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035B1 - 전동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 - Google Patents

전동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035B1
KR101615035B1 KR1020140156923A KR20140156923A KR101615035B1 KR 101615035 B1 KR101615035 B1 KR 101615035B1 KR 1020140156923 A KR1020140156923 A KR 1020140156923A KR 20140156923 A KR20140156923 A KR 20140156923A KR 101615035 B1 KR101615035 B1 KR 10161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golf
cart body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호
Original Assignee
남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호 filed Critical 남영호
Priority to KR102014015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2Microcars, e.g. golf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05Motorized golf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형 골프 카트에 관한 것으로, 한 명의 골퍼가 사용하는 골프클럽을 수용하는 골프백을 포함하는 골프 용구를 지지하는 거치대와,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 가능한 휠을 포함하는 카트 본체와; 상기 카트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 본체의 위치와 각 홀의 정보 등을 화상으로 제공하는 모니터와; 상기 카트 본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정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휠은 상기 카트 본체의 후방에 복수로 대향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각휠과 상기 각 휠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형 골프 카트로 구비되어 초기 구입가를 현재 수준에 비하여 저렴하게 하여 경제성과 초기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BLDC Motor를 적용하여 구동부의 수명을 증대시키며 배터리로는 리튬 이온형을 적용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 {Individually Movable Electric Golf Cart}
본 발명은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개인별로 골프용구를 탑재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다양한 종류의 취미 내지 여가 생활을 선택적으로 영위하고 있다. 이러한 취미/여가 활동 중 하나인 골프는 이제 대중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져 있으며 골퍼들의 운동시 골프클럽 등의 장비를 이동시키거나 골퍼가 탑승할 수 있는 골프 카트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골프 카트는 종래 사용자가 밀어서 이동시키는 수동형이었으나 최근에는 거의 모터를 이용한 전동형이 대부분이며, 전동형도 대형으로 4인 또는 그 이상 인원이 함께 이동할 수 있는 형태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골퍼 개인마다 활용할 수 있는 개인형도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형 골프 카트는 보다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운동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젊은 세대의 인구 감소, 골프 선호도 감소와 현재 골프 이용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베이비 부머들의 은퇴가 다가옴에 따라 지금과 같은 고비용으로 골프를 계속하기에는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즉, 현재와 같은 비교적 고가의 골프장 이용료 체계로는 이용객수가 현저하게 줄어들 것으로 추정되며, 골프장 운영자는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연구하여야 하고 특히 저가로 골프장을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심에 가까운 지역을 제외한 골프장에서는 경기 운영 보조원인 캐디를 확보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캐디가 없는 골프장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캐디가 없는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완되어야 할 조건으로는 골프장의 주수입원 중 하나인 골프 카트 사용료에 대한 수익이 보장되어야 하고, 캐디가 없음에 따라 경기 진행 지연 등에 대한 대책을 갖추어야 하며, 그린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는 대안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 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81151호(2002. 10. 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72512호(2014.06.13)
미국 특허공개공보 US6,578,854 (2003.06.17)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구입가를 현재 수준에 비하여 저렴하게 하여 경제성과 초기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BLDC Motor를 적용하여 구동부의 수명을 증대시키며 배터리로는 리튬 이온형을 적용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지에서 탑승 가능하면서 페어웨이까지 직접 이동함에 따라 경기 운영 시간을 단축하여 경기진행 속도를 빠르게 하여 더 많은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린 주변의 일정범위를 골프 카트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GPS를 이용한 맵(map)을 설정하거나 홀컵에 신호발생기를 장착하여 골프 카트의 진입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는 골프 카트에 있어서, 한명의 골퍼가 사용하는 골프클럽을 수용하는 골프백을 포함하는 골프 용구를 지지하는 거치대와,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 가능한 휠을 포함하는 카트 본체와; 상기 카트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 본체의 위치와 각 홀의 정보 등을 화상으로 제공하는 모니터와; 상기 카트 본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정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휠은 상기 카트 본체의 후방에 복수로 대향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각휠과 상기 각 휠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골프 카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카트 본체에는 골퍼의 골프클럽 스윙 스피드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과, 미리 입력된 골프장의 정보 중에서 벙커, 낭떠러지, 내리막길, 워터 해저드, 그린 등의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 본체의 위치를 GPS를 통해 파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카트 본체가 상기 위험지역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경보 또는 경고를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 본체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상기 카트 본체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트 본체에는 골퍼가 탑승할 수 있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니터는 미리 설정된 매 홀마다의 거리와 시간에 기초하여 잔여 거리 및 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목표 시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 또는 경고를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니터는, 골퍼가 각 홀의 티 박스(tee box), 페어웨이(fairway), 그린(green)의 각 위치에서 해당 홀 번호 선택창과, 해당 클럽 선택창을 표시하고, 해당 홀의 지형 및 거리 정보, 해저드 또는 벙커 위치, 홀컵 위치, 그린의 경사도, 클럽 헤드 스피드 등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구입가를 현재 수준에 비하여 저렴하게 하여 경제성과 초기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BLDC Motor를 적용하여 구동부의 수명을 증대시키며 배터리로는 리튬 이온형을 적용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평지에서 탑승하여 페어웨이를 이동함에 따라 경기 운영 시간을 단축하여 경기진행 속도를 빠르게 하여 더 많은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고, 그린 주변의 일정범위를 골프 카트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GPS를 이용한 맵(map)을 설정하거나 홀컵 등에 신호발생기를 장착하여 골프 카트의 진입 범위를 제할 수 있는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카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트 본체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홀컵에 골프 카트가 근접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카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격의 사시도이며, 도 3은 홀컵에 골프카트가 근접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100, 이하에서 간략하게 '골프 카트'라 한다)는, 배터리(135)를 포함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하여 작동되며, 한명의 골퍼가 사용하는 골프클럽을 수용하는 골프백을 포함하는 골프 용구를 지지하는 거치대(117)와, 배터리(135)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 가능한 휠(113)을 포함하는 카트 본체(110)와; 상기 카트 본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 본체(110)의 위치와 각 홀의 정보 등을 화상으로 제공하는 모니터(150)와; 상기 카트 본체(11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정 레버(173)를 포함하고, 상기 휠(113)은 상기 카트 본체(110)의 후방에 복수로 대향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각 휠(113)과 상기 각 휠(113)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동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프 카트(100)에서 배터리(135)에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카트 본체(110)를 작동시키는 부분인 구동부(133)는 예를 들면 후방의 좌우측 휠(113) 두 곳에 위치하고 배터리(135)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미도시)에 휠(113)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인 인휠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휠 구조는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외형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두 개의 인휠 구조를 갖는 휠(113)의 작동에 의하여 휠(113)이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방향 전환, 속도 제어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방법은 종래기술에서 모터 하나에 차동기어가 결합되어 양 바퀴를 구동하는 방법에 비하여 구동력과 회전력 등에서 유리하다.
구동부(133)의 모터는 BLDC 타입으로 엔코더(encoder)를 포함한 서보 제어를 행하여 내리막, 오르막 및 요철 등에서의 부하 변동에 따른 속도 변화를 억제하여 일정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인휠 구조를 구비하여 전, 후, 좌, 우로 이동하도록 조정 레버(173)를 조작하는 방법은 장애우를 위한 전동 휠체어와 같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조정 레버(173)는 조정하는 량에 따라 이동하는 속도가 비례하도록 하여 조정 레버(173)의 조절 각도를 크게 하면 이동 속도가 빨라지고, 조절 각도를 적게 하면 이동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133)의 제어에 대하여 종래에는 단순한 개방 루프(open loop) 제어로 인해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에서 속도 편차가 심하여 연이은 내리막길 등에서 갑작스런 속도 증가로 인해 위험을 초래하고 전방에 낭떠러지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을 미부착하여 추락의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90)에서 서보 제어를 통해 지령속도에 연동하여 일정할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모터의 서보 제어를 통해 정격 토크의 300%까지의 최대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어 추가적인 모터 용량의 증가 없이 평지에서 사용자가 탑승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어부(190)는 골프 카트(100)에 탑재되거나 결합된 전기 및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제어하고, 카트 본체(110)에는 골퍼의 골프클럽 스윙 스피드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과, 미리 입력된 골프장의 정보 중에서 벙커, 낭떠러지, 내리막길, 워터 해저드, 그린 등의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 본체의 위치를 GPS를 통해 파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센서부(180)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90)는 센서부(180)의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각종 경보, 경고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하거나 모니터(150)에 표시하도록 하고 조정 레버(173)에 기초하여 구동부(133)를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골프 카트(100)는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75)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부(175)는 골퍼가 후술하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퍼가 내장하는 골프장의 각종 정보인, 각 홀의 정보(그린 정보, 페어 웨이 정보, 헤저드 정보, 벙커 정보 등)와 위험지역(낭떠러지, 급격한 언덕, 내리막길, 그린 등)에 대한 정보가 관리자 등에 의하여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190)에 포함된 무선 통신 수단(와이 파이 등)을 통해 무선으로도 송수신 가능하며 관리자에 의하여 그 날의 그린에서의 홀컵 정보 등이 한꺼번에 모든 골프 카트(100)에서 동시에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각 홀에서의 지형 정보에 따라 최고 속도 및 최저 속도를 미리 설정되도록 할 수 있어 각 홀의 지형에 따라 이동하는 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홀의 지형 정보에 따라 각 홀의 평균 이동 속도 등을 연산하여 동반하는 골퍼의 수에 따라 각 홀에서 이동 시간을 제어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홀에서의 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목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 경고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90)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골프 카트(100)에 장착된 모니터(150)에서는 각 홀마다의 지형도 및 그린의 언듈레이션(굴곡, undulation)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사용한 각 클럽의 실제 비거리 및 클럽의 헤드 스피드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경지 지연 예방을 위해 홀 아웃 잔여 시간과 경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그린 훼손을 예방하기 위하여 맵에 설정된 범위 이내로 골프 카트(100)가 이동하는 경우 경보를 울리거나 홀컵 또는 홀컵에 지지되는 핀(깃대) 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 접근시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홀컵-DA 에 일정한 거리(R)에 접근시 경보 울림 참조).
조정 레버(17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조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후 및 좌우 회전 속도가 사용자의 조정 강도(량)에 따라 연동되도록 하고, 조정 레버(173)에서 골퍼가 손을 떼는 경우 골프 카트(100)가 정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15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를 포함할 수 있고 별도의 제작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니터(150)에는 공통적으로 전원이 되는 배터리(135)의 잔량이 표시되고, 전동 모터의 토크 상태 표시, 토크 부족 시에 소리 등을 포함하는 경보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다리 및 고갯길 등의 사고 위험 구간을 관리자가 맵에 미리 설정하여 골프 카트(100)가 이 구간을 통과할 경우 소리, 경광등 등으로 사용자인 골퍼에게 알릴 수 있고, 매 홀에서 잔여시간을 표시하고 시간 제한에 가까운 경우 소리, 경광등에 의하여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모니터(150)에는 티 박스에서 해당 홀 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될 수 있고, 클럽 선택 안내창도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홀에 대한 전체적인 지형 및 거리를 표시할 수 있으며 OB 및 해저드 구역(hazard zone)과 거리를 표시하고, 홀컵 지점을 표시하며, 선택 기능으로 클럽 헤드의 스피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퍼가 경기 내지 운동을 종료하면 모니터(150)에는 각 홀마다의 점수 등이 표시되어 최종적인 점수를 알 수 있고, 이러한 모니터(150)에 저장된 각종 정보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기기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홀의 처음인 티박스와 마지막인 퍼팅과 양자 사이에서 사용자의 샷과 관련된 정보를 모니터(15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모니터(150)에는 티 박스에서의 이동 거리와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표시하고, 클럽 선택 안내를 위한 창이 표시되며, 각 샷을 위한 클럽 선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이전 샷에서의 클럽에 대한 비거리를 표시하고 이를 저장 후 해당 클럽에 대한 평균 비거리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니터(150)는 그린 주변 지형도 및 그린 전방의 경사도를 표시하고 선택적 기능으로 클럽의 헤드 스피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 카트(100)는 골프백만을 탑재한 상태의 가반 하중(약 20kg)을 가지고, 10o정도의 경사각까지 등반 가능한 토크의 구동기를 필요로 하지만, 대부분의 평지에서는 이의 1/8정도의 토크만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평지에서의 여분의 토크로 이용자가 직립 형태로 탑승 가능한 간단한 승용 형태인 발판(115)를 구비하고, 위험 순간이 인지되면 사용자가 쉽게 내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골프장의 필드 이동시간을 단축하여 경기 진행속도를 단축하여 골프장 이용을 최대화시킬 수 있어 골프장 운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18홀 전부를 걸어서 진행하기에 체력이 무리가 되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카트 본체(110) 중 뼈대를 이루는 부분인 섀시(111)는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이 바람직하고, 차량 탑재를 할 수 있도록 접을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후면에 발판(115)을 두어 사용자가 평지에서 기립 형태로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며, 위험시에 재빨리 내릴 수 있는 간이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80)의 일예로 클럽 스피드 측정을 위한 클럽 헤드 속도 측정기를 골프 카트(100) 측면에 장착하여, 이용자의 클럽 헤드 속도 측정이 가능하고, 골프 카트(100)의 전방에 초음파 형태의 거리감지기를 두어 낭떠러지 및 충돌 발생이 감지되면 골프 카트(100)가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135)는 리늄 이온(Lithium Ion)형이고, 예를 들면 용량이 10Ah/24V로, 사용용량은 250W(여기서, 전동구동기 : 200W, 기타 50W)로 10시간 동안 골프 카트(1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이다. 충전기는 별치형으로 하고 골프장에서 적정 수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개인별 골프 카트(100)는 본 발명자가 도출한 것으로 종래의 다인승 등에 비하여 월등하게 경제적이면서도 사용이 편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 각 개인형으로 구비되어 초기 구입가를 현재 수준에 비하여 저렴하게 하여 경제성과 초기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BLDC Motor를 적용하여 구동부의 수명을 증대시키며 배터리로는 리튬 이온형을 적용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평지에서 탑승하여 페어웨이를 이동함에 따라 경기 운영 시간을 단축하여 경기진행 속도를 빠르게 하여 더 많은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고, 그린 주변의 일정범위를 골프 카트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GPS를 이용한 맵(map)을 설정하거나 홀컵 등에 신호발생기를 장착하여 골프 카트의 진입 범위를 제할 수 있는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골프 카트 110 : 카트 본체
111 : 섀시 113 : 휠
115 : 발판 117 : 거치대
133 : 구동부 135 : 배터리
150 : 모니터 173 : 조정 레버
175 : 입력부 180 : 센서부
190 : 제어부

Claims (6)

  1.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는 골프 카트에 있어서,
    한 명의 골퍼가 사용하는 골프클럽을 수용하는 골프백을 포함하는 골프 용구를 지지하는 거치대와,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 가능한 휠을 포함하는 카트 본체와;
    상기 카트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 본체의 위치와 각 홀의 정보 등을 화상으로 제공하는 모니터와;
    상기 카트 본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정 레버와;
    상기 휠은 상기 카트 본체의 후방에 복수로 대향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각휠과 상기 각 휠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서보제어되는 구동부와;
    상기 카트 본체에는 골퍼의 골프클럽 스윙 스피드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과;
    미리 입력된 골프장의 정보 중에서 벙커, 낭떠러지, 내리막길, 워터 해저드, 그린 등의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 본체의 위치를 GPS를 통해 파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센서부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카트 본체가 상기 위험지역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경보 또는 경고를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는 미리 설정된 매 홀마다의 거리와 시간에 기초하여 잔여 거리 및 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목표 시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 또는 경고를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는, 골퍼가 각 홀의 티 박스(tee box), 페어웨이(fairway), 그린(green)의 각 위치에서 해당 홀 번호 선택창과, 해당 클럽 선택창을 표시하고, 해당 홀의 지형 및 거리 정보, 해저드 또는 벙커 위치, 홀컵 위치, 그린의 경사도, 클럽 헤드 스피드 등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골프 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본체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상기 카트 본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골프 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본체에는 골퍼가 탑승할 수 있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골프 카트.
  5. 삭제
  6. 삭제
KR1020140156923A 2014-11-12 2014-11-12 전동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 KR10161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923A KR101615035B1 (ko) 2014-11-12 2014-11-12 전동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923A KR101615035B1 (ko) 2014-11-12 2014-11-12 전동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035B1 true KR101615035B1 (ko) 2016-04-29

Family

ID=5591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923A KR101615035B1 (ko) 2014-11-12 2014-11-12 전동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069B1 (ko) 2023-08-29 2023-11-30 (주)비지언스 인공지능 기반의 골퍼 추적 기능을 적용한 자동 골프 카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004A (ja) * 1992-02-28 1994-03-15 Yamaha Motor Co Ltd 四輪立ち乗りゴルフカート
KR20030000733A (ko) * 2001-06-26 2003-01-06 김종림 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
JP2003210632A (ja) * 2002-01-24 2003-07-29 Birukon Kk ワンバッグ用の電動式ゴルフカート
KR20050109695A (ko) * 2004-05-17 2005-11-22 김만철 골프채의 스윙속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004A (ja) * 1992-02-28 1994-03-15 Yamaha Motor Co Ltd 四輪立ち乗りゴルフカート
KR20030000733A (ko) * 2001-06-26 2003-01-06 김종림 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
JP2003210632A (ja) * 2002-01-24 2003-07-29 Birukon Kk ワンバッグ用の電動式ゴルフカート
KR20050109695A (ko) * 2004-05-17 2005-11-22 김만철 골프채의 스윙속도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069B1 (ko) 2023-08-29 2023-11-30 (주)비지언스 인공지능 기반의 골퍼 추적 기능을 적용한 자동 골프 카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9366B2 (ja) ロボットゴルフキャディ
US11733695B2 (en) Robotic vehicle
KR101744026B1 (ko) 스마트 골프 카트
US10155149B2 (en) Electric golf skate caddy vehicle
NZ741112A (en)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KR101615035B1 (ko) 전동 개인 이동형 골프 카트
US20210009182A1 (en) Pushable and ridable inclinable, multitrack vehicle
US20190151725A1 (en) Golf course carrier controller and assistant
KR101053183B1 (ko) 전동 골프 카트의 자동 운행 시스템
CN211434996U (zh) 一种具有自主定位功能的高尔夫球包车
KR100487842B1 (ko) 골프백 운송장치
WO2009118575A1 (en) Motorized golf trolley for the combined transport of an user and a bag of golf clubs
KR200369420Y1 (ko) 골프백 운송장치
JP2019094014A (ja) 農作業用電動台車
WO2021101543A1 (en) Golf course carrier controller and assistant
KR100487761B1 (ko)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
NZ777722B2 (en) Robotic golf caddy
JPH04218810A (ja) ロボットカート
CA2513835A1 (en) Two bag golf c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