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612B1 -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612B1
KR101615612B1 KR1020140137825A KR20140137825A KR101615612B1 KR 101615612 B1 KR101615612 B1 KR 101615612B1 KR 1020140137825 A KR1020140137825 A KR 1020140137825A KR 20140137825 A KR20140137825 A KR 20140137825A KR 101615612 B1 KR101615612 B1 KR 10161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tree
control liquid
fin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440A (ko
Inventor
우종영
박영의
박미성
박혜준
Original Assignee
푸른공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른공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푸른공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6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재의 도관을 통한 수분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살균제를 변재의 전체 부분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방균 및 방충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제액은 액상유황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살균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MOTH PROOFING AGENT FOR WOODY PLANT AND MOTH PROOFING METHOD}
본 발명은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재의 도관을 통한 수분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살균제를 변재의 전체 부분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방균 및 방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의 해충은 수목에 피해를 주는 곤충류를 칭한다. 이러한 해충은 주로 봄부터 가을까지 활발히 활동을 하면서 수목에 피해를 가한다. 해충은 기후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고, 주택지이거나 공장과의 거리, 지형이나 그 밖의 환경요인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1970년대 중반까지는 솔나방, 솔잎혹파리, 미국흰불나방, 오리나무잎벌레 등의 해충 4종과 잣나무털녹병을 포함하여 산림의 5대 병해충이 크게 문제가 되었으나, 1980년대에는 솔나방 피해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솔잎혹파리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며 솔껍질깍지벌레, 잣나무넓적잎벌, 황철나무알락하늘소, 버즘나무방패벌레 등 새로운 해충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목에 곰팡이를 생성하도록 매개하는 해충인 광릉긴나무좀의 활동으로 인하여 참나무시들음병이 크게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참나무시들음병은 매개충이 4월 중 또는 5월 초부터 나타나 참나무로 들어가며, 그 피해를 받은 나무는 빠르면 6월말부터 빨갛게 시들면서 말라죽기 시작하여 7월~9월에는 고사목을 쉽게 볼 수 있고, 고사목은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고 붙어 있다. 고사목의 줄기와 굵은 가지에는 매개충이 침입한 천공이 많이 있고, 침입공 부분과 땅가에는 목재배설물이 많이 분비되어 있어 그 판별이 가능하다.
광릉긴나무좀은 수컷이 참나무류, 서어나무, 밤나무 등의 수간을 천공하여 침입한 후, 수컷의 페로몬으로 집단(암컷, 수컷)을 유인하여 천공공간으로 암컷을 유인한다. 그리고, 광릉긴나무좀의 암컷 등에 있는 균낭속의 레펠이아(Raffaelea)가 수목의 내부로 전염되어 수목의 도관 기능 등을 저지 및 파괴하고, 이러한 도관의 막힘으로 인해 수분 흐름이 차단되어 고사하게 된다.
한편, 참나무는 이른 봄에 한번씩 큰 폭의 도관(導管, vessel; '물관'이라고도 칭함)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환공재(ring porous wood, 環孔材)이다.
이러한 참나무는 그 횡단면의 외측에서부터 수피, 형성층(부름켜), 변재, 심재, 수심 등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참나무의 변재는 생활기능을 갖는 세포 조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변재는 약 5년 전에 형성된 도관을 가지며, 이에 변재는 양분을 저장하여 그 도관을 통해 수분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병원균이 활동한다고 하더라도 변재 부분의 감염이 방지되면 그 고사에 이르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변재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방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광릉긴나무좀의 침투 높이를 살펴보면, 토양의 표면에 접한 부분인 지제부(地際部)에 가장 많이 침투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제부에 대한 침투로 인해 도관이 막혀 나무가 고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나무의 지제부의 변재에 대한 적절한 방제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면 나무의 고사 위기를 슬기롭게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약재 주입방식은 약제 주입 후에 약제가 도관을 통한 수분흐름을 따라 상부로 쉽게 이동하기 때문에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 부분에 균일하게 확산되기 어려워 지제부의 변재에 대한 적절한 방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KR 200265300 Y1(2002.02.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변재의 도관을 통한 수분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살균제를 변재의 전체 부분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그 방균 및 방충 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나무의 균 내지 병해충을 방균 및 방출하는 방제액로서,
액상유황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살균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제 100중량부에 대해 40~60중량부의 살충제가 혼합되고, 상기 살충제는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나무의 균 내지 병해충을 방균 및 방충하는 방제방법으로,
나무의 외면에 복수의 미세홀을 형성하는 미세홀 형성단계와,
상기 복수의 미세홀에 방제액이 주입되도록 나무의 외면에 방제액을 도포하여 방제액층을 형성하는 방제액층 형성단계와,
상기 방제액층의 외면에 피막제를 도포하여 피막층을 형성하는 피막층 형성단계와,
상기 피막층의 외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제액은 액상유황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살균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제 100중량부에 대해 40~60중량부의 살충제가 혼합되고, 상기 살충제는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홀 형성단계는, 상기 미세홀의 형성이 가능하게 구성된 송곳, 뾰족한 망치 또는 복수의 송곳이 브러시 형태로 구비된 천공도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나무에 상기 미세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홀 형성단계는, 상기 송곳, 뾰족한 망치 또는 복수의 송곳이 브러시 형태로 구비된 천공도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미세홀을 상기 나무의 수피에서 형성층(부름켜)에 이르는 깊이로 상기 나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홀 형성단계는, 상기 수피에서 상기 형성층에 이르는 깊이를 갖는 상기 미세홀을 상기 나무의 지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제액층 형성단계는, 상기 미세홀이 형성된 상기 나무의 상기 지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방제액을 도포하여 상기 지제부에 상기 방제액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방제액층의 상기 방제액을 상기 미세홀에 주입시키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막층 형성단계 및 상기 점착층 형성단계는, 상기 나무의 상기 지제부에 형성되는 상기 방제액층의 외면에 상기 피막제가 도포되어 상기 피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피막층의 외면에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점착층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피막층 및 상기 점착층이 상기 방제액층과 함께 상기 나무의 상기 지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피막제는 초산비닐 100중량부에 대해 5~25중량부의 액상유황이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는 겔 형태의 끈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 살균제인 액상유황을 이용함으로써 살균제에 의한 살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방균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살균제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액상유황이 변재의 도관을 통한 수분흐름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방균 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계면활성제가 5중량부 이하로 첨가될 경우에는 액상유황의 확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계면활성제가 20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액상유황의 확산성이 너무 높아 도관을 통한 수분흐름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액상유황의 확산성과 수분흐름의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계면활성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진 살충제에 의해 해충의 기피효과를 부가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그 방충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무의 외면에 복수의 미세홀을 형성한 후에 방제액을 도포함으로써 방제액이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으므로, 나무의 변재에 대한 방균 및 방충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변재에서의 균 발생 및 병해충의 침투 등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나무의 수피를 방제액층, 피막층 및 점착층의 3층구조로 차폐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병충해의 살충, 살균, 기피 효과를 대폭 높일 수 있고, 점착층에 의해 병충해의 2차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그 방균 및 방충 성능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방제액층, 피막층 및 점착층이 도포에 의해 나무의 수피에 밀착되게 형성됨으로써 수피에 대한 완벽한 차폐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세홀이 형성층(부름켜)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층의 유합조직에 의해 미세홀이 자연스럽게 유합(막힘)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세홀에 방제액이 주입된 이후에 형성층의 유합조직은 미세홀을 상처로 인식하여 그 자연 치유 능력에 의해 미세홀의 공극을 막음으로써 미세홀의 유합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나무의 외관미를 저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막제의 초산비닐이 그 외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의 기재(전처리제) 역할을 함으로써 점착제의 도포를 통한 점착층의 형성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점착제의 도포 시에 점착제가 코르크에 흡수됨을 방지하여 그 점착층의 지속시간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막제는 액상유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액상유황에 의한 2차적인 살균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방제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가 겔 형태의 끈끈이로 구성됨에 따라 병해충(광릉긴나무좀 등)를 포살하여 2차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제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의 미세홀 형성단계를 통해 나무에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나무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의 방제액층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의 피막층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의 점착층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에 의한 방제액은, 나무의 내부에 침투한 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하도록 액상유황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살균제를 포함한다.
액상유황은 천연 살균제의 일종인 유황가루를 물과 가성소다에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그 유황함량이 대략 20~25% 정도의 액상유황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상유황은, 예컨대 100~110L의 용기에 유황 25kg을 넣은 후에, 천매암 0.5kg, 황토 0.5kg, 천일염 1.5kg 등과 같은 첨가제를 일부 혼합하며, 그런 후에 가성소다 20kg을 추가로 넣은 다음에 물을 50L 정도로 계량하여 한번씩 붓는다. 그 이후에 서서히 온도가 올라가면서 100℃를 넘기면서 유황이 녹기 시작하면 10분 정도 저어줌으로써 유황함량이 25%인 액상유황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제액은 천연 살균제인 액상유황을 이용함으로써 나무의 변재 내로 침투한 균에 대한 살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방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계면활성제는 액상유황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확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특히 계면활성제에 의해 액상유황이 변재의 도관을 통한 수분흐름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병충해에 대한 방제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계면활성제가 5중량부 이하로 첨가될 경우에는 액상유황의 확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계면활성제가 20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액상유황의 확산성이 너무 높아 도관을 통한 수분흐름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액상유황의 확산성과 수분흐름의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계면활성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제액은 살균제 100중량부에 대해 40~60중량부의 살충제가 혼합될 수 있다.
살충제는 할미꽃뿌리, 자리공뿌리, 백두웅, 돼지감자, 은행 등과 같은 다양한 천연식물에서 열수추출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살충제가 천연 열수추출물이기 때문에 친수적성(親樹的)일 뿐만 아니라 수목에 대한 유해성이 거의 없으며, 살충성에 의해 모기나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뿐만 아니라 병해충에 대한 적절한 기피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진 살충제에 의해 병해충에 대한 기피효과를 부가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그 방충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살균제 및 살충제가 혼합된 본 발명에 의한 방제액의 사용 희석배수는 5~25배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은, 나무(1)에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하는 미세홀 형성단계(S1)와, 복수의 미세홀(21)에 방제액이 주입되도록 나무의 외면에 방제액을 도포하여 방제액층(22)을 형성하는 방제액층 형성단계(S2)와, 방제액층(22)의 외면에 피막제를 도포하여 피막층(23)을 형성하는 피막층 형성단계(S3)와, 피막층(23)의 외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24)을 형성하는 점착층 형성단계(S4)를 포함한다.
미세홀 형성단계(S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1)의 외면에 미세한 직경의 천공도구(송곳, 뾰족한 망치, 가는 드릴 등)를 이용하여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특히 지면으로부터 나무(1)의 일정 높이(2)까지 전둘레에 걸쳐 즉, 원주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면적 단위로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한다. 예컨대, 나무(1)의 표면적 10㎠당 4개 이상의 갯수로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곳(31)이 브러시 형태로 구비된 천공도구(30)를 사용할 경우에, 복수의 미세홀(21)을 표면적 10㎠당 4개 이상의 갯수로 매우 신속하고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각종 병충해의 침투가 집중되는 나무(1)의 지제부(2, 地際部)에 대응하는 영역에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하는 것이 방균 및 방충 작업의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나무(1)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나무(1)의 횡단면은 그 외측으로부터 중심으로 수피(11), 형성층(12), 변재(13), 심재(14), 수심(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됨이 나타나 있다.
각 미세홀(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나무(1)의 수피(11)에서 형성층(12, 부름켜)에 이르는 깊이(h)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미세홀(21)이 형성층(12, 부름켜)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층(12)의 유합조직에 의해 미세홀이 자연스럽게 유합(막힘)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래의 약제 주입방식은 주사기의 주입을 위해 10mm의 직경과 4~5cm 이상의 깊이로 구멍을 천공함에 따라 구멍이 변재의 도관과 간섭되게 형성되어 도관을 통과하는 수분흐름에 의해 약제가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균일하게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또한 구멍으로 인해 나무의 외관이 크게 저하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미세홀(21)이 형성층(12, 부름켜)까지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세홀(21)이 변재(13)의 도관과 간섭하지 않고, 이를 통해 미세홀(21)에 방제액이 주입되면 방제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 등에 의해 나무(1)의 횡단면 상에서 균일한 확산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세홀(21)이 형성층(12, 부름켜)에 위치함에 따라 방제액이 주입된 이후에 형성층(12)의 유합조직이 미세홀(21)의 상처로 인식하여 그 자연 치유 능력에 의해 도 6과 같이 미세홀(21)의 공극이 막힘으로써 미세홀(21)의 유합(21a)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나무의 외관미를 저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방제액층 형성단계(S2)는 도 5와 같이 방제액이 복수의 미세홀(21) 내로 주입되도록 나무의 외면에 방제액을 도포하여 방제액층(22)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방제액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상유황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살균제와,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진 살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나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한 후에 방제액을 도포하여 방제액(22)을 형성함에 따라 방제액이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이때, 방제액은 미세홀(21)이 형성된 나무(1)의 지제부(2)에 대응하는 영역에 도포되어 지제부(2)에 방제액층(22)을 형성한다. 따라서, 방제액은 지제부(2)에 형성된 미세홀(21)을 통해 미세홀(21)의 내부로 주입된다.
이렇게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된 방제액은 그 살균제의 액상유황에 의해 변재의 내부로 침투한 균을 확실하게 살균할 수 있으므로 그 방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방제액이 나무의 외면에 도포됨에 따라 천연 열추출물로 이루어진 살충제에 의해 해충이 나무 내로 침투됨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그 방충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방제액층에 의해 나무의 변재에 대한 방균 및 방충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변재에서의 균 발생 및 병해충의 침투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피막층 형성단계(S3)는 도 6과 같이 방제액층(22)의 외면에 피막제를 도포하여 피막층(2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피막제는 경화되면서 수목의 수피에 피막을 형성하는 콜로이드 형태의 물질이고, 초산비닐이나 점성을 갖는 수용성 수지 또는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콜로이드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피막제는 수용성이라서 물과 희석이 용이하면서 수급이 용이한 초산비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막제는 초산비닐 및 물이 40~80wt% : 20~60wt%의 비율로 혼합되어 희석된 콜로이드액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초산비닐 및 물은 전술한 혼합비율의 이하로 혼합될 경우 피막의 형성이 거의 불가능하였고, 그 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도포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재료비 및 경화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피막제는 수피에 액상으로 도포된 후 경화되면서 수피에 피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피막제는 수목의 내부나 외부에 생태하는 병해충이 수목의 내외부로 소통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해충은 피막제에 의한 피막에 의해 소통이 방지된다. 그리고, 피막제는 수용성 초산비닐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막제는 초산비닐 100중량부에 대해 5~25중량부의 액상유황이 혼합되어 희석된 콜로이드액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액상유황은 피막제의 점도 조절을 위한 증량제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살균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막제의 초산비닐이 그 외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의 기재(전처리제) 역할을 함으로써 점착제의 도포 시에 점착제가 코르크로 흡수됨을 방지하여 점착제의 도포에 의한 점착층의 형성이 보다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그 점착층의 지속시간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막제는 액상유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액상유황에 의한 2차적인 살균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방균 및 방충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점착층 형성단계(S4)는 도 7과 같이 피막층(23)의 외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24)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점착제는 적절한 점성질을 가진 겔 형태의 끈적거리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점착제가 적절히 도포됨에 따라 피막층(23)의 외면에 점착층(24)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층(24)에 의해 나무로 침투하는 광릉긴나무좀 등과 같은 병해충이 부착되어 포살됨으로써 병해충의 2차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피막층(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나무(1)의 지제부(2)에 형성되는 방제액층(22)의 외면에 피막제가 도포됨에 따라 나무(1)의 지제부(2)에 형성된다. 그리고, 점착층(24)은 이러한 피막층(23)의 외면에 도포됨에 따라 나무(1)의 지제부(2)에 형성된다. 따라서, 피막층(23) 및 점착층(24)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제액층(22)과 함께 나무(1)의 지제부(2)에 적층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방제액층(22)과 피막층(23) 및 점착층(24)은 나무(1)의 지제부(2)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3층의 구조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나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한 후에 방제액을 주입함으로써 방제액이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으므로, 나무의 변재에 대한 방균 및 방충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변재에서의 균 발생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나무(1)의 수피(11)을 방제액층(22), 피막층(23) 및 점착층(24)의 3층구조로 차폐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병충해의 살충, 살균, 기피 효과를 대폭 높일 수 있고, 점착층에 의해 병충해의 2차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그 방균 및 방충 성능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방제액층(22), 피막층(23) 및 점착층(24)이 도포에 의해 나무(1)의 수피(11)에 밀착되게 형성됨으로써 수피에 대한 완벽한 차폐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 나무 2: 지제부 11: 수피
12: 형성층(부름켜) 13: 변재 14: 심재
15: 수심 21: 미세홀 22: 방제액층
23: 피막층 24: 점착층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나무의 외면에 복수의 미세홀을 형성하는 미세홀 형성단계와,
    상기 복수의 미세홀에 방제액이 주입되도록 나무의 외면에 방제액을 도포하여 방제액층을 형성하는 방제액층 형성단계와,
    상기 방제액층의 외면에 피막제를 도포하여 피막층을 형성하는 피막층 형성단계와,
    상기 피막층의 외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홀 형성단계는,
    상기 미세홀의 형성이 가능하게 구성된 뾰족한 망치 또는 복수의 송곳이 브러시 형태로 구비된 천공도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나무에 상기 미세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미세홀 형성단계는,
    상기 뾰족한 망치 또는 복수의 송곳이 브러시 형태로 구비된 천공도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미세홀을 상기 나무의 수피에서 형성층에 이르는 깊이로 상기 나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미세홀 형성단계는,
    상기 수피에서 상기 형성층에 이르는 깊이를 갖는 상기 미세홀을 상기 나무의 지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제액층 형성단계는,
    상기 미세홀이 형성된 상기 나무의 상기 지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방제액을 도포하여 상기 지제부에 상기 방제액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방제액층의 상기 방제액을 상기 미세홀에 주입시키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피막층 형성단계 및 상기 점착층 형성단계는,
    상기 나무의 상기 지제부에 형성되는 상기 방제액층의 외면에 상기 피막제가 도포되어 상기 피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피막층의 외면에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점착층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피막층 및 상기 점착층이 상기 방제액층과 함께 상기 나무의 상기 지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막제는 초산비닐 100중량부에 대해 5~25중량부의 액상유황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방법.
KR1020140137825A 2014-10-13 2014-10-13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 KR10161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825A KR101615612B1 (ko) 2014-10-13 2014-10-13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825A KR101615612B1 (ko) 2014-10-13 2014-10-13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440A KR20160043440A (ko) 2016-04-21
KR101615612B1 true KR101615612B1 (ko) 2016-04-26

Family

ID=5591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825A KR101615612B1 (ko) 2014-10-13 2014-10-13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6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566A (ja) * 2004-03-10 2005-09-22 Syngenta Japan Kk 害虫から樹木類への加害を防止するための樹幹注入用組成物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566A (ja) * 2004-03-10 2005-09-22 Syngenta Japan Kk 害虫から樹木類への加害を防止するための樹幹注入用組成物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440A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68796B (zh) 一种防治杨树天牛虫害的药膏
JP6307759B2 (ja) 樹幹注入剤およびナラ枯れ防止方法
CN103155943B (zh) 一种用于防治林业害虫杨树天牛的药膏
CN108353708B (zh) 一种西番莲茎基腐病的防治方法
CN205213625U (zh) 一种防治病树伐桩病虫害的保护膜
CN201222894Y (zh) 一种树木病虫防治即时贴
CN106258661A (zh) 天牛防止方法
CN103749527B (zh) 一种含有噻虫啉的防治林业害虫杨树天牛的药膏
KR100767783B1 (ko)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KR101615612B1 (ko)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
KR101641924B1 (ko)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
CN103875703B (zh) 一种防治天牛的农药膏剂
KR101348879B1 (ko)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CN102742476A (zh) 盐松、碱松灭绝虫害的方法
CN102511459A (zh) 一种白蚁诱杀方法及诱杀装置
KR101371664B1 (ko)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CN103749513B (zh) 一种含有光活化杀虫剂2,5-二噻吩-2-乙炔基噻吩的杀虫药膏
Kuhns Getting Chemicals Into Trees Without Spraying
CN104472248A (zh) 一种丹参根腐病预防方法
TWI732483B (zh) 淺孔注射藥劑以治療樹木褐根病之方法
CN109258683A (zh) 一种具有高效、内吸传导作用的防治天牛的药膏及其使用方法
CN103039310B (zh) 一种防治树木病虫害的灌注方法
KR101897530B1 (ko)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980007977A (ko) 수간주입법을 이용한 버즘나무 방패벌레와 흰불나방의 통제방법
CN206791469U (zh) 一种果树蛀虫施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