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096B1 -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096B1
KR101615096B1 KR1020117013771A KR20117013771A KR101615096B1 KR 101615096 B1 KR101615096 B1 KR 101615096B1 KR 1020117013771 A KR1020117013771 A KR 1020117013771A KR 20117013771 A KR20117013771 A KR 20117013771A KR 101615096 B1 KR101615096 B1 KR 101615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late
actuator
proximal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885A (ko
Inventor
존 브류워
카산드라 이. 모리스
조 고든
스테픈 지아넬리스
데이브 지트닉
Original Assignee
아벤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벤트, 인크. filed Critical 아벤트,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10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는 하나의 포트와 커프를 갖는 말단 플레이트와, 제 1 포트와 제 1 커프 및 제 2 포트와 제 2 커프를 구비하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근위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말단 플레이트는 근위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는 복수의 사전 결정된 위치를 갖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액추에이터가 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를 동시에 차단하면서 플레이트의 운동을 허용한다. 액추에이터가 제 1 고정(개방)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플레이트들을 함께 고정하여 말달 플레이트의 포트를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와 정렬하고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를 차단하지 않음으로써, 흡입 카테터 등의 물체가 정렬된 포트들을 통해 위치설정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가 제 2 고정(개방)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플레이트들을 함께 고정하여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를 근위 플레이트의 제 2 포트와 정렬하고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를 차단하지 않음으로써, 정렬된 포트들을 통해 물체가 위치설정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가 제 3 고정(폐쇄)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플레이트들을 함께 고정하여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가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와 제 2 포트 사이에 위치설정되며 모든 포트들은 서로 정렬되지 않음으로써, 포트들 중 어느 것을 통해 물체가 이동가능하지 않도록 하나의 플레이트의 일부분에 의해 모든 포트가 차단된다.

Description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RESPIRATORY ACCESS PORT ASSEMBLY WITH PUSH BUTTON LOC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삽관된 환자를 위한 개선된 의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청소년 및 성인을 포함하는 삽관된 환자의 호흡관에 치료 전달물을 벤틸레이팅, 흡입, 모니터링, 샘플링 및 제공하기 위한 신규한 다중 액세스 호흡 포트, 조립체, 매니폴드, 피팅, 어댑터, 커넥터 및/또는 액세스 제어 조립체 발명 및 그와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 환자 케어는 의학계에서 동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분야이며, 유아에서 노인의 범위까지 그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환자들이 받는 일시적이고 영구적인 호흡 질병에 대한 범위가 넓어지고 있으며 변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삽관된 환자를 위한 절차 범위에는, 벤틸레이팅, 흡입, 산소 처리, 샘플링, 외관 검사, 인라인 센싱, 압력 모니터링, 플러싱, 약제 투여 및/또는 세척 등이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의 문제점은 환자에 대한 다수의 필요성 및 다수 처리에 대한 수용에 집중하거나 또는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몇몇은 동시에 수행되어야 한다. 환자의 최대 관심사에서 다수의 치료를 손쉽고,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성취하기 위한 장비가 결여되어 있으며, 그 관심이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면, 조산아 및 폐기종을 겪고 있는 성인과 같이 낮은 폐용적의 환자에 있어서, 하나의 문제점으로는 축적된 폐 분비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분비물의 제거 프로세스 동안에 이러한 환자에게 산소가 없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분비물 제거는 인공 기도, 즉 환자의 폐에 공기(산소 및 다른 가스)를 제공하도록 환자의 호흡관의 일부분 내에 배치된 기관내 삽관 내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를 거쳐 일시적으로 위치설정된 흡입 카테터를 거쳐 성취된다.
삽관 동안에 호흡 케어를 받는 이와 같은 환자의 경우,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와의 문제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벤틸레이팅, 흡입, 흡인 및 다른 기능을 위한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안전하지 못한 용도에 의해, 예컨대 산소호흡기 유발형 폐렴(ventilator acquired pneumonia) 등의 병원 유발형 감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에 대한 신뢰성이 관심사이다. 아울러, 산소호흡기 회로를 교환 장치로 개방하여 다른 치료 처리를 수행할 필요성이 관심사이다.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는 환자에게 질적인 의료 처리를 절충하지 않고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되어 교환될 필요가 있다. 또한,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에 대한 관심사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오작동에 의해 폐쇄된 호흡 시스템으로부터 개방된 호흡 시스템으로의 의도하지 않은 변환이다. 아울러,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오작동으로 인해 폐쇄된 호흡 시스템 내의 공기 통로가 환자의 폐 쪽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부분적으로 장애되거나 폐색됨으로써 야기되는 환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상이한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각종 비호환적인 부품에 대한 많은 재고량을 처리하는 것이 의료 제공자의 문제점이다. 따라서, 안전하고 예측가능한 폐쇄된 시스템 액세스를 다수의 목적으로 삽관된 환자의 호흡 시스템에 제공하며, 폐쇄된 호흡 시스템의 의도하지 않은 손상을 감소 또는 제거하도록 안전 특징을 갖는, 안정 장치가 되어 있는 폐쇄계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를 조작하기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는바, 이는 안전 로크를 구비하는 폐쇄계 내에 사용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현재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또는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완화한다. 본 발명은 폐쇄형 벤틸레이팅 시스템에서 작동하며, 시스템의 폐쇄된 회로 특성에 절충하지 않고서 그리고 환자로의 벤틸레이팅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서 삽관된 환자의 호흡 시스템에 대한 다수의 액세스를 수용한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지점을 통해 폐쇄된 호흡 시스템으로의 액세스가 제공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가스(들)로 환자의 폐를 벤틸레이팅시키고, 폐로부터 분비물을 흡입하고, 잔여 이산화탄소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도록 폐에 산소를 공급하고, 환자의 호흡 시스템의 선택된 부분에 대해 외관 검사하고, 가래 및 가스를 샘플링하고, 유량, 압력 및/또는 온도 등의 변수를 감지하고, 용액(들)으로 플러싱하며, 약물, 가스 및/또는 세척을 관리하는 것이 제공된다.
앞서 논의된 장애 및 문제점에 대해,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는 포트를 갖는 말단 플레이트(distal plate)를 포함한다. 상기 포트는 환자의 인공 기도와 작동가능하게 연통하도록 위치설정된다. 또한, 상기 조립체는 근위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근위 플레이트는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갖는다. 상기 말단 플레이트는 상기 근위 플레이트에 대해 적층된 구성으로 위치설정된다. 각각의 플레이트는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의 운동을 허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와 연동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상기 플레이트들을 고정 위치에 있도록 양자의 플레이트들과 연동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들이 서로에 대해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포트 내로 연장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의 포트로부터 후퇴하도록 구성된 차단부(blocking portion)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는, 포트를 갖는 말단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포트는 환자의 인공 기도와 작동가능하게 연통하도록 위치설정된다. 상기 조립체는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구비하는 근위 플레이트(proximal plate)를 구비한다. 상기 말단 플레이트는 상기 근위 플레이트에 대해 적층된 구성으로 위치설정된다. 각각의 플레이트는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립체는, 개구를 내부에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단부, 상기 흡입 카테터, 및 상기 흡입 카테터 위에 위치설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단부에 연결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폐쇄형 흡입 카테터 조립체(closed suction catheter assembly)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 단부는 상기 제 1 포트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이, 상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의 운동을 허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와 연동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상기 플레이트들을 고정 위치에 있도록 양자의 플레이트들과 연동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들이 서로에 대해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포트 내로 연장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의 포트로부터 후퇴하도록 구성된 차단부(blocking portion)를 구비한다.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하다.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가 정렬되게 이동될 때,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가 제 1 개방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흡입 카테터는 상기 포트들을 통해 물체가 이동가능하다. 더욱이,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2 포트는 폐쇄 위치에 위치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포트를 갖는 말단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포트는 환자의 인공 기도와 작동가능하게 연통하도록 위치설정된다. 또한, 상기 조립체는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갖는 근위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말단 플레이트는 상기 근위 플레이트에 대해 적층된 구성으로 위치설정된다. 상기 말단 플레이트와 상기 근위 플레이트는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립체는 폐쇄된 흡입 카테터 조립체를 더 구비한다. 상기 폐쇄된 흡입 카테터 조립체는, 개구를 내부에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단부, 상기 흡입 카테터, 및 상기 흡입 카테터 위에 위치설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단부에 연결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폐쇄형 흡입 카테터 조립체(closed suction catheter assembly)를 더 구비한다. 상기 연결 단부는 상기 제 1 포트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이, 상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의 운동을 허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와 연동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상기 플레이트들을 고정 위치에 있도록 양자의 플레이트들과 연동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들이 서로에 대해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포트 내로 연장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의 포트로부터 후퇴하도록 구성된 차단부(blocking portion)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플레이트들이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동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와 동시에 상기 차단부를 포트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가 제 1 개방 위치에서 축방향 정렬하도록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2 포트는 그와 동시에 상기 말단 플레이트에 인접한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상기 말단 플레이트와 상기 근위 플레이트가 고정 위치에 있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차단부를 상기 포트 외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포트를 개방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법은 환자로부터의 분비물을 흡인하기 위해 개방된 조립체를 통해 상기 흡입 카테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정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하기의 용어는 문맥에서 상이한 의미를 요구하거나 또는 상이한 의미가 표현되지 않는다면 특정 의미를 가지며;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단수는 일반적으로 복수를 포함하고, 복수는 단수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다" 등은 임의로 기술된 특징, 요소,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는 개방형 용어이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도록 의도된다. 마찬가지로, 용어 "갖다"뿐만 아니라, 용어 "구비하다"는 용어 "포함하다"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되며, 임의로 기술된 특징, 요소,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는 개방형 용어이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트(port)"는 물체 및/또는 액체 및/또는 가스의 통로용의 구성요소 내로 또는 그를 통한 개구를 의미한다. 포트 및 커프는 본원에서 용어 "포트"로 제공될 수 있으며, 관련된 커프를 갖는 2개의 포트는 용어 "포트"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커프(cuff)"는 포트 위에 위치설정된 개구를 갖는 원통형의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포트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작동가능한 연통(operable communication)"은 특정 목적을 위한 2개의 지점 및/또는 2개의 구조체를 위한 전달 또는 통로를 의미한다. 본 예에서, 작동가능한 연통은 가스를 통과시키는 통로일 것이며, 물체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흡입 카테터(suction catheter)"는 기도로부터의 분비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긴 가요성의 튜브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5 내지 20 프렌치(French)에서 다양한 사이즈로 이용가능하고, 15 내지 25 인치(38 내지 64 cm)의 범위에서 길이가 변경가능하다. 흡입 카테터는 라텍스 및 다른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흡입 카테터는 다수의 의료 용도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가능하다. 흡입은 "개방" 또는 "폐쇄"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개방 시스템에서, 흡입 카테터는, 흡입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 연결된 흡인원과 함께 가요성 루멘 내로 삽입되는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이다. 루멘에 도입되기 전에 흡입 카테터와 접촉하는 것은 살균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환자 또는 그 주변에 "살균 영역"이 형성되어야 한다. 흡입 카테터는 환자의 분비물로 피복되기 때문에 사용 후에는 주의 깊게 취급되어야 한다. 그와는 반대로, 예컨대 미국특허 제4,569,344호에 개시된 "폐쇄" 시스템에서, 분비물을 흡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장치는 사용 전에 흡입 카테터의 오염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도록 원통형 플라스틱 백 내에 봉입된다. 이는 "폐쇄형 흡입 카테터"로 불리며, BALLARD(등록상표) 의료 제품(킴벌리-클락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상표 TRACH CARE(등록상표)로 이용가능하다. 환자가 분비물을 인공적으로 제거하기를 요구함에 따라, 흡입 카테터는 플라스틱 백의 일단부를 통해, 연결 피팅을 통해 그리고 가요성 루멘 내로 전진될 수 있다. 흡입 카테터의 다른 근위 단부는 흡입원에 부착된다. 흡입은 흡입 카테터의 근위 단부 상의 손가락 제어식 밸브를 이용하여 적용되어, 분비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카테터 튜브의 루멘 내로 유도되어 제거되며, 시스템은 폐쇄 유지된다. 그 후, 흡입 카테터는 회로를 폐쇄 유지하도록 가요성 루멘으로부터 후퇴되어 플라스틱 백 내로 복귀한다. 폐쇄형 흡입 시스템은 의료 제공자에 의해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제공자가 환자의 분비물로부터 보다 양호하게 보호되기 때문이다. 또한, 폐쇄형 흡입 시스템은 사용하기에 보다 용이하고 신속한데, 그 이유는 개방형 흡입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환자에게 흡입되어야 하는 타이밍에 살균 영역이 형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폐쇄형 흡입 카테터는 가요성 루멘의 근위 단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개방(open)" 및 "개방 위치(open position)"는 흡입 카테터, 기관지경의 일부분 등의 물체를 허용하여, 정렬된 포트를 통해 그리고 환자의 호흡관의 일부분 내로 이동시키는 본원에 기술된 정렬된 포트의 위치를 언급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폐쇄(closed)" 및 "폐쇄 위치(closed position)"는 흡입 카테터, 기관지경의 일부분 등의 큰 물체가 "폐쇄" 포트(들)를 통해 이동할 수 없도록 포트(들)가 정렬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포트의 위치를 언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물체가 포트(들)를 통해 이동되는 것이 차단 또는 방지되도록 포트가 "폐쇄" 또는 "차단"될 수 있다. 포트는 전체적으로 차단 또는 폐쇄되지 않을 수 있지만, 적어도 몇몇 예에서, 차단 또는 폐쇄된 포트를 통해 가스 및/또는 액체가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흡입 카테터 경로(suction catheter pathway)"는, 정렬시에 흡입 카테터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축방향 정렬에서 개구를 제공하는 흡입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될 수 있는 부품을 구비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고정형 디스크(stationary disk)"는 의료 제공자에 의해 디스크가 파지되어 비교적 "고정" 위치에 보유되는 한편, 의료 제공자에 의해 3가지 사전 결정된 위치 중 하나로 반대편의 디스크가 회전될 때의 근위 디스크 또는 말단 디스크를 언급할 수 있다. 양자의 디스크는, 디스크들이 고정, 이동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설정되어 함께 고정될 때, 마찬가지로 비교적 "고정형 디스크"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회전하는 디스크(rotating disk)"는, 근위 디스크 및 말단 디스크 각각이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디스크가 고정되지 않을 때의 근위 디스크 또는 말단 디스크를 언급할 수 있다. 말단 및 근위 디스크는 3가지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위치설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고정되지 않은 경우, 말단 및 근위 디스크 양자는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며, 각각의 디스크는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대략 180도 이하)으로 회전한다. 양자의 디스크는 의료 제공자에 의해 각각의 디스크가 반대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디스크들이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회전하는 디스크"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플레이트"는 임의 형상 및 구성의 플레이트를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만곡형, 정방형, 장방형 등이 있다. 플레이트는 호형, 아치형, 평면형, 볼록형, 오목형 등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결합하다"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이음, 연결, 고정, 이음, 타이, (접착제를 매개로 한) 부착, 또는 2개의 물건을 일체 또는 개재식으로 관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구성하다" 또는 "구성"은, 특정 적용 또는 용도를 위해 설계, 배치, 설정 또는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거친 지형을 위해 구성되며 시스템의 변수를 설정함으로써 컴퓨터 구성된 군용 차량.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인" 또는 "실질적으로"는 큰 정도, 상당한 양으로 이루어진 어떤 것을 의미하며, 본원에서의 "실질적으로"는 적어도 70%가 커버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정렬(alignment)"은 물체를 일직선으로 배치 또는 위치함으로써 소유되는 공간적인 특성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배향(orientation)" 또는 "위치설정(position)"은, 예컨대, 시계에 대한 손의 위치와 같이 어떠한 것이 위치되는 장소의 공간적인 특성을 언급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대략"은 기술된 숫자의 ±10%인 양을 지칭한다.
이와 같은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추가적인 단어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호흡 액세서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사용 시의 상기 조립체를 도시하며, 상기 조립체의 말단부에서 기관내 삽관에 부착되는 호흡 매니폴드, 필터, 및 상기 조립체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흡입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말단 디스크의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근위 디스크의 사시도,
도 5a는 도 1 및 도 2의 칼라의 사시도로서, 엄지손가락 랜딩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의 칼라의 사시도로서, 복수의 플랜지를 도시한 도면,
도 5c는 도 5a 및 도 5b의 칼라의 사시도로서, 내부면 상의 한 쌍의 탭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근위 디스크의 측면도,
도 7은 도 6 및 도 7의 근위 디스크의 근위 표면의 평면도로서, 버튼, 스프링 및 O-링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말단 디스크의 근위 표면의 평면도로서, 근위 표면 상에 바람직하게 위치설정된 시일을 도시한 도면,
도 9a는 도 1 및 도 2의 버튼의 근위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버튼의 말단 평면도,
도 9c는 도 9a 및 도 9b의 버튼의 측면도,
도 9d는 도 9a 내지 도 9c의 버튼의 또 다른 측면도,
도 10a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6의 근위 디스크의 근위 표면의 평면도로서, 프레스-인(이동가능한) 위치에 있는 버튼, 및 제 1 포트를 차단하는 버튼의 플런저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도 10a의 근위 디스크의 말단 표면의 평면도,
도 10c는 도 10a의 근위 디스크의 근위 표면의 평면도로서, 이동하지 않는 (고정된) 위치에 있는 버튼, 및 제 1 포트 외부로 이동된 플런저를 도시한 도면,
도 10d는 도 10d의 근위 디스크의 말단 표면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개방 위치 (제 1 개방 위치)에서 근위 디스크의 제 1 포트와 측방향으로 정렬하는 말단 디스크의 포트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폐쇄 위치 (모든 포트가 폐쇄됨)에서 근위 디스크의 제 1 포트와 제 2 포트 사이에 위치설정된 말단 디스크의 포트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개방 위치 (제 2 개방 위치)에서 근위 디스크의 제 2 포트와 축방향 정렬하는 말단 디스크의 포트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흡입 카테터를 그 내에 위치설정한 도면,
도 15는 도 1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또 다른 사시도,
도 16은 또 다른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사용 시의 상기 조립체를 도시하며, 상기 조립체의 말단부에서 기관내 삽관에 부착되는 호흡 매니폴드, 및 상기 조립체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흡입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흡입 액세스 조립체의 상부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흡입 액세스 조립체의 하부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6 내지 도 18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개방 위치 (제 1 개방 위치)에서 근위 디스크의 제 1 포트와 측방향으로 정렬하는 말단 디스크의 포트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6 내지 도 18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폐쇄 위치 (모든 포트가 폐쇄됨)에서 근위 디스크의 제 1 포트와 제 2 포트 사이에 위치설정된 말단 디스크의 포트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16 내지 도 18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개방 위치 (제 2 개방 위치)에서 근위 디스크의 제 2 포트와 축방향 정렬하는 말단 디스크의 포트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또 다른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사용 시의 상기 조립체를 도시하며, 상기 조립체의 말단부에서 기관내 삽관에 부착되는 호흡 매니폴드, 및 상기 조립체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흡입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상부 분해 사시도,
도 24는 도 22 및 도 23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하부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2 내지 도 24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개방 위치 (제 1 개방 위치)에서 근위 디스크의 제 1 포트와 측방향으로 정렬하는 말단 디스크의 포트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2 내지 도 24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폐쇄 위치 (모든 포트가 폐쇄됨)에서 근위 디스크의 제 1 포트와 제 2 포트 사이에 위치설정된 말단 디스크의 포트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22 내지 도 24의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개방 위치 (제 2 개방 위치)에서 근위 디스크의 제 2 포트와 축방향 정렬하는 말단 디스크의 포트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본 발명의 예에 의해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며, 이러한 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해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예의 일부로서 도시 또는 기술된 특징이 또 다른 실시예를 형성하도록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수정 및 변경이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에 대한 현재의 다수 설계에 있어서는 하나의 포트만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흡입 카테터는 다른 상황, 예컨대 기관지경, 기관지 폐포 세척 등이 수행될 필요가 있을 때 제거되어야 한다. 벤틸레이트된 환자에게서 흡입 카테터를 제거함으로써 폐쇄형 벤틸레이팅 시스템를 개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액세스 포트 매니폴드 및/또는 조립체에 대한 현재의 설계는 안전 로크를 포함하지 않는다. 특정 예에서, 이러한 안전 로크의 결여로 인해, 매니폴트 포트를 통해 흡입 카테터를 도입하면, 카테터의 일부가 절단 또는 차단됨으로써, 환자의 폐 내에 흡인될 수 있다. 이는 기도 차단, 감염 및 사망을 포함하는 상당한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를 적절하게 밀봉하지 못하면, 능동성종말호기압(positive end-expiration pressure: PEEP)과의 절충을 야기함으로써, 환자의 폐 내의 폐포를 붕괴시킬 수 있는 차선의 벤틸레이션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쇄형 벤틸레이션 시스템을 개방하지 않고서 다수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특징부를 구비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를 기술하며, 이는 흡입 카테터의 임의 부분에 대한 손실을 방지하는 안전 로크 특징부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3가지의 조립체를 제공한다. 제 1 및 제 2 조립체는 적층 및 정렬된 디스크를 도시한다. 제 3 실시예는 적층 및 정렬된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3가지의 모든 실시예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의도된다.
도 1 내지 도 15는 회전형의 호흡기 액세스 포트 조립체(10)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내지 도 8, 도 10a 내지 도 10d 및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10)는 서로에 대해 적층되어 축방향으로 정렬된 구성으로 위치설정된 말단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2) 및 근위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4)를 구비한다. 말단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2)는 각을 이룬 커프(18)를 통해 개구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각을 이룬 포트(16)를 구비한다(도 1 내지 도 3 및 도 8). 근위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4)는 제 1 및 제 2 각을 이룬 커프(24, 26) 각각을 통해 개구가 각각 연장되는 제 1 각을 이룬 포트(20)와 제 2 각을 이룬 포트(22)를 구비한다(도 1, 도 2, 도 4, 도 10a 내지 도 10d 및 도 11 내지 도 15). 말단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2)가 이동 또는 회전되면, 포트(16)가 근위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4)의 제 1 포트(20)와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위치를 제공한다(도 11). 변형예로서, 말단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2)가 이동 또는 회전되면, 포트(16)가 근위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4) 내의 제 2 포트(22)와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도 13). 또 다른 변형예로서, 말단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2)가 이동 또는 회전되면, 포트(16)가 제 1 포트(20) 또는 제 2 포트(22)와 정렬하지 않는 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예에서, 포트들 중 한 세트가 축방향으로 정렬하면, 근위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4) 상의 반대편 포트는 말단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2)의 일부분에 의해 차단될 것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포트(16, 20, 22)는 폐쇄 위치에서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2 또는 14) 중 하나의 일부분에 의해 차단되며, 어느 것도 정렬되지 않는다(도 12).
또한, 말단 디스크(12)는,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2)의 외측 에지(30) 상에 위치설정된 립(28)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립(28)은 립(28) 둘레에 3개의 노치, 즉 제 1 노치(31), 제 2 노치(32) 및 제 3 노치(33)를 구비할 수 있다. 3개의 노치(31, 32, 33)는 디스크(12, 14)가 함께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3가지의 사전 결정된 위치를 제공하도록 다른 부품과 연동한다. 제 1, 제 2 및 제 3 노치(31, 32, 33) 각각에 인접한 립(28) 상에는 복수의 램프(총괄적으로 "34")가 제공될 수도 있다. 램프(34)는 굽힘력에 대해 기계적 안정성 및 강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램프(34)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튼과 함께 제공되는 스프링 및/또는 플런저를 위한 공차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립(28)의 연결점(42) 및 말단 디스크(12)의 에지(30)에 인접한 말단 디스크(12)의 근위 표면(40)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는 홈부(38)가 제공될 수 있다. 홈부(38)는 말단 디스크(12)의 내측 외주(43)의 일부분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변형예로서, 디스크(12) 내에는 홈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리브(44)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말단 디스크(12)의 내측 외주(43)의 일부분 둘레로 연장된다. 변형예로서, 리브(도시하지 않음) 대신에 한 쌍의 스톱 탭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품들은,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말단 및 근위 디스크(12, 14)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근위 디스크(14)의 부품들과 연동한다. 또한, 말단 디스크(12)의 근위 표면(40) 상에는 가요성 탄성중합체 시일(48)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은 말단 디스크(12)와 근위 디스크(14) 사이에 폐쇄형 벤틸레이션 시스템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48)은 디스크 형상이 바람직하며, 말단 디스크(12)의 내측 외부(43)의 주변부보다 약간 작은 주변부를 갖는다. 시일(48)은 말단 표면(54) 상에서 실질적으로 평탄하지만, 근위 표면(56) 상에서, 시일(48)은 주변부(50) 둘레에서 연장되는 주변부 리브(58)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시일(48)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적어도 포트(16)의 구성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개구(62)가 시일(48)을 통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개구(62)는 제 1 포트(20)와 제 2 포트(22)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시일(48)의 근위 표면(56) 상의 개구(62) 둘레에는 포트 리브(64)가 형성된다. 주변부 리브(58) 및 포트 리브(64)는,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들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도록 근위 디스크(14)의 말단 표면(65) 상의 부품들과 연동한다. 시일(48)이 말단 디스크(12)의 근위 표면(40) 상에서 중앙에 위치설정되면, 주변부 리브(58), 말단 디스크(12)의 근위 표면(40)의 일부분 및 립(38)은 홈부(38)를 제공하도록 연동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말단 디스크(12)는 말단 표면(665) 상의 포트(16) 둘레에 형성된 커프(18)를 구비한다(도 1 내지 도 3). 커프(18)는 인공 기도의 일부분을 형성하여 결합되는 커넥터 또는 매니폴드(175)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은, 예컨대 마찰 회전, 루어 로크(luer lock), 인터로킹 탭(interlocking tab), 나사산 형성된 부품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근위 디스크(14)(도 1, 도 2, 도 4, 도 6, 도 7 및 도 10a 내지 도 10d)는 말단 표면(68)과 외측 에지(70)를 구비한다. 외측 에지(70) 근방 또는 그에 인접하게 외측 립(72)이 형성되며, 이는 말단 디스크(12)의 립(28)과 연동하게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외측 립(72)은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가지며, 2개의 노치(총괄하여 "74")를 그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근위 디스크(14)의 말단 표면(68) 상의 외측 립(72)에 대해 내측으로 짧은 거리에 내측 립(76)이 형성된다. 짧은 거리는 말단 디스크(12)의 립(2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회전형 홈부(80)를 형성한다. 스톱 탭(81)으로서 작용하는 내측 립(76) 상에 탭(81)이 제공된다.
말단 디스크(12)의 립(28)은, 작동 시에, 근위 디스크(14)의 내측 리브(76)와 외측 립(72) 사이에서 홈부(80) 내에 끼워 맞춰진다(도 8 및 도 10a 내지 도 10d). 근위 디스크(14)의 탭(81)은 말단 디스크(12)의 홈부(38) 내에 연동하게 끼워 맞춰짐으로써, 말단 디스크(12)가 근위 디스크(14)에 대한 홈부(38)의 제한 내에서 회전하게 한다. 또한, 말단 디스크(12)의 리브(44)는 스톱으로서 작용함으로써, 말단 디스크(12)의 연속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부품들은 회전형 액세스 포트(10)를 통해 임의의 흡입 카테터 위치를 뒤틀리게 할 수 있는 과회전을 방지한다. 근위 디스크(14)를 다시 참고하면, 주변부 리브(82, 83)는 제 1 및 제 2 포트(20, 22)의 외주 둘레에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포트(20, 22) 사이에는, 대체로 D자 형상의 부분(84)이 제공되며, 이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2개의 주변부 리브(82, 83)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채널(86)이 제공될 수 있다. 채널은 제 1 및 제 2 포트(20, 22)가 서로 기체식 및 유체식으로 연통되게 한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포트(20, 22) 사이의 채널 없이 근위 디스크(12)가 형성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회전형 홈부(80)의 일부분을 통해 개구(88)가 형성된다. 개구(88)는 버튼 하우징(90) 내로 연장되며, 이는 차단부 또는 플런저(92) 또는 버튼(94)을 구비하는 액추에이터 또는 버튼 조립체(9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도 4, 도 6, 도 7a 내지 도 7d 및 도 10a 내지 도 10d).
버튼 하우징(90)은 근위 디스크(14)의 근위 표면(96)의 일부분으로부터 형성된다. 근위 표면(96)은 제 1 및 제 2 포트(20, 22)를 각각 봉입하는 제 1 및 제 2 커프(24, 26)를 구비한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포트(20, 22) 및 각각의 제 1 및 제 2 커프(24, 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된 말단 및 근위 디스크(12, 14)에 대해 비스듬하게 제공된다.
버튼 하우징(90)의 적어도 일부분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90도의 각도로 제 1 포트(20)의 제 1 커프(24)와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하우징(90)은, 그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에 결합되는 버튼 조립체(91) 및 버튼(94) 및 플런저(92)의 구성을 수용하도록 반원형(즉, 예컨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대체로 C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4, 도 6, 도 7 및 도 10a 내지 도 10d). 또한, 버튼 하우징(90)은 근위 디스크(14)의 외측 립(72)의 일부분 내에 측면 개구(100)를 구비함으로써, 제 1 커프(22)를 통해 형성된 개구와 개방하여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위 디스크(14)는 외측 립(72) 내에 노치 또는 디보트(divot)(99)를 구비하고, 버튼(94)을 말단 및 근위 디스크(12, 14)에 보유하기 위해 버튼(94)의 일부분은 디보트(99)와 접촉한다. 디보트(99)는 제 1 포트(20)의 제 1 커프(24) 내의 측면 개구(100)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측면 개구(100)의 내측 주변부 옆에는 가요성 탄성중합체 O-링(102)이 위치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링(102)은 PEEP 압력 손실에 대한 플런저용 시일과, 바람직하게 금속, 플라스틱 또는 그 조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스프링(104)을 위한 랜딩 영역을 제공한다. 스프링(104)은 플런저(92) 위에 위치설정되어 O-링(102)과 버튼(94) 사이에서 연장됨으로써, 버튼(94) 및 플런저(92)를 외측으로 가압한다. 스프링(104)은 코일형 스프링이지만, 다른 비코일형 스프링 및 가압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94)은 엄지손가락 랜딩 영역(106), 및 버튼 하우징(90)의 구성을 실질적으로 따르고, 이에 따라 대체로 C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인 외측 셀(108)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버튼(94)은 외측 셀(108)로부터 짧은 거리로 이격된 유사한 C자 또는 U자 형상의 구성의 내측 셀(110)을 구비한다. 플런저(92)는 엄지손가락 랜딩 영역(106)의 내부면(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며, 내측 셀(100)로부터 짧은 거리로 멀어지게 위치설정된다. 버튼 하우징(90)은, 하우징(90)으로부터 측면 개구(100) 내로 연장되는 위치에 플런저(94)를 보유하기 위해 외측 셀(108)과 내측 셀(110) 사이에 적층 또는 위치설정됨으로써, 제 1 커프(24) 내의 제 1 포트(22)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및 도 10a 내지 도 10d). 더욱이, 내측 셀(110)의 주변부 에지(113)는 보유 탭(114), 로킹 탭(116) 및 운동 허용부(118)를 구비하여, 버튼 및 플런저(94)를 복수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이동시켜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버튼(92) 및 플런저(94)의 운동을 허용하도록 작동한다.
보유 탭(114)은 말단 및 근위 디스크(12, 14)에 대한 결합 위치에 버튼(94)을 보유하도록 구성된다(도 9a 내지 도 9d 및 도 10a 내지 도 10d). 보유 탭(114)은 말단 디스크(12)의 립(28)과 접촉하며, 스프링(104)이 디스크(12, 14)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지게 버튼(94)을 가압하더라도, 버튼(94)이 적층된 디스크(12, 14)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기 않는다. 로킹 탭(116)은 로터리 디스크(12)의 립(28) 상의 제 1, 제 2 및 제 3 노치(31, 32, 33) 각각과 접촉하여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다. 로킹 탭(116)이 노치(31, 32, 33)를 거쳐 립(28)과 접촉하도록 위치설정되면, 로킹 탭(116)은 근위 디스크(14)에 대한 말단 디스크(12)의 회전을 고정 또는 방지한다. 운동 허용부(118)는 말단 디스크(12)의 립(28) 아래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로킹 탭(116)은 말단 디스크(12)의 내측 외주(43)에 대해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로킹 탭(116)은 말단 디스크(12)로부터 분리되어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말단 디스크(12)가 근위 디스크(14)의 전술한 제한(즉, 대략 180도 이하) 내에서 회전하게 한다. 운동 허용부(118)는 말단 디스크(12)의 회전을 개시하면서 사용자가 디스크(12, 14)를 향해 버튼(94)을 내측으로 눌러서 하강 위치에 버튼(94)을 보유하는 경우에만 운동을 허용한다. 이로써, 로킹 탭(116)은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되며, 차단부 또는 플런저(92)는 측면 개구(100)를 거쳐 제 1 포트(20)의 제 1 커프(24) 내로 연장됨으로써, 제 1 포트(20)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흡입 카테터의 통과를 방지한다. 플런저(92)는 제 1, 제 2 및 제 3 노치(31, 32 및/또는 33) 중 하나가 운동 허용부(118)를 가로지르도록 말단 디스크(12)가 회전될 때까지 제 1 포트(20) 내에 유지된다. 제 1, 제 2 및 제 3 노치(31, 32 또는 33)는 주변부 에지(113)의 외측 운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말단 디스크(12)의 회전을 차단하여 말단 디스크(12)를 고정, 이동가능하지 않은 위치로 고정하기 위해 노치(31, 32 또는 33) 중 하나 내의 위치로 로킹 탭(116)이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스프링 가압식 플런저(92) 및 버튼(94)의 외측 운동이 말단 및 근위 디스크(12, 14)의 외측 에지(30, 70)로부터 멀어지게 허용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플런저(92)는 제 1 포트(20) 및/또는 제 1 커프(24)를 통해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위치설정되며, 버튼 하우징(90) 내로 다시 이동하여 제 1 포트(20)를 차단하지 않는다.
말단 디스크(12), 시일(48), 근위 디스크(14), 스프링(104), O-링(102)뿐만 아니라, 버튼 조립체(91)는, 조립체(10)의 3가지의 사전 결정된 위치를 형성하도록 함께 연동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위치는 제 1 포트(20)와 제 1 커프(24)와 정렬된 포트(165)와 커프(18)의 개방 위치(제 1 개방 위치)를 형성함으로써, 정렬된 포트(16, 20)와 커프(18, 24) 각각을 통해 축방향 정렬 및 연통이 형성된다. 말단 디스크(12) 상에 위치설정된 각각의 리브(58, 64) 및 시일(48)은 PEEP가 유지될 수 있도록 조립체(10) 및 폐쇄형 회로 벤틸레이션 시스템 내에 분비물을 실질적으로 밀봉하여 유지하게 작용한다. 제 1 위치에서, 말단 디스크(12)의 근위 표면(40) 및 시일(48)은 커프(26)의 폐쇄를 제공하는 캡(도시하지 않음)을 가질 수도 있는 제 2 포트(22)에 차폐를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위치는 제 1 및 제 2 포트(20, 22) 사이의 위치로 말단 디스크(12)가 회전된다는 점에서 제 1 및 제 2 포트(20, 22)에 대한 포트(16)의 폐쇄 위치를 형성한다. 그 다음, 시일(48)은 폐쇄된 모든 포트(16, 20, 22)를 밀봉하는데 조력한다. 특히, 이러한 위치에서, 말단 디스크(12)의 커프(18) 및 포트(16)는 제 1 포트(20) 또는 제 2 포트(22)와의 축방향 정렬에서 벗어난다. 또한, 제 1 및/또는 제 2 커프(24, 26)는 각각의 커프(24, 26) 위에 차폐를 제공하도록 캡(도시하지 않음)을 가질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하나의 커프(24 또는 26)는 그에 결합된 흡입 카테터 조립체 또는 다른 장치를 가져서 차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위치는 근위 디스크(14)의 제 2 포트(22) 및 제 2 커프(26)와의 축방향 정렬에서 말단 디스크의 포트(16) 및 커프(18)의 개방 위치(제 2 개방 위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포트(16, 22) 및 커프(18, 22)를 통해 축방향 정렬 및 작동가능한 연통이 형성된다. 말단 디스크(12) 상에 위치된 각각의 리브(58, 64) 및 시일(48)은 PEEP가 유지될 수 있도록 조립체(10) 및 폐쇄형 회로 벤틸레이션 시스템 내에 분비물을 실질적으로 밀봉하여 유지하게 작동한다. 이러한 제 3 위치(제 2 개방 위치)에서, 말단 디스크(12)의 근위 표면(40) 및 시일(48)은 제 1 포트(20)에 차폐를 제공함으로써, 차폐를 제공하도록 작용하는 차폐용 캡(도시하지 않음) 또는 부착형 흡입 카테터 조립체 또는 다른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조립체(10)는 도 1, 도 2,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형 칼라(130)를 구비할 수 있다. 칼라(130)는 사용자의 파지를 보강하도록 복수의 리브(136)를 가질 수 있는 외측 주변부 표면(134) 상에 엄지손가락 랜딩(132)을 구비할 수 있다. 칼라(130)는 버튼 하우징(90)과 버튼 조립체(91)를 수용하도록 절결부(138)를 가질 수도 있다. 칼라(130)는 디스크(12, 14) 둘레의 위치에 칼라(130)를 보유하도록 근위 디스크(14)의 외측 립(72) 내의 2개의 노치(74)와 연동하는 한 쌍의 탭(142)을 내부면(140) 상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칼라(130)는, 칼라(130)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위치설정되고 말단 디스크(12)의 말단 표면(65)의 일부분 위에 위치설정되며 말단 디스크(12)를 근위 디스크(14)에 대해 회전하는 위치에 보유하는데 조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복수의 플랜지(144)를 구비할 수도 있다. 칼라(130)는 말단 및/또는 근위 디스크(12, 14)에 대한 로크-탭 위치에 보유될 수 있거나, 또는, 변형예로서, 칼라(130)는 근위 디스크(14)에 부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칼라(130)는 근위 디스크(14) 둘레에 마찰식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그러나, 조립체(10)는 칼라(130) 없이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근위 디스크(14), 말단 디스크(12) 또는 그 양자의 외측 에지의 적응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카테터 조립체(150)는 근위 디스크(14)의 제 1 포트(20)의 제 1 커프(24)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말단부 커넥터(152)를 구비한다(도시하지 않음). 변형예로서, 흡입 카테터 조립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커프(24)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신속 해제식 중간 커넥터(180)에 결합될 수 있다. 말단부 커넥터(152)에는 슬리브(153)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흡입 카테터(154) 위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장되며, 흡입 카테터(154)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근위 단부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흡입 카테터(154)는 하나 이상의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그 내에 갖는 말단 팁(156)을 구비한다. 또한, 흡입 카테터(154)는 루멘을 갖는 기다란 바디(157)와, 개방 근위 단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흡입 카테터(154)의 근위 단부는 흡입 카테터(154)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적어도 일부분에 결합된다. 흡입 카테터(154)는 분비물을 흡입하기 위해, 조립체(10)를 통해, 임의의 부착형 커넥터 또는 매니폴드(175)를 통해, 기관내 삽관 또는 인공 기도(164)를 통해, 그리고 환자의 호흡관의 일부분 내로 연장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흡입력이 불연속적이면, 흡입 카테터(154)는 환자의 호흡관 및/또는 인공 기도(164) 및 조립체(10)로부터 후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리브(153)로 복귀된다. 이로써, 흡입 카테터(154)의 길이는 슬리브(160) 내에 수용되므로, 분비물을 흡입하기 위해 다시 요구될 때까지 환자의 폐쇄형 회로 벤틸레이션 시스템의 외측에 위치설정된다.
말단 디스크(12)의 포트(16) 및 커프(18) 그리고 제 1 및 제 2 포트(20, 22) 및 각각의 제 1 및 제 2 커프(24, 26)의 각도는, 포트(16) 및 커프(18)가 제 1 포트(20) 및 제 1 커프(24)와 정렬될 때 포트(16, 20) 및 커프(18, 24)가 축방향 정렬을 제공하도록 연동하기만 한다면, 임의의 각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말단 디스크(12)의 포트(16) 및 커프(18)가 제 2 포트(22) 및 제 2 커프(26)와 정렬되면, 포트(16, 22) 및 커프(18, 26)는 축방향 정렬을 제공하도록 연동한다. 또한, 이와 같은 각각의 정렬에서, 조립체(10)의 부품들은 환자의 인공 기도의 근위에 결합된 외측 부품들과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이와 같은 축방향 정렬은 포트(16, 20, 22) 및 각각의 커프(18, 24, 26)를 통과한 흡입 카테터의 뒤틀림 또는 의도하지 않은 크림핑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한 것이다. 이는 흡입 카테터가 회전을 통해 강제로 통과시켜 흡입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 중첩, 접힘, 뒤틀림 및 크림핑하기 쉬운 경량의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제 1 위치(제 1 개방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위 디스크(14)의 제 1 포트(20) 및 제 1 커프(24)는 축(165)에 대해 약 35 내지 약 55도의 각도로 위치됨으로써, 말단 디스크(12) 및 근위 디스크(14)의 각각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평행한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단 디스크(12)의 포트(16) 및 커프(18)는 약 215 내지 약 235도의 각도로 위치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1 포트(20) 및 제 1 커프(24) 그리고 포트(16) 및 커프(18)는 제 1 개방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약 180도의 각도를 제공하도록 함께 연동하며, 그를 통해 흡입 카테터(154)가 위치설정될 수 있다.
제 1 위치에서, 근위 디스크(14)의 제 2 포트(22) 및 제 2 커프(26)(도 11)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2, 14)를 통해 위치설정된 축(165)에 대해 약 125 내지 약 145도의 각도로 위치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말단 디스크(12)의 포트(16) 및 커프(18)가 제 2 포트 및 제 2 커프(22, 26)에 대해 제 3 위치(도 13)(제 2 개방 위치)로 회전되면, 포트(16) 및 커프(18)는 축(165)에 대해 약 305 내지 약 325도의 각도로 위치설정된다. 제 2 포트(22) 및 제 2 커프(26) 그리고 포트(16) 및 커프(18)는 제 3 위치(제 2 개방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약 180도의 각도를 제공하도록 함께 연동함으로써, 장비, 예컨대 기관지경, 카테터의 일부분 등이 위치설정될 수 있는 개방 위치를 형성한다.
폐쇄된 제 2 위치(제 3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서, 말단 디스크(12)의 포트(16) 및 커프(18)는 제 2 포트(20)와 제 2 포트(22) 양자와 정렬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된다. 말단 디스크(12)의 포트(16) 및 커프(18)는 축(165)에 대해 약 90도의 각도로 위치설정된다. 그러나,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트(16) 및 커프(18)는 축(165)에 대해 다른 축(도시하지 않음)에 위치설정된다.
사용 방법에서, 조립체(10)는 매니폴드(175)를 거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환자의 인공 기도(164)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예에서, 조립체(10)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인공 기도 및 호흡관으로부터 분비물을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해 조립체(10)를 통해 흡입 카테터(154)를 통과시키도록 복수의 사전 결정된 위치 중 하나, 즉 제 1 위치에 위치설정된다. 이러한 제 1 위치에서, 말단 디스크(12)의 포트(16) 및 커프(18)는 근위 디스크(14)의 제 1 포트(20) 및 제 1 커프(24)와 축방향 정렬하게 위치설정된다. 버튼 조립체(91)의 주변부 에지(113) 상의 로킹 탭(116)은 말단 디스크(12)의 제 1 노치(31)를 통해 위치설정됨으로써, 말단 디스크(12) 및 근위 디스크(14)를 고정 위치에 함께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위치에서, 플런저(92)는 버튼 하우징(90) 내에 위치설정되며, 이는 제 1 포트(20) 또는 제 1 커프(24)의 임의 부분을 차단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포트(16, 20) 및 커프(18, 24)는 조립체(10)가 환자의 인공 기도(164) 및 호흡관과 작동가능하게 연통하도록 정렬되고, 흡입 카테터(154)는 조립체(10)의 개방 위치, 즉 흡입 카테터 경로(166)를 통해 그리고 분비물을 흡입하기 위해 환자의 인공 기도 및/또는 호흡관 내로 이동된다.
버튼 조립체(91)의 버튼(94)이 밀리거나 또는 하강되면, 버튼은 아주 약간만 하강되는데, 그 이유는 포트(16, 20) 및 커프(18, 24)를 통해 위치설정된 흡입 카테터(154)의 존재로 인해 제 1 커프(24) 내의 측면 개구(100)를 통해 제 1 포트(20) 내의 개구에 플런저(94)가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버튼(94)이 내측으로 완전히 밀릴 수 없기 때문에, 말단 디스크(12)는 로킹 탭(116) 및 디스크(12, 14)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므로, 조립체(10)의 축방향 정렬에 의해 형성된 흡입 카테터 경로(166)를 통해 흡입 카테터(154)가 소정 위치에 있는 동안에 서로에 대해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이로써, 흡입 카테터(154)의 일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절단될 수 없도록 안전 로크가 형성된다.
흡입 카테터(154)가 사용자에 의해 후퇴되어 슬리브(153)로 완전히 복귀되면, 액추에이터 또는 버튼 조립체(91)의 버튼(94)은 운동 허용부(도 10a 및 도 10b)로 하강될 수 있는 한편, 의료 제공자 또는 사용자는 말단 디스크(12)의 일부분을 파지하여 근위 디스크(14)를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되게 보유한다. 말단 디스크(12)의 리브(44)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약 180도 이하로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근위 디스크(14) 상의 스톱 탭(81)과 연동한다. 버튼(94)이 디스크(12, 14)의 외측 에지(30, 70)에 대해 완전히 하강되면, 로킹 탭(116)은 말단 디스크(12)의 립(28) 내의 제 1 노치(31)를 통해 그 위치를 벗어나 이동된다. 더욱이, 버튼(94)이 완전히 하강되면, 차단부 또는 플런저(94)가 제 1 포트(20) 내에 위치설정됨으로써, 제 1 포트(20)를 차단하는 한편, 하강 위치에서 그리고 제 1, 제 2 및 제 3 위치 사이에서의 디스크(12, 14)의 회전 동안에 버튼(94)이 보유된다. 본 방법에서의 이러한 시점에서, 주변부 에지(113)의 운동 허용부(118)는 말단 디스크(12)의 립(28) 아래로 이동하고, 로킹 탭(116)은 립(28)의 내측 외부(43)에 대해 더욱 내측으로 위치설정됨으로써, 말단 및 근위 디스크(12, 14)를 그들의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시킨다. 디스크(12, 14)의 회전 운동은 조립체(10)의 운동가능한 위치에서 허용되고, 적어도 근위 디스크(14)의 제 1 방향(172)으로의 회전 운동이 바람직하다. 디스크(12, 14)는 버튼(94)의 주변부 에지(113)의 운동 허용부(118)가 말단 디스크(12)의 립(28) 상의 제 2 노치(32)와 접하지 않는 한 회전 유지된다.
그러나, 립(28)의 제 2 노치(32)가 운동 허용부(118)를 가로지르면, 제 2 노치(32)는 주변부 에지(113)의 운동을 외측으로 허용하고, 로킹 탭(116)은 말단 디스크(12)의 또 다른 회전을 차단하도록 말단 디스크(12)의 립(28)에 대해 그리고 제 2 노치(32)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와 동시에, 플런저(92)는 제 2 포트(20) 외부로 그리고 버튼 하우징(90) 내로 외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디스크(12, 14)는 고정되고, 말단 디스크(12)의 포트(16)는 개폐되는 제 1 및 제 2 포트(20, 22)에 대해 축방향으로 정렬되지 않는 폐쇄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포트(16)는 근위 디스크(14)의 폐쇄된 말단 표면(65)에 대해 위치설정되고, 제 1 및 제 2 포트(20, 22)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단 디스크(120 상의 시일(48) 및 폐쇄된 근위 표면(40)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된다. 차폐 캡(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함)은 제 1 및 제 2 커프(24, 26)를 덮는데 사용될 수 있다. 조립체(10)는 버튼(94)이 다시 하강될 때까지 폐쇄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 또는 버튼 조립체(91)의 버튼(94)이 (운동가능한 위치에서) 내측으로 다시 하강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근위 디스크(14)가 말단 디스크(12)에 대해 제 1 방향(172)으로 회전되면, 로킹 탭(116)은 말단 디스크(12)의 립(28)의 제 2 노치(32)를 통해 그 위치를 벗어나 다시 이동된다. 주변부 에지(113)의 운동 허용부(118)는 말단 디스크(12)의 립(28) 아래로 이동하고, 로킹 탭(116)은 립(28)의 내측 외주(43)에 대해 다시 위치설정됨으로써, 디스크(12)의 제 1 방향(172)으로의 회전 운동 동안에 버튼(94)을 하강 위치에 보유한다. 그와 동시에, 플런저(92)는 제 1 포트(20)와 제 2 커프(24)를 통해 제 1 포트(20)를 차단하도록 개구 내로 이동된다. 근위 디스크(14)는 말단 디스크(12)의 립(28)이 버튼 조립체(91)의 주변부 에지(113)의 운동 허용부(118) 위로 이동되기는 한 말단 디스크(12)에 대해 계속하여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립(28)의 제 3 노치(33)가 운동 허용부(118)를 가로지르면, 제 3 노치(33)는 주변부 에지(113)의 운동을 허용하고, 로킹 탭(116)은 디스크(12, 14)의 또 다른 회전을 차단하도록 말단 디스크(12)의 립(28)에 대해 그리고 제 3 노치(32)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한다. 본 위치에서, 버튼(94)은 디스크(12, 14)의 외측 에지(30, 7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버튼 조립체(91)의 로킹 탭(116)은 말단 디스크(12)의 제 3 노치(33)를 통해 위치설정됨으로써, 디스크(12, 14)를 함께 고정 위치에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위치에서, 플런저(92)는 제 1 포트(20)로부터 그리고 하우징(90) 내로 멀어지게 다시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포트(16) 및 커프(18)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포트(22) 및 제 2 커프(26)와 축방향 정렬하게 위치설정된다. 이러한 정렬은 제 2 포트(22)가 기관지경, 기관지 폐포 세척기 등에 연결될 수 있도록 개구를 형성하여, 환자의 인공 기도(164) 및 호흡관과 연통함으로써, 환자의 인공 기도 및 호흡관 내로의 치료, 세척, 관찰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제 1 포트(20)는 이때에 폐쇄 위치에 위치설정된다.
프로세스는 역전될 수 있고, 근위 디스크(14)는 제 1 방향(172)뿐만 아니라 제 2 방향(174)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버튼 조립체(91)가 디스크(12, 14)로부터 멀어지게 외측으로 이동되면, 플런저(94)는 제 1 포트(20)와 제 1 커프(24)에 대해 차단 위치를 벗어나 이동된다. 더욱이, 사용자가 제 1, 제 2 또는 제 3 위치 중 하나에서 "정지"하기를 바라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버튼(94)을 단지 하강시킬 필요만 있으며, 말단 디스크(12)가 사전 결정된 제 1, 제 2 또는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버튼(94)을 하강 위치에 유지시킨다. 마지막으로, 제거가능한 흡입 카테터 조립체(150)가 제 1 포트(20)의 제 1 커프(24)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지만, 흡입 카테터 조립체(150)는 동일한 결과를 성취하도록 제 2 포트(22)의 제 2 커프(26)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하나의 디스크의 운동은 다른 것에 관련되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하나의 디스크를 고정 위치에 보유하는 한편 다른 디스크를 회전하지 않으면 양자의 운동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어느 디스크(12, 14)가 이러한 고정 위치에 보유될 수 있는 한편, 반대편의 디스크는 회전 위치에서 회전된다.
디스크(12, 14), 칼라(130) 및 버튼 조립체(91)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들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이 있다. 더욱이, 탄성중합체 시일(48) 및 O-링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합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스크(12, 14)의 커프 및 포트는 디스크(12, 14)의 표면에 대해 90도 또는 수직이 아닌 각도로 위치설정된다. 커프 및 포트는 조립체(10)가 비전문 관찰자 또는 환자에게 기계적인 외관을 잘 보이기 위해 본원에 기술된 각도(들)로 제공된다. 즉, 각을 이룬 커프 및 포트는, 커프 및 포트가 디스크의 표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 각도로 위치설정되는 경우보다 조립체가 약 30% 적게 구성되게 한다. 더욱이, 각을 이룬 커프 및 포트는, 커프 및 포트가 디스크의 표면에 대해 대략 수직 각도로 위치설정되는 경우보다 조립체가 약 40% 작게 구성되게 한다. 아울러, 조립체(10)의 보다 작은 점유 공간은 인공 기도(164)와의 축방향 정렬을 중요하게 허용한다. 이로써, 조립체(10)는 인공 기도(164) 내로의 흡입 카테터(154)의 액세스 및 사용을 주위 깊게 제어하는 한편, 작고 겨우 현저한 부품을 유지함으로써, 가족들의 걱정 지수뿐만 아니라, 벤틸레이터 및 다른 두드러진 모니터링 장치에 이미 결합된 환자의 걱정 지수를 저감시킨다.
도 16 내지 도 2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포트(216, 218)가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단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212)에 대해 대략 90도, 수직 각도로 제공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조립체(210)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조립체(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포트(220, 222) 및 각각의 제 1 및 제 2 커프(224, 226)는 근위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214)에 대해 대략 90도, 수직 각도로 위치설정된다.
액추에이터 또는 버튼(294)은 버튼(94)과는 상이하게 형성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버튼 하우징(290)은 버튼 하우징(90)과는 약간 상이한 형상을 갖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한다. 칼라(230)는 칼라(130)과는 약간 상이하며, 한 쌍의 캡(231)을 가지는데, 각각은 테더(232)에 의해 칼라(230)에 부착된다.
디스크(212, 214)를 함께 보유하는데 핀 조립체(도시하지 않음)가 사용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디스크(212, 2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함께 보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말단 및 근위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212, 2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더욱이,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212, 214)는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요한 차이점은 포트(216, 220, 222) 및 각각의 커프(218, 224, 226)의 각도이다. 디스크(212, 214)와 함께 시일(48)과 유사한 시일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변형예로서, 시일을 제공하는데 하나 이상의 O-링(도시하지 않음)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흡입 카테터 조립체(250)는 전술한 흡입 카테터 조립체(150)와는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커넥터 또는 매니폴드(275)가 커넥터 또는 매니폴드(275)에 추가적인 연결을 허용하는 추가적인 포트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커넥터 또는 매니폴드(275)는 전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 또는 매니폴드(175)와 유사하다.
조립체(210)는 조립체(10)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립체(210)는 포드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 결정된 위치, 즉 2가지 개방 위치 및 하나의 폐쇄 위치를 갖는다.
조립체(210)의 구성은 조립체(10)와 비교하면 보다 큰 "점유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적절하게 연결 또는 결합하기 위해 적어도 커프(224, 226)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포트(216, 220, 224)의 커프(218, 224, 226)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표준 커넥터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것이다.
도 22 내지 도 2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체(310)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하고 상세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체(10, 210)와 유사하다. 말단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12) 및 근위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14)는 서로에 대해 그리고 서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이동 또는 미끄럼운동하는 장방형 플레이트로서 제공된다. 더욱이, 포트(316, 320, 322) 및 각각의 커프(318, 324, 326)는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단 및 근위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12, 314)에 대해 대략 90도, 수직 각도로 제공된다.
액추에이터 또는 버튼(394)은 버튼 또는 액추에이터(294)와 유사하게 형성되지만, 버튼(94)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며,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304)에 의해 가압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버튼 하우징(390)은 하우징(290)의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지만, 버튼 하우징(90)의 형상과는 다소 상이할 수 있다. 하우징(90, 290, 390)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체(310)는 각각의 기다란 에지(341)를 따라 하나의 칼라가 연장되는 칼라[예컨대, 칼라(130 또는 230)] 또는 한 쌍의 칼라(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지만, 도 22 내지 도 24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310)는 칼라 없이 제공될 수 있다. 테더를 갖거나 갖지 않는 캡은 칼라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조립체(310)의 임의 부품(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말단 및 근위 디스크(312, 314)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하게 함께 결합하게 하는 플랜지 또는 다른 부품(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하나 이상의 홈부(332) 등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한 하나 이상의 레일(330)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12, 314)는,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12, 314)를 실질적으로 봉입하는 커버 내에 보유될 수 있으며, 이는 커버(도시하지 않음) 내에 서로에 대해 이동 또는 미끄럼 운동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12, 314)는,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가 이동하고 하나의 위치로 고정되게 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부를 갖는다. 더욱이, 디스크(312, 314)는 디스크(12, 14; 212, 214)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가지의 주요 차이점이 있다. 제 1 차이점은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트(316, 320, 322) 및 그와 관련된 커프(318, 324, 326)의 수직 각도이다. 제 2 차이점은 플레이트(312, 314)의 회전 운동이 아니라 직선형이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징부가 원형의 정렬이 아니라 직선의 선형 정렬로 제공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말단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12) 및 근위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14) 상에 제공된 리브, 홈부 및 다른 특징부는 말단 및 근위 플레이트(312, 314) 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312, 314)와 함께 하나 이상의 시일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변형예로서,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O-링(도시하지 않음)이 사용될 수 있거나, 혹은 시일과 O-링의 조합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흡입 카테터 조립체(350)는 전술한 흡입 카테터 조립체(250, 150)와는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커넥터 또는 매니폴드(375)는 도 1 및 16에 도시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 또는 매니폴드(275)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조립체(310)는, 플레이트들이 회전하기보다는 종방향 경로를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조립체(10) 및 조립체(210)를 위한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립체(310)는 포트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거나 미끄럼 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폐쇄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조립체(310)의 구성은 조립체(210) 또는 조립체(10)보다 큰 "점유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12, 314)가 서로에 대해 이동 또는 미끄럼 운동하게 하는데 필요한 공간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 더욱이, 이는 적절하게 연결 또는 결합하기 위해 적어도 커프(324, 326)들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요구하는 포트(316, 322, 324)의 커프(318, 324, 326)에 각각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표준 커넥터의 사이즈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
더욱이, 본원의 특정 부품은 특정 각도로 기술 및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조립체가 본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한, 임의 부품이 임의 각도 또는 각도의 조합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만곡형 또는 아치형 플레이트는 볼록형 또는 오목형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뿐만 아니라, 평탄형 또는 평면형 디스크 또는 평면형 플레이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작동하는 한,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는 임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원에 기술한 결과(들)를 성취하도록 작동하는 한, 디스크는 임의 방식으로 회전, 선회, 미끄럼 운동 및 이동할 수 있다.
조립체(10, 210, 310)는 말단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 상에 하나 이상의 포트 및 커프와, 근위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 상에 2개 이상의 포트 및 커프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조립체(10, 210, 310)는 커넥터 또는 매니폴드(175, 275, 375), 또는 당해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매니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립체(10, 210, 310)는 흡입 카테터 조립체(150, 250, 350), 또는 당해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흡입 카테터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조립체(10, 210, 310)는 흡입 카테터 조립체뿐만 아니라, 커넥터 또는 매니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는 요지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는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변형물, 수정물 및 동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respiratory access assembly)에 있어서,
    환자의 인공 기도와 작동가능하게 연통하도록 위치설정된 포트를 갖는 말단 플레이트(distal plate);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구비하는 근위 플레이트(proximal plate)로서, 상기 말단 플레이트는 상기 근위 플레이트에 대해 적층된 구성으로 위치설정되며, 각각의 플레이트는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근위 플레이트; 및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이동가능한 위치(movement-enabling position)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의 운동을 허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와 연동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정 위치(fixed position)에 위치설정될 때 플레이트들을 고정 위치에 있도록 양자의 플레이트들과 연동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들이 서로에 대해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포트 내로 연장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의 포트로부터 후퇴하도록 구성된 차단부(blocking portion)를 구비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하고,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가 정렬되게 이동될 때,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가 제 1 개방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고정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정렬된 포트들을 통해 물체가 이동가능한,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2 포트는 폐쇄 위치에 위치설정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흡입 카테터(suction catheter)인,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개구를 내부에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단부, 상기 흡입 카테터, 및 상기 흡입 카테터 위에 위치설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단부에 연결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폐쇄형 흡입 카테터 조립체(closed suction catheter assembly)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연결 단부는 상기 제 1 포트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적어도 제 2 개방 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하고,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가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2 포트와 정렬하도록 이동될 때,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됨으로써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2 포트가 제 2 개방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포트들을 통해 물체가 이동가능한,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는 폐쇄 위치에 위치설정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모든 포트의 폐쇄 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하고,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가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 사이의 위치로 그리고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 양자와 정렬하지 않을 때,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되어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와 제 2 포트가 정렬되지 않은 폐쇄 위치에 있음으로써, 상기 포트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도 물체가 이동하지 않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버튼 및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로킹 탭(locking tab)과, 운동 허용부(movement permitting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말단 플레이트는 노치를 그 내에 갖는 립(lip)을 구비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 대해 내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립이 상기 버튼의 운동 허용부 상에 위치설정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지게 이동될 때, 상기 로킹 탭이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립과 접촉하도록 상기 노치를 통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들이 서로에 대해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되도록 운동을 방지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내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 1 포트에 인접한 개구 내에 위치설정됨으로써, 상기 제 1 포트를 차단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카테터가 위치설정되고, 상기 버튼이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말단 플레이트를 상기 고정 위치에 유지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외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 1 포트에 인접한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1 포트를 개방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17.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respiratory access assembly)에 있어서,
    환자의 인공 기도와 작동가능하게 연통하도록 위치설정된 포트를 갖는 말단 플레이트(distal plate);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구비하는 근위 플레이트(proximal plate)로서, 상기 말단 플레이트는 상기 근위 플레이트에 대해 적층된 구성으로 위치설정되며, 각각의 플레이트는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근위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들이 복수의 소정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각각의 소정 위치에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들을 운동시키고 상기 플레이트들을 함께 고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상기 플레이트들은 이동가능하고,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가 정렬되게 이동될 때, 상기 수단이 소정의 고정 위치로 위치설정됨으로써,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가 제 1 개방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포트들을 통해 물체가 이동가능하며,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2 포트는 폐쇄 위치에 위치설정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말단 플레이트와 근위 플레이트 양자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들과 연동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상기 플레이트들을 서로에 대해 고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들과 연동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들은 상기 복수의 소정 위치 중 하나에서 고정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 이상의 포트 내로 연장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고정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나의 포트로부터 후퇴하도록 구성된 차단부(blocking portion)를 구비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정 위치는 적어도 제 2 개방 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가능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상기 플레이트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2 포트가 정렬되게 이동될 때,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정 위치로 위치설정됨으로써, 상기 말단 플레이트의 포트 및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2 포트가 제 2 개방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포트들을 통해 물체가 이동가능하며,
    상기 근위 플레이트의 제 1 포트는 상기 말단 플레이트에 인접한 폐쇄 위치에 위치설정되는,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KR1020117013771A 2008-12-12 2009-11-15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KR101615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391608A 2008-12-12 2008-12-12
US12/333,916 2008-12-12
US12/395,664 2009-02-28
US12/395,664 US8215306B2 (en) 2008-12-12 2009-02-28 Respiratory access port assembly with push button lock and method of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885A KR20110102885A (ko) 2011-09-19
KR101615096B1 true KR101615096B1 (ko) 2016-04-25

Family

ID=4208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771A KR101615096B1 (ko) 2008-12-12 2009-11-15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215306B2 (ko)
EP (1) EP2376161B1 (ko)
JP (1) JP5575797B2 (ko)
KR (1) KR101615096B1 (ko)
CN (1) CN102245247B (ko)
AU (1) AU2009325972B2 (ko)
BR (1) BRPI0916495A2 (ko)
CA (1) CA2745757C (ko)
ES (1) ES2533367T3 (ko)
MX (1) MX2011005648A (ko)
RU (1) RU2523151C2 (ko)
WO (1) WO20100672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7312A1 (en) * 2008-12-12 2010-06-17 John Brewer Respiratory Access Port Assembly With Pin Lock and Method of Use
WO2010091309A1 (en) 2009-02-06 2010-08-12 Endoclear, Llc Methods for cleaning endotracheal tubes
NL2002622C2 (nl) * 2009-03-13 2010-09-16 Ez Blocker B V Bronchoscopisch verdeelstuk.
US8256422B2 (en) * 2009-05-15 2012-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access port assembly with passive lock and method of use
EP2902066B1 (en) 2010-03-29 2021-03-10 Endoclear LLC Airway cleaning and visualization
US8544463B2 (en) 2010-09-28 2013-10-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vermolded manifold O-ring
EP2714168B1 (en) 2011-03-29 2019-03-20 Teleflex Life Sciences Unlimited Company Ballooned ventilation tube cleaning device
GB201119794D0 (en) 2011-11-16 2011-12-28 Airway Medix Spolka Z O O Ballooned ventilation tube cleaning device
US9078987B2 (en) * 2011-12-23 2015-07-14 Avent, Inc. Clutch brake assembly for a respiratory access port
US9597470B2 (en) * 2012-02-06 2017-03-2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anifold having rotatable ports
CN103372235B (zh) * 2012-04-18 2015-08-12 太平洋医材股份有限公司 具旋转开关的抽痰装置
US8657800B2 (en) * 2012-05-24 2014-02-25 Pacific Hospital Supply Co., Ltd. Suction device having a rotary switch
CN103110988A (zh) * 2013-02-01 2013-05-22 任广秀 气管切开专用吸痰管
EP2873433B1 (en) * 2013-11-13 2016-05-18 Vitaltec Corporation Switchable adapter for a suction tube
TW201517947A (zh) * 2013-11-13 2015-05-16 Vitaltec Corp 具切換功能之抽痰管轉接頭
US9427541B2 (en) * 2014-04-30 2016-08-30 Vitaltec Corporation Switchable adapter for a suction tube
US20150352303A1 (en) * 2014-06-05 2015-12-10 Grant Godwin Device having manual resuscitation and suction capabilities
US10500360B1 (en) 2014-08-29 2019-12-10 Teleflex Life Sciences Unlimited Company Catheter for cleaning of tracheal ventilation tubes
USD754336S1 (en) * 2014-09-02 2016-04-19 Karl Storz Gmbh & Co. Kg Bronchoscope
CN106139341B (zh) * 2015-03-26 2018-09-18 北京雅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呼吸气路的三通管路及其检测方法
CN104784794B (zh) * 2015-05-08 2017-03-29 濡新(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咳痰管路
USD809126S1 (en) * 2015-08-07 2018-01-30 Vyaire Medical Consumables Llc Airway adapter
USD796668S1 (en) 2015-08-07 2017-09-05 Vyaire Medical Consumables Llc Suction control valve
US11452831B2 (en) 2016-01-06 2022-09-27 Airway Medix S.A. Closed suction system
GB2546082B (en) 2016-01-06 2018-05-16 Airway Medix S A Closed suction system
US10946153B2 (en) 2016-05-16 2021-03-16 Teleflex Life Sciences Pte. Ltd. Mechanical user control elements for fluid input module
WO2019008518A1 (en) * 2017-07-05 2019-01-10 Teleflex Life Sciences Unlimited Company MECHANICAL USER CONTROL ELEMENTS FOR LIQUID INPUT MODULE
USD894378S1 (en) * 2017-11-03 2020-08-25 Medline Industries, Inc. Enteral feeding valve
US11298496B2 (en) * 2017-11-07 2022-04-12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Ventilator adaptor for sustained mechanical ventilation
US11752294B2 (en) * 2019-01-31 2023-09-12 Avent, Inc. Respiratory access assembly with improved seal assembly
CN110619800B (zh) * 2019-09-18 2024-05-24 苏州新劢德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人工肺泡模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9013A1 (en) 1997-10-09 1999-04-22 Paul Viranyi Adaptor for use with a double lumen endobronchial tube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3152A (en) 1972-07-10 1976-07-21 Penlon Ltd Respiratory apparatus
US4326520A (en) * 1979-03-05 1982-04-27 Alley Ralph D Brake-actuated catheter feeder
US4270778A (en) * 1979-05-03 1981-06-02 Sherwood Medical Industries Inc. Tube connector with security means
DE2939794A1 (de) 1979-10-01 1981-04-16 Volker O. Prof. Dr.Med. 8012 Ottobrunn Lang Sputum-schutzvorrichtung fuer die bronchialtoilette, vorzugsweise kuenstlich beatmeter patienten
US4253453A (en) 1979-10-19 1981-03-03 Airco, Inc. Selector valve for anesthesia machine
JPS57198100A (en) 1981-05-29 1982-12-04 Kyowa Hakko Kogyo Kk Treatment of mollases
GB2100747B (en) 1981-06-23 1984-09-19 Shell Int Research Process for the fluid catalytic cracking of a hydrocarbon feedstock
EP0068543B1 (en) 1981-06-25 1988-09-21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hydrocarbon mixture
GB2100746A (en) 1981-06-30 1983-01-06 Ashdown Ind Services Limited Degreasing composition
US4836199A (en) * 1984-07-23 1989-06-06 Ballard Medical Products Aspirating/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US4569344A (en) * 1984-07-23 1986-02-11 Ballard Medical Products Aspirating/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US4641646A (en) * 1985-04-05 1987-02-10 Kenneth E. Schultz Endotracheal tube/respirator tubing connecting lock mechanism and method of using same
SU1304820A1 (ru) * 1985-12-23 1987-04-23 Запорожский Областной Отдел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дых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5207641A (en) * 1989-05-15 1993-05-04 Bird Medical International Inc. Medical rotary valve having aspiration, insufflation and an intermediate flushing positions
SU1708356A1 (ru) * 1989-06-05 1992-01-30 Savchenko Vitalij A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осстановлени проходимости верхних дыхательных путей
US5158569A (en) * 1990-12-21 1992-10-27 Ballard Medical Products Catheter placement locking and sealing device
US5255672A (en) * 1991-08-07 1993-10-26 Jinotti Walter J Dual-purpose catheter assembly
US5337780A (en) * 1992-10-19 1994-08-16 Sherwood Medical Company Suction control valve
DE69329711T2 (de) 1992-04-24 2001-08-02 Sherwood Serv Ag Atmungsunterstützungssystem
US5309902A (en) * 1992-10-19 1994-05-10 Sherwood Medical Company Respiratory support system and suction catheter device therefor
US5333607A (en) * 1992-10-19 1994-08-02 Sherwood Medical Company Ventilator manifold with accessory access port
US5333606A (en) * 1992-04-24 1994-08-02 Sherwood Medical Company Method for using a respirator accessory access port and adaptor therefore
US5335655A (en) * 1992-09-10 1994-08-09 Sherwood Medical Company Suction control valve
US5628306A (en) * 1992-10-19 1997-05-13 Kee; Kok-Hiong Respiratory manifold with accessory access port
US5445141A (en) * 1992-10-19 1995-08-29 Sherwood Medical Company Respiratory support system
US5357946A (en) * 1992-10-19 1994-10-25 Sherwood Medical Company Ventilator manifold with accessory access port and adaptors therefore
US5643294A (en) 1993-03-01 1997-07-0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apparatus having an increased range of operability
US5354267A (en) * 1993-09-20 1994-10-11 Vital Signs Inc. Irrigation and suction apparatus
IT1266797B1 (it) * 1993-11-09 1997-01-21 Dar Spa Dispositivo di broncoaspirazione applicabile ad un tubo endotracheale in un gruppo di ventilazione meccanica.
AU1937295A (en) 1994-05-18 1995-12-05 Ballard Medical Products Aspiration/ventilation adaptors, seals, and methods of use
US5694922A (en) * 1994-05-18 1997-12-09 Ballard Medical Products Swivel tube connections with hermetic seals
US5735271A (en) * 1994-05-18 1998-04-07 Ballard Medical Products Multiple access adaptors for monitoring, sampling, medicating, aspirating, and ventilating the respiratory tract of a patient
AU2092495A (en) 1994-05-18 1995-12-05 Ballard Medical Products Biassed liquid delivery valve arrangement
US6012451A (en) * 1994-08-19 2000-01-11 Ballard Medical Products Medical aspirating/ventilating closed system improvements and methods
US6494203B1 (en) * 1994-08-19 2002-12-17 Ballard Medical Products Medical aspirating/ventilating closed system improvements and methods
US5540668A (en) * 1995-01-20 1996-07-30 Wilson, Jr.; Roland B. Anti-cross contamination valve and fluid delivery systems using same
WO1996026757A1 (en) 1995-02-28 1996-09-06 Ballard Medical Products Access control respiratory devices and methods
US5694929A (en) * 1996-02-26 1997-12-09 Christopher; Kent L.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lation/oxygenation during guided insertion of an endotracheal tube
US5746199A (en) * 1996-08-21 1998-05-05 Bayron; Harry Respiratory valve
EP0877635A4 (en) 1996-09-10 2000-08-30 Sherwood Medical Co SUCTION CONTROL VALVE
US5882348A (en) 1997-02-03 1999-03-16 Sorenson Critical Care, Inc. Valved manifold
US7021313B1 (en) * 1998-09-21 2006-04-04 Ballard Medical Products Respiratory suction catheter apparatus with improved valve and collar
US6615835B1 (en) 1999-09-20 2003-09-09 Ballard Medical Products Flexible multiple port adaptor
US6543451B1 (en) 1999-12-23 2003-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ndotracheal catheter and manifold assembly with improved seal and valve
AU2001233625A1 (en) * 2000-04-06 2001-10-23 Maersk Medical A/S A manifold
DK174620B1 (da) * 2000-04-06 2003-07-28 Maersk Medical As En ventilanordning
US6588421B1 (en) 2000-09-29 2003-07-08 Dhd Healthcare Corporation HME bypass system
USD448843S1 (en) * 2000-10-05 2001-10-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port catheter assembly for a respiratory care system
USD449107S1 (en) * 2000-10-05 2001-10-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port adapter for a respiratory care system
USD449106S1 (en) * 2000-10-05 2001-10-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port adapter for a respiratory care system
USD448842S1 (en) * 2000-10-05 2001-10-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port catheter assembly for a respiratory care system
US6612304B1 (en) * 2000-10-05 2003-09-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care multiple access port assembly and adapter
US6609520B1 (en) * 2000-10-31 2003-08-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osed suction catheter adaptor and assembly containing the same
US6729326B1 (en) 2000-11-27 2004-05-04 Sorenson Medical, Inc. Neonatal valved manifold
US6629530B2 (en) * 2000-12-22 2003-10-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ingle-element sealing valve for a respiratory support system
US6923184B1 (en) * 2001-02-05 2005-08-02 Ronald D. Russo Suction system with high efficiency suction control valve
US6698424B2 (en) * 2001-12-21 2004-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dical connector for a respiratory assembly
US7191782B2 (en) * 2003-05-06 2007-03-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suction catheter apparatus configured for releasable attachment with an artificial airway structure
US7556041B2 (en) 2003-05-06 2009-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apparatus having an introduction section configured for releasable attachment with a respiratory instrument
US7263997B2 (en) * 2003-05-06 2007-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apparatus having an instrument introduction section and manifold
US7353822B2 (en) * 2004-04-27 2008-04-08 Kimberly-Clark , Worldwide, Inc. Clamping assembly for limiting the depth of insertion of a respiratory care treatment device
EP1773425A4 (en) * 2004-07-07 2012-01-04 Egret Medical Products Inc SUCTION CATHETER ASSEMBLY
ITBO20050404A1 (it) 2005-06-15 2006-12-16 Sherwood Serv Ag Valvola di accesso broncotracheale per una apparecchiatura di broncoaspirazione
GB0611299D0 (en) 2006-06-08 2006-07-19 Smiths Group Plc Bronchial tube assembl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9013A1 (en) 1997-10-09 1999-04-22 Paul Viranyi Adaptor for use with a double lumen endobronchial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33367T3 (es) 2015-04-09
AU2009325972B2 (en) 2015-02-05
JP2012511366A (ja) 2012-05-24
CN102245247A (zh) 2011-11-16
RU2523151C2 (ru) 2014-07-20
JP5575797B2 (ja) 2014-08-20
KR20110102885A (ko) 2011-09-19
MX2011005648A (es) 2011-06-27
AU2009325972A1 (en) 2010-06-17
CN102245247B (zh) 2014-10-22
CA2745757C (en) 2016-10-18
US8845617B2 (en) 2014-09-30
BRPI0916495A2 (pt) 2018-06-19
WO2010067217A1 (en) 2010-06-17
US20120152256A1 (en) 2012-06-21
EP2376161B1 (en) 2015-01-07
RU2011128401A (ru) 2013-01-20
CA2745757A1 (en) 2010-06-17
EP2376161A1 (en) 2011-10-19
US20100147310A1 (en) 2010-06-17
US8215306B2 (en)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096B1 (ko) 호흡기 액세스 조립체
EP2429620B1 (en) Respiratory access port assembly with passive lock
EP2367587B1 (en) Respiratory access assembly with rotating lock
EP2358421B1 (en) Quick connect fitting for respiratory devices
CA2809761C (en) Overmolded manifold 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