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729B1 -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 - Google Patents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729B1
KR101615729B1 KR1020140003463A KR20140003463A KR101615729B1 KR 101615729 B1 KR101615729 B1 KR 101615729B1 KR 1020140003463 A KR1020140003463 A KR 1020140003463A KR 20140003463 A KR20140003463 A KR 20140003463A KR 101615729 B1 KR101615729 B1 KR 101615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ulverized
discharge
pulverized material
pulve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655A (ko
Inventor
이강열
이창렬
Original Assignee
푸른여름팩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른여름팩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푸른여름팩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7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02C23/12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with return of oversize material to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분쇄물을 분쇄한 후, 분쇄된 분쇄물을 입자크기별로 분급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로 상기 피분쇄물을 흡입압에 의해 흡입하여 연속하여 공급하는 연속투입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배출압에 의해 흡입하여 연속하여 배출키는 연속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속투입부는, 상기 피분쇄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투입박스와; 상기 투입박스의 하부에 연결된 호퍼와; 흡입압을 발생시키는 흡입압발생부와; 상기 흡입압발생부와 상기 투입박스를 연결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피분쇄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압적용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속배출부는, 상기 피분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박스와; 상기 배출박스와 상기 분쇄부를 연결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배출압을 인가하는 배출압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상기 피분쇄물을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서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로터와;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기준크기 이상의 피분쇄물이 재분쇄되도록 순환시키는 재순환관과;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분쇄영역과 상기 분쇄된 분쇄물이 상기 배출압에 의해 분급되는 분급영역으로 구분되고, 기준크기 보다 작은 분쇄물은 배출압에 의해 발생된 항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되고, 기준크기 보다 큰 분쇄물은 원심력의 영향을 받아 상기 재순환관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CONTINUOUS TYPE MILL AND CLASSIF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피분쇄물을 연속하여 공급한 후 초미립상태의 분쇄물을 기준크기 이하로 분쇄한 후 연속적으로 분급시킬 수 있는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미립 분쇄기술은 난분해성물질의 용해를 가능하게 하므로 용해도가 매우 높아지는 장점을 가지며, 유용물질의 추출이 쉬워지며, 색이나 향기 등의 파괴를 줄이는 분쇄기술로 분쇄 중 저온을 유지함으로써 분쇄과정 중의 색깔이나 향기를 최대로 유지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최근 출시된 초미립 분말을 이용한 음료의 경우 목넘김성이나 복용 편이성, 건강기능성이 강조됨으로써 판매가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 관련 제품이 상품화된 제품은 3종에 지나지 않아 그 사용이 부진하다.
일반적으로 음료 등에 첨가하기 위해서는 초미립 분말의 크기가 3 ㎛ 이하여야 한다. 이는 침강속도와 Brownian운동에 의한 전이거리의 상관관계를 고려했을 때 적합한 입자크기이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085543호 "폐회로 분쇄 분급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피분쇄물을 3 ㎛ 이하로 분쇄할 수 있는 분급 분쇄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개시된 종래 분급분쇄장치는 비연속식으로 투입호퍼에 정해진 양만큼만 포집하여 분쇄한 후, 장비를 정지하고 분쇄물을 외부로 배출한 후, 다시 분쇄와 포집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 분급분쇄장치는 분쇄물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힘든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분급분쇄장치는 분쇄부의 냉각을 위해 소모성 가스인 질소를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질소탱크 등 대규모 설비가 요구되어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분쇄물의 투입과 분쇄물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타입 분쇄분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쇄물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연속타입 분쇄분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쇄부를 냉각하는데 비소모성 냉매를 사용하여 케이싱과 피분쇄물의 열적손상을 함께 줄일 수 있는 연속타입 분쇄분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는, 피분쇄물을 분쇄한 후, 분쇄된 분쇄물을 입자크기별로 분급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로 상기 피분쇄물을 흡입압에 의해 흡입하여 연속하여 공급하는 연속투입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배출압에 의해 흡입하여 연속하여 배출키는 연속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속투입부는, 상기 피분쇄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투입박스와; 상기 투입박스의 하부에 연결된 호퍼와; 흡입압을 발생시키는 흡입압발생부와; 상기 흡입압발생부와 상기 투입박스를 연결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피분쇄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압적용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속배출부는, 상기 피분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박스와; 상기 배출박스와 상기 분쇄부를 연결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배출압을 인가하는 배출압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상기 피분쇄물을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서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로터와;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기준크기 이상의 피분쇄물이 재분쇄되도록 순환시키는 재순환관과;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분쇄영역과 상기 분쇄된 분쇄물이 상기 배출압에 의해 분급되는 분급영역으로 구분되고, 기준크기 보다 작은 분쇄물은 배출압에 의해 발생된 항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되고, 기준크기 보다 큰 분쇄물은 원심력의 영향을 받아 상기 재순환관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퍼와 상기 분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로 투입되는 피분쇄물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투입조절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크기는 상기 투입조절기의 투입량과,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 및 상기 배출압발생부의 배출압을 조절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입조절기의 투입량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세기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조절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가 매립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쇄부의 일측에는 상기 냉매를 순환시키는 분쇄부냉각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는 연속투입부와 연속배출부가 각각 투입압과 배출압을 형성하여 피분쇄물을 자동으로 연속하여 공급하고, 자동으로 연속하여 배출한다. 이에 따라 피분쇄물의 공급과 작동정지 후 배출의 번거로운 과정이 생략되므로 종래 분쇄분급장치에 비해 생산량이 월등히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는 흡입압, 배출압 및 구동세기를 조절하여 분쇄물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분쇄부의 케이싱에 냉매관을 매립한 후 냉매를 순화시켜 케이싱을 냉각시키므로 분쇄물과 케이싱의 열적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타입 분쇄분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타입 분쇄분급장치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타입 분쇄분급장치의 내부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속타입 분쇄분급장치의 분쇄부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분급장치(1)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분쇄분급장치(1)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하우징(100)을 제거한 분쇄분급장치(1)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분급장치(1)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피분쇄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연속투입부(200)와, 연속투입부(200)로부터 투입된 피분쇄물을 원심력과 항력에 의한 분급효과에 의해 기준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분쇄부(300)와, 분쇄부(300)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연속배출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각 구성들을 지지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구동부(370)와 배출압발생부(430)가 수용된다.
여기서, 피분쇄물은 농수산물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용 소재일 수 있다.
연속투입부(200)는 흡입압에 의해 연속적으로 피대상물을 분쇄부(300)로 공급한다. 연속투입부(200)는 외부의 피대상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투입박스(210)와, 투입박스(2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분쇄부(300)로 피대상물을 공급하는 호퍼(220)와, 흡입압을 형성하는 흡입압발생부(230)와, 흡입압발생부(230)와 투입박스(210)를 연결하는 흡입압적용관(233)을 포함한다.
투입박스(210)는 피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는 일정 체적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투입박스(210)의 판면에는 피분쇄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1)가 형성된다. 유입구(211)에는 피분쇄물공급관(미도시)이 결합된다. 투입박스(210)에 흡입압이 인가되면 피분쇄물공급관(미도시)으로부터 피분쇄물이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다.
호퍼(220)는 투입박스(210)의 하부에 연결되어 흡입압에 의해 투입박스(210) 내부로 유입된 피분쇄물을 투입관(250)으로 공급한다. 호퍼(220)는 피분쇄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나팔관 형태로 하부의 면적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다.
흡입압발생부(230)는 피분쇄물이 연속해서 분쇄부(300)로 투입될 수 있도록 흡입압력을 발생시킨다. 흡입압발생부(230)는 링블로워(231)로 구비될 수 있다.
흡입압적용관(233)은 링블로워(231)와 투입박스(210)를 연결한다. 이에 의해 흡입압발생부(230)에서 발생된 흡입압이 투입박스(210) 내부에 인가되어 유입구(211)를 통해 피분쇄물이 호퍼(220)로 공급되게 된다.
투입관(250)은 분쇄부(300)의 케이싱(310)과 연결되어 피분쇄물을 공급한다. 이 때, 투입관(25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보조공기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공기유입구(미도시)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액체질소 등의 투입구 역할을 할 수 있다.
호퍼(220)로 공급된 피분쇄물은 투입관(250)을 통해 분쇄부(300)로 투입된다. 분쇄부(300)는 투입관(250)을 통해 공급된 피분쇄물을 기준크기 이하로 분쇄하고, 기준크기 이하의 분쇄물은 배출시키고, 기준크기 보다 큰 분쇄물은 재순환관(360)으로 이동시켜 재분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쇄부(300)의 내부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분쇄부(30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케이싱(310)과, 케이싱(310)의 내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330)와, 스테이터(330)의 중심에 배치되어 구동부(37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로터(320)와, 로터(32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370)과, 기준크기 이상의 피분쇄물이 재분쇄되도록 순환시키는 재순환관(360)을 포함한다. 케이싱(310)의 후단에는 베어링하우징(380)이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300)는 케이싱(310)의 내부에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분쇄영역(A)과, 분쇄된 분쇄물이 연속배출부(400)에서 발생된 배출압에 의해 분급되는 분급영역(B)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300)는 피분쇄물의 가속을 위한 반경채널, 수 많은 작은 분쇄작용을 위한 기계요소들과 로터(320)와 스테이터(330) 사이가 최소 거리를 갖도록 설계되고 4이하의 Mohs 경도를 가진 재료를 50 ㎛이하의 입자크기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분쇄영역의 고정자로서 스테이터(330)의 형상각도는 재료의 경도 및 지방질 함량에 따라 각도를 달리하여 90°의
Figure 112015085444184-pat00001
홈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분쇄부(300)의 분급원리는 Stokes 법칙안에서 로터(320)의 고속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과 항력에 의하여 입자를 분급하게 된다. 원심력과 항력이 같아지는 지점을 cut size(절단입도)라고 정의할 때, cut size는 조분과 미분이 될 확률이 50:50으로서 원심력에 영향을 받는 입자는 조분으로 편향되어 배출되고, 항력에 영향을 받는 입자는 미분으로 편향되어 로터 중심부인 Stokes 영역(
Figure 112014002833274-pat00002
∼0.3)의 절단입도의 반경(radius of cut size: 항력에 영향을 받는 cut size(절단입도) 생산을 위한 반경)으로 이송되어 배출관(420)을 통해 공기와 함께 배출된다.
재순환관(360)은 원심력을 받는 조분입자를 재순환시키고, 항력의 영향을 받는 미분입자는 배출관(420)으로 배출된다.
분쇄부(300)의 분급원리는 등록특허 0942057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속배출부(400)는 분쇄부(300)에서 기준크기 이하로 분쇄된 분쇄물에 배출압을 통한 항력을 인가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연속배출부(400)는 분쇄부(300)로부터 배출된 분쇄물이 수용되는 배출박스(410)와, 배출박스(410)와 분쇄부(300)를 연결하는 배출관(420)과, 배출압을 발생시키는 배출압발생부(430)를 포함한다.
배출박스(410)는 하우징(100)의 상단에 고정설치된다. 배출박스(410)는 복수개의 지지관(440)에 의해 고정된다. 배출박스(41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미도시)가 구비된다. 배출구(미도시)에는 컨베이어벨트 또는 로터리밸브를 결합시켜 분쇄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압발생부(43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배출압을 발생시키는 링블로워(431)와, 링블로워(431)에서 발생된 배출압을 배출박스(410)와 배출관(420)으로 공급하는 배출압적용관(433)을 포함한다. 여기서, 링블로워(431)를 구동시키는 배출모터(미도시)의 배출압세기를 작업자가 조절하여 분쇄물의 분쇄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분쇄분급장치(1)의 분쇄물의 크기는 구동부(370)를 구현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세기와, 흡입압발생부(230)의 흡입압과, 배출압발생부(430)의 배출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동모터의 구동세기와 흡입압력이 고정될 때, 배출압력의 조절에 의해 분쇄물의 분쇄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속 분쇄분급장치(1)는 분쇄부(300)에서 분쇄와 분급이 동시에 일어나는 분급일체형이다. 따라서, 분쇄영역(A)에서 얼마만큼 효과적으로 분쇄된 후 분급영역(B)에서 원심력과 항력에 의한 분급이 원활하게 진행되는지는 배출압발생부(430)의 배출압에 의해 결정된다.
배출관(420)을 통해 인가되는 배출압에 의해 항력이 분쇄물로 인가되어 분쇄물이 연속하여 배출박스(410)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분쇄분급장치(1)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피분쇄물의 투입전에 구동부(370)를 저속으로 구동하여 워밍업 시킨다. 인버터를 이용해 구동부(370)를 희망하는 분쇄물의 입자크기에 대응되는 작업속도로 구동시킨다. 연속배출부(400)에서 링블로워(341)의 배출압 세기를 조절하고, 흡입압발생부(230)의 흡입압 세기도 조절한다.
흡입압발생부(230)의 흡입압이 흡입압적용관(233)에 의해 투입박스(210)로 인가되고 피분쇄물이 투입된다. 피분쇄물이 투입관(250)을 통해 분쇄부(300)로 투입된다. 분쇄부(300)에서 원심력과 항력에 의해 분쇄와 분급이 일어나며, 기준크기 이하의 분쇄물이 배출관(420)으로 배출된다. 분쇄물은 배출압력에 의해 연속하여 배출박스(410)로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분쇄분급장치(1)는 피분쇄물의 연속공급과 분쇄물의 연속배출이 가능해지므로 종래방식과 비교할 때 생산량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분쇄분급장치(1)는 투입관(250)과 분쇄부(300) 사이에 투입조절기(240)가 구비된다. 투입조절기(240)는 로터리 밸브타입으로 구비되어 정량공급 및 밀봉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된다. 투입조절기(240)를 기준으로 상부의 호퍼(220)와 하부의 분쇄부(300)가 분리된다. 투입조절기(240)는 인버터제어를 통해 구동부(370)의 부하전류량에 따라 투입량을 가감하도록 동작된다.
즉, 구동부(370)인 구동모터의 부하전류량을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정해진 전류범위 내에서 인버터(미도시)를 이용하여 투입조절기(240)의 투입모터의 공급량이 가감될 수 있다. 구동모터의 부하전류가 정상값 이상으로 일정시간 벗어나면 투입모터를 정지시키고, 구동모터의 부하전류가 정상범위로 복귀되면 투입모터가 다시 구동된다. 이 때, 투입모터의 투입속도를 인버터를 이용하여 조절하여 피분쇄물의 투입을 재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분쇄부(300)의 케이싱(310)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미도시)이 매립되게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냉매를 냉매관(미도시)으로 순환시키는 분쇄부냉각부(500)가 구비된다. 케이싱(310)에 구비된 냉매관(미도시)은 피분쇄물의 분쇄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다. 분쇄부냉각부(500)는 케이싱(310)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증기압축 냉매사이클의 기본원리를 적용하며, 응축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300)는 냉매사이클에 의해 케이싱(310)의 온도를 -18∼-25℃로 제어할 경우, 분쇄영역(A)에서 분쇄된 분쇄물의 온도를 30∼40℃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에 의한 분쇄물의 고유영양성분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연속방식 분급분쇄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연속 분쇄분급장치 100 : 하우징
200 : 연속투입부 210 : 투입박스
211 : 유입구 220 : 호퍼
230 : 흡입압발생부 231 : 링블로워
233 : 흡입압적용관 240 : 투입조절기
250 : 투입관 300 : 분쇄부
310 : 케이싱 320 : 로터
321 : 블레이드 330 : 스테이터
360 : 재순환관 370 : 구동부
380 : 베어링하우징 400 : 연속배출부
410 : 배출박스 420 : 배출관
430 : 배출압발생부 431 : 링블로워
433 : 배출압적용관 500 : 분쇄부냉각부

Claims (4)

  1. 연속 분쇄분급장치에 있어서,
    피분쇄물을 분쇄한 후, 분쇄된 분쇄물을 입자크기별로 분급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로 상기 피분쇄물을 흡입압에 의해 흡입하여 연속하여 공급하는 연속투입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배출압에 의해 흡입하여 연속하여 배출시키는 연속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속투입부는,
    상기 피분쇄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투입박스와;
    상기 투입박스의 하부에 연결된 호퍼와;
    흡입압을 발생시키는 흡입압발생부와;
    피분쇄물을 상기 분쇄부에 공급하는 투입관과;
    상기 투입관과 상기 분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로 투입되는 피분쇄물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로터리 밸브타입의 투입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압발생부는
    흡입압을 발생시키는 링블로워와;
    상기 링블로워와 상기 투입박스를 연결하여 흡입압을 상기 투입박스 내로 인가시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피분쇄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압적용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속배출부는,
    상기 피분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박스와;
    상기 배출박스와 상기 분쇄부를 연결하는 배출관과;
    배출압을 발생시키는 배출압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압발생부는
    배출압을 발생시키는 링블로워와;
    상기 링블로워에서 발생된 배출압을 상기 배출박스와 상기 배출관으로 공급하는 배출압적용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상기 피분쇄물을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서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로터와;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기준크기 이상의 피분쇄물이 재분쇄되도록 순환시키는 재순환관과;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분쇄영역과 상기 분쇄된 분쇄물이 상기 배출압에 의해 분급되는 분급영역으로 구분되고, 기준크기 보다 작은 분쇄물은 배출압에 의해 발생된 항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되고, 기준크기 보다 큰 분쇄물은 원심력의 영향을 받아 상기 재순환관으로 이동되고,
    상기 기준크기는 상기 흡입압발생부의 흡입압, 상기 투입조절기의 투입량,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 및 상기 배출압발생부의 배출압을 조절하여 결정되며,
    상기 투입조절기의 투입량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세기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분쇄분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가 매립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쇄부의 일측에는 상기 냉매를 순환시키는 분쇄부냉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분쇄분급장치.
KR1020140003463A 2014-01-10 2014-01-10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 KR101615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463A KR101615729B1 (ko) 2014-01-10 2014-01-10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463A KR101615729B1 (ko) 2014-01-10 2014-01-10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655A KR20150083655A (ko) 2015-07-20
KR101615729B1 true KR101615729B1 (ko) 2016-04-27

Family

ID=5387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463A KR101615729B1 (ko) 2014-01-10 2014-01-10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7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543B1 (ko) * 2010-12-16 2011-11-24 장태균 폐회로 분쇄 분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4388A (ja) * 1996-03-01 1997-09-09 Nikko Co Ltd ガラスビン破砕プラント
DE19720297A1 (de) * 1997-05-15 1998-11-19 Bay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dosierung von körnigem Grobgut in eine Luftstrahlmüh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543B1 (ko) * 2010-12-16 2011-11-24 장태균 폐회로 분쇄 분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655A (ko)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936B2 (en) Granular material grinder and method of use
JP4989059B2 (ja) 粉砕装置
JP2009028707A (ja) 媒体型粉体処理装置
KR101085543B1 (ko) 폐회로 분쇄 분급장치
JP5681754B2 (ja) 粉砕機
JP7359452B2 (ja) 金属材料用の向上した安全性を有する可動式シュレッダ
JP2018520329A (ja) バルク材を冷却するための冷却装置
KR101615729B1 (ko) 연속방식 분쇄분급장치
CN102744137A (zh) 水冷风冷撞击粉碎机组
JP6446655B2 (ja) 大豆の低温粉砕方法
JP6605378B2 (ja) 竪型粉砕装置及び竪型粉砕装置の操業方法
CN105214784B (zh) 一种磨粉机
JPWO2003066220A1 (ja) 粉砕方法
CN213254958U (zh) 一种超微粉碎生产线
JP6779246B2 (ja) 分級機能付き粉砕装置及び被処理物の粉砕方法
CN102133553A (zh) 超细粉碎机
CN108906296B (zh) 一种超细粉体处理工艺及其制造设备
CN105312139A (zh) 多级湿式破碎泵
KR101593159B1 (ko) 초미립자 분쇄기의 냉각 순환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4074208U (zh) 多级湿式破碎泵
KR101371560B1 (ko) 산화방지 초미분 저온가루녹차 제다기
CN216396529U (zh) 一种乙酰丙酮钙粉碎机
CN205392685U (zh) 一种用于果蔬垃圾的粉碎处理装置
JPH05253506A (ja) 竪型粉砕装置
JP2001104818A (ja) 微粉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