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924B1 -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924B1
KR101641924B1 KR1020150153020A KR20150153020A KR101641924B1 KR 101641924 B1 KR101641924 B1 KR 101641924B1 KR 1020150153020 A KR1020150153020 A KR 1020150153020A KR 20150153020 A KR20150153020 A KR 20150153020A KR 101641924 B1 KR101641924 B1 KR 101641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ree
perforated
weights
for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영
박영의
박미성
박혜준
Original Assignee
푸른공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른공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푸른공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9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재의 도관을 통한 수분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살균제를 변재의 전체 부분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방균 및 방충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도구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제도구는 타공부재를 이용하여 타격하는 것만으로 수목의 몸체에 쉽고 간편하게 미세홀을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제액은 액상유황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살균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MOTH PROOFING TOOL FOR WOODY PLANT AND MOTH PROOFING METHOD}
본 발명은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재의 도관을 통한 수분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살균제를 변재의 전체 부분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방균 및 방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의 해충은 수목에 피해를 주는 곤충류를 칭한다. 이러한 해충은 주로 봄부터 가을까지 활발히 활동을 하면서 수목에 피해를 가한다. 해충은 기후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고, 주택지이거나 공장과의 거리, 지형이나 그 밖의 환경요인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1970년대 중반까지는 솔나방, 솔잎혹파리, 미국흰불나방, 오리나무잎벌레 등의 해충 4종과 잣나무털녹병을 포함하여 산림의 5대 병해충이 크게 문제가 되었으나, 1980년대에는 솔나방 피해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솔잎혹파리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며 솔껍질깍지벌레, 잣나무넓적잎벌, 황철나무알락하늘소, 버즘나무방패벌레 등 새로운 해충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목에 곰팡이를 생성하도록 매개하는 해충인 광릉긴나무좀의 활동으로 인하여 참나무시들음병이 크게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참나무시들음병은 매개충이 4월 중 또는 5월 초부터 나타나 참나무로 들어가며, 그 피해를 받은 나무는 빠르면 6월말부터 빨갛게 시들면서 말라죽기 시작하여 7월~9월에는 고사목을 쉽게 볼 수 있고, 고사목은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고 붙어 있다. 고사목의 줄기와 굵은 가지에는 매개충이 침입한 천공이 많이 있고, 침입공 부분과 땅가에는 목재배설물이 많이 분비되어 있어 그 판별이 가능하다.
광릉긴나무좀은 수컷이 참나무류, 서어나무, 밤나무 등의 수간을 천공하여 침입한 후, 수컷의 페로몬으로 집단(암컷, 수컷)을 유인하여 천공공간으로 암컷을 유인한다. 그리고, 광릉긴나무좀의 암컷 등에 있는 균낭속의 레펠이아(Raffaelea)가 수목의 내부로 전염되어 수목의 도관 기능 등을 저지 및 파괴하고, 이러한 도관의 막힘으로 인해 수분 흐름이 차단되어 고사하게 된다.
한편, 참나무는 이른 봄에 한번씩 큰 폭의 도관(導管, vessel; '물관'이라고도 칭함)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환공재(ring porous wood, 環孔材)이다.
이러한 참나무는 그 횡단면의 외측에서부터 수피, 형성층(부름켜), 변재, 심재, 수심 등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참나무의 변재는 생활기능을 갖는 세포 조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변재는 약 5년 전에 형성된 도관을 가지며, 이에 변재는 양분을 저장하여 그 도관을 통해 수분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병원균이 활동한다고 하더라도 변재 부분의 감염이 방지되면 고사에 이르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변재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방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광릉긴나무좀의 침투 높이를 살펴보면, 토양의 표면에 접한 부분인 지제부(地際部)에 가장 많이 침투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제부에 대한 침투로 인해 도관이 막혀 나무가 고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나무의 지제부의 변재에 대한 적절한 방제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면 나무의 고사 위기를 슬기롭게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약재 주입방식은 약제 주입 후에 약제가 도관을 통한 수분흐름을 따라 상부로 쉽게 이동하기 때문에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 부분에 균일하게 확산되기 어려워 지제부의 변재에 대한 적절한 방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약제 주입방식은 드릴을 이용하여 나무에 약제 주입공을 형성하므로 세포가 활성화된 형성층을 드릴이 관통하여 도관까지 약제 주입공이 형성됨에 따라 약제가 형성층에 횡방향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도관을 통해 나무의 상부로 공급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약제 주입공이 도관까지 형성되는 이유는, 천공작업시 작업자가 드릴의 삽입깊이를 용이하게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약제 주입공의 천공작업시 약제 주입공의 깊이를 자연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약제 주입공이 설정된 깊이 이상으로 천공되지 않는 방제공구를 개발함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수목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을 출원하게 되었다.
KR 200265300 Y1(2002.02.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목의 몸체에 미세홀을 성형할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그리고, 미세홀을 성형하는 돌출부재를 복수로 마련하여 각각의 돌출부재를 서로 번갈아가며 사용할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게다가, 각각의 돌출부재를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하여 수목의 몸체에 서로 상이한 깊이를 갖는 미세홀을 성형할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또한, 돌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체에 돌출부재의 일부분이 걸림되게 할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그리고, 수용체에 돌출부재를 별도로 구비하여 일체를 이룰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또한, 수용체와 돌출부재를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아울러, 파지가능한 파지부재를 수용체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게다가, 수용체에 고정되는 파지부재를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수용체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부재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변재의 도관을 통한 수분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살균제를 변재의 전체 부분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그 방균 및 방충 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수목 치료용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는 수목의 몸체에 미세홀을 성형하며, 일단이 뾰족한 형태로 상기 미세홀의 깊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부재 상기 타공부재와 일체를 이루어 상기 타공부재에 중량을 제공하는 웨이트 및 상기 웨이트와 일체를 이루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타공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웨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공부재는 상기 웨이트에 복수로 마련되고,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공부재는, 상기 웨이트에 일체로 구비되고, 뾰족한 단부를 가지면서 상기 미세홀의 깊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핀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공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타측에 복수로 마련되되,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웨이트의 타측에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웨이트의 타측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타공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타측 상부에 위치한 것이 상기 웨이트의 타측 하부에 위치한 것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타공부재는 상기 송곳 또는 못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는 상기 타공부재의 타단을 상기 웨이트에 걸림가능하게 장착시키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는 상기 타공부재의 타단에 상기 타공부재가 이루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타공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헤드돌기 및 상기 타공부재의 헤드돌기가 마련된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웨이트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부재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웨이트는 상기 타공부재의 타단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1웨이트부재 상기 제1웨이트부재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웨이트부재와 동일하게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겹쳐짐에 따라 상기 타공부재의 타단 나머지부분을 수용하는 제2웨이트부재 및 상기 제1웨이트부재 및 제2웨이트부재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웨이트부재 및 제2웨이트부재를 일체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타공부재 및 웨이트는 일체를 이루어 성형되는 타공웨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공웨이트는 상기 타공부재 및 웨이트를 가로질러 절단한 형태를 갖는 제1타공웨이트, 상기 제1타공웨이트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타공웨이트와 동일하게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겹쳐지는 제2타공웨이트 및 상기 제1타공웨이트 및 제2타공웨이트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타공웨이트 및 제2타공웨이트를 일체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목 치료용 방제도구는 상기 웨이트 및 손잡이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웨이트 및 손잡이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손잡이는 상기 결합부재가 일측에 관통되며, 상기 웨이트의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게 마련되는 자루 및 상기 자루의 일측에 마련되는 파지가능한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는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웨이트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고정가능한 위치가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가변수단은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자루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구멍형태의 홀더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나무의 균 내지 병해충을 방균 및 방출하는 방제액을 이용한다.
상기 방제액은 액상유황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살균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제 100중량부에 대해 40~60중량부의 살충제가 혼합되고, 상기 살충제는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나무의 균 내지 병해충을 방균 및 방충하는 방제방법으로, 나무의 외면에 복수의 미세홀을 형성하는 미세홀 형성단계와, 상기 복수의 미세홀에 방제액이 주입되도록 나무의 외면에 방제액을 도포하여 방제액층을 형성하는 방제액층 형성단계와, 상기 방제액층의 외면에 피막제를 도포하여 피막층을 형성하는 피막층 형성단계와, 상기 피막층의 외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제액은 액상유황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살균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제 100중량부에 대해 40~60중량부의 살충제가 혼합되고, 상기 살충제는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막제는 초산비닐 100중량부에 대해 5~25중량부의 액상유황이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는 겔 형태의 끈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세홀 형성단계는, 상기 수목치료용 방제공구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미세홀 형성단계는, 상기 수목치료용 방제공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미세홀을 상기 나무의 수피에서 형성층(부름켜)에 이르는 깊이로 상기 나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홀 형성단계는, 상기 수피에서 상기 형성층에 이르는 깊이를 갖는 상기 미세홀을 상기 나무의 지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제액층 형성단계는, 상기 미세홀이 형성된 상기 나무의 상기 지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방제액을 도포하여 상기 지제부에 상기 방제액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방제액층의 상기 방제액을 상기 미세홀에 주입시키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막층 형성단계 및 상기 점착층 형성단계는, 상기 나무의 상기 지제부에 형성되는 상기 방제액층의 외면에 상기 피막제가 도포되어 상기 피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피막층의 외면에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점착층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피막층 및 상기 점착층이 상기 방제액층과 함께 상기 나무의 상기 지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막제는 초산비닐 100중량부에 대해 5~25중량부의 액상유황이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는 겔 형태의 끈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는 타공부재를 이용하여 타격하는 것만으로 수목의 몸체에 쉽고 간편하게 미세홀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웨이트의 무게에 의해 타공부재를 용이하게 타격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타격시 웨이트가 수목의 외피에 충돌함에 따라 수목에 삽입되는 타공부재의 삽입깊이를 자연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미세홀이 과도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웨이트의 양측에 복수의 타공부재를 각각 마련하여 서로 번갈아가면서 사용함에 따라 타공부재의 마모, 파손 등을 줄이기 때문에 타공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각각의 타공부재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기 때문에 수목 몸체의 두께, 너비 등을 고려하여 수목 몸체에 알맞는 깊이를 갖는 미세홀을 선택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공부재는 송곳 또는 못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쉽고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클램프를 통해 타공부재를 웨이트에 걸림가능하게 장착시키기 때문에 타공부재가 웨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클램프는 타공부재에 마련되는 헤드와 웨이트에 마련되는 타공부재시트로 구성되어 헤드가 마련된 타공부재의 일단을 타공부재시트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타공부재가 웨이트에 걸림되기 때문에 별도의 수단 또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웨이트는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제1웨이트부재 및 제2웨이트부재로 각각 구성되는 경우 제작이 용이하며,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거나 각각 분리시킬 수 있어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게다가, 이를 통해 웨이트에 별도로 마련되는 타공부재를 웨이트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시키거나 교체가능한 효과도 있다.
이와 다르게, 웨이트는 타공부재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타공웨이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게다가, 타공웨이트는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제1타공웨이트 및 제2타공웨이트로 각각 구성되는 경우 제작이 용이하며, 체결부재를 통해 간편하게 제1타공웨이트 및 제2타공웨이트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웨이트 및 손잡이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통해 손잡이를 웨이트에 쉽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손잡이는 웨이트의 외측으로 길이를 갖게 마련되는 자루 및 파지가능한 파지부로 구성되어 자루의 일단에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것만으로 손잡이가 웨이트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손잡이는 위치가변수단을 제공하여 손잡이를 웨이트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동시킨 후 결합부재를 통해 이동된 위치에 손잡이를 다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손잡이는 웨이트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동됨에 따라 웨이트로 인해 손잡이에 발생되는 무게중심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에 알맞는 무게중심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위치가변수단은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구멍형태의 홀더로 구성되기 때문에 성형이 용이하며, 결합부재가 홀더에 쉽고 간편하게 결합되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방법에 의하면, 천연 살균제인 액상유황을 이용함으로써 살균제에 의한 살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방균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살균제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액상유황이 변재의 도관을 통한 수분흐름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방균 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계면활성제가 5중량부 이하로 첨가될 경우에는 액상유황의 확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계면활성제가 20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액상유황의 확산성이 너무 높아 도관을 통한 수분흐름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액상유황의 확산성과 수분흐름의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계면활성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진 살충제에 의해 해충의 기피효과를 부가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그 방충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무의 외면에 복수의 미세홀을 형성한 후에 방제액을 도포함으로써 방제액이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으므로, 나무의 변재에 대한 방균 및 방충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변재에서의 균 발생 및 병해충의 침투 등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나무의 수피를 방제액층, 피막층 및 점착층의 3층구조로 차폐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병충해의 살충, 살균, 기피 효과를 대폭 높일 수 있고, 점착층에 의해 병충해의 2차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그 방균 및 방충 성능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방제액층, 피막층 및 점착층이 도포에 의해 나무의 수피에 밀착되게 형성됨으로써 수피에 대한 완벽한 차폐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세홀이 형성층(부름켜)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층의 유합조직에 의해 미세홀이 자연스럽게 유합(막힘)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세홀에 방제액이 주입된 이후에 형성층의 유합조직은 미세홀을 상처로 인식하여 그 자연 치유 능력에 의해 미세홀의 공극을 막음으로써 미세홀의 유합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나무의 외관미를 저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막제의 초산비닐이 그 외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의 기재(전처리제) 역할을 함으로써 점착제의 도포를 통한 점착층의 형성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점착제의 도포 시에 점착제가 코르크에 흡수됨을 방지하여 그 점착층의 지속시간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막제는 액상유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액상유황에 의한 2차적인 살균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방제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가 겔 형태의 끈끈이로 구성됨에 따라 병해충(광릉긴나무좀 등)를 포살하여 2차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제공구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방제공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타공부재 및 자루가 웨이트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수단을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제도구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방제도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제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의 미세홀 형성단계를 통해 나무에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도 8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나무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도 9의 화살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의 방제액층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의 피막층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의 점착층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
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
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
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
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100)는 타공부재(110), 웨이트(150) 및 손잡이(190)를 포함한다.
타공부재(110)는 수목의 몸체에 구멍형태의 미세홀(21)을 성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타공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뾰족한 형태로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즉, 타공부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핀형태의 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타공부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웨이트(15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타공부재(110)는 웨이트(15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공부재(110)는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150)의 일측에 단수의 타공부재(110)가 마련되며, 타측에 복수의 타공부재(110)가 마련된다.
이에 더하여, 타공부재(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를 이룰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길이(L1~L3)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타공부재(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15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한 것이 웨이트(150)의 타측 하부에 위치한 것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타공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돌기(131)를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돌기(131)는 타공부재(110)의 타단에 타공부재(110)가 이루는 직경보다 크게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타공부재(110)는 후술하는 웨이트(150)에 별도로 마련되는 송곳 또는 못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웨이트(150)는 타공부재(110)와 일체를 이루어 타공부재(110)에 중량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웨이트(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웨이트부재(151), 제2웨이트부재(153) 및 체결부재(155)를 포함한다.
제1웨이트부재(1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의 형태를 가지며, 전술한 타공부재(110)를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웨이트부재(1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부재(110)가 수용되는 타공부재시트(133)를 포함한다.
타공부재시트(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타공부재(110)의 타측 즉, 헤드돌기(131)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1웨이트부재(151)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타공부재시트(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부재(110) 둘레의 일측 절반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를 갖게 형성된다.
그리고, 타공부재시트(133)는 제1웨이트부재(15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단수로 형성되며, 타측에 복수로 형성된다.
제2웨이트부재(15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웨이트부재(15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전술한 타공부재시트(133)가 일측면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웨이트부재(153)는 제1웨이트부재(151)와 동일하게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겹쳐진다. 자세하게는, 타공부재시트(133)가 마련된 제1웨이트부재(151)의 일측면과 제2웨이트부재(153)의 일측면이 서로 맞닿게 겹쳐진다.
체결부재(155)는 전술한 제1웨이트부재(151) 및 제2웨이트부재(153)를 일체적으로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자세하게는, 체결부재(155)는 제1웨이트부재(151) 및 제2웨이트부재(153)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제1웨이트부재(151)와 제2웨이트부재(153)를 서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체결부재(15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또는 볼트로 구성되며, 이는 통상적인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더하여, 제1웨이트부재(151) 및 제2웨이트부재(153) 각각은 후술하는 손잡이(190)의 자루(191)를 수용하는 자루시트(19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루시트(19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91)의 일측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1웨이트부재(151) 및 제2웨이트부재(153)의 일측면에 각각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자루시트(19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91) 둘레의 일측 또는 타측 절반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를 갖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100)는 전술한 타공부재(110)를 웨이트(150)에 고정시키는 클램프(1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클램프(130)는 전술한 헤드돌기(131) 및 타공부재시트(133)로 구성된다. 여기서, 클램프(130) 각각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클램프(130)를 통해 타공부재(110)의 헤드돌기(131)가 타공부재시트(133)에 수용되어 걸림됨에 따라 타공부재(110)가 웨이트(150)에 고정된다.
손잡이(190)는 전술한 웨이트(150)의 일측에 고정되어 웨이트(150)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손잡이(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91) 및 파지부(193)를 포함한다.
자루(19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의 형태로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이러한, 자루(191)는 일측 일부분이 전술한 제1웨이트부재(151)에 형성된 자루시트(191a)에 수용되며, 일측 나머지부분이 제2웨이트부재(153)에 형성된 자루시트(191a)에 수용된다.
그리고, 자루(191)는 별도로 마련되는 결합부재(170)를 통해 전술한 웨이트(150)와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결합부재(170)는 전술한 체결부재(155)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또는 볼트로 구성되며, 이는 통상적인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70)를 통해 웨이트(150)와 일체를 이루는 자세한 방법은 후술한다.
파지부(193)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파지부(19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90)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파지부(19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자루(191)의 타측에 마련된다. 이에 더하여, 파지부(193)는 미끄럼방지돌기(193a)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100)의 결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부재(110)를 제1웨이트부재(151)의 타공부재시트(133)에 각각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타공부재(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일부분이 타공부재시트(133)에 알맞게 수용되며, 헤드돌기(131)에 의해 타공부재시트(133)에 걸림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90)의 자루(191)를 제1웨이트부재(151)의 자루시트(191a)에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자루(19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일부분이 자루시트(191a)에 알맞게 수용된다.
다음, 제2웨이트부재(153)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웨이트부재(151)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제1웨이트부재(151)의 일측면에 맞닿게 겹친다. 이에 따라, 제2웨이트부재(153)는 제1웨이트부재(151)에 수용된 타공부재(110) 및 자루(191)의 나머지부분을 수용하며, 타공부재(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체결부재(155)를 이용하여 제1웨이트부재(151) 및 제2웨이트부재(153)에 관통되게 체결한다. 이에 따라, 제1웨이트부재(151) 및 제2웨이트부재(153)는 일체를 이루어 고정된다. 게다가, 제1웨이트부재(151) 및 제2웨이트부재(153)가 일체를 이룸에 따라 타공부재(110)의 타측 전체를 수용하게 된다. 즉, 타공부재(110)는 웨이트(150)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70)를 이용하여 제1웨이트부재(151), 제2웨이트부재(153) 및 자루(191)에 관통되게 결합한다. 이에 따라, 제1웨이트부재(151), 제2웨이트부재(153) 및 자루(191)는 일체를 이루어 고정된다. 즉, 손잡이(190)는 웨이트(15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100)는 전술한 구성 및 결합방법을 통해 타공부재(110), 웨이트(150) 및 손잡이(190)가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방제공구(100)는 사용자가 직접 손잡이(190)를 파지한 후 작게는 손목이나 팔꿈치, 크게는 어깨 관절을 축으로 하는 원운동을 하여 수목의 외피를 타격함에 따라 타격방향에 위치한 타공부재(110)에 웨이트(150)의 무게가 전달되어 타공부재(110)가 수목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수목은 타공부재(110)에 의해 미세홀(21)이 형성된다. 이때, 방제공구(100)는 타격시 웨이트(150)가 수목의 외피에 충돌함에 따라 수목에 삽입되는 타공부재(110)의 삽입깊이를 자연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미세홀(21)이 과도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100)는 전술한 손잡이(190)를 이동시킨 후, 이동된 위치에 손잡이(190)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1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수단(19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91)의 일측에 관통형성되는 구멍형태의 홀더로 구성된다. 여기서, 홀더는 전술한 결합부재(170)가 관통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홀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91)의 일측에 형성되며, 자루(19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100)의 손잡이(190)를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웨이트(150)와 손잡이(190)를 관통하여 결합된 결합부재(170)를 이탈시킨다. 이에 따라, 손잡이(190)는 자루(19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90)를 자루(19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결합부재(170)를 이용하여 웨이트(150)와 손잡이(190)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부재(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웨이트부재(151), 제2웨이트부재(153)를 관통하는 것은 물론, 자루(191)에 형성된 홀더 중 이동된 위치의 홀더를 관통한다. 이에 따라, 손잡이(190)는 이동된 위치에 고정되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웨이트(150)와 일체를 이룬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100)는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웨이트(160) 및 손잡이(190)를 포함한다.
타공웨이트(160)를 설명하기에 앞서, 다른 실시예의 손잡이(190)를 설명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손잡이(190)와 동일하며, 이와 연관되는 전술한 결합부재(170) 및 위치조절수단 역시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타공웨이트(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타공부재(110)와 웨이트(150)가 일체적으로 성형된 상태로 마련된다. 즉, 타공웨이트(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공부재(110)와 웨이트(150)가 별개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사출 성형된다. 이러한, 타공웨이트(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타공웨이트(161), 제2타공웨이트(163) 및 체결부재(155)를 포함한다.
제1타공웨이트(1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의 형태를 가지며, 전술한 타공부재(110)의 일부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자세하게는, 제1타공웨이트(16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웨이트부재(151)에 타공부재(110)가 수용된 형태와 같은 형태로 성형된다.
제2타공웨이트(16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타공웨이트(16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제2타공웨이트(163)는 제1타공웨이트(161)와 동일하게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겹쳐진다. 자세하게는, 전술한 제2웨이트부재(153)가 제1웨이트부재(151)에 겹치지는 형태와 같은 형태로 제1타공웨이트(161)의 일측면과 제2타공웨이트(163)의 일측면이 서로 맞닿게 겹쳐진다.
체결부재(155)는 전술한 제1타공웨이트(161) 및 제2타공웨이트(163)를 일체적으로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체결부재(155)는 전술한 실시예의 체결부재(155)와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100)의 결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190)의 자루(191)를 제1타공웨이트(161)의 자루시트(191a)에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자루(191)는 일측 일부분이 자루시트(191a)에 알맞게 수용된다.
다음, 제2타공웨이트(163)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타공웨이트(161)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제1타공웨이트(161)의 일측면에 맞닿게 겹친다. 이에 따라, 제2타공웨이트(163)는 제1타공웨이트(161)에 수용된 자루(191)의 나머지부분을 수용한다.
그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체결부재(155)를 이용하여 제1타공웨이트(161) 및 제2타공웨이트(163)에 관통되게 체결한다. 이에 따라, 제1타공웨이트(161) 및 제2타공웨이트(16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를 이루어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70)를 이용하여 제1타공웨이트(161), 제2타공웨이트(163) 및 자루(191)에 관통되게 결합한다. 이에 따라, 제1타공웨이트(161), 제2타공웨이트(163) 및 자루(19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를 이루어 고정된다. 즉, 손잡이(190)는 웨이트(15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100)는 전술한 구성 및 결합방법을 통해 타공웨이트(160) 및 손잡이(190)가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방제공구(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목에 미세홀(21)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타격시 타공웨이트(160)가 수목의 외피에 충돌함에 따라 수목에 삽입되는 타공부재(110)의 삽입깊이를 자연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미세홀(21)이 과도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100) 역시 전술한 위치고정수단(195)을 통해 손잡이(190)를 이동시킨 후, 이동된 위치에 손잡이(19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수단(195)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도구에 의하면, 수목의 몸체에 쉽고 간편하게 미세홀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타공부재를 서로 번갈아가면서 사용함에 따라 타공부재의 마모, 파손 등을 줄여 타공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각각의 타공부재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기 때문에 수목 몸체의 두께, 너비 등을 고려하여 수목 몸체에 알맞는 깊이를 갖는 미세홀을 선택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손잡이는 위치고정수단을 제공하여 손잡이를 웨이트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동시킨 후 결합부재를 통해 이동된 위치에 손잡이를 다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웨이트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동됨에 따라 웨이트로 인해 손잡이에 발생되는 무게중심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에 알맞는 무게중심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치료용 방제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제방법에 적용되는 방제액은, 나무의 내부에 침투한 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하도록 액상유황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살균제를 포함한다.
액상유황은 천연 살균제의 일종인 유황가루를 물과 가성소다에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그 유황함량이 대략 20~25% 정도의 액상유황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상유황은, 예컨대 100~110L의 용기에 유황 25kg을 넣은 후에, 천매암 0.5kg, 황토 0.5kg, 천일염 1.5kg 등과 같은 첨가제를 일부 혼합하며, 그런 후에 가성소다 20kg을 추가로 넣은 다음에 물을 50L 정도로 계량하여 한번씩 붓는다. 그 이후에 서서히 온도가 올라가면서 100℃를 넘기면서 유황이 녹기 시작하면 10분 정도 저어줌으로써 유황함량이 25%인 액상유황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제액은 천연 살균제인 액상유황을 이용함으로써 나무의 변재 내로 침투한 균에 대한 살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방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계면활성제는 액상유황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확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특히 계면활성제에 의해 액상유황이 변재의 도관을 통한 수분흐름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병충해에 대한 방제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계면활성제가 5중량부 이하로 첨가될 경우에는 액상유황의 확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계면활성제가 20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액상유황의 확산성이 너무 높아 도관을 통한 수분흐름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액상유황의 확산성과 수분흐름의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계면활성제는 액상유황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제액은 살균제 100중량부에 대해 40~60중량부의 살충제가 혼합될 수 있다.
살충제는 할미꽃뿌리, 자리공뿌리, 백두웅, 돼지감자, 은행 등과 같은 다양한 천연식물에서 열수추출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살충제가 천연 열수추출물이기 때문에 친수적성(親樹的)일 뿐만 아니라 수목에 대한 유해성이 거의 없으며, 살충성에 의해 모기나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뿐만 아니라 병해충에 대한 적절한 기피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진 살충제에 의해 병해충에 대한 기피효과를 부가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그 방충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살균제 및 살충제가 혼합된 본 발명에 의한 방제액의 사용 희석배수는 5~25배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제방법은, 나무(1)에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하는 미세홀 형성단계(S1)와, 복수의 미세홀(21)에 방제액이 주입되도록 나무의 외면에 방제액을 도포하여 방제액층(22)을 형성하는 방제액층 형성단계(S2)와, 방제액층(22)의 외면에 피막제를 도포하여 피막층(23)을 형성하는 피막층 형성단계(S3)와, 피막층(23)의 외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24)을 형성하는 점착층 형성단계(S4)를 포함한다.
미세홀 형성단계(S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1)의 외면에 미세한 직경을 갖는 전술한 방제공구(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특히 지면으로부터 나무(1)의 일정 높이(2)까지 전둘레에 걸쳐 즉, 원주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면적 단위로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한다. 예컨대, 나무(1)의 표면적 10㎠당 4개 이상의 갯수로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곳(31)이 브러시 형태로 구비된 천공도구(30)(송곳, 뾰족한 망치, 가는 드릴 등)를 사용할 경우에, 복수의 미세홀(21)을 표면적 10㎠당 4개 이상의 갯수로 매우 신속하고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각종 병충해의 침투가 집중되는 나무(1)의 지제부(2, 地際部)에 대응하는 영역에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하는 것이 방균 및 방충 작업의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것이다.
한편, 상기 미세홀(21)은 전술한 방제공구(100)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손잡이(190)를 파지한 후 작게는 손목이나 팔꿈치, 크게는 어깨 관절을 축으로 하는 원운동을 하여 수목의 외피를 타격함에 따라 타공부재(110)가 수목에 삽입되어 미세홀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방제공구(100)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미세홀(21)은 방제공구(100)의 타격시 웨이트(150)가 수목의 외피에 충돌함에 따라 수목에 삽입되는 타공부재(110)의 삽입깊이를 자연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9는 나무(1)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나무(1)의 횡단면은 그 외측으로부터 중심으로 수피(11), 형성층(12), 변재(13), 심재(14), 수심(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됨이 나타나 있다.
각 미세홀(21)은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나무(1)의 수피(11)에서 형성층(12, 부름켜)에 이르는 깊이(h)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미세홀(21)이 형성층(12, 부름켜)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층(12)의 유합조직에 의해 미세홀이 자연스럽게 유합(막힘)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래의 약제 주입방식은 주사기의 주입을 위해 10mm의 직경과 4~5cm 이상의 깊이로 구멍을 천공함에 따라 구멍이 변재의 도관과 간섭되게 형성되어 도관을 통과하는 수분흐름에 의해 약제가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균일하게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또한 구멍으로 인해 나무의 외관이 크게 저하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미세홀(21)이 형성층(12, 부름켜)까지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세홀(21)이 변재(13)의 도관과 간섭하지 않고, 이를 통해 미세홀(21)에 방제액이 주입되면 방제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 등에 의해 나무(1)의 횡단면 상에서 균일한 확산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세홀(21)이 형성층(12, 부름켜)에 위치함에 따라 방제액이 주입된 이후에 형성층(12)의 유합조직이 미세홀(21)을 상처로 인식하여 그 자연 치유 능력에 의해 도 12와 같이 미세홀(21)의 공극이 막힘으로써 미세홀(21)의 유합(21a)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나무의 외관미를 저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방제액층 형성단계(S2)는 도 11과 같이 방제액이 복수의 미세홀(21) 내로 주입되도록 나무의 외면에 방제액을 도포하여 방제액층(22)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방제액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상유황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살균제와, 천연 열수추출물로 이루어진 살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나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한 후에 방제액을 도포하여 방제액(22)을 형성함에 따라 방제액이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이때, 방제액은 미세홀(21)이 형성된 나무(1)의 지제부(2)에 대응하는 영역에 도포되어 지제부(2)에 방제액층(22)을 형성한다. 따라서, 방제액은 지제부(2)에 형성된 미세홀(21)을 통해 미세홀(21)의 내부로 주입된다.
이렇게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된 방제액은 그 살균제의 액상유황에 의해 변재의 내부로 침투한 균을 확실하게 살균할 수 있으므로 그 방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방제액이 나무의 외면에 도포됨에 따라 천연 열추출물로 이루어진 살충제에 의해 해충이 나무 내로 침투됨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그 방충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방제액층에 의해 나무의 변재에 대한 방균 및 방충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변재에서의 균 발생 및 병해충의 침투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피막층 형성단계(S3)는 도 12와 같이 방제액층(22)의 외면에 피막제를 도포하여 피막층(2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피막제는 경화되면서 수목의 수피에 피막을 형성하는 콜로이드 형태의 물질이고, 초산비닐이나 점성을 갖는 수용성 수지 또는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콜로이드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피막제는 수용성이라서 물과 희석이 용이하면서 수급이 용이한 초산비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막제는 초산비닐 및 물이 40~80wt% : 20~60wt%의 비율로 혼합되어 희석된 콜로이드액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초산비닐 및 물은 전술한 혼합비율의 이하로 혼합될 경우 피막의 형성이 거의 불가능하였고, 그 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도포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재료비 및 경화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피막제는 수피에 액상으로 도포된 후 경화되면서 수피에 피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피막제는 수목의 내부나 외부에 생태하는 병해충이 수목의 내외부로 소통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해충은 피막제에 의한 피막에 의해 소통이 방지된다. 그리고, 피막제는 수용성 초산비닐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막제는 초산비닐 100중량부에 대해 5~25중량부의 액상유황이 혼합되어 희석된 콜로이드액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액상유황은 피막제의 점도 조절을 위한 증량제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살균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막제의 초산비닐이 그 외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의 기재(전처리제) 역할을 함으로써 점착제의 도포 시에 점착제가 코르크로 흡수됨을 방지하여 점착제의 도포에 의한 점착층의 형성이 보다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그 점착층의 지속시간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막제는 액상유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액상유황에 의한 2차적인 살균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방균 및 방충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점착층 형성단계(S4)는 도 13과 같이 피막층(23)의 외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24)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점착제는 적절한 점성질을 가진 겔 형태의 끈적거리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점착제가 적절히 도포됨에 따라 피막층(23)의 외면에 점착층(24)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층(24)에 의해 나무로 침투하는 광릉긴나무좀 등과 같은 병해충이 부착되어 포살됨으로써 병해충의 2차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피막층(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나무(1)의 지제부(2)에 형성되는 방제액층(22)의 외면에 피막제가 도포됨에 따라 나무(1)의 지제부(2)에 형성된다. 그리고, 점착층(24)은 이러한 피막층(23)의 외면에 도포됨에 따라 나무(1)의 지제부(2)에 형성된다. 따라서, 피막층(23) 및 점착층(24)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제액층(22)과 함께 나무(1)의 지제부(2)에 적층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방제액층(22)과 피막층(23) 및 점착층(24)은 나무(1)의 지제부(2)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3층의 구조를 갖는다.
다른 한편, 전술한 방제액층 형성단계와 피막층 점착층 형성단계는 시기(時機)에 따라 나누어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시기(時機)는 '적당한 때'를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봄, 여름, 가을, 겨울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시기에 따라 병해충의 발명이 다소 높은 시기인 봄 내지 여름에는 방제액층 형성단계와 피막층 점착층 형성단계를 순차적으로 겹겹이 형성하여 나무의 내부로 침투하려는 병해충을 빈틈없이 차단할 수 있으며, 병행충의 발병이 다소 낮은 시기인 가을 내 지 겨울에는 방제액층 형성단계만을 형성하여 나무의 내부로 침투하려는 병해충을 충분히 차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나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미세홀(21)을 형성한 후에 방제액을 주입함으로써 방제액이 나무의 횡단면 상에서 변재의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으므로, 나무의 변재에 대한 방균 및 방충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변재에서의 균 발생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나무(1)의 수피(11)을 방제액층(22), 피막층(23) 및 점착층(24)의 3층구조로 차폐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병충해의 살충, 살균, 기피 효과를 대폭 높일 수 있고, 점착층에 의해 병충해의 2차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그 방균 및 방충 성능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방제액층(22), 피막층(23) 및 점착층(24)이 도포에 의해 나무(1)의 수피(11)에 밀착되게 형성됨으로써 수피에 대한 완벽한 차폐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 나무 2: 지제부 11: 수피
12: 형성층(부름켜) 13: 변재 14: 심재
15: 수심 21: 미세홀 22: 방제액층
23: 피막층 24: 점착층 100 : 수목 치료용 방제도구
110 : 타공부재 150 : 웨이트 155 : 체결부재
160 : 타공웨이트 170 : 결합부재 190 : 손잡이
195 : 위치고정수단

Claims (13)

  1. 수목의 몸체에 미세홀을 성형하며, 일단이 뾰족한 형태로 상기 미세홀의 깊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부재;
    상기 타공부재와 일체를 이루어 상기 타공부재에 중량을 제공하는 웨이트; 및
    상기 웨이트와 일체를 이루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웨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타공부재는,
    상기 웨이트에 복수로 마련되고,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타공부재는,
    상기 웨이트에 일체로 구비되고, 뾰족한 단부를 가지면서 상기 미세홀의 깊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핀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타공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타측에 복수로 마련되되,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웨이트의 타측에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웨이트의 타측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타공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타측 상부에 위치한 것이 상기 웨이트의 타측 하부에 위치한 것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는, 송곳 또는 못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의 타단을 상기 웨이트에 걸림가능하게 장착시키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타공부재의 타단에 상기 타공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형성되는 헤드돌기; 및
    상기 타공부재의 헤드돌기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웨이트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부재시트;를 포함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타공부재의 타단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1웨이트부재;
    상기 제1웨이트부재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웨이트부재와 동일하게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겹쳐짐에 따라 상기 타공부재의 타단 나머지부분을 수용하는 제2웨이트부재; 및
    상기 제1웨이트부재 및 제2웨이트부재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웨이트부재 및 제2웨이트부재를 일체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 및 웨이트는 일체를 이루어 성형되는 타공웨이트;로 구성되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타공웨이트는,
    상기 타공부재 및 웨이트를 가로질러 절단한 형태를 갖는 제1타공웨이트;
    상기 제1타공웨이트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타공웨이트와 동일하게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겹쳐지는 제2타공웨이트; 및
    상기 제1타공웨이트 및 제2타공웨이트에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1타공웨이트 및 제2타공웨이트를 일체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및 손잡이에 관통상대로 설치되어 상기 웨이트 및 손잡이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결합부재가 일측에 관통되며, 상기 웨이트의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게 마련되는 자루; 및
    상기 자루의 일측에 마련되는 파지가능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12. 나무의 외면에 상기 제 1 항에 의한 방제공구를 이용하여 복수의 미세홀을 형성하는 미세홀 형성단계; 및
    상기 복수의 미세홀에 방제액이 주입되도록 나무의 외면에 방제액을 도포하여 방제액층을 형성하는 방제액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액층 형성단계 후,
    상기 방제액층의 외면에 피막제를 도포하여 피막층을 형성하는 피막층 형성단계; 및
    상기 피막층의 외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목 치료용 방제방법.
KR1020150153020A 2015-11-02 2015-11-02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 Active KR10164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20A KR101641924B1 (ko) 2015-11-02 2015-11-02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20A KR101641924B1 (ko) 2015-11-02 2015-11-02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924B1 true KR101641924B1 (ko) 2016-07-25

Family

ID=5661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020A Active KR101641924B1 (ko) 2015-11-02 2015-11-02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6435A1 (fr) * 2018-01-10 2019-07-12 Universite De Bourgogne Procede de traitement contre les larves de cicadel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301A (ja) * 2000-01-12 2001-07-17 Shunkei Sai 浸透性殺虫剤の樹幹注入による樹木の害虫防除方法
KR200265300Y1 (ko) 2001-12-05 2002-02-21 박영우 수간주입기
KR20090023144A (ko) * 2007-08-27 2009-03-04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다결정 실리콘 파쇄용 해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301A (ja) * 2000-01-12 2001-07-17 Shunkei Sai 浸透性殺虫剤の樹幹注入による樹木の害虫防除方法
KR200265300Y1 (ko) 2001-12-05 2002-02-21 박영우 수간주입기
KR20090023144A (ko) * 2007-08-27 2009-03-04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다결정 실리콘 파쇄용 해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6435A1 (fr) * 2018-01-10 2019-07-12 Universite De Bourgogne Procede de traitement contre les larves de cicadelles
EP3510864A1 (fr) * 2018-01-10 2019-07-17 Université de Bourgogne Procédé de traitement contre les larves de cicadel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2581A (ko) 주입 시스템, 주입 툴 및 주입 방법
JP6307759B2 (ja) 樹幹注入剤およびナラ枯れ防止方法
KR101183103B1 (ko)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KR101641924B1 (ko)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
Doccola et al. Tree wound responses following systemic insecticide trunk injection treatments in green ash (Fraxinus pennsylvanica Marsh.) as determined by destructive autopsy
CN102696667A (zh) 一种防治悬铃木方翅网蝽的农药及其使用方法
KR100767783B1 (ko)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Ojo et al.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runk injection mechanisms-a review
CN106258661A (zh) 天牛防止方法
KR101615612B1 (ko) 수목 치료용 방제액 및 방제방법
Lee Urban forest insect pests and their management in Malaysia
JP5676736B2 (ja) 木材ベースのシロアリ用ベイトシステム
CN103749527A (zh) 一种含有噻虫啉的防治林业害虫杨树天牛的药膏
KR101348879B1 (ko)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JP2017514520A (ja) 土壌処理剤を注入するための装置
CN105830855B (zh) 一种预防核桃树蛀干蛀果害虫的方法
JP2006230275A (ja) 穿孔性害虫の防除材及び防除方法
KR101371664B1 (ko)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KR200427406Y1 (ko) 멀칭비닐 천공기
KR20170002565U (ko)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JP2004033158A (ja) 竹又は竹林の永久的処分方法及び除竹剤
CN103039310B (zh) 一种防治树木病虫害的灌注方法
JP3001459U (ja) 樹幹施薬固形棒状処理具
CN218388863U (zh) 一种用于包裹苗木主干消灭蛀干害虫幼虫的药膜
KR980007977A (ko) 수간주입법을 이용한 버즘나무 방패벌레와 흰불나방의 통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