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880B1 - 시선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선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880B1
KR101614880B1 KR1020150026741A KR20150026741A KR101614880B1 KR 101614880 B1 KR101614880 B1 KR 101614880B1 KR 1020150026741 A KR1020150026741 A KR 1020150026741A KR 20150026741 A KR20150026741 A KR 20150026741A KR 101614880 B1 KR101614880 B1 KR 101614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device
control information
cursor
screen
po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인
안상철
김익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2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발표자인 사용자가 보는 모니터 화면에는 항상 커서가 출력되지만, 청중들이 보는 스크린 상에는 커서가 출력되지 않으며, 모니터 화면의 커서의 위치는 발표자가 포인팅장치의 버튼 등을 눌러 그 위치를 제어하는 경우에만 움직이게 되며,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스크린 상에 상기한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점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표자인 사용자는 스크린을 보지 않고 청중을 향해서 발표를 하면서도 스크린 상의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발표시 시선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시선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position of curser to keep direction of user's eyes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시선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프리젠테이션과 같이 발표자가 준비한 자료를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는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한 상태에서 발표를 하는 경우, 발표자가 스크린을 바라보지 않은 상태에서 스크린 상의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화체육관광부-콘텐츠산업기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 번호 : R2013040022_000000011209820352220110627, 과제명: 자연사유물 전시 인터랙티브 상황인지 복합현실 콘텐츠 저작 및 서비스 운용 기술개발(2M32760)]
프리젠테이션 등을 수행할 때, 발표자는 자신이 준비한 자료를 노트북 등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기에 저장하고, 이 사용자 단말기를 빔 프로젝트 등과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모니터에 출력되는 화면을 대형 스크린에 출력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대형 스크린에 자신이 준비한 자료가 출력되도록 한 상태에서 발표를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청중들이 보게 되는 대형 스크린은 발표자의 뒤에 청중들을 향하여 위치하고, 발표자의 단말기는 발표자의 앞에 발표자를 향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청중들은 대형 스크린에 출력되는 화면만을 보게 되고, 발표자는 청중들을 바라볼 때에는 자신의 단말기의 화면도 볼 수 있지만, 대형 스크린을 볼 때에는 청중은 볼 수 없게 되는 상태에서 발표를 하게 된다.
발표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직접 제어하거나 무선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해 페이지 이동 등의 제어를 하게 되고, 발표자의 단말기에 출력되는 화면은 빔 프로젝트 등에도 전송이 되어 대형 스크린에 출력되는 화면에도 반영이 되게 된다.
이와 별도로 발표자는 레이저 포인터 등을 이용하여 대형 스크린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가르키면서 발표할 내용을 설명하게 된다.
발표자가 레이저 포인터 등을 이용하여 대형 스크린을 가르킬 때에는 발표자는 청중들을 계속해서 바라볼 수 없고, 어쩔 수 없이 뒤로 돌아서게 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장비를 설치하고 발표를 하는 경우, 발표자가 레이저 포인터 등으로 발표자가 대형 스크린에 출력되는 화면 중 어떤 부분을 이야기하고 있는지를 알려주지 않고 계속해서 청중만 보고 발표를 하게 되면 발표자가 준비한 자료를 대형 스크린에 출력하는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고, 반대로 계속해서 발표자가 레이저 포인터 등으로 대형 스크린만을 가리키면서 발표를 하면, 청중들은 발표자가 이야기하는 내용이 출력되는 화면 중 어떤 영역의 내용을 이야기하는지는 쉽게 알 수 있지만, 발표자가 청중들의 반응을 살피지 못하여 효과적인 발표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5-5045호(1995.2.18 공개)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메뉴 접속 전과 후의 광고 또는 특정한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요약, 청구항 1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발표자가 발표자 뒤의 스크린을 보지 않고, 자신이 보는 단말기의 화면만을 보면서도 뒤의 스크린에 출력되는 화면 중 자신이 원하는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커서가 항상 출력되는 제1화면을 출력하는 제1출력부; 제2신호가 수신될 때에만 포인터가 출력되는 제2화면을 출력하는 제2출력부;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수신부에 수신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가 상기 제1화면 중 가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포인팅위치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1신호인 경우 상기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2신호인 경우, 상기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제1화면 중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화면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수신부에 수신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가 상기 제1화면 중 가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1신호인 경우 상기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2신호인 경우, 상기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제1화면 중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화면에는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2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는 출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커서가 항상 출력되는 제1화면을 출력하는 제1출력부; 소정의 신호가 수신될 때에만 포인터가 출력되는 제2화면을 출력하는 제2출력부;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수신부에 수신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가 상기 제1화면 중 가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포인팅위치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제2화면에 상기 제1화면 중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화면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수신부에 수신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가 상기 제1화면 중 가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포인팅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제2화면에 상기 제1화면 중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화면에는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는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제어정보는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방향을 산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포인팅장치가 현재 상기 제1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커서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전송한다고 가정하고, 상기 수신되는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알 수 있는 상기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포인팅장치가 기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제어정보는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방향을 산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위치제어정보와 상기 포인팅장치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제1화면의 제1위치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제1위치를 향한 포인팅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위치제어정보와, 상기 제1화면의 제2위치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제2위치를 향한 포인팅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제1화면의 제1위치에 출력되는 커서를 향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포인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3위치제어정보가 상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제1위치에 상기 커서가 출력되는 동안 수신된 제4위치제어정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포인팅장치의 위치를 다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력부는 상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는 동안 출력되는 상기 커서의 색과 상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출력되는 상기 커서의 색이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표자는 자신이 가진 포인터용 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만을 보면서 청중에게 출력되는 화면 상에서의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계속하여 청중을 향하면서 발표를 하는 동시에 출력되는 화면 중에 자신이 발표를 하는 영역도 정확하게 청중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포인팅장치의 방향 변화에 따른 커서의 위치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포인팅장치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표자(40)는 자신의 단말기(10)의 모니터를 보면서 발표를 하게 되며, 자신의 스마트폰 등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포인팅 기능이 구비된 장치(30)(이하 '포인팅 장치')를 가지고 자신의 단말기(10)의 모니터의 특정 영역을 가리키게 된다.
모니터(10)에는 커서(11)가 출력되어 있어서 발표자(40)가 현재 커서의 위치(11)를 알 수 있도록 하고, 발표자는 소지한 포인팅 장치(30)를 커서(11)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포인팅 장치(30)에 구비된 버튼, 아이콘 등을 눌러 소정의 신호를 전송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발표자 단말기(10) 화면의 커서(11)가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며, 동시에 발표자 뒤의 스크린(20)에 출력되는 화면에도 단말기 화면의 커서(1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인터(21)가 출력되어, 청중들(50)은 발표자가 자신의 단말기(10)의 화면에서 움직이는 커서(11)의 위치를 스크린(20) 상의 포인터(21)를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커서(11)와 포인터(21)는 동일한 그래픽 형상을 가지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보는 모니터(10)와 청중들이 보는 스크린(20) 상에 출력되는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해서 편의상 본 발명에서 모니터에 출력되는 것은 커서(포인팅 커서)로 명칭하고,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것은 포인터로 명칭한다.)
이 때, 커서(11)의 위치가 항상 스크린(20) 상에 포인터(21)로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포인팅 장치(30)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만 스크린(20) 상에 포인터(21)가 출력되게 된다.
즉, 단말기에서는 2개의 화면이 출력이 되며, 하나의 화면은 단말기의 모니터(10)에 출력이 되고, 다른 하나는 스크린(20)에 출력이 되며, 모니터(10)에 출력되는 화면은 항상 커서(11)가 출력되어 발표자가 만약 스크린에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하면 어떤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될지를 알 수 있게 하고, 스크린(20)에 출력되는 화면에는 발표자가 지시를 할 때만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발표자는 자신의 포인팅 장치(30)를 이용하여 모니터(10)의 커서(11)의 위치를 제어하고, 스크린(20)에 출력되는 화면에서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포인터(21)가 출력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포인팅 장치(30)에는 포인팅 장치(30)의 기울기, 가속도, 각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발표자가 포인팅 장치(30)를 움직일 때 발생하는 변화를 발표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포인팅 장치(30)의 움직임에 따라 모니터(10) 화면의 커서(11)의 움직임이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발표자(40)는 뒤의 스크린(20)을 향해 돌아보지 않고 계속해서 청중들(50)을 향한 상태에서 발표를 하면서도 뒤의 스크린(20) 상에 출력되는 화면 중 자신이 발표하고 있는 내용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하여, 자신의 의도를 정확하게 청중에게 전달할 뿐만 아니라 발표를 하면서 청중들의 반응도 계속하여 살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시선 유지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어를 받는 포인팅장치(200)와 이 포인팅장치(200)로부터 신호를 받아 화면에 포인팅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화면출력시스템(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포인팅장치(200)는 제1신호전송부(210), 제2신호전송부(220) 및 위치제어정보생성부(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포인팅장치(200)는 사용자가 손에 들고 자신이 보고 있는 모니터(10)의 화면에서 자신이 목적으로 하는 위치를 가리키기 위한 장치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고, 포인팅장치(200)의 기울기, 가속도, 각속도 등 포인팅장치(200)의 방향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인팅장치(200)는 자이로스코프와 같이 방향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스마트폰에 본 발명을 위한 앱을 설치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전용의 장치의 형태로 구현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포인팅장치(200)의 내부 구성 하나 하나에 대해 설명한다.
위치제어정보생성부(230)는 화면에서 사용자가 포인팅하는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위치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이 정보는 포인팅장치(200)의 기울기, 가속도, 각속도 정보 등과 같이, 포인팅장치(200)의 방향 또는 방향전환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1신호전송부(210)는 상기한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송신한다.
제2신호전송부(220)는 상기한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송신한다.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사용자가 포인팅장치(200)에 구비된 스위치를 누르거나 아이콘 선택하는 등의 동작이 취해지는 경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정보로, 사용자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제1신호전송부(210)를 통하여 신호가 송출될지 제2신호전송부(220)를 통하여 신호가 송출될지가 결정된다.
제1신호는 발표자인 사용자가 보는 모니터에 출력되는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라는 명령을 포함한 정보이고, 제2신호는 제1신호에 포함된 정보와 함께 청중들이 보는 스크린에 출력되는 제2화면에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라는 명령을 포함한 정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신호가 전송되도록 선택을 한 상태에서 포인팅장치(200)를 움직이면, 위치제어정보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모니터에 출력되는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변경되게 되며, 사용자가 제2신호가 전송되도록 선택을 한 상태에서 포인팅장치(200)를 움직이면, 사용자가 보는 모니터의 커서의 위치가 그에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청중들이 보는 스크린 상의 제2화면에 포인터가 출력되고, 포인터의 위치가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제1신호전송부(210) 및 제2신호전송부(220)에서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적외선 신호와 같이 직진성이 강한 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고, RF 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RF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와이파이(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은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포인팅장치(200)에는 포인팅장치(200)의 자리 이동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다시 산출하는 보정을 명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가리키고자 하는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데, 포인팅장치(200)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다시 계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자동으로 감지하여 진행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별도의 신호를 전송하여 이러한 과정을 지시할 수도 있다.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한편, 화면출력시스템(100)은 데이터수신부(110), 포인팅위치추출부(120), 제1출력부(130) 및 제2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수신부(110)는 포인팅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수신한다.
제1신호 및 제2신호가 어떤 방식으로 전송되는지에 따라 수신하는 방식 및 구성도 달라질 것이다.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에 제한이 없다는 점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에 포함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인 포인팅위치정보를 추출한다.
포인팅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은 제1출력부(130) 및 제2출력부(140)를 설명한 후 다시 자세히 설명한다.
추출된 포인팅위치정보는 포인팅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제1출력부(130) 및 제2출력부(140)에 전달된다.
제1신호인 경우에는 제1출력부(130)에만 전달이 되고, 제2신호인 경우에는 제1출력부(130) 및 제2출력부(140)에 전달이 된다.
제1출력부(130)는 포인팅위치추출부(120)에서 추출된 포인팅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1화면에 출력될 커서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1출력부(130)는 제1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항상 제1화면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한다. 다만, 제1신호 또는 제2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제1신호 또는 제2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그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에 포함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한다.
즉, 제1출력부(130)는 수신되는 신호가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 여부를 불문하고, 위치제어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그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를 출력하고 이동시킨다.
제1출력부(130)에 의해 출력되는 커서는 사용자가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커서의 색상이 변경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보낸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출력부(140)는 수신된 신호가 제2신호인 경우 포인팅위치추출부(120)에서 추출된 포인팅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청중들이 보게 되는 제2화면 중 제1화면의 커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2화면에 출력되는 포인터는 제2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그 위치를 계산하여 출력이 되며, 제2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화면에 포인터가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발표를 하는 중에 이용되는 2개의 화면(제1화면 및 제2화면)에 커서 또는 포인터를 출력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고, 발표를 위하여 사용자가 준비한 워드 프로그램 등의 파일의 자료를 제1화면 및 제2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은 기존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발표를 위하여 준비한 자료를 출력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가 발표를 위하여 준비한 자료를 출력하는 기능을 별도의 모듈에서 수행하고, 제1출력부(130) 및 제2출력부(140)는 사용자가 준비한 자료를 출력하는 화면에 커서 또는 포인터를 출력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입력한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과 커서 또는 포인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서 제어시스템에 의해 포인팅되는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포인팅되는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1방법으로, 포인팅장치(200)의 방향 변화 혹은 이동만을 고려하여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표를 하는 사용자가 보는 제1화면(10)에는 항상 커서(11)가 출력되게 된다.
도 3에서 현재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커서의 위치를 제1위치(311)라고 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포인팅장치(200)를 제1위치(311)를 향한 방향(301)으로 한 후,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하는 버튼(버튼을 이용하여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한다고 가정했을 때)을 누른 상태에서 제2방향(302)로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그러면,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그 때 수신되는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에 포함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포인팅장치(200)가 가리키는 방향이 변화된 정도를 감지하여 커서를 제2위치(312)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에 포함되는 위치제어정보는 포인팅장치(200)가 가리키는 방향을 산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는 포인팅장치(200)의 각도를 나타내는 정보도 가능하지만, 각속도 등과 같이 각도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정보도 가능하며, 가속도나 속도를 나타내는 정보와 같이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정보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포인팅장치(200)를 제1위치를 향하도록 하고, 제1신호 또는 제2신호가 전송되도록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을 한 상태에서 포인팅장치(200)의 방향을 변경하면, 그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의 포인팅장치(200)가 움직인 각속도, 위치변화를 측정하여 그에 따라 사용자가 가리키는 위치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그로부터 제2위치(312)로 커서의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리모컨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기술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방법은 포인팅장치(200)의 위치와 상관없이 커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TV 등에서 무선 리모컨을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를 제어할 때에는 리모컨을 흔드는 등의 설정된 동작을 하면 TV 화면의 중앙에 커서가 나타나게 되고, 그 상태에서 리모컨의 움직임에 따라 커서가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커서가 나타날 때 리모컨이 가리키는 위치에 커서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리모컨이 가리키는 위치와 커서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방법에 의하게 되면 커서가 항상 화면에 출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 커서를 보고, 그 위치를 향해 포인팅장치(200)를 가리킨 상태에서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게 되므로 실제 포인팅장치(200)가 가리키는 위치에 커서가 위치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포인팅장치(200)가 같은 각도를 움직이더라도 포인팅장치(200)와 모니터 화면과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 가리키는 위치와 커서가 움직인 위치 사이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은 있다.
즉, 같은 각도를 움직이더라도, 포인팅장치(200)가 화면과 가까운 경우에는 실제 가리키는 위치의 변화는 크지 않을 것이고, 포인팅장치(200)와 화면이 먼 경우에는 실제 의도하는 위치변화가 더 클 것이지만, 제1방법에 따르면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기는 어렵다.
제2방법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포인팅장치(200)의 거리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제2방법을 설명한다.
제2방법은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보정 과정을 거친다는 점이 특징이다.
먼저 사용자는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커서의 제1위치(311)를 향하여 포인팅장치(200)를 제1방향(301)으로 향한 상태에서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버튼을 누른다.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이 때 전송된 포인팅장치(200)의 각도 정보와 제1위치(311)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그 후,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제1출력부(130)를 제어하여 모니터의 화면의 제2위치(312)에 커서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제2위치(312)를 향하여 포인팅장치(200)를 향하고(302),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 때, 포인팅장치(200)는 제1위치(311)를 향할 때와 비교해서 방향만 바뀌고 실질적인 위치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제1위치를 가리킬 때의 포인팅장치(200)의 각도정보와 제2위치(312)를 가리킬 때의 포인팅장치(200)의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각 위치에서의 역벡터(inverse vector)를 이용하여 이 역벡터들이 만나는 점에 포인팅장치(200)가 있는 것으로 산출한다.
이렇게 포인팅장치(200)의 위치가 결정되면, 그 이후에 들어오는 신호는 산출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가리키는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즉, 현재 포인팅장치(200)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고, 그 위치에서 포인팅장치(200)가 가리키는 방향(각도)를 알면, 실제로 사용자가 화면 중 어떤 위치를 가리키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위치를 산출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는 정확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청중들 앞에서 사용자가 준비한 자료를 출력하고 출력되는 내용 중 특정 위치를 가리키면서 발표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정확한 위치에 커서(포인터)가 출력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과 같이 포인팅장치(200)의 방향과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제2방법에 따라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포인팅장치(200)의 위치가 변경되면 다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보정하여야 한다.
포인팅장치(200)의 위치 이동시 보정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1장소(401)에서 포인팅장치(200)를 사용하여 모니터 상의 제1위치(411)를 가리키고 있었다고 가정한다. 이 때,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포인팅장치(200)가 제1장소(401)에 위치하는 것을 전제로 사용자가 가리키는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사용자가 자리를 제2장소(402, 403)로 옮긴 경우, 사용자가 현재 커서가 있는 위치인 제1위치(411)를 향한 상태에서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하면, 실제로 사용자가 가리키는 방향은 제1위치(411)를 향하지만, 포인팅장치(200)의 위치제어정보생성부(230)에서 생성하는 각도정보는 제1장소(401)에서 생성된 정보와 다른 각도를 나타내게 된다.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이렇게 포인팅장치(200)가 현재 커서가 출력되는 제1위치(411)를 향하는 것으로 가정했을 때 예상되는 포인팅장치(200)의 방향과 현재 입력되는 위치제어정보로부터 추출되는 방향이 소정 범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리를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 보정을 하기 위한 커서를 화면상에 출력하게 된다.
즉, 이전에 포인팅장치(200)가 제1위치(411)를 향한 상태에서 전송된 정보와 새로 전송된 정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포인팅장치(200)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보고, 새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절차를 거치게 된다.
새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절차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포인팅장치(200)가 제2장소(402, 403)로 이동한 경우, 먼저 화면에 제2위치(412)에 커서를 출력하여 이를 향하여 사용자가 포인팅장치(200)를 향한 상태(402)에서 제1신호 혹은 제2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고, 다시 제3위치(413)에 커서를 출력하여 이를 향하여 사용자가 포인팅장치(200)를 향한 상태(403)에서 제1신호 혹은 제2신호를 전송하도록 한 후, 이렇게 전송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역벡터를 계산하고 그로부터 포인팅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앞의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자리를 이동한 경우의 판단을 포인팅위치추출부(12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판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포인팅장치(200)를 이용하여 직접 자신이 이동하였음을 알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인팅장치(200)에 자리의 이동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버튼 등을 두어서 사용자가 이를 누르면 이 신호를 수신한 포인팅위치추출부(120)가 포인팅장치(200)의 위치가 이동한 것을 판단하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버튼을 수회 눌렀다 뗐다를 반복하는 것과 같이, 미리 설정된 특정 패턴대로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면, 포인팅위치추출부(120)가 이를 포인팅장치(200)의 위치가 이동한 것을 알리는 신호로 판단하여, 앞에서 설명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포인팅위치추출부(120)가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단계를 진행할 때에는 출력되는 커서의 색을 바꿔서 사용자가 그 사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방법에 따른 화면의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1화면에는 커서가 항상 출력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포인팅장치(200)를 제1화면에 출력되는 커서를 향한 상태에서 신호를 전송하면, 데이터수신부(110)는 포인팅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501).
포인팅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로는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의 2종류가 있으며, 신호가 어떤 방식으로 전송되는지에 따라 수신하는 방식 및 구성도 달라질 것이라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전송된 신호에 포함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502).
위치제어정보는 사용자가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정보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제어정보생성부(230)에서 생성한 포인팅장치(200)의 기울기 정보,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현재 제1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커서의 위치와 수신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출력될 커서의 위치인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한다.
한편,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수신된 신호가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를 판단하고(503), 제1신호인 경우 제1출력부(130)에 산출된 포인팅위치정보를 제공하고(504), 제2신호인 경우 제1출력부(130) 및 제2출력부(140)에 산출된 포인팅위치정보를 제공한다(505).
제1출력부(130)는 산출된 포인팅위치정보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커서의 위치를 제어한다(506).
제1화면에는 커서가 항상 출력되어 있으며, 포인팅장치(200)로부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는 동안 그 수신된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커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방식으로 화면이 제어된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제1출력부(130)는 포인팅장치(200)로부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출력되는 커서의 색과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는 동안 출력되는 커서의 색이 다르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제2출력부(140)는 제2신호가 수신되면 포인팅위치추출부(120)로부터 포인팅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제2화면에 산출된 포인팅위치정보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한다(507).
제2화면에는 포인터가 항상 출력되는 것은 아니며, 포인팅장치(200)로부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는 동안만 포인터가 출력된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여기서, 제1화면은 주로 발표하는 사용자가 보는 모니터의 화면이 될 수 있고, 제2화면은 발표를 듣는 청중들이 보는 대형 스크린의 화면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제1출력부(130) 및 제2출력부(140)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출력하는 외에 사용자가 입력한 자료가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자료의 출력은 별도의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방법에 따른 화면의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화면상의 커서를 제어하기 전에 먼저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먼저,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제1출력부(130)를 제어하여 제1화면의 제1위치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한다(601).
사용자가 포인팅장치(200)를 상기한 제1위치를 향한 상태에서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하면,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데이터수신부(110)를 통하여 그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에 포함된 제1위치제어정보를 저장한다(602).
그 다음으로,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제1출력부(130)를 제어하여 제1화면의 제2위치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한다(603).
사용자가 포인팅장치(200)를 상기한 제2위치를 향한 상태에서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하면,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데이터수신부(110)를 통하여 그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에 포함된 제2위치제어정보를 저장한다(604).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제1위치제어정보와 제2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한다(605).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은 제1위치제어정보와 제2위치제어정보에 포함된 포인팅장치(200)의 방향(각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1위치 및 제2위치에서 역벡터로 선을 연결하여 만나는 곳을 포인팅장치(200)가 있는 위치로 산출한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한편,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에는 제1화면에 출력되는 커서의 색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현재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 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렇게 포인팅장치(200)의 위치가 산출되면, 포인팅장치(200)의 위치정보와 위치제어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결함하여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5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화면의 커서 및 포인터의 위치가 제어된다.
다만, 포인팅장치(200)가 자리 이동을 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앞의 과정을 되풀이하게 된다.
그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화면에는 커서가 항상 출력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포인팅장치(200)를 제1화면에 출력되는 커서를 향한 상태에서 신호를 전송하면, 데이터수신부(110)는 포인팅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606).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된 신호에 포함된 위치제어정보가 이전에 같은 위치의 커서에 대하여 수신된 위치제어정보와 오차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607).
오차범위 내인지 여부는 수신된 위치제어정보 자체만을 가지고 판단할 수도 있고, 위치제어정보로부터 포인팅장치(200)의 각도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추출된 각도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도 있고, 산출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와 위치제어정보로부터 추출된 각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리키고자 하는 위치인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한 후 그 포인팅위치정보가 현재 커서의 위치와 오차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파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포인팅장치(200)가 이전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면 포인팅장치(200)를 이용하여 화면의 커서를 가리킬 때 항상 오차범위 내의 동일한 정보가 전송될 것이므로, 본 단계(607)는 포인팅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포인팅장치(200)의 위치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위의 방법과 같이 자동으로 감지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별개의 신호를 보내거나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등의 방법으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 이동이 있었다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렇게 판단한 결과, 포인팅장치(200)의 오차범위 밖의 위치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면,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다시 포인팅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단계(601) ~ 단계(605))을 거치게 된다.
만약 오차범위 내라면, 포인팅위치추출부(120)는 수신된 신호가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를 판단하고(608), 제1신호인 경우 제1출력부(130)에 산출된 포인팅위치정보를 제공하고(609), 제2신호인 경우 제1출력부(130) 및 제2출력부(140)에 산출된 포인팅위치정보를 제공한다(610).
제1출력부(130)는 산출된 포인팅위치정보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한다(611).
제2출력부(140)는 제2신호가 수신되면 포인팅위치추출부(120)로부터 포인팅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제2화면에 산출된 포인팅위치정보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한다(612).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설명에서는 제1신호와 제2신호가 분리되어 제1신호가 전송되고 있는 중에는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만이 제어되도록 하고, 제2신호가 전송되고 있는 중에는 제1화면의 커서와 제2화면의 포인터가 동시에 제어되도록 하였지만, 제1신호가 없이 제2신호만 포함시켜서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포인팅장치(200)에는 오직 하나의 버튼(아이콘, 스위치 등)만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화면에 출력되는 커서를 향해서 포인팅장치(200)를 향하고, 상기한 버튼을 누르면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됨과 동시에 제2화면에도 현재 커서가 출력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되어 그 위치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커서가 항상 출력되는 제1화면을 출력하는 제1출력부;
    제2신호가 수신될 때에만 포인터가 출력되는 제2화면을 출력하는 제2출력부;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수신부에 수신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가 상기 제1화면 중 가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포인팅위치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1신호인 경우 상기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2신호인 경우, 상기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제1화면 중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정보는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방향을 산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포인팅장치가 현재 상기 제1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커서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전송한다고 가정하고, 상기 수신되는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알 수 있는 상기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포인팅장치가 기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정보는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방향을 산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위치제어정보와 상기 포인팅장치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제1화면의 제1위치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제1위치를 향한 포인팅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위치제어정보와,
    상기 제1화면의 제2위치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제2위치를 향한 포인팅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제1화면의 제1위치에 출력되는 커서를 향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포인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3위치제어정보가 상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제1위치에 상기 커서가 출력되는 동안 수신된 제4위치제어정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포인팅장치의 위치를 다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부는 상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는 동안 출력되는 상기 커서의 색과 상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출력되는 상기 커서의 색이 다르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7. 제1화면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수신부에 수신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가 상기 제1화면 중 가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1신호인 경우 상기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2신호인 경우, 상기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제1화면 중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화면에는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2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는 출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정보는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방향을 산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팅장치가 현재 상기 제1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커서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전송한다고 가정하고, 상기 수신되는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알 수 있는 상기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포인팅장치가 기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포인팅위치정보가 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정보는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방향을 산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제어정보와 상기 포인팅장치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화면의 제1위치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제1위치를 향한 포인팅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위치제어정보와,
    상기 제1화면의 제2위치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제2위치를 향한 포인팅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화면의 제1위치에 출력되는 커서를 향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포인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3위치제어정보가 상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제1위치에 상기 커서가 출력되는 동안 수신된 제4위치제어정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포인팅장치의 위치를 다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에 상기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는 동안 출력되는 상기 커서의 색과 상기 위치제어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출력되는 상기 커서의 색이 다르게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방법.
  13. 커서가 항상 출력되는 제1화면을 출력하는 제1출력부;
    소정의 신호가 수신될 때에만 포인터가 출력되는 제2화면을 출력하는 제2출력부;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수신부에 수신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가 상기 제1화면 중 가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포인팅위치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위치추출부는 상기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치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제2화면에 상기 제1화면 중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14. 제1화면에 커서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장치가 가리키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수신부에 수신된 위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장치가 상기 제1화면 중 가리키는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팅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팅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포인팅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커서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제2화면에 상기 제1화면 중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화면에는 상기 위치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는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방법.
  15. 제7항 내지 제12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026741A 2015-02-25 2015-02-25 시선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14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41A KR101614880B1 (ko) 2015-02-25 2015-02-25 시선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41A KR101614880B1 (ko) 2015-02-25 2015-02-25 시선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880B1 true KR101614880B1 (ko) 2016-04-22

Family

ID=5591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741A KR101614880B1 (ko) 2015-02-25 2015-02-25 시선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8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840A (ja) 2004-06-11 2005-12-22 Fujinon Corp ポイ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41199A (ja) 2005-11-23 2007-06-07 Shijin Kogyo Sakushinkai ハンドヘルド型のコンピュータカーソル制御装置、このハンドヘルド型のコンピュータカーソル制御装置を用いてカーソルを制御するコンピュータ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840A (ja) 2004-06-11 2005-12-22 Fujinon Corp ポイ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41199A (ja) 2005-11-23 2007-06-07 Shijin Kogyo Sakushinkai ハンドヘルド型のコンピュータカーソル制御装置、このハンドヘルド型のコンピュータカーソル制御装置を用いてカーソルを制御するコンピュータ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媒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432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96315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5255674B2 (ja) データ送信操作機器、および、データ送信制御方法
US8872735B2 (en) Head mounted display for adjusting audio output and video output in relation to each ot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70171696A1 (en) Audio/video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EP2884378B1 (en) Method of displaying pointing information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05456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coordinate with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EP3032839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KR20180026160A (ko)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U2013360531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KR102047498B1 (ko)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3024220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240054975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setting method
KR20080094200A (ko)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에 메뉴 아이템을 나타내는 gui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26241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14880B1 (ko) 시선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7613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945970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I639102B (zh) 一種指標顯示裝置、指標控制裝置、指標控制系統及其相關方法
US202301438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2125100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9688446B (zh) 控制方法、被控装置和控制系统
KR101337138B1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5659303B1 (ja) 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