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843B1 -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 - Google Patents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843B1
KR101616843B1 KR1020140073671A KR20140073671A KR101616843B1 KR 101616843 B1 KR101616843 B1 KR 101616843B1 KR 1020140073671 A KR1020140073671 A KR 1020140073671A KR 20140073671 A KR20140073671 A KR 20140073671A KR 101616843 B1 KR101616843 B1 KR 101616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advertisement
target content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889A (ko
Inventor
김강호
김영웅
황 쏘틸
Original Assignee
김강호
김영웅
황 쏘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호, 김영웅, 황 쏘틸 filed Critical 김강호
Priority to KR102014007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84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 서비스제공서버, 검색사용자단말 및 광고제공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타겟 컨텐츠의 작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추천받은 키워드에 관련하여 작성한 타겟 컨텐츠를 등록, 평가 및 보상하는 서비스제공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추천하는 키워드 추천부와, 상기 등록한 타겟 컨텐츠에 대한 검색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해 상기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는 컨텐츠사용자 피드백 평가부 및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 전문가 평판, 서비스제공자의 옵션 점수, 광고주 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취합한 점수를 이용해 평가하여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랭킹을 산정하고,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챔피언 컨텐츠로 선정하는 컨텐츠 랭킹 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SYSTEM FOR REGISTRA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OF TARGET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겟 컨텐츠의 키워드를 분류 및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타겟 컨텐츠의 작성과 등록을 제안하고, 상기 등록된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여 보상해 줄 수 있도록 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시대의 현대인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 살아가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검색 포털 사이트(예 : 네이버, 구글 등)에 접속하여 검색어를 입력할 경우, 사이트 리스트, 중복된 정보들, 불필요한 정보들, 및 광고로 도배된 정보들이 검색된다.
이와 같이 검색된 많은 정보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검색 결과에 나온 리스트 내의 컨텐츠들을 하나하나 둘러봐야 하고, 컨텐츠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또 다른 추가 검색을 수행하기도 하며, 그 과정에서 유인하는 광고에 속아 다른 사이트로 이동했다가 돌아오기를 반복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들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특정 정보에 관련되어 잘 정리된 형태의 신뢰성 있는 컨텐츠를 곧바로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잘 정리되고 신뢰성 있는 질 좋은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에게 컨텐츠 생산이나 제작에 따른 특별한 혜택이나 또는 금전적인 보상이 없을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질 좋은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또는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에게 잘 정리되고 신뢰성 있는 질 좋은 컨텐츠를 생산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평가하여 보상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과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6712호(2013.01.21.등록, 컨텐츠 태그의 순위 산정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타겟 컨텐츠의 키워드를 분류 및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타겟 컨텐츠의 작성과 등록을 제안하고, 상기 등록된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여 보상해 줄 수 있도록 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비스제공서버는,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 서비스제공서버, 검색사용자단말 및 광고제공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타겟 컨텐츠의 작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추천받은 키워드에 관련하여 작성한 타겟 컨텐츠를 등록, 평가 및 보상하는 서비스제공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추천하는 키워드 추천부; 상기 등록한 타겟 컨텐츠에 대한 검색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해 상기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는 컨텐츠사용자 피드백 평가부; 및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 전문가 평판, 서비스제공자의 옵션 점수, 광고주 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취합한 점수를 이용해 평가하여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랭킹을 산정하고,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챔피언 컨텐츠로 선정하는 컨텐츠 랭킹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천부는, 상기 검색사용자의 검색이 증가하는 검색어, 광고주의 광고 게재 요청이 증가하는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키워드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사용자별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사용자는, 이전에 이미 동일하게 분류된 특정 카테고리의 키워드에 관련된 타겟 컨텐츠를 작성했던 사용자, 타겟 컨텐츠 작성 경험이 없는 사용자, 또는 해당 카테고리에서 챔피언 컨텐츠를 작성했던 경험이 있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는, 타겟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작성, 선호도 평가, 타겟 컨텐츠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연동 또는 링크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옵션 점수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를 통해 타겟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운영자가 미리 설정한 옵션으로서 컨텐츠 등록시간, 사용자의 사이트 충성도 또는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검색사용자가 상기 타겟 컨텐츠에 게재된 광고를 처리하는 피드백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광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하지 않음,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함,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검색사용자가 타겟 컨텐츠에 게재된 광고를 처리하는 피드백 정보를 평가한 점수 및 광고요율에 따라 전체 광고 수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체 광고 수익을 상기 광고가 게재된 타겟 컨텐츠별로 분배하는 수익 산출 및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키워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사용자, 상기 분류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작성하여 등록시킨 타겟 컨텐츠, 상기 타겟 컨텐츠의 평가 점수와 랭킹, 상기 타겟 컨텐츠의 광고 수익률과 광고 요율, 전체 광고 수익률 및 회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은,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 서비스제공서버, 검색사용자단말 및 광고제공서버를 포함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로부터 추천받은 키워드에 매칭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타겟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등록된 타겟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상기 타겟 컨텐츠의 랭킹을 산출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광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컨텐츠에 광고를 게재하여 얻은 수익을 상기 타겟 컨텐츠별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타겟 컨텐츠의 랭킹에 따라, 상기 타겟 컨텐츠에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노출 여부, 노출 순서, 광고 노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수익 분배율을 각기 다르게 산정하여, 상기 등록된 타겟 콘텐츠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되, 상기 타겟 컨텐츠의 랭킹이 가장 높은 챔피언 컨텐츠를 작성한 사용자에게는 상기 광고에 대한 노출 여부, 및 노출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겟 컨텐츠에 게재되는 광고는, 상기 광고제공서버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타겟 컨텐츠에 게재한 것이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광고를 불러와 상기 타겟 컨텐츠에 게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방법은,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 서비스제공서버, 검색사용자단말 및 광고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을 통해 상기 키워드 관련 타겟 컨텐츠를 작성하게 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이 상기 타겟 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검색 서비스 사이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검색사용자단말을 통해 검색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타겟 컨텐츠에 관한 타겟 컨텐츠 검색결과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검색사용자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검색사용자단말을 통해 출력된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 전문가 평판, 서비스제공자의 옵션 점수, 광고주 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취합한 후 그에 따른 가중치 점수를 부여하여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컨텐츠 랭킹을 산정하고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챔피언 컨텐츠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미리 결정된 광고 게재 방식에 따라 상기 타겟 컨텐츠의 랭킹별로 미리 설정된 광고를 게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타겟 컨텐츠에 게재된 광고의 노출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노출된 광고에 대한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정보를 평가한 점수 또는 광고요율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전체 광고 수익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광고 수익을 타겟 컨텐츠별로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정보는,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하지 않음,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검색사용자별로 특정 키워드에 연관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할 수 있는 포인트나 평가 점수를 제한하고, 대신 이전에 등록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했던 평가 점수를 다른 타겟 컨텐츠에 옮겨 부여하거나 이전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 제작자에게 타겟 컨텐츠의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해당 타겟 컨텐츠의 작성과 등록을 제안하고, 상기 등록된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여 보상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 좋은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질 좋은 컨텐츠가 지속적으로 등록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이트 방문자의 증가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방문자들에게 노출되는 광고 수익으로 상기 컨텐츠 제작자에게 지속적인 보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비스제공서버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에서 챔피언 컨텐츠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에서 광고 수익을 컨텐츠 작성자에게 분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은,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100), 서비스제공서버(200), 검색사용자단말(300) 및 광고제공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100)은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가 작성(또는 생산, 제작 등)한 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에 등록하는 단말기로서, 예컨대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음악, 사진, 이미지, 동영상, 멀티미디어,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작성(또는 생산, 제작 등)을 제안하기 위한 컨텐츠의 키워드를 분류하고 적절한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해당 컨텐츠의 작성과 등록을 제안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제안하는 키워드에 관련하여 작성된 컨텐츠를 편의상 타겟 컨텐츠라고 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이나 주제에 관해서 자신이 임의로 작성한 노멀 컨텐츠(또는 컨텐츠)와 구별한다.
그리고 상기 적절한 사용자란, 이전에 이미 동일하게 분류된 특정 카테고리(또는 분야)의 키워드에 관련된 타겟 컨텐츠를 작성했던 사용자, 타겟 컨텐츠 작성 경험이 없는 사용자, 또는 해당 분야에서 챔피언 컨텐츠(예 : 등록된 다수의 타겟 콘텐츠 중 최고의 평가를 받은 타겟 컨텐츠)를 작성했던 경험이 있는 사용자 등 다양하게 분류된 사용자들 중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적절한 사용자에게 상기 타겟 컨텐츠의 작성을 제안하기 위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카테고리 별로 검색어를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키워드는 실시간 최다 검색어, 기간별 인기 검색어, 스테디 검색어, 이슈, 상품관련 검색어 등의 카테고리(분야)별로 분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키워드는 얼마든지 다른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안받은 키워드들 또는 자신이 검색한 키워드들 중 타겟 컨텐츠에 매칭할 키워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조합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다만 타겟 컨텐츠에 매칭시킬 수 있는 키워드의 최대 개수는 제한될 수 있다. 가령 매칭할 키워드를 5개 정도로 제한함으로써 무분별한 검색결과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칭 키워드 중 가장 중요한 키워드 또는 키워드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랭킹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타겟 컨텐츠를 평가한다. 상기 평가는 검색사용자들의 선호도(예 : 좋아요, 싫어요, 별점 등), 코멘트, 및 평가점수 등을 취합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평가 점수로부터 타겟 컨텐츠들의 랭킹을 산정한다. 그리고 상기 등록된 다수의 타겟 콘텐츠 중 최고의 평가를 받은 타겟 컨텐츠를 챔피언 컨텐츠로 선정한다.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산정된 타겟 컨텐츠의 랭킹에 따라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에게 보상을 실시한다. 상기 보상은 금전적 보상(예 : 광고 수익)이나 특정 서비스(예 : 상기 서비스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 중 특정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사용자단말(300)은 검색사용자가 타겟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말기로서, 예컨대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검색사용자는 타겟 컨텐츠 검색 후 직접적으로 코멘트를 작성하거나 평가 점수(선호도 평가)를 줄 수 있으며, 외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링크시키거나 연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예 : 코멘트 작성, 선호도 평가, SNS연동/링크 등)과 전문가 평판, 서비스제공자의 옵션 점수, 광고주 반응 등을 취합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함으로써 등록된 타겟 컨텐츠의 랭킹을 미리 설정된 랭킹 산정 알고리즘에 따라 산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시간적으로 먼저 등록된 타겟 컨텐츠가 누적된 평가 점수가 많기 때문에 상위 랭킹에 산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상기 랭킹 산정 알고리즘은 평가 점수의 이동(예 : 이전에 등록된 타겟 컨텐츠에 부가했던 평가 점수를 새로 등록된 타겟 컨텐츠에 옮겨 부가하는 것)을 통해 나중에 등록된 타겟 컨텐츠라도 상위 랭킹으로 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검색사용자별로 특정 키워드에 연관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할 수 있는 포인트(또는 평가 점수)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키워드에 연관된 타겟 컨텐츠들 중에서 검색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가 변경되어 다른 타겟 컨텐츠에 포인트(또는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자 할 경우, 기존 컨텐츠에 부여되었던 포인트가 이전된다. 이는 좋은 컨텐츠가 등장했을 때 도전과 응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상기 검색사용자는 상기 검색된 타겟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판매 수익이 발생할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약정에 따라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에게 분배한다.
상기 광고제공서버(400)는 특정 타겟 컨텐츠에 게재가 결정된 광고, 즉, 상기 타겟 컨텐츠에 연동하여 노출시킬 광고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에 제공하여 특정 타겟 컨텐츠에 연동하여 광고를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광고의 게재 금액은 상기 타겟 컨텐츠의 랭킹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100), 서비스제공서버(200), 검색사용자단말(300) 및 광고제공서버(400)를 연결하는 통신망(500)은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인터넷 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비스제공서버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제어부(210), 키워드 분류 및 추천부(220), 컨텐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230), 컨텐츠 랭킹 산출부(240), 광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250), 수익 산출 및 분배부(260) 및 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키워드 분류 및 추천부(220)는 최근 검색사용자의 검색이 증가하는 검색어, 광고주의 게재 요청이 증가하는 검색어 등을 고려하여 키워드를 카테고리(분야)별로 분류한다. 그리고 특정 조건에 따라 미리 분류된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별로 키워드를 추천한다.
예컨대 상기 최근 검색사용자의 검색이 증가하는 검색어, 광고주의 게재 요청이 증가하는 검색어 등이 고려된 키워드는, 더 구체적으로 실시간 최다 검색어, 기간별 인기 검색어, 스테디 검색어, 이슈, 상품관련 검색어 등의 카테고리(분야)별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조건에 따라 미리 분류된 사용자는, 이전에 이미 동일하게 분류된 특정 카테고리(또는 분야)의 키워드에 관련된 타겟 컨텐츠를 작성했던 사용자, 타겟 컨텐츠 작성 경험이 없는 사용자, 또는 해당 분야에서 챔피언 컨텐츠(예 : 등록된 다수의 타겟 콘텐츠 중 최고의 평가를 받은 타겟 컨텐츠)를 작성했던 경험이 있는 사용자 등 상기 미리 설정된 특정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230)는 검색사용자(즉, 검색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사용자)의 피드백(예 :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작성, 선호도 평가, SNS연동/링크 등)를 취합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함으로써 등록된 타겟 컨텐츠의 랭킹 산정에 반영한다.
상기 컨텐츠 랭킹 산출부(240)는 상기 컨텐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230)에서 산출된 평가 점수, 및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를 통해 타겟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운영자가 미리 설정한 옵션(예 : 컨텐츠 등록시간, 사용자의 사이트 충성도, 신뢰도 등) 점수 및 광고주 반응 등에 따라 산출된 평가 점수를 반영하여 컨텐츠 랭킹을 산출한다. 이하 상기 컨텐츠 랭킹 중 가장 상위 랭킹의 컨텐츠를 챔피언 컨텐츠라고 한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상기 챔피언 컨텐츠는 미리 설정된 평가 점수(또는 유효 점수)를 초과했을 때 지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챔피언 컨텐츠로 설정되기 위해서는 가장 상위 랭킹을 유지하면서 미리 설정된 유의미한 평가 점수를 넘어야 하는 것이다. 이로써 검색사용자가 컨텐츠를 더욱 신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컨텐츠에 랭킹이 설정되면 키워드 검색시 랭킹에 따라 노출 방식을 차별화 시킬 수도 있다. 가령, 가장 상위 랭킹의 챔피언 컨텐츠는 해당 컨텐츠 내용 전부가 보여지고, 그보다 하위 랭킹의 컨텐츠는 제목이나 주요 내용만 간략하게 보여지도록 차별화 시킬 수 있다.
상기 광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250)는 검색사용자(즉, 검색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사용자)가 타겟 컨텐츠(즉, 광고가 게재된 타겟 컨텐츠)를 보면서 수행하는 피드백(예 :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하지 않음(즉, 노출된 광고를 본 것으로 판단),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즉, 노출된 광고의 일부만 본 것으로 판단),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클릭(즉,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 등)을 취합한 후 평가함으로써 수익 산출에 반영한다.
상기 수익 산출 및 분배부(260)는 상기 광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250)에서 산출된 평가 점수 및 광고요율에 따라 광고 수익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익이 산출된 타겟 컨텐츠별로 수익을 분배한다. 이때 상기 광고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수익 분배율은 타겟 컨텐츠의 카테고리 및 랭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익 배분을 위한 추가 정보(예 : 랭킹의 지속 여부 등)나 가중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챔피언 컨텐츠에 대한 광고 노출방식과 나머지 컨텐츠에 대한 광고 노출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챔피언 컨텐츠를 제작한 사용자는 본인이 작성한 타겟 컨텐츠에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노출 여부와 순서에 대한 제어권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키워드 분류 및 추천부(220), 컨텐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230), 컨텐츠 랭킹 산출부(240), 광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250), 수익 산출 및 분배부(260) 및 데이터베이스(270) 등과 연계하여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에게 타겟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키워드를 제안하고, 등록된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여 랭킹을 산정하고, 상기 타겟 컨텐츠에 광고를 게재하여 노출된 광고에 대한 수익을 산출하고, 상기 타겟 컨텐츠의 카테고리 및 랭킹에 따라 상기 광고 수익을 분배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7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키워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 분류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등록된 타겟 컨텐츠, 타겟 컨텐츠의 랭킹, 타겟 컨텐츠의 평가 점수, 타겟 컨텐츠의 광고 수익률, 광고 요율, 전체 광고 수익률 및 회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0)는 키워드 분류 및 추천부(220)를 통해 키워드를 카테고리(분야)별로 분류한 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특정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별로 키워드를 추천한다(S101).
이때 상기 키워드는 서비스제공서버(200)에서 각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추천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임의의 메뉴(예 : 오늘의 키워드)를 통해 리스트 형태로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추천 키워드를 검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키워드는 검색사용자의 검색 통계를 실시간 반영하거나, 광고주의 요청이나 의지를 반영하여 변경되거나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가령, 상기 키워드는 실시간 최다 검색어, 기간별 인기 검색어, 스테디 검색어, 이슈, 상품관련 검색어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분야)별로 분류되고 추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키워드를 추천받은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는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100)를 통해 타겟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검색 서비스 사이트에 상기 타겟 컨텐츠를 등록한다(S102).
상기 제어부(210)는 컨텐츠 랭킹 산출부(240)를 통해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예 : 코멘트 작성, 선호도 평가, SNS연동/링크 등), 전문가 평판, 서비스제공자의 옵션 점수(예 : 컨텐츠 등록시간, 사용자의 사이트 충성도, 신뢰도 등), 광고주 반응 등을 취합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함으로써 등록된 타겟 컨텐츠의 랭킹을 산출하고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챔피언 컨텐츠를 선정한다(S103).
상기와 같이 챔피언 컨텐츠 및 컨텐츠의 랭킹이 산출(또는 산정)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각 타겟 컨텐츠별로 광고 노출 방식(또는 광고 게재 방식)을 결정한다(S104).
예컨대 상기 광고 노출 방식(또는 광고 게재 방식)은 컨텐츠 랭킹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령 챔피언 컨텐츠를 제작한 사용자는 본인이 작성한 타겟 컨텐츠에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노출 여부와 순서에 대한 제어권한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챔피언이 아닌 나머지 타겟 컨텐츠에 대한 광고 노출 방식은 상기 제어부(210)가 그 제어권한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타겟 컨텐츠별로 광고 노출 방식(또는 광고 게재 방식)이 결정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210)는 해당 타겟 컨텐츠별로 광고를 게재하고, 해당 타겟 컨텐츠별 광고의 노출을 검출한다(S105).
그리고 상기 제어부(210)는 수익 산출 및 분배부(260)를 통해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예 :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하지 않음(즉, 노출된 광고를 본 것으로 판단),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즉, 노출된 광고의 일부만 본 것으로 판단),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클릭(즉,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 등)을 통한 평가 점수 및 광고요율을 반영하여 광고 수익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익이 산출된 타겟 컨텐츠별로 수익을 분배한다(S106).
이때 상기 광고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수익 분배율은 타겟 컨텐츠의 카테고리 및 랭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익 배분을 위한 추가 정보(예 : 랭킹의 지속 여부 등)나 가중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에서 챔피언 컨텐츠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조건에 따라 특정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추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상기 키워드 관련 타겟 컨텐츠를 작성한다(S201).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타겟 컨텐츠에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의 키워드를 조합(또는 매칭)하여 등록할 수 있다(S202).
그리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상기 매칭 키워드가 등록된 타겟 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검색 서비스 사이트에 등록한다(S203). 상기와 같이 타겟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에 등록되는 것을 컨텐츠가 발생되었다고 한다.
상기와 같이 타겟 컨텐츠가 발행되면, 검색사용자는 검색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검색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특정 키워드에 관련된 타겟 컨텐츠를 검색한다(S204).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타겟 컨텐츠 검색결과를 검색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출력한다(S205).
이에 따라 검색사용자에 의해 상기 검색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상기 검색된 타겟 컨텐츠에 대한 피드백(예 : 코멘트 작성, 선호도 평가, SNS연동/링크 등)이 이루어지고,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을 검출한다(S206).
그리고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예 : 코멘트 작성, 선호도 평가, SNS연동/링크 등), 전문가 평판, 서비스제공자의 옵션 점수(예 : 컨텐츠 등록시간, 사용자의 사이트 충성도, 신뢰도 등), 광고주 반응 등을 취합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함으로써 타겟 컨텐츠에 대한 랭킹을 산정하고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챔피언 컨텐츠로 선정한다(S207).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에서 광고 수익을 컨텐츠 작성자에게 분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피언 컨텐츠 및 컨텐츠의 랭킹이 산출(또는 산정)되면,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등록 사용자)(예 : 챔피언 컨텐츠 제작자) 또는 사용자서비스제공서버(200)는 각 타겟 컨텐츠의 랭킹별로 광고 노출 방식(또는 광고 게재 방식)을 결정한다(S301).
예컨대 챔피언 컨텐츠 제작자는 자신이 작성한 타겟 컨텐츠에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노출 여부와 순서에 대한 제어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챔피언이 아닌 나머지 랭킹의 타겟 컨텐츠에 대한 광고 노출 방식은 상기 사용자서비스제공서버(200)에서 그 제어권한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타겟 컨텐츠별로 광고 노출 방식(또는 광고 게재 방식)이 결정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광고제공서버(400)를 통해 해당 타겟 컨텐츠의 랭킹별로 광고를 게재한다(S302).
그리고 검색사용자가 검색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에서 타겟 컨텐츠를 검색하면 해당 타겟 컨텐츠에 게재된 광고가 노출된다(S303).
이때 상기 노출되는 광고는 상기 광고제공서버(400)에서 직접적으로 제공하거나,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된 광고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검색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출력된 타겟 컨텐츠를 통해 노출된 광고에 대한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예 :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하지 않음(즉, 노출된 광고를 본 것으로 판단),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즉, 노출된 광고의 일부만 본 것으로 판단),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클릭(즉,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 등)을 검출한다(S304).
그리고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노출 광고에 대한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한 평가 점수 및 광고요율을 반영하여 광고 수익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익이 산출된 타겟 컨텐츠별로 수익을 분배한다(S305).
이때 상기 광고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수익 분배율은 타겟 컨텐츠의 카테고리 및 랭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익 배분을 위한 추가 정보(예 : 랭킹의 지속 여부 등)나 가중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 200 : 서비스제공서버
210 : 제어부 220 : 키워드 분류 및 추천부
230 : 컨텐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 240 : 컨텐츠 랭킹 산출부
250 : 광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 260 : 수익 산출 및 분배부
27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 서비스제공서버, 검색사용자단말 및 광고제공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타겟 컨텐츠의 작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추천받은 키워드에 관련하여 작성한 타겟 컨텐츠를 등록, 평가 및 보상하는 서비스제공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추천하는 키워드 추천부;
    상기 등록한 타겟 컨텐츠에 대한 검색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해 상기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는 컨텐츠사용자 피드백 평가부; 및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 전문가 평판, 서비스제공자의 옵션 점수, 광고주 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취합한 점수를 이용해 평가하여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랭킹을 산정하고,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챔피언 컨텐츠로 선정하는 컨텐츠 랭킹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랭킹 산출부는,
    시간적으로 나중에 등록된 타겟 컨텐츠라도 상위 랭킹으로 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검색사용자가 시간적으로 이전에 등록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했던 평가 점수를 새로 등록된 타겟 컨텐츠에 옮겨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 점수의 이동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사용자별로 특정 키워드에 연관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할 수 있는 평가 점수를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천부는,
    상기 검색사용자의 검색이 증가하는 검색어, 광고주의 광고 게재 요청이 증가하는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키워드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사용자별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사용자는,
    이전에 이미 동일하게 분류된 특정 카테고리의 키워드에 관련된 타겟 컨텐츠를 작성했던 사용자, 타겟 컨텐츠 작성 경험이 없는 사용자, 또는 해당 카테고리에서 챔피언 컨텐츠를 작성했던 경험이 있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는, 타겟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작성, 선호도 평가, 타겟 컨텐츠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연동 또는 링크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옵션 점수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를 통해 타겟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운영자가 미리 설정한 옵션으로서 컨텐츠 등록시간, 사용자의 사이트 충성도 또는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사용자가 상기 타겟 컨텐츠에 게재된 광고를 처리하는 피드백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광고 사용자 피드백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하지 않음,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함,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사용자가 타겟 컨텐츠에 게재된 광고를 처리하는 피드백 정보를 평가한 점수 및 광고요율에 따라 전체 광고 수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체 광고 수익을 상기 광고가 게재된 타겟 컨텐츠별로 분배하는 수익 산출 및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7. 제 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키워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사용자, 상기 분류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작성하여 등록시킨 타겟 컨텐츠, 상기 타겟 컨텐츠의 평가 점수와 랭킹, 상기 타겟 컨텐츠의 광고 수익률과 광고 요율, 전체 광고 수익률 및 회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8.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 서비스제공서버, 검색사용자단말 및 광고제공서버를 포함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로부터 추천받은 키워드에 매칭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타겟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등록된 타겟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상기 타겟 컨텐츠의 랭킹을 산출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광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컨텐츠에 광고를 게재하여 얻은 수익을 상기 타겟 컨텐츠별로 분배하되,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시간적으로 나중에 등록된 타겟 컨텐츠라도 상위 랭킹으로 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검색사용자가 시간적으로 이전에 등록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했던 평가 점수를 새로 등록된 타겟 컨텐츠에 옮겨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 점수의 이동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사용자별로 특정 키워드에 연관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할 수 있는 평가 점수를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타겟 컨텐츠의 랭킹에 따라, 상기 타겟 컨텐츠에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노출 여부, 노출 순서, 광고 노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수익 분배율을 각기 다르게 산정하여, 상기 등록된 타겟 콘텐츠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되,
    상기 타겟 컨텐츠의 랭킹이 가장 높은 챔피언 컨텐츠를 작성한 사용자에게는 상기 광고에 대한 노출 여부, 및 노출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컨텐츠에 게재되는 광고는,
    상기 광고제공서버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타겟 컨텐츠에 게재한 것이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광고를 불러와 상기 타겟 컨텐츠에 게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시스템.
  11.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 서비스제공서버, 검색사용자단말 및 광고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을 통해 상기 키워드 관련 타겟 컨텐츠를 작성하게 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등록사용자단말이 상기 타겟 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검색 서비스 사이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검색사용자단말을 통해 검색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타겟 컨텐츠에 관한 타겟 컨텐츠 검색결과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검색사용자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검색사용자단말을 통해 출력된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 전문가 평판, 서비스제공자의 옵션 점수, 광고주 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취합한 후 그에 따른 가중치 점수를 부여하여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컨텐츠 랭킹을 산정하고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챔피언 컨텐츠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시간적으로 나중에 등록된 타겟 컨텐츠라도 상위 랭킹으로 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검색사용자가 시간적으로 이전에 등록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했던 평가 점수를 새로 등록된 타겟 컨텐츠에 옮겨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 점수의 이동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사용자별로 특정 키워드에 연관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할 수 있는 평가 점수를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미리 결정된 광고 게재 방식에 따라 상기 타겟 컨텐츠의 랭킹별로 미리 설정된 광고를 게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타겟 컨텐츠에 게재된 광고의 노출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노출된 광고에 대한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정보를 평가한 점수 또는 광고요율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전체 광고 수익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광고 수익을 타겟 컨텐츠별로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사용자의 피드백정보는,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하지 않음,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제거, 상기 검색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타겟 컨텐츠를 평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검색사용자별로 특정 키워드에 연관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할 수 있는 포인트나 평가 점수를 제한하고, 대신 이전에 등록된 타겟 컨텐츠에 부여했던 평가 점수를 다른 타겟 컨텐츠에 옮겨 부여하거나 이전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 및 보상 방법.
KR1020140073671A 2014-06-17 2014-06-17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 KR101616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671A KR101616843B1 (ko) 2014-06-17 2014-06-17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671A KR101616843B1 (ko) 2014-06-17 2014-06-17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889A KR20150144889A (ko) 2015-12-29
KR101616843B1 true KR101616843B1 (ko) 2016-05-02

Family

ID=5602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671A KR101616843B1 (ko) 2014-06-17 2014-06-17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17B1 (ko) 2015-02-12 2016-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WO2017160133A2 (ko) * 2016-03-18 2017-09-21 강용직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KR101877523B1 (ko) * 2016-07-25 2018-07-11 안신영 Ucc 경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8470057B (zh) * 2018-03-19 2021-05-1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整合资讯的生成、推送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介质
KR102020316B1 (ko) * 2019-01-18 2019-09-11 주식회사 리치빔 합리적인 제작 대금을 지급하는 외주 제작 컨텐츠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216755B1 (ko) * 2019-09-24 2021-02-17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콘텐츠 및 제품을 연동시키는 태그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22989B1 (ko) * 2019-12-23 2021-03-04 김보언 전문가 정보를 바탕으로 전문가 플랫폼의 전문가 풀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222990B1 (ko) * 2019-12-23 2021-03-04 김보언 정형정보 및 비정형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전문가 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83204B1 (ko) * 2020-04-23 2023-09-26 주식회사 콤피아 핫키 등록을 이용한 광고 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91640B1 (ko) * 2020-09-10 2022-04-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od 컨텐츠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576945B1 (ko) * 2023-02-13 2023-09-08 김환 리워드형 영상 챌린지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889A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843B1 (ko)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
US90761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ggesting recommended keyword
JP5899275B2 (ja) オンラインシステムにおける広告及びコンテンツの品質スコア付け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97632B1 (ko) 스폰서 검색에 대한 동적 입찰 가격 결정
RU26294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способ выбора и размещения целевых сообщений на странице результатов поиска
US8402025B2 (en) Video quality measures
JP6262886B2 (ja) コンテンツの性能の最適化のための自動化されたクリックタイプの選択
KR101853043B1 (ko) 정밀 제어들로 컨텐츠 선택
JP5646787B1 (ja) オンラインシステムにおける広告及びコンテンツの統合型市場
US91898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st ranking and ads placement using interaction features
US20150356627A1 (en) Social media enabled advertising
US20140172545A1 (en) Learned negative targeting features for ads based on negative feedback from users
JP2018088269A (ja) 動的コンテンツアイテム作成
US20110238670A1 (en) Crowd-sourcing and contextual reclassification of rated content
US201100550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mantic based advertising on social networking platforms
US20140172544A1 (en) Using negative feedback about advertisements to serve advertisements
US20120130805A1 (en) Selecting media advertisements for presentation based on their predicted playtimes
US20110173102A1 (en) Content sensitive point-of-sale system for interactive media
KR20100135203A (ko) 대중을 위한 프로덕트 배치
US20110288941A1 (en) Contextual content items for mobile applications
US201700467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levant advertisements
US201300067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comparative advertising
JP2016062466A (ja) 配信装置、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US9235850B1 (en) Adaptation of web-based text ads to mobile devices
US20180204230A1 (en) Demographic prediction for unresolved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