거나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Quantitative evaluation network-based system for extracting image concept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온라인상의 인물, 사물 등이 포함된 각종 이미지 컨텐츠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이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미지 컨셉정보와 이미지 강조점 선택항목 등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컨텐츠 DB와 유무선 통신 기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강조점의 선택과 평가를 통해 이미지 컨셉이 추출되는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비전문가인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서도 이미지 컨셉 도출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메인 이미지 컨셉의 추출과 표시, 이미지 세부컨셉의 추출과 표시, 메인 이미지 컨셉과 이미지 세부컨셉의 동시 추출과 표시 등 다양한 범주 수준(category level)에서 추출될 수 있는 컨셉을 단독으로 표시하거나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각종 제품 디자인이나 제품/인물의 이미지연출에 대한 컨셉 분석 및 평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컨셉은 해당 이미지에서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연상되는 특정 관념을 지칭하는 것으로, 제품 디자인이나 이미지연출이 고유한 개성이나 특성으로 추구되는 현대사회의 경향에 따라 이미지 컨셉의 선정, 분석, 평가 등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미지 컨셉의 선정이나 활용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24189호 "의류디자인 개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류디자인 개발 방법" 등이 안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컨셉은 현재 소수의 관련분야 전문가에 의해 정성적으로 도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미지 컨셉의 도출과정 및 결과가 비논리적이고 주관적인 한계가 있었다.
한편 이미지 컨셉과 관련된 취양 아이디 코드의 생성, 진단, 정보제공 등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30034호 "취향 아이디 코드의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그리고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등록번호 제10-1345119호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의 특허기술이 안출되어 있으나, 이미지 컨셉의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도출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세스 개발이 보완될 필요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24189호 "의류디자인 개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류디자인 개발 방법"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30034호 "취향 아이디 코드의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그리고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45119호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이미지 컨텐츠의 특성에 맞추어 설정되는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를 제공받은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에 따른 리커드 척도 평가 처리나 통계값 처리에 의한 정량적 평가에 의해 이미지 강조점이 결정되도록 하고, 서로 매칭되는 이미지 강조점과 이미지 컨셉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며, 정량적 평가에 의해 결정된 이미지 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컨셉이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에 기반하여 도출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의 인물, 사물 등이 포함된 각종 이미지 컨텐츠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이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추출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강조점의 하위 세부강조점 선택항목들로부터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가 특정 항목을 선택하고, 필요시 리커드 척도를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리커드 척도 평가 처리나 통계값 처리에 의한 정량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이미지 강조점와 더불어 하위 세부강조점이 결정되도록 하고, 서로 매칭되는 하위 세부강조점과 이미지 세부컨셉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며, 정량적 평가에 의해 결정된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이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에 기반하여 도출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의 인물, 사물 등이 포함된 각종 이미지 컨텐츠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이나 이미지 세부컨셉이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추출될 수 있고, 다양한 범주 수준(category level)에서 컨셉을 추출하고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 등으로 다양한 범주 수준(category level)에서 추출될 수 있는 컨셉을 단독으로 표시(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 단독 표시)하거나, 조합하여 표시(메인 이미지 컨셉과 이미지 세부컨셉을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 DB, 이미지 세부컨셉정보 컨텐츠 DB,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 DB 등을 통해 이미지 컨셉정보, 이미지 세부컨셉정보, 이미지 컨셉 추출을 위한 이미지 컨텐츠 내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과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등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고, 클라인언트 단말기에 설치되거나 웹서버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구동되는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과, 유무선 통신 기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강조점의 선택과 평가를 통해 이미지 컨셉이 추출되도록 함으로써 비전문가인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서도 이미지 컨셉 도출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운용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 이루어지되,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는 이미지 컨텐츠(1)의 컨셉을 검출하기 위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가 출력되고, 출력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입력받게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를 이루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연동되고,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와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 및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이 설정되어 관리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를 전달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평가자 선택정보를 전달받는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이미지 컨텐츠(1)의 컨셉이 추출되도록 하는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는, 이미지 컨텐츠(1)에서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에 매칭되는 메인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기 위한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이 이미지 컨텐츠(1)의 특성별로 분류되어 설정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a)을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는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에 포함되어 출력되는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들 중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이미지 강조점으로 선택되는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선택정보로 입력받게 되며,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되는 메인 이미지 컨셉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을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컨셉 평가자별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리커드 척도평가값 처리와 통계값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이미지 컨텐츠(1)의 이미지 강조점을 결정한 다음,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된 메인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는, 이미지 강조점의 포함되는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가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이 이미지 강조점의 특성별로 분류되어 설정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b)을 더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는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에 포함되어 출력되는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들 중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하위 세부강조점으로 선택되는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선택정보로 입력받게 되며, 하위 세부강조점에 연동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을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컨셉 평가자별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통계값 처리와 리커드 척도평가값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이미지 컨텐츠(1)의 하위 세부강조점을 결정한 다음, 하위 세부강조점에 연동된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출하게 되되,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 중에서 하나만이 선택되어 단독으로 표시되도록 하거나, 메인 이미지 컨셉와 이미지 세부컨셉이 모두 선택되어 조합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의 출력 패턴과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관리하게 되되, 이미지 컨텐츠(1)의 특성에 맞추어 설정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되는 평가자 선택정보를 전달받게 되는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과;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이 설정되어 저장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를 이루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평가자 선택정보를 수신하며,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전체 평가자 선택정보로부터 도출되는 평가 결과값에 대응하는 이미지 컨셉을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로부터 추출하게 되는 관리서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은, 이미지 컨셉 추출 대상으로 선정된 이미지 컨텐츠(1)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이미지 컨텐츠 출력모듈(311)과; 출력된 이미지 컨텐츠(1)에 연동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을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출력모듈(312)과; 출력된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관리서버(32)로 전달하는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을 포함하되,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은,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리커드 척도 평가가 수행되도록 리커드 척도 평가창(4)을 출력하고, 이미지 컨셉 평가자로부터 리커드 척도 평가값을 입력받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리커드 척도 평가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리커드 척도 평가모듈(3131)과; 출력된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 중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통계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계값 선택정보 관리모듈(3132)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은, 관리서버(32)의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추출된 메인 이미지 컨셉에 매칭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을 관리서버(32)로부터 전달받아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이미지 강조점 출력모듈(314)과; 이미지 강조점에 포함되는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가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을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출력모듈(315)을 더 포함하고,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은 출력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관리서버(32)로 전달하게 되되,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은 리커드 척도 평가모듈(3131)을 통해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리커드 척도 평가가 수행되도록 리커드 척도 평가창(4)을 출력하고, 이미지 컨셉 평가자로부터 리커드 척도 평가값을 입력받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리커드 척도 평가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거나, 통계값 선택정보 관리모듈(3132)을 통해 출력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 중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통계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관리서버(32)는, 이미지 컨텐츠(1)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컨셉정보가 설정되고, 이미지 강조점과 이미지 컨셉정보의 연동정보가 저장되는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 DB(321)와; 이미지 강조점의 포함되는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정보가 설정되고, 하위 세부강조점과 이미지 세부컨셉정보의 연동정보가 저장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정보 컨텐츠 DB(322)와;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a)과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b)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 DB(323)와;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를 이루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평가자 선택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평가자 선택정보 수신모듈(324)과;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전체 평가자 선택정보로부터 도출되는 평가 결과값으로부터 이미지 컨텐츠(1)의 이미지 강조점을 결정하는 이미지 강조점 결정모듈(325)과;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되는 이미지 컨셉을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로부터 추출하게 되는 이미지 컨셉 추출모듈(32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은, 이미지 컨셉 추출 대상으로 선정된 이미지 컨텐츠(1)에 연동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최다 선택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과,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입력되는 리커드 척도 평가값의 총합이 가장 큰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해당 이미지 컨텐츠(1)의 이미지 강조점으로 결정하는 이미지 강조점 결정단계와;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를 검색하여 상기 이미지 강조점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는 이미지 컨셉 추출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은 상기 이미지 컨셉 추출단계 이후에 하위 세부강조점 결정단계와 이미지 세부컨셉 추출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하위 세부강조점 결정단계는 이미지 강조점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최다 선택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해당 이미지 컨텐츠(1)의 하위 세부강조점으로 결정하는 단계이거나, 이미지 강조점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최다 선택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과,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입력되는 리커드 척도 평가값의 총합이 가장 큰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해당 이미지 컨텐츠(1)의 하위 세부강조점으로 결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이미지 세부컨셉 추출단계는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를 검색하여 상기 하위 세부강조점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하위 세부강조점에 연동되어 있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 의하면, 온라인상의 인물, 사물 등이 포함된 각종 이미지 컨텐츠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이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추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 의하면, 비전문가인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서도 이미지 컨셉 도출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이미지 컨셉의 추출과 더불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이미지 세부컨셉의 추출도 가능하여 다양한 범주 수준(category level)에서 컨셉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 등으로 다양한 범주 수준에서 추출된 컨셉을 단독으로 표시(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 단독 표시)하거나, 조합하여 표시(메인 이미지 컨셉과 이미지 세부컨셉을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 의하면, 이미지 컨셉 평가자가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에 의해 제공되는 선택항목을 선택하고, 리커드 척도 평가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이미지 컨셉이 추출되는 것임에 따라 이미지 컨셉추출 방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되는 이미지 컨셉은 다양한 분야의 융합 비즈니스에 활용될 수 있으며, 각종 제품 디자인이나 제품/인물의 이미지연출에 대한 컨셉 분석 및 평가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에 의해 이미지 컨텐츠의 이미지 컨셉이 추출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의 기본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가 클라이언트 단말기 화면창에 출력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이미지 세부컨셉의 추출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과 리커드 척도 평가창이 클라이언트 단말기 화면창에 출력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의 상세한 구성과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상세한 구성과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8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추출 알고리즘의 상세한 구성과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추출 알고리즘을 통해 여성 얼굴에 대한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이미지 컨텐츠, 이미지 컨셉, 이미지 컨셉의 추출/분석/평가, 리커드 척도, 웹서버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100)은 도 1에서와 같이 특정 이미지 컨텐츠(1)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을 결정하고, 이미지 강조점에 매칭되는 메인 이미지 컨셉을 이미지 컨텐츠(1)의 컨셉으로 추출하거나, 특정 이미지 컨텐츠(1)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과 하위 세부강조점을 리커드 척도 평가값 처리나 통계값 처리를 통해 결정하고, 이미지 강조점의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이미지 컨텐츠(1)의 컨셉으로 추출한 다음, 메인 이미지 컨셉과 이미지 세부컨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만을 이미지 컨텐츠(1)의 컨셉으로 단독 표시하거나, 메인 이미지 컨셉과 이미지 세부컨셉의 조합을 이미지 컨텐츠(1)의 컨셉으로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100)을 통해 다양한 범주 수준(category level)에서 컨셉을 추출하고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 등으로 다양한 범주 수준(category level)에서 추출될 수 있는 컨셉을 단독으로 표시(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 단독 표시)하거나, 조합하여 표시(메인 이미지 컨셉과 이미지 세부컨셉을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미지 컨텐츠(1)의 컨셉은 그림, 사진, 문장, 단어, 숫자, 기호, 부호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QR, RFID, 비콘 등의 접촉/비접촉형 능동/수동식 통신매체로 생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100)은 다양한 이미지 컨텐츠(1)의 이미지 컨셉 추출에 적용될 수 있는데, 감성 제품이나 사람의 이미지연출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100)은 도 2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와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는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운용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 이루어진다.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는 이미지 컨텐츠(1)의 컨셉을 검출하기 위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가 출력되고, 출력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는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가 사용될 수 있고, 이미지 컨셉 평가용 전용 단말기가 제작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미지 컨텐츠(1)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오프라인 상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서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는 도 3에서와 같이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a)과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a)은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것이며,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b)은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a)은 이미지 컨텐츠(1)에서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에 매칭되는 메인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기 위한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이 이미지 컨텐츠(1)의 특성별로 분류되어 설정된 것이다.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은 도 1에서와 같이 꽃무늬의 파스텔톤 원피스가 이미지 컨텐츠로 제시될 경우 파스텔 색상, 큰 꽃무늬, 셔링, 여성스런 허리 형태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미지 강조점과 연동된 메인 이미지 컨셉을 추출할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과 리커드 척도 평가창(4)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에 출력되도록 한다.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b)은 이미지 강조점의 포함되는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가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이 이미지 강조점의 특성별로 분류되어 설정된 것이다.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은 도 1에서와 같이 이미지 강조점이 꽃무늬인 경우 자연적 꽃무늬, 그래픽 꽃무늬, 기하학적 꽃무늬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하위 세부강조점과 연동된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출할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과 리커드 척도 평가창(4)이 클라이언트 단말기 화면창에 출력되도록 한 다음,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에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하위 세부강조점과 연동된 이미지 세부컨셉 추출은 리커드 척도 평가창(4)의 출력 없이 수행될 수도 있고, 리커드 척도 평가창(4)의 출력을 통해 리커드 척도 평가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를 이루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연동되는 것으로,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와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 및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이 설정되어 관리된다. 이와 같은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를 전달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평가자 선택정보를 전달받는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이미지 컨텐츠(1)의 컨셉이 추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도 4에서와 같이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과 관리서버(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은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의 출력 패턴과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은 이미지 컨텐츠(1)의 특성에 맞추어 설정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되는 평가자 선택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온라인 다운로드 설치와 오프라인 패키지 프로그램 설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치되는 단말기 설치형 프로그램(31a)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의 (b)에서와 같이 관리서버(32)에 포함된 웹서버(32a)로부터 제공되는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구동되는 웹 프로그램(31b)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은 도 5에서와 같이 이미지 컨텐츠 출력모듈(311),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출력모듈(312),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 컨텐츠 출력모듈(311)은 이미지 컨셉 추출 대상으로 선정된 이미지 컨텐츠(1)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모듈이다. 물론 이미지 컨텐츠는 오프라인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서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출력모듈(312)은 출력된 이미지 컨텐츠(1)에 연동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을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모듈이다.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은 출력된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관리서버(32)로 전달하는 모듈이다. 이와 같은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은 리커드 척도 평가모듈(3131)과 통계값 선택정보 관리모듈(3132)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커드 척도 평가모듈(3131)은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리커드 척도 평가가 수행되도록 리커드 척도 평가창(4)을 출력하고, 이미지 컨셉 평가자로부터 리커드 척도 평가값을 입력받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리커드 척도 평가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통계값 선택정보 관리모듈(3132)은 출력된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 중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통계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관리서버(32)는 리커드 척도 평가값 처리나 통계값 처리를 통해 이미지 강조점을 결정하고,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된 메인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은 도 6에서와 같이 이미지 강조점 출력모듈(314)과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출력모듈(315)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미지 강조점 출력모듈(314)은 관리서버(32)의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추출된 메인 이미지 컨셉에 매칭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을 관리서버(32)로부터 전달받아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모듈이다.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출력모듈(315)은 이미지 강조점에 포함되는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가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을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모듈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의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은 도 6에서와 같이 출력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관리서버(32)로 전달하게 된다. 관리서버(32)는 하위 세부강조점을 결정하고, 하위 세부강조점에 연동된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출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의 통계값 선택정보 관리모듈(3132)은 출력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 중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통계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리커드 척도 평가모듈(3131)을 활성화시켜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에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을 출력하고, 출력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에 대한 리커드 척도 평가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미지 컨셉 평가자는 자신이 선택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에 대한 리커드 척도 평가값을 입력하게 된다. 리커드 척도 평가모듈(3131)은 이미지 컨셉 평가자로부터 리커드 척도 평가값을 입력받아 관리서버(32)로 전달하게 된다. 관리서버(32)는 통계값 처리나 리커드 척도평가값 처리를 통해 하위 세부강조점을 결정하고, 하위 세부강조점에 연동된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출하게 된다.
관리서버(32)는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이 설정되어 저장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를 이루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평가자 선택정보를 수신하며,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전체 평가자 선택정보로부터 도출되는 평가 결과값에 대응하는 이미지 컨셉을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32)는 도 7에서와 같이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 DB(321), 이미지 세부컨셉정보 컨텐츠 DB(322),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 DB(323), 평가자 선택정보 수신모듈(324), 이미지 강조점 결정모듈(325), 이미지 컨셉 추출모듈(32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 DB(321)는 이미지 컨텐츠(1)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컨셉정보가 설정되고, 이미지 강조점과 이미지 컨셉정보의 연동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미지 강조점과 이미지 컨셉정보의 연동정보는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이를 위하여 통계적 자료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세부컨셉정보 컨텐츠 DB(322)는 이미지 강조점의 포함되는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정보가 설정되고, 하위 세부강조점과 이미지 세부컨셉정보의 연동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하위 세부강조점과 이미지 세부컨셉정보의 연동정보도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 DB(323)는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a)과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b)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a)은 이미지 컨텐츠(1)의 특성에 맞추어 이미지 컨텐츠(1) 별로 설정되는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들로 구성되고,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b)은 이미지 강조점의 특성에 맞추어 이미지 강조점 별로 설정되는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들로 구성된다.
평가자 선택정보 수신모듈(324)은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를 이루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평가자 선택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모듈이다. 이와 같은 평가자 선택정보 수신모듈(324)은 이미지 강조점과 연동된 메인 이미지 컨셉을 추출할 경우, 이미지 컨셉 평가자가 선정한 특정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평가자 선택정보로 수신하게 되는 한편, 해당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리커드 척도 평가값도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하위 세부강조점과 연동된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출할 경우에는 평가자 선택정보 수신모듈(324)은 이미지 컨셉 평가자가 선정한 특정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평가자 선택정보로 수신하게 된다. 이때 해당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리커드 척도 평가값도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 강조점 결정모듈(325)은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전체 평가자 선택정보로부터 도출되는 평가 결과값으로부터 이미지 컨텐츠(1)의 이미지 강조점을 결정하거나 하위 세부강조점을 결정하는 모듈이다.
이미지 컨셉 추출모듈(326)은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되는 이미지 컨셉을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 DB(321)로부터 추출하거나, 하위 세부강조점에 연동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이미지 세부컨셉정보 컨텐츠 DB(322)로부터 추출하게 되는 모듈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은 도 8의 (a)에서와 같이 이미지 강조점 결정단계, 이미지 컨셉 추출단계를 기본 단계로 수행하게 되고, 도 8의 (b)와 (c)에서와 같이 이미지 컨셉 추출단계 이후에 하위 세부강조점 결정단계와 이미지 세부컨셉 추출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강조점 결정단계는 도 1에서와 같이 이미지 컨셉 추출 대상으로 선정된 이미지 컨텐츠(1)에 연동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최다 선택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과,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입력되는 리커드 척도 평가값의 총합이 가장 큰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해당 이미지 컨텐츠(1)의 이미지 강조점으로 결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최다 선택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이 2개 이상 존재할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리커드 척도 평가값의 총합이 가장 큰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이미지 강조점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미지 컨셉 추출단계는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를 검색하여 상기 이미지 강조점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하위 세부강조점 결정단계는 리커드 척도 평가가 적용되지 않을 경우 도 8의 (b)에서와 같이 이미지 강조점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최다 선택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해당 이미지 컨텐츠(1)의 하위 세부강조점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와 달리 리커드 척도 평가가 적용될 경우 하위 세부강조점 결정단계는 도 8의 (c)에서와 같이 이미지 강조점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최다 선택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과,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입력되는 리커드 척도 평가값의 총합이 가장 큰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해당 이미지 컨텐츠(1)의 하위 세부강조점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미지 세부컨셉 추출단계는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를 검색하여 상기 하위 세부강조점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하위 세부강조점에 연동되어 있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에 의해 하나만이 선택되어 단독으로 표시(메인 이미지 컨셉 단독 표시, 이미지 세부컨셉 단독 표시)되도록 하거나, 메인 이미지 컨셉와 이미지 세부컨셉이 모두 선택되어 조합으로 표시(메인 이미지 컨셉와 이미지 세부컨셉의 조합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은 다양한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컨셉을 추출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데, 사진으로 제시되거나 실물의 여성 얼굴로부터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얼굴의 구성요소인 얼굴형태, 눈, 코, 입 등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이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 화면창에 출력되고, 사진으로 제시되거나 실물의 여성 얼굴에서 가장 강조되고 있는 이미지 강조점(emphasis point)이라고 생각되는 항목을 각 이미지 컨셉 평가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입력하게 된다.
그 결과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여성 얼굴의 이미지 강조점을 "눈"이라고 선택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가 2명, "얼굴형태"라고 선택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가 2명, "입"이라고 선택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가 1명이고, 이미지 강조점을 "눈"으로 선택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 2명의 리커드 척도 평가값 총합은 14점, 이미지 강조점을 "얼굴형태"로 선택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 2명의 리커드 척도 평가값 총합은 16점이면, "얼굴형태"가 더 강한 이미지로서 상기 여성 얼굴의 이미지 강조점이 될수 있다. 여기서 리커드 척도가 세분화될수록 좀더 디테일한 결과가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얼굴형태"에서 "동그란 얼굴"이라는 하위 세부강조점이 선택되면, 최종적으로 "동그란 얼굴"에 연동된 컨셉으로서 아이같은 “어리고 귀여운”이라는 이미지의 컨셉이 추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100)은 이미지 컨텐츠(1)의 특성에 맞추어 설정되는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를 제공받은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에 따른 리커드 척도 평가 처리나 통계값 처리에 의한 정량적 평가에 의해 이미지 강조점이 결정되도록 하고, 서로 매칭되는 이미지 강조점과 이미지 컨셉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며, 정량적 평가에 의해 결정된 이미지 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컨셉이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에 기반하여 도출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의 인물, 사물 등이 포함된 각종 이미지 컨텐츠(1)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이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100)은 이미지 강조점의 하위 세부강조점 선택항목들로부터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가 특정 항목을 선택하고, 필요시 리커드 척도를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리커드 척도 평가 처리나 통계값 처리에 의한 정량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이미지 강조점와 더불어 하위 세부강조점이 결정되도록 하고, 서로 매칭되는 하위 세부강조점과 이미지 세부컨셉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며, 정량적 평가에 의해 결정된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이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에 기반하여 도출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의 인물, 사물 등이 포함된 각종 이미지 컨텐츠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이나 이미지 세부컨셉이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추출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이미지 컨셉의 추출과 더불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이미지 세부컨셉의 추출도 가능하여 다양한 범주 수준(category level)에서 컨셉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100)은 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 등으로 다양한 범주 수준에서 추출된 컨셉을 단독으로 표시(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 단독 표시)하거나, 조합하여 표시(메인 이미지 컨셉과 이미지 세부컨셉을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100)은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 DB(321), 이미지 세부컨셉정보 컨텐츠 DB(322),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 DB(323) 등을 통해 이미지 컨셉정보, 이미지 세부컨셉정보, 이미지 컨셉 추출을 위한 이미지 컨텐츠(1) 내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과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 등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설치되거나 웹서버(32a)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구동되는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과, 유무선 통신 기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강조점의 선택과 평가를 통해 이미지 컨셉이 추출되도록 함으로써 비전문가인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서도 이미지 컨셉 도출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이미지 컨텐츠
2 :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
2a :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
2c :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2b :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
2d :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3 :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
4 : 리커드 척도 평가창
10 : 클라이언트 단말기
20 :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
30 :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
31 :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
31a : 단말기 설치형 프로그램
31b : 웹 프로그램
311 : 이미지 컨텐츠 출력모듈
312 :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출력모듈
313 :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
3131 : 리커드 척도 평가모듈
3132 : 통계값 선택정보 관리모듈
314 : 이미지 강조점 출력모듈
315 :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출력모듈
32 : 관리서버
32a : 웹서버
321 :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 DB
322 : 이미지 세부컨셉정보 컨텐츠 DB
323 :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 DB
324 : 평가자 선택정보 수신모듈
325 : 이미지 강조점 결정모듈
326 : 이미지 컨셉 추출모듈
40 : 컨셉 추출 알고리즘
100 :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Claims (9)

  1.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운용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 이루어지되,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는 이미지 컨텐츠(1)의 컨셉을 검출하기 위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가 출력되고, 출력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입력받게 되되,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는, 이미지 컨텐츠(1)에서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에 매칭되는 메인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기 위한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이 이미지 컨텐츠(1)의 특성별로 분류되어 설정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a)을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는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에 포함되어 출력되는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들 중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이미지 강조점으로 선택되는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선택정보로 입력받게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를 이루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연동되고,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와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 및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이 설정되어 관리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를 전달하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컨셉 평가자별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평가자 선택정보로서 전달받는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이미지 컨텐츠(1)의 이미지 강조점이 결정된 다음,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된 메인 이미지 컨셉이 추출되도록 하는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를 포함하고,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을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컨셉 평가자별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리커드 척도평가값 처리와 통계값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이미지 컨텐츠(1)의 이미지 강조점을 결정한 다음,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된 메인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되는 메인 이미지 컨셉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는, 이미지 강조점의 포함되는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가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이 이미지 강조점의 특성별로 분류되어 설정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b)을 더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는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에 포함되어 출력되는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들 중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하위 세부강조점으로 선택되는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선택정보로 입력받게 되며,
    하위 세부강조점에 연동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이 사전 설정(pre-setting)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을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컨셉 평가자별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통계값 처리와 리커드 척도평가값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이미지 컨텐츠(1)의 하위 세부강조점을 결정한 다음, 하위 세부강조점에 연동된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출하게 되되,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메인 이미지 컨셉, 이미지 세부컨셉 중에서 하나만이 선택되어 단독으로 표시되도록 하거나, 메인 이미지 컨셉와 이미지 세부컨셉이 모두 선택되어 조합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미지 컨셉 추출 유니트(30)는,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의 출력 패턴과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관리하게 되되, 이미지 컨텐츠(1)의 특성에 맞추어 설정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되는 평가자 선택정보를 전달받게 되는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과;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2),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이 설정되어 저장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를 이루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평가자 선택정보를 수신하며,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전체 평가자 선택정보로부터 도출되는 평가 결과값에 대응하는 이미지 컨셉을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로부터 추출하게 되는 관리서버(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은, 이미지 컨셉 추출 대상으로 선정된 이미지 컨텐츠(1)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이미지 컨텐츠 출력모듈(311)과;
    출력된 이미지 컨텐츠(1)에 연동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을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출력모듈(312)과;
    출력된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관리서버(32)로 전달하는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을 포함하되,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은,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리커드 척도 평가가 수행되도록 리커드 척도 평가창(4)을 출력하고, 이미지 컨셉 평가자로부터 리커드 척도 평가값을 입력받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리커드 척도 평가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리커드 척도 평가모듈(3131)과; 출력된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 중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통계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계값 선택정보 관리모듈(3132)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프로그램(31)은, 관리서버(32)의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추출된 메인 이미지 컨셉에 매칭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을 관리서버(32)로부터 전달받아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이미지 강조점 출력모듈(314)과;
    이미지 강조점에 포함되는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가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을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화면창으로 출력시키는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출력모듈(315)을 더 포함하고,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은 출력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d)에 대한 이미지 컨셉 평가자의 선택정보를 관리서버(32)로 전달하게 되되,
    평가자 선택정보 관리모듈(313)은 리커드 척도 평가모듈(3131)을 통해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에 대한 리커드 척도 평가가 수행되도록 리커드 척도 평가창(4)을 출력하고, 이미지 컨셉 평가자로부터 리커드 척도 평가값을 입력받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리커드 척도 평가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거나, 통계값 선택정보 관리모듈(3132)을 통해 출력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2c) 중에서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선정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관리서버(32)로 전달하여 통계값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관리서버(32)는, 이미지 컨텐츠(1)에 강조되어 있는 이미지 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컨셉정보가 설정되고, 이미지 강조점과 이미지 컨셉정보의 연동정보가 저장되는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 DB(321)와;
    이미지 강조점의 포함되는 하위 세부강조점에 매칭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정보가 설정되고, 하위 세부강조점과 이미지 세부컨셉정보의 연동정보가 저장되는 이미지 세부컨셉정보 컨텐츠 DB(322)와;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a)과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모듈(2b)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컨셉 추출용 선택항목 컨텐츠 DB(323)와;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니트(20)를 이루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평가자 선택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평가자 선택정보 수신모듈(324)과;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에 의해 전체 평가자 선택정보로부터 도출되는 평가 결과값으로부터 이미지 컨텐츠(1)의 이미지 강조점을 결정하는 이미지 강조점 결정모듈(325)과;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되는 이미지 컨셉을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로부터 추출하게 되는 이미지 컨셉 추출모듈(3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은, 이미지 컨셉 추출 대상으로 선정된 이미지 컨텐츠(1)에 연동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최다 선택된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과,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입력되는 리커드 척도 평가값의 총합이 가장 큰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해당 이미지 컨텐츠(1)의 이미지 강조점으로 결정하는 이미지 강조점 결정단계와;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를 검색하여 상기 이미지 강조점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이미지 강조점에 연동되어 있는 이미지 컨셉을 추출하는 이미지 컨셉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컨셉 추출 알고리즘(40)은 상기 이미지 컨셉 추출단계 이후에 하위 세부강조점 결정단계와 이미지 세부컨셉 추출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하위 세부강조점 결정단계는 이미지 강조점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최다 선택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을 해당 이미지 컨텐츠(1)의 하위 세부강조점으로 결정하는 단계이거나, 이미지 강조점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최다 선택된 하위 세부강조점 후보 선택항목과, 복수의 이미지 컨셉 평가자에 의해 입력되는 리커드 척도 평가값의 총합이 가장 큰 이미지 강조점 후보 선택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해당 이미지 컨텐츠(1)의 하위 세부강조점으로 결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이미지 세부컨셉 추출단계는 이미지 컨셉정보 컨텐츠(3)를 검색하여 상기 하위 세부강조점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하위 세부강조점에 연동되어 있는 이미지 세부컨셉을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KR1020150129114A 2015-09-11 2015-09-11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KR10161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114A KR101617828B1 (ko) 2015-09-11 2015-09-11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114A KR101617828B1 (ko) 2015-09-11 2015-09-11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828B1 true KR101617828B1 (ko) 2016-05-12

Family

ID=5602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114A KR101617828B1 (ko) 2015-09-11 2015-09-11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195A (ko)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스타일큐 이미지컨셉 확정시스템 및 확정방법
KR20190033934A (ko)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스타일큐 컨셉 추출 알고리즘에 의한 이미지 추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34B1 (ko) 2011-08-11 2013-03-15 공미선 취향 아이디 코드의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그리고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KR101345119B1 (ko) 2013-01-30 2014-01-27 공미선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34B1 (ko) 2011-08-11 2013-03-15 공미선 취향 아이디 코드의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그리고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KR101345119B1 (ko) 2013-01-30 2014-01-27 공미선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195A (ko)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스타일큐 이미지컨셉 확정시스템 및 확정방법
KR20190033934A (ko)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스타일큐 컨셉 추출 알고리즘에 의한 이미지 추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5141B2 (ja) 服飾コーディネーションの推薦方法および装置、電子デバイス、記憶媒体
US202200587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 refinement
KR102127562B1 (ko) 의류 쇼핑몰을 위한 코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9034973B (zh) 商品推荐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678516B2 (en) Chatbot builder user interface
CN104765791A (zh) 一种信息输入方法和装置
EP3896610A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device
US11037071B1 (en) Cross-category item associations using machine learning
CN109242593B (zh) 一种基于案例推理的服装推荐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12441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CN106030580A (zh) 商品搜索装置、商品搜索系统、服务器系统及商品搜索方法
KR101617828B1 (ko) 정량 평가 네트워크 기반 이미지 컨셉정보 추출 시스템
US20170103405A1 (en) Statistical data generation server device, statistical data generation system, and statistical data generation method
US20170300768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products on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JP2016071881A (ja) アイテムリコメンドシステム
JP2019057255A (ja) 顧客服飾品マッチングシステム
CN105323143B (zh) 基于即时通讯的网络信息推送方法、装置和系统
JP6656570B2 (ja) クロスモーダル感覚分析システム、提示情報決定システム、情報提示システム、クロスモーダル感覚分析プログラム、提示情報決定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WO2016052227A1 (ja) コーディネート提案装置及び方法
JP2016091522A (ja) 商品検索装置、商品検索方法、及び商品検索システム
KR20220053398A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류상품 실시간 연결 및 추천 서비스 시스템
CN112241448A (zh) 应答信息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6610766A (zh) 热力图框选方法和装置
JP2016071610A (ja) コーディネート提案装置及び方法
JP2015162197A (ja) 商品検索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