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076B1 -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076B1
KR101616076B1 KR1020150148748A KR20150148748A KR101616076B1 KR 101616076 B1 KR101616076 B1 KR 101616076B1 KR 1020150148748 A KR1020150148748 A KR 1020150148748A KR 20150148748 A KR20150148748 A KR 20150148748A KR 101616076 B1 KR101616076 B1 KR 10161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taper
gap
main body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동익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에스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에스
Priority to KR102015014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5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킹 방지를 위해 브레이크 시스템에 추가하는 유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에 전달되는 압력을 락되기 직전까지의 압력이하로 설정하여 설정압력 이상은 차단되므로 락포인트 이하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륜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최적 유압제어를 할 수 있는 장치이다.

Description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Anti Lock Break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은 락킹 방지를 위해 브레이크 시스템에 추가하는 유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에 전달되는 압력을 락되기 직전까지의 압력이하로 설정하여 설정압력 이상은 차단되므로 락포인트 이하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륜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최적의 유압제어를 할 수 있는 유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륜자동차 사고의 주된 원인은 과속과 비효율적인 제동력에서 발생한다. 통상의 주행시에도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급제동을 할 경우 뒷바퀴로 제동할 경우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계수 저하로 제동거리가 길어지고 이로 인해 사고로 이어지며, 앞바퀴가 락되면 사륜차와 달리 중심을 잃으면 전복되게 되고, 전복되면서부터는 조향 및 제동장치의 마비로 통제 불능상태에 빠지며 대형사고 유발하게 된다.
종래의 이륜차브레이크 시스템(Non ABS)은 급제동시 후륜브레이크를 선택할 경우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력 저하로 제동거리를 단축시키기에 미미한 제동력을 보이며, 전륜브레이크를 선택할 경우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제동력은 커지나 앞바퀴가 락포인트를 넘어서서 락되면 편하중(좌측으로나 우측 중 90도가 되지 않는 측 방향 노면쪽으로 슬립)으로 인하여 차체가 와륜되면서 조향 및 제동장치의 마비로 통제불능상태에 빠지며 곧 대형사고로 이어진다. 즉, 락포인트를 넘어서는 영역은 운전자의 위험을 초래하는 불필요한 초과유압으로써 스키드(skid) 발생영역에 해당된다.
출원인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00-0011021호(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기계식 자동 유압제어장치)를 출원하여 개시한 바 있다. 상기 발명은 브레이크 작동시 브레이크 페달이나 레버의 동작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의 응답이 시작되어 차량 또는 기계의 동작을 정지 또는 감속시킬 때 차량의 경우는 휠이 로크(Lock)되는 유압의 최소치 미만을 휠 실린더 또는 캘리퍼 방향으로 통과시키고 락되는 압력이상은 자동적으로 차단시키며 또한 기계류에서는 급작스런 정지로 인한 파손, 또는 변형을 막아주어서, 일반 브레이크 시스템이나 ABS 브레이크 시스템과 달리 브레이크페달을 밟거나 레버를 당기면 유압이 증가하되 락포인트에 근접한 상태에서 유압의 증가가 정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바퀴가 슬립되지 아니하고 감속과 함께 최적의 속도로 회전하므로 제동시 차체의 편하중에 의하여 차체가 회전하거나 슬립에 의한 스키드상태가 극소화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한국특허출원 제10-2000-0011021호의 발명은 외부충격 또는 장시간 반복사용에 의한 진동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조절볼트의 이탈로 인해 브레이크 기능을 순간적으로 상실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1-0038523호를 출원하여 조절볼트가 일정영역 내에서만 변위가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는 유압제어장치를 개시한바 있다.
그러나, 한국특허출원 제10-2000-0011021호의 발명은 주입포트와 주입유로가 직선으로 연통되어 있지 않고, 단차를 두고 연통되어 있어 유압의 손실이 발생하고, 제어가 어렵다. 또, 피스톤헤드와 주입유로가 접하는 면이 단순한 직선 형상이어서 주입유로 폐쇄시 유체의 누출이 우려된다. 또, 조절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제시하고 있음은 별론, 조절볼트의 명확하고 안정적인 스프링 복원력제어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 10-1059942 호(2011.08.29 공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간편하게 제어하고, 주입유로의 폐쇄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명확하고 안정적이게 스프링의 복원력을 제어하여 최적의 유압제어구조를 가지는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는 상단부에는 주입포트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유출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 본체 내에 형성된 피스톤홀에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돼서, 주입포트와 유출포트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피스톤; 피스톤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돼서,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스토퍼이동공간에 의해 피스톤의 상하 왕복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피스톤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스토퍼에 접촉하는 스프링; 및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림쇠홀에 수용되고, 본체의 내부공간과 나사결합하여 나사가 풀리고 쪼여짐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스프링의 복원력을 조절하는 돌림쇠를 포함하고, 피스톤의 외주에는 유체의 차단을 위한 개폐링과 유체의 밀폐를 위한 밀폐링이 배치되며, 본체 내부에는 주입유로가 주입포트와 직선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주입유로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오르막 경사진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의 상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오르막 경사진 상측 테이퍼와, 하측으로 갈수록 내리막 경사진 하측 테이퍼를 구비하는 피스톤헤드가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이 최상측에 위치할 때, 상측 테이퍼와 하측 테이퍼의 외면 각각이 주입유로의 테이퍼와 접하여 주입유로를 폐쇄하고, 피스톤헤드 주위에는 상기 주입유로의 하부와 연통되는 제 1 간극과, 제 1 간극 및 유출포트와 연통되는 제 2 간극이 형성되며,개폐링이 상기 제1간극과 제2간극 사이에 상기 피스톤헤드 주위로 형성된 멈춤턱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유체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측 테이퍼의 최대직경은 하측 테이퍼의 최대직경보다 작고, 피스톤이 최상측에 위치할 때, 상측 테이퍼의 하단부와 하측 테이퍼의 상단부 각각이 주입유로의 테이퍼와 접하여 주입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돌림쇠홀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돌림쇠에는 측부를 관통하도록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홀의 내측 중앙에는 핀지지스프링이 설치되고, 핀지지스프링의 양 끝 단부에는 2개의 핀이 설치되어 있어, 돌림쇠가 상하로 왕복운동시 핀이 걸림턱부의 마루와 골에 반복되어 접하면서 일정한 마찰력을 일으키며 마찰음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제동이 바퀴의 미끄럼 마찰보다 브레이크의 록크포인트 (Lock Point)에 근접한 구름마찰에 의하여 미끄럼이 없는 상태 즉, 슬립률을 0으로 유지하면서 제동할 때 극대화된다는 원리에 근거를 두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거나 레버를 당겼을 때 차체의 중량 및 평균주행속도 등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는 록크 포인트에 근접한 브레이크의 유압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평시에는 조향성 확보와 함께 제동거리를 극소화하고, 빠른 유압의 응답으로 성능이 향상되어 눈길이나 빗길에서 차체의 편중심에 의한 차체의 조향 불능 상태를 방지하며, 제동시 브레이크페달의 진동없이 안정된 제동을 할 수 있고,
일반 브레이크 시스템이나 ABS 브레이크 시스템과 달리 브레이크페달을 밟거나 레버를 당기면 유압이 증가하되 록크포인트에 근접한 상태에서 유압의 증가가 정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바퀴가 거의 슬립되지 아니하고 적정속도로 회전하므로 제동시 차체의 편하중에 의하여 차체가 회전하거나 슬립에 의한 스키드상태가 극소화 될 수 있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브레이크의 능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여,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의 오작동의 결과로 발생되는 브레이크 작동불능 상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소형, 또는 저급의 모터사이클에도 저렴한 가격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급 ABS와 같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서, 저렴한 비용으로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저렴한 이륜자동차 분야의 브레이크시스템에 사용되는 유압제어장치로서 최적 유압제어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유체차단상태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유체최대상태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하우징과 돌림쇠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의 단면도이다.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는 제1하우징(102)과 제2하우징(132)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본체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120)과, 상기 피스톤(1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42) 및 상기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돌림쇠(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는 사출 및 조립 과정상 편이를 위해 제1하우징(102)과 제2하우징(132)으로 나누어 제작되지만, 단품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하우징(102)의 상측에는 주입포트(104)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102)의 측부에는 유출포트(1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주입포트(104)는 상기 피스톤(120)의 상부인 피스톤헤드(122) 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포트(110)는 상기 피스톤(120)의 측면에 배치된다.
또, 상기 제1하우징(102)과 상기 제2하우징(132)은 서로 나사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접합부(134)에서 나사결합하였다.
상기 제1하우징(102)에 주입포트(104)와 유출포트(110)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하우징(102)의 하단부에는 하기(下記)하는 스토퍼(130)의 상사점인 제1스토퍼자리(103)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02)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20)이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실린더(135)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홀(119)에 피스톤(120)이 배치된다.
상기 피스톤홀(119)은 상측으로 주입유로(106)와 연결되며, 한국특허출원 제10-2000-0011021호에서 주입유로와 주입포트가 수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입유로(106)는 상기 주입포트(104)와 직선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유압이 다이렉트로 전달되어 유압의 손실이 적고, 제어하기도 용이하다.
주입유로(106) 하부의 피스톤자리(112)는 상기 피스톤(120)의 상사점에 해당하며, 주입포트(104)를 통한 유체의 공급이 없거나, 상기 스프링(142)의 복원력보다 작은 크기의 유체압력하에서 상기 피스톤헤드(122)는 상기 피스톤자리(112)에 안착된다.
상기 피스톤자리(112)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경사진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헤드(122)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경사진 상측 테이퍼(122a)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경사진 하측 테이퍼(1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테이퍼(122b)의 최대직경은 상기 상측 테이퍼(122a)의 최대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20)이 최상 측에 위치할 때, 상기 상측 테이퍼(122a)의 최대직경 지점 즉, 상측 테이퍼(122a)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테이퍼(122b)의 최대직경 지점 즉, 하측 테이퍼(122b)의 상단부 각각이 상기 주입유로의 테이퍼(피스톤 자리 112를 의미)와 접하여 상기 주입유로(106)를 폐쇄하기 때문에 2중 잠금장치가 형성된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0-0011021호에서 주입유로와 주입포트가 수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입유로(106)는 상기 주입포트(104)와 직선으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2중 잠금 구조를 가져야만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홀(119)의 상부는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120)보다 단면적이 큰 제 1 간극(114)과 제 2 간극(1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간극(114)과 상기 제2간극(118) 사이에는 하기(下記)하는 제1링(124)이 접촉할 수 있는 한계턱(116)이 형성된다.
상기 한계턱(116)은 상기 제1간극(114) 및 상기 제2간극(118)보다 상기 피스톤(120)과의 간격이 좁다. 따라서 상기 제1링(124)이 접촉하지 않는 한, 상기 제 1 간극(114)으로부터 상기 제 2 간극(118)으로의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2간극(118)의 일측에는 유출홀(10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간극(118)은 상기 유출포트(110)와 유출홀(108)을 통해 연통된다.
상기 피스톤(120)의 상단부에는 피스톤헤드홈(미도시)이 형성된다. 피스톤헤드홈(미도시)은 상기 제 1 간극(114)과 상기 주입유로(106)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120)의 외주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링이 배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링(124), 제2링(126), 및 제3링(128)이 적용된다. 상기 제1링(개폐링)(124)은 제1간극(114) 내에서 위치하며, 상기 한계턱(116)에 접촉가능한 단면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링(124)은 상기 제2간극(118)으로의 유체의 이동을 개폐하는 밸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링(126) 및 상기 제3링(128)은 상기 제2간극(118)보다 하측에 배치되서, 상기 피스톤홀(119)의 내벽면에 접촉된다. 상기 제2링(126) 및 상기 제3링(128)은 상기 제2간극(118)보다 하측을 향한 유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밀폐링의 역할을 하며, 밀폐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2개의 오링을 사용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린더(135)의 외주에도 오링이 배치될 수 있고, 예기치 않게 실린더(135)와 제 1 하우징(102)내부 틈으로 누출된 유체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2하우징(132)에는 스프링(142)이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142)의 상단은 상기 스토퍼(130)와 접촉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피스톤(120)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132)에서 상기 스프링(142)이 삽입되는 공간 상부는 단차져서 상기 스토퍼(130)가 맞닿을 수 있는 제2스토퍼자리(136)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스프링(142)이 삽입되는 공간 및 상기 피스톤홀(119)에 비해 단면적이 커서, 상기 제1스토퍼자리(103)와 상기 제2스토퍼자리(136)의 사이에서 정의되는 스토퍼이동공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피스톤헤드(122)가 상기 피스톤자리(112)에 맞닿은 상태에서, 동시에 상기 제1스토퍼자리(103)에 상기 스토퍼(130)가 맞닿게 되므로, 상기 제1스토퍼자리(103)는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하우징과 돌림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 2 하우징(132)과 돌림쇠(152)는 상하 반전되어 도 1의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에 장착된다.
상기 제 2 하우징(132)의 하부에는 돌림쇠홀(168)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돌림쇠홀(168)에는 상기 돌림쇠(152)가 수용된다.
상기 돌림쇠(152)의 수나사부(164)는 상기 돌림쇠홀(168) 내측의 암나사부(160)와 나사결합하여 나사가 풀리고 쪼여짐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스프링(142)의 복원력을 조절한다.
상기 돌림쇠홀(168)의 상기 암나사부(160) 상측 단부에는 상기 제 2 스토퍼자리(136)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 단부 인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걸림턱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164)는 상기 제 2 스토퍼자리와 상기 걸림턱부(162) 사이에서만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스프링(142)의 복원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외란 또는 반복작업에 의한 상기 돌림쇠(152)의 이탈은 방지된다.
상기 돌림쇠(152)의 일측에는 측부를 관통하도록 핀홀(154)이 형성되어 상기 핀홀(154)의 내측 중앙에는 핀지지스프링(158)이 설치되고, 상기 핀지지스프링(158)의 양 끝 단부에는 2개의 핀(156)이 설치된다.
상기 돌림쇠(152)가 상하로 왕복운동 시 상기 핀(156)이 상기 걸림턱부(162)의 마루와 골에 반복되어 접하면서 일정한 마찰력을 일으키며 마찰음을 내는 동시에 진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42)의 복원력 조절시 사용자는 마찰음과 진동을 감지하여 보다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돌림쇠(152)의 하측 단부에는 조절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스틱(172)의 단면과 상기 조절홈(170)의 단면은 대응되어 상기 조절스틱(172)은 상기 조절홈(170)과 끼임결합한다. 끼임결합 후 상기 조절스틱(170)을 회전하면 상기 돌림쇠(152)가 회전하여 암나사부와 수나사부(160, 164)의 나사결합을 풀거나 쪼여 상기 돌림쇠(15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의 작동모습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에서 브레이크(미도시)를 작동하지 않는 상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피스톤헤드(122)는 상기 피스톤자리(112)에 맞닿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주입포트(104)와 상기 유출포트(110)는 상기 주입유로(106)와, 상기 피스톤헤드홈(미도시)과, 상기 제 1 간극(114)과 상기 제 2 간극(118)과, 상기 유출홀(108)을 통해 연통된다.
이후, 브레이크를 밟거나 레버를 당기면 상기 주입포트(104)를 거쳐 주입유로(106)로 유입된 유압유는 상기 스프링(142)의 복원력을 이기고 상기 피스톤(120)을 후진시킨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헤드(122)가 상기 피스톤자리(112)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주입유로(106)와 상기 제1간극(114) 사이의 연통되는 공간이 넓어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주입포트(104)와 상기 유출포트(110) 사이로 흐르는 유압유의 유량이 증가한다. 상기 유압유의 압력이 커지면, 상기 피스톤헤드(122)가 상기 피스톤자리(112)로부터 이격되는 양이 커져서 휠실린더로 이동한다.
따라서 브레이크를 더 밟거나 레버를 더 당기게 되면 주입포트(104)로의 유압이 증가하면서 피스톤(120)은 더욱 후진하고 유압이 록크포인트에 근접하면 상기 돌림쇠(152)에 의해 조절된 스프링(142)의 압축력 값에의해 결국 도 4에서와 같이 피스톤(120)의 제1링(124)이 상기 멈춤턱(116)에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제1간극(114)에서 상기 제2간극(118)으로의 유압유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주입포트(104)와 상기 유출포트(110)가 단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페달을 더 깊이 밟거나 레버를 더 세게 당겨도 휠실린더에 가해지는 유압유의 유입이 없어 유압은 더 이상 증가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피스톤(120)의 후방에서 상기 피스톤(120)을 탄력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142)은 상기 돌림쇠(152)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탄발력이 조정된다. 상기 스프링(142)의 탄발력은 차체의 평균주행속도와 차체
의 중량을 고려하여 조절되며 적정탄발력은 곧 브레이크의 록크포인트에 근접한 유압과 일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2 : 제 1 하우징 103 : 제 1 스토퍼자리
104 : 주입포트 106 : 주입유로
108 : 유출홀 110 : 유출포트
112 : 피스톤자리 114 : 제 1 간극
116 : 한계턱 118 : 제 2 간극
119 : 피스톤홀 120 : 피스톤
122 : 피스톤헤드 124 : 제 1 링
126 : 제 2 링 128 : 제 3 링
130 : 스토퍼 132 : 제 2 하우징
134 : 하우징접합부 136 : 제 2 스토퍼자리
142 : 스프링 152 : 돌림쇠
154 : 핀홀 156 : 핀
158 : 핀지지스프링 160 : 암나사부
162 : 걸림턱부 164 : 수나사부
168 : 돌림쇠홀 170 : 조절홈
172 : 조절스틱

Claims (3)

  1. 상단부에는 주입포트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유출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피스톤홀에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돼서, 상기 주입포트와 유출포트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돼서,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스토퍼이동공간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상하 왕복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피스톤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는 스프링;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림쇠홀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나사결합하여 나사가 풀리고 쪼여짐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을 조절하는 돌림쇠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는 유체의 차단을 위한 개폐링과 유체의 밀폐를 위한 밀폐링이 배치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는 주입유로가 상기 주입포트와 직선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입유로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경사진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경사진 상측 테이퍼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경사진 하측 테이퍼를 구비하는 피스톤헤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이 최상측에 위치할 때, 상기 상측 테이퍼의 최대직경 지점인 하단부와 하측 테이퍼의 최대직경 지점인 상단부 각각이 주입유로의 테이퍼와 접하여 주입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피스톤헤드 주위에는 상기 주입유로의 하부와 연통되는 제 1 간극과, 상기 제 1 간극 및 상기 유출포트와 연통되는 제 2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링이 상기 제1간극과 제2간극 사이에 상기 피스톤헤드 주위로 형성된 멈춤턱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유체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테이퍼의 최대직경은 상기 하측 테이퍼의 최대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림쇠홀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림쇠에는 측부를 관통하도록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홀의 내측 중앙에는 핀지지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핀지지스프링의 양 끝 단부에는 2개의 핀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돌림쇠가 상하로 왕복운동 시 상기 핀이 상기 걸림턱부의 마루와 골에 반복되어 접하면서 일정한 마찰력을 일으키며 마찰음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제어장치.
KR1020150148748A 2015-10-26 2015-10-26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KR10161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748A KR101616076B1 (ko) 2015-10-26 2015-10-26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748A KR101616076B1 (ko) 2015-10-26 2015-10-26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076B1 true KR101616076B1 (ko) 2016-04-27

Family

ID=5591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748A KR101616076B1 (ko) 2015-10-26 2015-10-26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0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581A (ko) * 1999-09-22 2001-04-06 지동익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기계식 자동 유압제어장치
US20080308163A1 (en) * 2007-06-15 2008-12-18 Tescom Corporation 3-Way High-Pressure Air Operated Valve
KR101059942B1 (ko) 2011-04-25 2011-08-29 지동익 이륜자동차 브레이크시스템의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581A (ko) * 1999-09-22 2001-04-06 지동익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기계식 자동 유압제어장치
US20080308163A1 (en) * 2007-06-15 2008-12-18 Tescom Corporation 3-Way High-Pressure Air Operated Valve
KR101059942B1 (ko) 2011-04-25 2011-08-29 지동익 이륜자동차 브레이크시스템의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2992B2 (en) Hydraulic control valve brake system
KR101616076B1 (ko)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KR101059942B1 (ko) 이륜자동차 브레이크시스템의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US201201249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ver stroke adjustment
US4116493A (en) Brake pressure control valve
EP3895942B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straddle-type vehicle
JP2004501828A (ja) 自動車制動装置
US2253580A (en) Safety valve device for fluid brake systems
CN102431532A (zh) 二拖三前后联动制动器
BR102016030699A2 (pt) Sistema de articulação de distribuição que proporciona atraso hidráulico
JPS5848214Y2 (ja) ブレ−キ液圧制御弁
US20170197604A1 (en) Pre-Pressurized adaptive Banjo-Bolt Accumulator Valve For Hydraulic Brake Systems and Method
US6357838B1 (en) Mechanical oil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ntilock brake system
CN109398572B (zh) 一种整体机械式abs油压碟刹及其使用方法
JPS60219151A (ja) アンチロツクブレ−キ用液圧調整装置
US4779934A (en) Vehicle antiskid control apparatus with flow rate control valve in discharge passage
CN202294754U (zh) 一种摩托车液压制动防抱死控制器
KR101784662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16215728A (zh) 一种自行车油刹防抱死装置
KR100338687B1 (ko)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기계식 자동 유압제어장치
KR100383958B1 (ko) 프로포셔닝 밸브
JPS6329643Y2 (ko)
JP4204705B2 (ja) 車両用液圧式ブレーキの液圧制御弁
JPH0611262Y2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1645707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