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698B1 -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698B1
KR101615698B1 KR1020130032229A KR20130032229A KR101615698B1 KR 101615698 B1 KR101615698 B1 KR 101615698B1 KR 1020130032229 A KR1020130032229 A KR 1020130032229A KR 20130032229 A KR20130032229 A KR 20130032229A KR 101615698 B1 KR101615698 B1 KR 101615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fuel injection
ignition
fuel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152A (ko
Inventor
박철웅
오승묵
이용규
김태영
김홍석
최영
강건용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32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69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 F02P15/08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having multiple-spark ignition, i.e. ignition occurring simultaneously at different places in one engine cylinder or in two or more separate engine cyl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은, (a) 차량의 고부하 조건 또는 저부하 조건의 엔진 부하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의 엔진 부하 조건에 따라 적어도 2회 이상의 다단 연료 분사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다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하는 연료 분사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와, (d)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다단 연료 분사 시기의 사이에서 점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INTER-INJECTION SPARK IGNITION CONTROL METHOD FOR DIRECT INJECTION GAS ENGINE}
본 발명은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연소 안정성의 향상이 가능한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앙 분사(Center Injection) 및 스파크 플러그 구조를 통해서 구성되는 스프레이-가이드 방식(spray-guided) 방식은 희박 연소를 통한 연비 저감 및 배출 가스 저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론 공연비 연소를 하는 일반적인 점화 착화 엔진의 경우 공기와 연료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매우 이른 시기에 연료를 분사하게 되지만, 희박 연소의 경우 연료에 비해 공기량이 많기 때문에 스파크 플러그 주위에서 연소가 가능한 혼합기를 성층화하여 연소가 일어날 수 있도록 상사점 인근에서 연료를 분사한 뒤에 바로 점화를 일으켜 연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스파크 플러그 주위의 상대적으로 농후한 혼합기 형성을 통해 연소를 구현하는 방법은 연료 및 운전 조건에 따라 혼합기의 성층화를 위한 최적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의 가솔린 엔진의 운전 제어 전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스 엔진에서는 엔진의 효율 및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스 엔진에서 연료 분사 시기 및 점화 시기를 최적 제어하여 엔진 효율 향상 및 성능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차량의 고부하 조건 또는 저부하 조건의 엔진 부하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의 엔진 부하 조건에 따라 적어도 2회 이상의 다단 연료 분사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다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하는 연료 분사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와, (d)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다단 연료 분사 시기의 사이에서 점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 단계는 엔진의 저부하 조건에서 연료의 제1 분사 및 제2 분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c) 단계에서, 제1 분사 및 제2 분사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량의 총량에 있어서, 제1 분사는 20% 내지 80%의 범위의 하나로 선택되고, 제2 분사는 20% 내지 80%의 범위의 하나로 선택되어 연료 분사될 수 있다.
제1 분사 및 제2 분사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 비율은 5:5, 3:7 또는 7:3 비율에서 어느 하나의 비율로 선택되어 연료 분사될 수 있다.
(d) 단계의 점화는 제1 분사 및 제2 분사의 사이 시기에서 적어도 2회 이상으로 다단 점화될 수 있다.
(b) 단계에는 엔진의 고부하 조건에서 제1 연료 분사와 제2 연료 분사 및 제3 연료 분사로 연료 분사 제어될 수 있다.
(c) 단계에서, 제1 연료 분사와 제2 연료 분사 및 제3 연료 분사에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량의 총량에서, 제1 연료 분사는 20% 내지 40%의 범위의 하나로 선택되고, 제2 연료 분사는 20% 내지 40%의 범위의 하나로 선택되며, 제3 연료 분사는 20% 내지 40%의 하나로 선택되어 연료 분사 제어될 수 있다.
(c) 단계에서, 제1 연료 분사와 제2 연료 분사 및 제3 연료 분사에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 비율은 3:3:4 또는 3:4:3의 비율로 선택되어 연료 분사 제어될 수 있다.
점화는, 제1 연료 분사와 제2 연료 분사의 사이 시기에 점화되는 제1 점화와, 제2 연료 분사와 제3 연료 분사의 사이에 점화되는 제2 점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점화는 제1 연료 분사와 제2 연료 분사의 사이 시기에서 다단 점화될 수 있다.
제2 점화는 제2 연료 분사와 제3 연료 분사의 사이 시기에서 다단 점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챠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다단으로 연료 분사를 실시함으로써, 차량의 연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단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다단 점화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연소를 구현하고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및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 배출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2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한 엔진 점화 시기의 제1 점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2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한 엔진 점화 시기의 제2 점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3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한 엔진 점화 시기의 제1 점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3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한 엔진 점화 시기의 제2 점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연소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엔진의 고부하 조건 또는 저부하 조건의 엔진 부하를 결정한다(S10). (S10) 단계에서 차량 엔진의 부하 조건의 결정은 차량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 상기 (S10) 단계에서 결정된 엔진 부하 조건에 따라 적어도 2회 이상의 다단 연료 분사 시기를 결정한다(S20). (S20) 단계에서의 연료 분사 시기는 상사점에 근접된 시기에 2단으로 연료 분사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S20) 단계의 연료의 분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 분사(Pilot injection)의 제1 분사(10)와 메인 분사(Main injection)의 제2 분사(20)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제1 분사(10) 및 제2 분사(20)의 2단 연료 분사를 실시하는 것은 1회의 연료 분사 만으로는 연소의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우므로, 2회의 다단 연료 분사를 실시하여 연소 안정성 및 연료 소비율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차량 엔진은 가스 엔진으로서, 연소실 내에 연료가 2단으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더욱 안정적인 연소 안정성을 위해 이하에서 (S20) 단계를 실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S20) 단계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음, (S20) 단계에서 결정된 2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하여 연료 분사 비율을 결정한다(S30). (S30) 단계에서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에 분사되는 연료는 각각 비율을 달리하여 분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30) 단계에서 연료의 분사 비율은 제1 분사(10) 및 제2 분사(20)에 분사되는 연료의 총량에 대하여, 제1 분사(10) 및 제2 분사(20)에 각각 20% 내지 80%의 범위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분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는 5:5, 3:7 또는 7:3의 분사 비율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연료 분사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S30) 단계에서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비율을 5:5, 3:7 또는 7:3의 비율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분사하는 것은 차량 엔진의 연소 안정성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1 분사(10) 및 제2 분사(20)의 분사 비율은 5:5, 3:7 또는 7:3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연료 분사 비율 총량에 대한 20% 내지 80%의 범위 내에서 차량 부하 조건을 고려하여 임의의 분사 비율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비율을 5:5, 3:7 또는 7:3의 비율 중의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 분사(10) 및 제2 분사(20) 시기에 분사되는 연료의 총량에 대해서, 제1 분사(10)에 50%의 연료를 분사하고 제2 분사(20)에 50%의 연료를 각각 분사하여 5:5의 비율로 연료를 분사한다.
이어서,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 시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를 5:5의 비율로 연료를 분사한 상태에서 적절한 성층 혼합기의 형성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 시기에 연료를 5:5의 비율로 연료를 분사한 상태에서 적절한 성층 혼합기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연소 안정성의 확보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부하 조건을 고려하여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비율을 3:7 또는 7:3의 비율로 설정하여 연료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S10) 단계의 차량 저부하 조건의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조건에서는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에 각각 분사되는 연료량을 7:3의 비율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분사(10)에 70%의 연료를 분사하고 제2 분사(20)에 30%의 연료를 분사하는 것은, 제1 분사(10)에서 연료의 분사량을 보다 증대시켜 안정적인 점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차량의 저부하 조건의 범위 내에서 상대적인 고부하 조건으로 확인되면,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에 각각 분사되는 연료량을 3:7의 비율로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저부하 조건의 범위 내에서 상대적인 고부하 조건에서 제1 분사(10)시에 30%의 연료를 분사하고 제2 분사(20)시에 70%의 연료를 분사하도록 하여 성층 혼합기의 양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연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S20) 단계에서 결정된 2단 연료 분사 시기의 사이에서 점화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S40). (S40) 단계의 연료 점화시기의 결정은 차량 엔진 ECU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서, (S20) 단계에서 결정된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 시기의 사이에서 연료 점화가 발생되도록 제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연료의 점화는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의 사이에서 점화되는 제1 점화()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의 사이시기에 연료 점화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은 기화 특성이 우수한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에서 희박연소를 구현하는 경우에 연소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2 분사(20)시에 분사되는 연료량이 제1 분사(10) 시에 분사되는 연료량에 비하여 설정값을 벗어나 과도하게 분사되거나 적게 분사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사(20) 이후에 제2 점화(21)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 분사(20) 시에 분사되는 연료량이 과도하거나 설정값 이하로 적을 경우에는 안정적인 연소의 유지 또는 배기 배출물의 저감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제2 분사(20) 이후에 제2 점화(21)를 효과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엔진 점화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인 연소 작동 유지 및 배기 배출물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분사(10)와 제2 분사(20)의 사이에 제1 점화(11)가 이루어지고 제2 분사(20) 이후에 제2 점화(21)가 이루어지는 다단 점화를 적용함으로써, 가스 연료의 연소 효율성을 높여 안정적인 연소의 구현이 가능하고 탄화수소와 질소산화물 및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 배출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점화(11)는 제1 분사(10) 및 제2 분사(20)의 사이 시기에서 다단으로 점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점화(21) 제2 분사(20) 이후에 다단으로 점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점화(11) 및 제2 점화(21)의 각각이 적어도 2회 이상의 다단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점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3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한 엔진 점화 시기의 제1 점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3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한 엔진 점화 시기의 제2 점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연소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엔진의 고부하 조건 또는 저부하 조건의 엔진 부하를 결정한다(S110). (S120) 단계에서 차량 엔진의 부하 조건의 결정은 차량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 엔진의 작동 조건에 따라 적어도 2회 이상의 다단 연료 분사 시기를 결정한다(S11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연료 분사 시기는 차량의 고부하 조건에서 엔진의 상사점에 근접된 시기에 제1 연료 분사(110)와 제2 연료 분사(120) 및 제3 연료 분사(130)의 3단으로 연료 분사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엔진의 고부하 조건은 제1 실시예의 (S10) 단계의 저부하 조건에서 분사되는 연료량의 2배 이상이 소요되는 부하 조건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S120) 단계의 다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하여 분사되는 연료 분사 비율을 결정한다(S130).(S130) 단계에서 제1 연료 분사(110)와 제2 연료 분사(120) 및 제3 연료 분사(130)에 분사되는 연료는 각각 비율을 달리하여 분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130) 단계에서 연료의 분사 비율은 제1 연료 분사(110)와 제2 연료 분사(120) 및 제3 연료 분사(130)에 분사되는 연료의 총합에 대하여, 제1 연료 분사(110)와 제2 연료 분사(120) 및 제3 연료 분사(130)는 각각 20% 내지 40%의 범위의 하나로 선택되어 분사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연료 분사(110)와 제2 연료 분사(120)의 비율은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연료 분사 비율 총합에 대하여, 20% 내지 40%의 범위 내에서 차량 부하 조건을 고려하여 임의의 분사 비율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연료 분사(110)는 제1 실시예의 제1 분사(10)와 동일한 연료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료 분사(130) 및 제3 연료 분사(131)는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서 제1 실시예의 제2 분사(20)를 더욱 세분화하여 다단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는 가스 엔진에서 제1 연료 분사(110) 이후에 분사되는 연료량이 과다할 경우 제1 연료 분사(110) 이후에 실시되는 점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료 분사(110) 이후에 분사되는 연료량이 일정량 이상을 초과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연료 분사(120) 및 제3 연료 분사(130)로 다단으로 나뉘어 분사되도록 하여 제1 실시예의 제2 분사(20)에서 분사되는 연료량의 과다 분사에 의해 엔진 점화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점화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S120) 단계에서 결정된 3단 연료 분사 시기의 사이에서 점화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S140). (S140) 단계의 연료 점화시기의 결정은 차량 엔진 ECU에 의해 결정된다. 엔진 점화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료 분사(110)와 제2 연료 분사(12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제1 점화(111)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료 분사(120)와 제3 연료 분사(13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제2 점화(12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화시기를 3단 연료 분사 시기 과정에서 2번의 점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 연료 분사(110)와 제2 연료 분사(130)의 사이에서 1회의 점화만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3단 연료 분사 과정에서 제1 점화(111)와 제2 점화(121)를 실시하는 것으로, 질소 산화물의 배출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연료 분사(110)와 제2 연료 분사(120) 및 제3 연료 분사(130)의 3단으로 연료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제1 연료 분사(110) 이후에 연료량이 많은 경우에도 제2 연료 분사(120) 및 제3 연료 분사(130)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연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점화(111)는 제1 연료 분사(110) 및 제2 연료 분사(120) 시기의 사이에서 다단으로 점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2 점화(121)는 재2 연료 분사(120)와 제3 연료 분사(130)의 사이 시기에서 다단으로 점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점화(111) 및 제2 점화(121)를 다단으로 적용하는 것은 엔진의 점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제1 분사 11, 111...제1 점화
20...제2 분사 21, 121...제2 점화
110..제1 연료 분사 120..제2 연료 분사
130..제3 연료 분사

Claims (11)

  1. (a) 차량의 고부하 조건 또는 저부하 조건의 엔진 부하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엔진 부하 조건에 따라 적어도 2회 이상의 다단 연료 분사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다단 연료 분사 시기에 대응하는 연료 분사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다단 연료 분사 시기의 사이에서 점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엔진의 저부하 조건에서 연료의 제1 분사 및 제2 분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분사 및 상기 제2 분사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 비율은 5:5, 3:7 또는 7:3 비율에서 어느 하나의 비율로 선택되어지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의 저부하 조건에서 상대적인 저부하시에는 상기 제1 분사시에 70%의 연료를 분사하고, 상기 차량의 저부하 조건에서 상대적인 고부하시에는 상기 제1 분사시에 30%의 연료를 분사하는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점화는 상기 제1 분사 및 상기 제2 분사의 사이 시기에서 적어도 2회 이상으로 다단 점화되는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는 상기 엔진의 고부하 조건에서 제1 연료 분사와 제2 연료 분사 및 제3 연료 분사로 연료 분사 제어되는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연료 분사와 상기 제2 연료 분사 및 상기 제3 연료 분사에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량의 총량에서, 제1 연료 분사는 20% 내지 40%의 범위의 하나로 선택되고, 제2 연료 분사는 20% 내지 40%의 범위의 하나로 선택되며, 제3연료 분사는 20% 내지 40%의 하나로 선택되어 연료 분사 제어되는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연료 분사와 상기 제2 연료 분사 및 상기 제3 연료 분사에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 비율은 3:3:4 또는 3:4:3의 비율로 선택되어 연료 분사 제어되는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는, 상기 제1 연료 분사와 상기 제2 연료 분사의 사이 시기에 점화되는 제1 점화와, 상기 제2 연료 분사와 상기 제3 연료 분사의 사이에 점화되는 제2 점화로 이루어지는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화는 상기 제1 연료 분사와 상기 제2 연료 분사의 사이 시기에서 다단 점화되는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화는 상기 제2 연료 분사와 상기 제3 연료 분사의 사이 시기에서 다단 점화되는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KR1020130032229A 2013-03-26 2013-03-26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KR101615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229A KR101615698B1 (ko) 2013-03-26 2013-03-26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229A KR101615698B1 (ko) 2013-03-26 2013-03-26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52A KR20140117152A (ko) 2014-10-07
KR101615698B1 true KR101615698B1 (ko) 2016-04-26

Family

ID=5199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229A KR101615698B1 (ko) 2013-03-26 2013-03-26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4648B2 (en) 2010-11-23 2013-11-19 Woodward, Inc. Controlled spark ignited flame kernel flow
US9172217B2 (en) 2010-11-23 2015-10-27 Woodward, Inc. Pre-chamber spark plug with tubular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476347B2 (en) 2010-11-23 2016-10-25 Woodward, Inc. Controlled spark ignited flame kernel flow in fuel-fed prechambers
US9856848B2 (en) 2013-01-08 2018-01-02 Woodward, Inc. Quiescent chamber hot gas igniter
EP3271561B1 (en) 2015-03-20 2018-12-12 Woodward, Inc. Parallel prechamber ignition system
US9890689B2 (en) 2015-10-29 2018-02-13 Woodward, Inc. Gaseous fuel combustion
US11415041B2 (en) 2019-09-16 2022-08-16 Woodward, Inc. Flame triggered and controlled volumetric ign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6514B2 (ja) * 1998-05-13 2004-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6514B2 (ja) * 1998-05-13 2004-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초희박 직접분사식 가솔린엔진에서 분사 및 점화 전략에 따른 배기 특성,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분종합 학술대회, 2011.5.,제69면 내지 제74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52A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698B1 (ko) 직접 분사식 가스 엔진의 분사간 점화착화 제어방법
JP4412290B2 (ja) ガス燃料内燃機関
US20130158837A1 (en) Variable-ignition diesel-gasoline dual fuel powered combustion engin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JP2013538983A (ja) 水噴射を備えた操作方法
KR101745021B1 (ko) 가솔린/디젤 연료 혼합 압축 착화 연소 엔진의 이지알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465636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dedicated EGR cylinder(s) with delayed fuel injection
JP2012530867A (ja) 内燃エンジンの動作方法
JP2000120457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07198275A (ja) ガス燃料内燃機関
JP2008019729A (ja) 筒内噴射式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2213278A (ja)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KR101491335B1 (ko) 혼합 연소 모드를 갖는 엔진의 연소 제어 방법 및 장치
JP4586765B2 (ja) 筒内直接噴射式火花点火内燃機関
JP5168177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3542366A (ja) 低NOx燃焼(NAV)を備えた内燃機関エンジンのための操作方法
JP5556956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3538985A (ja) 内燃機関エンジンのための操作方法
CN112983664B (zh) 燃烧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6930849B (zh) 双燃料发动机燃烧模式的切换控制方法、系统及车辆
JP5287381B2 (ja) エンジン
US10458347B2 (en) Power train system
JP5034678B2 (ja) 燃料噴射制御装置
JP2013542365A (ja) 内燃機関エンジンのための操作方法
US10018125B2 (en) Digit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control
KR20110064724A (ko) 2단 분사를 이용한 디젤엔진의 배기성능 개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