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160A -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160A
KR20180026160A KR1020160113175A KR20160113175A KR20180026160A KR 20180026160 A KR20180026160 A KR 20180026160A KR 1020160113175 A KR1020160113175 A KR 1020160113175A KR 20160113175 A KR20160113175 A KR 20160113175A KR 20180026160 A KR20180026160 A KR 20180026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control
mobile terminal
sink device
sour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518B1 (ko
Inventor
백상현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518B1/ko
Priority to US15/675,628 priority patent/US10575041B2/en
Priority to CN201710712264.3A priority patent/CN107801094B/zh
Priority to EP17188822.5A priority patent/EP3291565A1/en
Publication of KR2018002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2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for monitor ident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 및 싱크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제1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좌표를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좌표로 변환하고, 제2 좌표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OURCE DEVICE AT SINK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같은 소스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미러링 과정에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이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같은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을 TV와 같은 싱크 디바이스의 화면에 그대로 미러링하는 기술을 말한다. 사용자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즐기던 영상이나 이미지 등을 미러링 기술을 이용하여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TV를 통해 그대로 즐길 수 있다.
종래에는, 싱크 디바이스에서는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을 제어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에서만 명령어를 입력할 수 밖에 없었으나, 최근에는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해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어를 전송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미라캐스트 연결 중에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로 손쉽게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좌표 테이블 및 해상도가 서로 다른 두 디바이스 사이의 미라캐스트 연결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를 정확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미라캐스트 도중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의 화면모드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제어에 영향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 및 싱크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제1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좌표를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좌표로 변환하고, 제2 좌표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는 제2 좌표를 UIBC(User Input Back Channel)을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최초 수행하는 시점에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제1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내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소스 디바이스 기반 오브젝트인 경우, 소스 디바이스로 제2 좌표 및 오브젝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싱크 디바이스 기반 오브젝트인 경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제어 신호는 싱크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는 제어 신호가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의 제3 좌표를 선택하는 신호인 경우,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 좌표 테이블을 수신하고,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 좌표 테이블 및 싱크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좌표를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좌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 및 싱크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의 제1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좌표를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제2 좌표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2 좌표는 UIBC(User Input Back Channel)을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제1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내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소스 디바이스 기반 오브젝트인 경우, 소스 디바이스로 제2 좌표 및 오브젝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싱크 디바이스 기반 오브젝트인 경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신호는 싱크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신호가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의 제3 좌표를 선택하는 신호인 경우,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 좌표 테이블을 수신하는 단계,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 좌표 테이블 및 싱크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좌표를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IBC(User Input Back Channel)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미라캐스트 연결 중에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로 손쉽게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좌표 변환 과정을 수햄함으로써, 좌표 테이블 및 해상도가 서로 다른 두 디바이스 사이의 미라캐스트 연결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를 정확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라캐스트 도중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의 화면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좌표 테이블 및 좌표 변환 알고리즘을 새롭게 세팅(setting)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제어에 영향이 없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의 UIBC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표 변환 및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표 변환 및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받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표 변환 및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표 변환 및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시킨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 시킨 경우 포인터 모양이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 시킨 경우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 시킨 경우 확대된 화면의 특정 지점을 포인터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 시킨 경우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에서 좌표 변환 및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 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송신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 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 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put), GUI(Graphic User Input)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송신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 B 혹은 Evolved Node B로 명칭 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다. MSC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및 BSCs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 및 적어도 하나의 BS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 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위성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송신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탐지, 연산 또는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및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실내와 같이 위성 신호의 음영 지대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정확히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GPS 방식의 측위를 보상하기 위해, WPS (WiFi Positioning System)이 활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AP와 접속 중인 이동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위치 측위 서버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되거나, 무선 AP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접속 중인 무선 AP와 대응되는 무선 AP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 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위 과정에서 이동형 AP나 불법 MAC 주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무선 AP를 측위 과정에서 제거하기 위해,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RSSI 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 개수의 무선 AP 정보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후,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할 수 있다.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Cell-ID 방식, 핑거 프린트 방식, 삼각 측량 방식 및 랜드마크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Cell-ID 방식은 이동 단말기가 수집한 주변의 무선 AP 정보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무선 AP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구현이 단순하고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위치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선 AP의 설치 밀도가 낮으면 측위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핑거프린트 방식은 서비스 지역에서 참조위치를 선정하여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 세기 정보를 통해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핑거프린트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전파 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
삼각 측량 방식은 적어도 세 개의 무선 AP의 좌표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연산하는 방법이다. 이동 단말기와 무선 AP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신호 세기를 거리 정보로 변환하거나,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Time of Arrival, ToA),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신호가 전달되는 각도(Angle of Arrival, Ao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랜드마크 방식은 위치를 알고 있는 랜드마크 발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열거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에 접속됨으로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무선 AP의 개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방송 수신부(2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저장부(2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 제어부(270), 무선 통신부(273), 디스플레이부(280), 오디오 출력부(285), 전원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30)는 튜너(231), 복조부(2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2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2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2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270) 또는 저장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2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저장부(2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2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280) 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280) 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2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2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2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2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2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73)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2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80)는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231)와 복조부(2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출력부(2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제어부(270)의 일 예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mixer)(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355), 및 포맷터(formatter)(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325)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viewing rate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포맷터(36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36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내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디바이스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80)와 오디오 출력부(285)가 제외된 셋톱-박스(STB),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 디바이스,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싱크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음성 신호 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음성 신호 수신부는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음성 신호 수신부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여 외부의 음성 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고,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음성 신호 수신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240)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240)는,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인식 및 이미지 내 오브젝트를 인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4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400)는 지문인식부(410), 무선통신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 음성 획득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4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4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4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4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원격제어장치(4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4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4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4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4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412), 전원 버튼(431), 홈 버튼(432), 라이브 버튼(433), 외부 입력 버튼(434), 음량 조절 버튼(435), 음성 인식 버튼(436), 채널 변경 버튼(437), 확인 버튼(438) 및 뒤로 가기 버튼(4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4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4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431)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432)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4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434)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435)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4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4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4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4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4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400)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4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4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4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4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4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4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400)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4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4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4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의 음성 획득부(4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4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4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4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6의 (a)는 원격 제어 장치(400)에 대응하는 포인터(405)가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된 포인터(405)는 원격 제어 장치(4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4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4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4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된 포인터(4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4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4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4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4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4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c)는, 원격 제어 장치(4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400)를 디스플레이부(2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4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400)를 디스플레이부(2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4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400)가 디스플레이부(2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400)가 디스플레이부(2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4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400)가 디스플레이부(2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4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4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4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4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4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4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4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405)가 디스플레이부(2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7 내지 도 30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컨텐트를 공유하거나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미러링 하는 예시들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30에서 설명하는 소스 디바이스는 도 1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일 수 있고, 싱크 디바이스는 도 2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일 수 있다.
도 7은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의 UIBC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컨텐트를 공유할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가 Wi-Fi 얼라이언스가 제안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Wi-Fi Direct Connection Setup)될 수 있고, 이 경우에 하나의 기기는 컨텐트를 송신하는 소스(Source) 전자 기기이고, 나머지 전자 기기는 컨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싱크(Sink) 전자 기기의 역할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소스(Source) 디바이스와 싱크(Sink) 디바이스는 지원하는 기능 정보를 교환하고 기능 협상(Capability Exchange and Negoti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공유를 Wi-Fi 얼라이언스가 도입한 와이파이 인증 미라캐스트™(Wi-Fi CERTIFIED Miracast™) 규격에 따라 수행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처음 미라캐스트(Miracast) 연결 시에 기능 협상(Capability Negotiation)을 통하여 전송할 비디오 포맷(video format)과 오디오 포맷(audio format) 등을 결정하게 된다.
한편, 미라캐스트(Miracast)는 미라캐스트(Miracast) 연결 중 싱크 디바이스의 유저 인풋(User Input)를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려는 유저 인풋 백 채널(User Input Back Chnnel, UIBC) 규격을 옵션(Option)으로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소스 디바이스로, TV가 싱크 디바이스로 연결된 경우에, TV에 연결된 마우스, 키보드, 원격 제어 장치 등의 제어 수단으로 싱크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소스 디바이스도 제어할 수 있다.
기능 협상시 UIBC에 관한 기능(capability)도 결정할 수 있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마우스(Mouse), 키보드(Keyboard) 등 UIBC 카테고리(category)를 확인한 후,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가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UIBC 카테고리를 결정하여 서비스 하는 것이다.
이후, 싱크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UIBC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소스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로 컨텐트를 송신하거나, 다른 디바이스로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 모드 동작을 위하여 외부 전자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S8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 예를 들어, 해당 메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명령 입력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로 네트워크 연결을 요청하거나 응답할 수 있고, 컨텐트 공유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 공유 모드란, 소스 디바이스가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컨텐트를 전송하거나 외부 디바이스에서 전송하는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공유 모드는 연결된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는 미러링(mirroring) 모드와 연결된 복수의 기기 중 어느 한 기기에서 재생하고 있는 컨텐트를 다른 기기에서도 이용할 수 있고, 컨텐트 공유 상태에서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듀얼 스크린 듀얼 플레이(dual screen dual play, DSDP)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는 Wi-Fi 얼라이언스가 도입한 와이파이 인증 미라캐스트™(Wi-Fi CERTIFIED Miracast™), 와이파이 디스플레이(WiFi Display : WFD), Wireless Display(WiDi) 등 공개된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을 지원할 수 있고 그 규격에 따라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컨텐트 공유를 위한 데이터는 다양한 통신규격에 따른 유, 무선 통신을 통하여 직접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거나, 별도로 연결된 웹서버를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Wi-Fi Direct Network)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는, 두 디바이스가 와이파이를 통하여 Peer to Peer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바이스들은 상호 간에 자원(resource), 기능(Capability)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와 기능 협상(Capability Negotiation)을 수 행할 수 있다.(S82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는, 기능 협상 단계(S820)에서, 공유, 전송할 컨텐츠의 비디오 포맷과 오디오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는, 기능 협상(S820)을 통하여 전송할 비디오 포맷(video format)과 오디오 포맷(audio format) 등을 결정하면(S820), 싱크 디바이스가 컨텐트(content)를 출력할 수 있도록, 싱크 디바이스로 기능 협상에 기초한 포맷(format)으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8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로 하나 이상의 제어 메뉴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840) 즉,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가 제어 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 이벤트 발생하는 경우 또는 컨텐트 공유 모드에서 미리 싱크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이미지 데이터는 제어 메뉴 버튼의 명칭과 제어 메뉴 버튼의 제어 이미지 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각 메뉴 버튼의 위치정보와 함께 제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뉴 버튼의 제어명 'Resolution', 'Media'와 제어 이미지 내에서의 위치 정보(x y width hegith)를 다음과 같이 전송할 수 있다.
Wfd_uibc_control_image: Resolution 10 10 30 20, [0168] Media 10 40 30 20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이미지 데이터는 제어 이미지의 크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 이미지 내에서의 각 메뉴 버튼의 상대적인 위치 좌표 외에도 제어 이미지의 전체 크기 정보를 더 이용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사용자가 입력하는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이미지 데이터는 제어 이미지의 위치 정보, 제어 메뉴 버튼의 명칭과 제어 메뉴 버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제어 이미지의 위치 정보, 각 메뉴 버튼의 명칭, 위치 정보와 함께 제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싱크 디바이스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위치를 절대 좌표로 제어 이미지의 위치 정보, 제어 이미지 내의 버튼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명령을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싱크 디바이스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한 제어 UI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UI 화면 내에 포함된 제어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메뉴 버튼의 구성에 따라 제한없는 다양한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 이미지 데이터는, 컨텐트 공유 모드에 연관되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트 공유 모드에서 자주 이용하는 제어 명령들로 제어 메뉴 버튼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이미지 데이터는, 싱크 디바이스의 종류 또는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트 공유 모드에서 이용 중인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제어 명령들로 제어 메뉴 버튼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컨텐트의 종류는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의 포맷에 기초하여 판별하거나, 메타데이터로부터 추출하거나, 공지된 여러 화면 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이미지 데이터를 기능 협상(S820) 시에 전송되는 데이터들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S850),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860)
여기서, 사용자 입력 정보는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행된 제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싱크 디바이스에서 해당 이미지 내 제어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소스 디바이스로 선택한 좌표가 전달되고, 소스 디바이스가 이 데이터를 받으면 선택된 메뉴 버튼을 판별하여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싱크 디바이스가 직접 수행된 제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위치 좌표에 따라 선택된 메뉴 버튼을 판별하여 판별된 메뉴 버튼 정보를 사용자 입력 정보로 소스 디바이스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소스 디바이스는 수신된 메뉴 버튼 정보에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 정보는, 유저 인풋 백 채널(User Input Back Chnnel)을 통한 UIBC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라캐스트로 소스 디바이스 화면을 싱크 디바이스에 미러링(mirroring)하는 상태에서도, 싱크 디바이스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UIBC를 제한없이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는 제어 UI 이미지 및 관련 데이터를 싱크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제어 UI 이미지 상의 아이템을 선택하였을 제어 UI 이미지 위에서의 선택 위치를 싱크 디바이스부터 수신하여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제어 UI 이미지를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더 확장성 있고 편리한 소스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해지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는, 컨텐트 공유를 위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Wi-Fi Direct Network)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는, 기능 협상(Capability Negotiation)을 통하여 컨텐트 공유를 위한 사항들을 판별하고 기능들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이동 단말기(100)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미러링하고 있는 것을 예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해상도 설정을 변경하려면, 소스 디바이스인 이동 단말기(100)를 직접 조작해야할 뿐만 아니라, 제어판 > 디스플레이 > 화면 해상도(1010) 순서대로 많은 단계를 거쳐 설정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과 같이, 해상도(resolution) 메뉴 버튼(1010)을 포함한 제어 이미지(1000)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디바이스는 각 메뉴 버튼의 위치정보와 함께 제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뉴 버튼의 제어명 'Resolution'버튼(1010), 'Media'버튼(1020)과 제어 메뉴 버튼 각각의 제어 이미지 내에서의 위치 정보(x y width height)를 'Wfd_uibc_control_image: Resolution 10 10 30 20, Media 10 40 30 20'와 같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이미지의 폭, 높이 정보, 크기 정보 등을 더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 이미지(1000)는 좌상 C1(0,0)을 좌표 기준으로 하여, C2(50,0), C3(0,100), C4(50,100)의 위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Resolution'버튼(1010)도 좌상 C1(0,0)을 좌표 기준으로 하여, a1(10,10), a2(40,10), a3(10,30), a4(40,30)의 위치 좌표로 제어 이미지(1000) 내에 그려지고, 'Media'버튼(1020)도 동일한 방식으로 좌상 C1(0,0)을 좌표 기준으로 하여, 제어 이미지(1000) 내에 그려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능 협상에 기초한 포맷(format)으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컨텐트 데이터와, 하나 이상의 제어 메뉴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미러링 화면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제어 메뉴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이미지(100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자신이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고자 하는 메뉴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예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메시지 형태)를 UIBC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UIBC(User Input Back Channel)란, 싱크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기반으로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의미한다.
소스 디바이스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UIBC의 성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요청한다(S1110).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UIBC를 통한 사용자 입력의 전송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120).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UIBC를 통한 사용자 입력의 전송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 입력의 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스트리밍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40)는, 미러링 시,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 가능한 사용자 제어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제어 입력이란, 마우스나 터치패드 등의 움직임, 클릭, 터치, 줌 배율, 스크롤 양, 회전량 등과 같은 정보 및 키보드의 특정 키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 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제어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1130).
그리고, 제어부(270)는, 변환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사용자 제어 입력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어 입력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S115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제어 입력의 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고, 명령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어 결과를 반영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116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명령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그 기능 실행의 결과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출력된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결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미러링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화면 회전"이라는 사용자 제어 입력을 원격 제어 장치(400)를 통해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원격 제어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제어 입력을 변환하고 분석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된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제어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화면 회전 제어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어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가로 방향(기존 화면의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으로 회전하거나, 세로 방향(기존 화면의 방향이 가로 방향인 경우)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화면 회전의 실행 결과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 결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미러링될 수 있다.
다만, 종래에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에 미러링을 수행한 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에 매칭되도록 변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좌표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에 매칭되도록 변환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도 13 내지 도 26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가 소스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싱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표 변환 및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비디오 및/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원격 제어 장치(4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제어 신호일 경우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좌표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 상단은 A1(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1(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1(96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1(96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좌측 상단은 A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2(19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2(19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제어 아이콘을 E1(96, 486, 960, 54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동일한 제어 아이콘을 E2(192, 972, 1920, 108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비디오 컨텐트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비디오 컨텐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E2 좌표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E2 좌표 값을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 값에 매칭하여 E1 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UIBC 신호로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E2 좌표 값이 아닌 E1 좌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E1 좌표 값에 대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어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창의 좌측 상단은 A3(96, 216,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3(96, 486, 960, 540)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3(384, 216,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3(384, 486, 960, 540)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A3, B3, C3, D3 좌표 지점에 제어 창을 표시하는 신호를 UIBC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창의 좌표 값을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A3, B3, C3, D3 좌표 값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대응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3 좌표 값을 A4(192, 432, 1920, 1080) 좌표 값으로, B3 좌표 값을 B4(192, 972, 1920, 1080) 좌표 값으로, C3 좌표 값을 C4(768, 432, 1920, 1080) 좌표 값으로, D3 좌표 값을 D4(768, 972, 1920, 1080) 좌표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변환된 좌표 A4, B4, C4, D4에 대응하는 지점에 제어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사용자는 미러링 기술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최적화하여 시청함과 동시에 그 상태에서 손쉽게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표 변환 및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받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비디오 및/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원격 제어 장치(4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제어 신호일 경우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 상단은 A1(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1(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1(96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1(96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좌측 상단은 A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2(19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2(19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제어 아이콘을 F1(480, 0, 960, 54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동일한 제어 아이콘을 F2(960, 0, 1920, 108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비디오 컨텐트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비디오 컨텐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F2 좌표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F2 좌표 값을 UIBC 신호로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F1 좌표 값이 아닌 F2 좌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가 F2 좌표 값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100) 상의 F1 좌표가 아닌 C1(960, 0, 960, 540) 좌표를 선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좌표 값을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F2 좌표 값을 F1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변환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원격 제어 장치(400)의 포인터를 C1 좌표가 아닌 F1 좌표 값에 대응하는 지점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F1 좌표 값에 대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어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창의 좌측 상단은 A3(96, 216,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3(96, 486, 960, 540)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3(384, 216,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3(384, 486, 960, 54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A3, B3, C3, D3 좌표 값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응하도록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3 좌표 값을 A4(192, 432, 1920, 1080) 좌표 값으로, B3 좌표 값을 B4(192, 972, 1920, 1080) 좌표 값으로, C3 좌표 값을 C4(768, 432, 1920, 1080) 좌표 값으로, D3 좌표 값을 D4(768, 972, 1920, 1080) 좌표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변환된 좌표 A4, B4, C4, D4의 좌표 값을 UIBC 신호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된 좌표 값(A4, B4, C4, D4)을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변환된 좌표 A4, B4, C4, D4에 대응하는 지점에 제어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사용자는 미러링 기술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최적화하여 시청함과 동시에 그 상태에서 손쉽게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받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비디오 및/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원격 제어 장치(4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제어 신호일 경우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를 화면 분할하여 제1 컨텐트(210) 및 제2 컨텐트(220)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미러링을 통해 시청중인 제1 컨텐트(210)의 좌표 값들을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하게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 상단은 A1(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1(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1(96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1(96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좌측 상단은 A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2(19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2(19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를 화면 분할하는 경우, 제1 컨텐트(2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한 좌표 값(좌측 상단 A1, 좌측 하단 B1, 우측 상단 C1, 우측 하단 D1)들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되는 제1 컨텐트(210)의 제어 아이콘을 E1(96, 486, 960, 54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동일한 제어 아이콘을 동일한 E1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제1 컨텐트(210)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제1 컨텐트(210)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E1 좌표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E1 좌표 값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UIBC 신호로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E1 좌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E1 좌표 값에 대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어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창의 좌측 상단은 A3(96, 216,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3(96, 486, 960, 540)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3(384, 216,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3(384, 486, 960, 540)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A3, B3, C3, D3 좌표 지점에 제어 창을 표시하는 신호를 UIBC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창의 좌표 값을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A3, B3, C3, D3 좌표 값을 이용하여 제어 창을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면 분할로 복수 개의 컨텐트를 시청함과 동시에 미러링 기술을 통해 좌표 변환 없이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표 변환 및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비디오 및/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원격 제어 장치(4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제어 신호일 경우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좌표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 상단은 A1(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1(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1(96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1(96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좌측 상단은 A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2(19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2(19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제어 아이콘을 E1(96, 486, 960, 54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동일한 제어 아이콘을 E2(192, 972, 1920, 108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미러링을 수행하는 도중에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 값들이 전부 새롭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1 좌표 값을 A5(0, 0, 320, 200) 좌표 값으로, B1 좌표 값을 B5(0, 200, 320, 200) 좌표 값으로, C1 좌표 값을 C5(320, 0, 320, 200) 좌표 값으로, D1 좌표 값을 D5(320, 2000, 320, 200) 좌표 값으로, E1 좌표 값을 E5(288, 180, 320, 200) 좌표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비디오 컨텐트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비디오 컨텐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E2 좌표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E2 좌표 값을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 값에 매칭하여 E5 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UIBC 신호로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E2 좌표 값이 아닌 E5 좌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E5 좌표 값에 대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어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창의 좌측 상단은 A6(32, 80, 320, 20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6(32, 180, 320, 200)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6(128, 80, 320, 20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6(128, 180, 320, 200)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A6, B6, C6, D6 좌표 지점에 제어 창을 표시하는 신호를 UIBC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창의 좌표 값을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A6, B6, C6, D6 좌표 값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대응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6 좌표 값을 A4(192, 432, 1920, 1080) 좌표 값으로, B6 좌표 값을 B4(192, 972, 1920, 1080) 좌표 값으로, C6 좌표 값을 C4(768, 432, 1920, 1080) 좌표 값으로, D6 좌표 값을 D4(768, 972, 1920, 1080) 좌표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변환된 좌표 A4, B4, C4, D4에 대응하는 지점에 제어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사용자는 미러링 기술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최적화하여 시청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전환되어도 원격 제어 장치로 손쉽게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27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표 변환 및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비디오 및/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원격 제어 장치(4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제어 신호일 경우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고,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 테이블과 동일한 좌표 테이블을 갖도록 비디오 데이터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 상단은 A1(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1(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1(96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1(96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좌측 상단은 A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2(19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2(19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달 받는 비디오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280)의 A1, B1, C1, D1의 좌표에 동일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제어 아이콘을 E1(96, 486, 960, 54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도 동일하게 E1 좌표 지점에 제어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미러링을 수행하면서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는 비디오 컨텐트가 표시되는 영상 영역(2710)과 레터 박스 영역(272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한 크기 및 해상도로 비디오 컨텐트를 표시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400)의 포인터 좌표 및 제어 입력 신호에 대하여 좌표변환 과정 없이 그대로 UIBC 통신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제어 입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도 27의 레터 박스 영역(2720)을 삭제하고, 디스플레이부(280) 전체 영역에 비디오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7의 실시예와 달리 이동 단말기(100)의 비디오 컨텐트에 대한 좌표 테이블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비디오 컨텐트에 대한 좌표 테이블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 상단은 A1(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1(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1(96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1(96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좌측 상단은 A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2(19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2(19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제어 아이콘을 E1(96, 486, 960, 54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동일한 제어 아이콘을 E2(192, 972, 1920, 108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8의 실시예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좌표 테이블이 달라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 테이블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비디오 컨텐트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비디오 컨텐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E2 좌표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E2 좌표 값을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 값에 매칭하여 E1 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UIBC 신호로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미러링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곧바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좌표 테이블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2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7과 달리 처음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는 레터 박스 영역(2720)이 없는 상태로 디스플레이부(280)에 비디오 컨텐트를 새로운 해상도 및 좌표 테이블 환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반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400) 등을 통하여 비디오 컨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다. 해상도 변경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새로운 해상도 및 제3 좌표 테이블을 갖도록 비디오 데이터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7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비디오 컨텐트가 표시되는 영상 영역(3010)과 레터 박스 영역(3020)을 함께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로부터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제2 좌표 테이블과 제3 좌표 테이블의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좌표 변환 알고리즘을 1회 수행하고, 다시 제1 좌표 테이블과 제2 좌표 테이블의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좌표 변환 알고리즘을 2회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UIBC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제어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제1 좌표 테이블과 제3 좌표 테이블의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새롭게 생성하여, 1회의 좌표 변환 알고리즘만을 수행하여 UIBC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제어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 하고(S3110),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고(S3120), 외부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S3130).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맨드에 따라,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실행하고(S3140), 제1 영역내 제2 영역에서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3150).
그리고, 제2 영역은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며, 인디케이터의 위치 또는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시킨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의 상단 왼쪽 그림(32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70)는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외부 리모컨(3240)으로부터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하는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특정 영역 확대 모드가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3212) 및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는 포인터(3214)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영역(3210) 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제 1 영역(3210) 내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포인트를 특정하는 커맨드를,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리모컨(3240)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커맨드에 대응하여 특정 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정하고, 특정된 특정 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확대하고, 확대된 특정 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2의 상단 오른쪽 그림(32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7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리모컨(3240)으로부터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특정 영역 확대 모드가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3222)를 표시하고, 특정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는 포인터(3224)는 제 1 영역(3220) 내에서 사라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32의 하단 왼쪽에 도시한 그림(3230)에서, 제어부(270)는 포인터(3234)를 이용하여 제 1 영역의 특정 부분을 선택하는 커맨드를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리모컨(3240)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커맨드에 대응하여 확대될 특정 영역(3232)을 미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떤 영역이 확대될지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 시킨 경우 포인터 모양이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리모컨(1830)으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여 특정 영역 모드(3340)를 활성화하면, 제어부(270)는 포인터 모양을 원래 모양(제1그래픽 이미지)에서 다른 모양(제2그래픽 이미지)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 확대 모드에서 확대 비율을 증가시키면, 제어부(270)는 포인터 모양을 원래 모양에서 + 모양(3320)으로 변경할 수 있다.
특정 영역 확대 모드에서 확대 비율을 감소시키면, 제어부(270)는 포인터 모양을 - 모양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하면, 포인터가 돋보기 모양으로 변경되고, 확대 비율 증가와 감소에 따라 포인터 모양이 상이하게 변경되므로, 사용자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에 진입 여부와 확대 비율 증가 상태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 시킨 경우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편의상 상기 "특정 영역 확대 모드" 대신 단순히 "확대 모드"로 명명할 수도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스크린(3410)에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확대 입력 요청에 따라 확대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메인 스크린(34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윈도우(3420)를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된 윈도우(3420)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트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인디케이터(343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컨텐트의 선택된 특정 영역을 확대하고 그리고 메인 스크린(34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트의 선택된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컨텐트는 예를 들어 동영상에 대응할 수 있다.
물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인 스크린(3410)을 제1 영역으로 명명하고, 윈도우(3420)를 제2 영역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윈도우(3420)의 모양이나 사이즈에 대한 제한은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메인 스크린(3410)에서 출력하다가, 리모트 컨트롤러(344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예를 들어, OK 버튼), 윈도우(3420)에도 비디오 데이터가 표시된다. 특정 영역 확대 모드가 처음 실행되었을 때는, 메인 스크린(3410)과 윈도우(3420)에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된다. 메인 스크린(3410)에 표시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윈도우(3420)에 표시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동일하되, 다만 사이즈만 다른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윈도우(3420)내에는 인디케이터(3430)가 표시되며, 인디케이터(3430)는 사용자가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3430)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하고자 하는 또는 이미 확대된 특정 영역을 안내하는 가이드 박스의 그래픽 이미지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다른 모양의 그래픽 이미지를 채택하는 것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또한, 윈도우(3420)를 토탈 윈도우(Total Window)라고 명명할 수도 있고, 인디케이터(3430)를 로컬 윈도우(Local Window)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디케이터(3430)로 특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메인 스크린(3410)에 출력한다.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특정 영역 확대 모드에 처음 진입하였을 때는, 상기 메인 스크린(3410)에 원본(오리지날)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다가, 상기 윈도우(3420) 및 상기 인디케이터(3430)를 이용하여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 선택시, 상기 메인 스크린(3410)에 오리지날 비디오 데이터 대신, 특정 영역만 확대된 비디오 데이터를 교체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나아가, 예를 들어 포인터(3432)의 위치 변경에 따라, 인디케이터(3430)의 위치도 변경되도록 설계한다. 또한, 예를 들어 특정 영역 확대 모드 실행 이후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이 확정되면, 윈도우(3420)에는 오리지날 비디오 데이터가 1배로 표시되며 다만 사이즈만 축소된 것이다. 나아가, 메인 스크린(3410)에는 오리지날 비디오 데이터가 아닌 특정 영역만 확대(1배 초과, 예를 들어 1.2배, 1.5배 또는 2.0배)된 비디오 데이터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70)는 윈도우(3420)내 인디케이터(3430) 내부 영역의 명도를 밝게 조절하고, 인디케이터(3430) 외부 영역의 명도를 어둡게 조절함으로써, 유저가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화면 확대 비율 변경을 위한 확대 버튼과 축소 버튼을 포함하는 비율 표시바가 상기 메인 스크린(3410)내에 존재한다. 컨트롤러(270)는 포인터(3432)를 이용하여 축소 버튼(3422)과 확대 버튼(342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커맨드를 외부 디바이스(3440)로부터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인디케이터(3430)의 크기를 기설정된 비율로 조절한다. 컨트롤러(270)는 포인터(3432)의 모양을 축소 버튼(3422)과 확대 버튼(3424)을 선택하는 커맨드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한다. 축소 버튼(3422) 및 확대 버튼(3424)을 포함하는 비율 표시/컨트롤 바를 제2인디케이터로 명명하여, 전술한 인디케이터(3430)와 구별 가능하다.
여기서, 축소 버튼(3422) 선택에 따른 비율의 최소값은 1 배가 될 수 있고, 확대 버튼(3424) 선택에 따른 비율의 최대값은 5 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확대 비율의 최대값은 5에 국한되지 않으며, 조절 가능하다. 확대 비율이 1 미만인 경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를 축소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70)는 축소 버튼(3422)을 선택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포인터의 모양을 원래 모양(3432)에서 - 모양으로 변경한다. 컨트롤러(270)는 확대 버튼을 선택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포인터의 모양을 원래 모양(3432)에서 + 모양으로 변경한다.
나아가, 윈도우(3420)은 PIP 화면으로 구현 가능하며, PIP 화면의 크기는 조절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3430)는 PIP 화면의 가장 자리 부분, 모서리 부분을 클릭하고, 클릭 상태를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제 1 지점에서 제 1 지점과 상이한 제 2 지점으로 이동하는 커맨드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면, PIP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70)는 PIP 화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3430)는 PIP 화면의 제 1 지점을 포인터로 클릭하고, 클릭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 1 지점에서 제 1 지점과 제 1 영역 내의 상이한 제 2 지점으로 이동하는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면, PIP 화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PIP 화면은 도 34에 도시된 윈도우(3420)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3420)이 계속 나타나면, 사용자가 재생 중인 비디오 데이터를 시청하기에 불편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가 경과한 후에는, 컨트롤러(270)는 윈도우 및 인디케이터를 숨김 상태로 전환하고, 외부 디바이스(3440)으로부터 기설정된 명령을 수신하면, 윈도우 및 인디케이터를 다시 PIP 화면으로 표시한다.
컨트롤러(270)는 포인터(3432)가 제 2 영역(3420)의 오른쪽 경계 라인, 왼쪽 경계 라인, 위쪽 경계 라인 및 아래쪽 경계 라인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면, 윈도우 및 인디케이터를 숨김 상태로 전환하고, 외부 디바이스(3440)로부터 특정 커맨드를 수신하면, 윈도우(3420)을 전체 화면(3410) 내에 PIP 화면으로 다시 디스플레이한다.
컨트롤러(270)는 포인터(3432)를 이용하여 인디케이터(3430)를 이동시키고, 상기 인디케이터(3430)의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메인 스크린(3410)에 표시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연동하여 변경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인디케이터(3430)로 특정된 영역내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메인 스크린(3410)에 확대되어 표시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동일하고 사이즈만 다르다(도 34의 메인 스크린(3410) 및 인디케이터(3430)를 비교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윈도우(3420)내 인디케이터(3430)가 특정 오브젝트만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메인 스크린(3410)도 특정 오브젝트만 포함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되, 상기 인디케이터(3430)내 비디오 데이터와 비교할 때, 사이즈만 확대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3430)의 변경된 위치 및 사이즈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오리지날 비디오 데이터 중 확대된 특정 영역을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특정 영역 확대 모드가 실행되면, 메인 스크린역(3410) 및 윈도우(3420)에는 모두 오리지날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된다. 다만, 상기 윈도우(3420)에는 사이즈만 축소된 비디오 데이터가 표시된다.
특정 영역 확대를 위해, 포인터(3432)를 상기 메인 스크린(3410)내에 위치시킬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윈도우(3420)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 포인터(3432)를 중심점으로 하여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이 컨펌된다.
다만,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이 컨펌되면, 상기 메인 스크린(3410)에는 오리지날 비디오 데이터 대신 특정 영역이 확대된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다. 나아가, 확대 비율 조절 등으로 인하여, 상기 메인 스크린(3410)에 표시되는 확대된 비디오 데이터가 오리지날 비디오 데이터로 복귀하도록 설계 가능하다. 상기 메인 스크린(3410)에서 오리지날 비디오 데이터를 다시 디스플레이 한 이후에는, 상기 메인 스크린(3410)내 임의의 지점을 선택하여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을 새롭게 지정 가능하다. 물론, 상기 윈도우(3420)내 인디케이터(3430)를 이용하여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을 새롭게 지정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메인 스크린(3410)에서 특정 영역이 확대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다가, 외부 장치(3440) 등을 이용하여 확대/축소 배율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윈도우(3420)내 인디케이터(3430)의 사이즈도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유저는 실시간으로 메인 스크린(3410)에서 확대 또는 축소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윈도우(3420)내 어떤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4에 도시된 제2 인디케이터(3422, 3424)는, 확대 레벨을 셋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나아가, 메인 스크린(3410)에 출력되는 컨텐트는 튜너를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외부 장치를 통해 수신된다. 상기 외부 장치는, 예를 들어 STB, PC 또는 휴대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한다.
상기 제2 인디케이터(3422, 3424)를 통해 선택된 확대 레벨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3430)의 사이즈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나아가, 도 3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도 34를 참조하여, 당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트의 확대를 위한 제1 확대 레벨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1 확대 레벨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가지는 상기 확대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트의 확대를 위한 제2 확대 레벨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된 제2 확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사이즈와 다른 제2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가지는 상기 확대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를 구현 가능하다.
상기 윈도우(3420)는 예를 들어 PIP(Picture In Picture) 윈도우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스크린(3410)내 상기 윈도우(3420)를 이동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하고, 상기 윈도우(34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트의 다른 특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윈도우(3420)내 인디케이터(3430)를 이동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인디케이터(3430)는 리모트 컨트롤러(3440)로부터 수신된 포인터(3432) 신호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인디케이터(3430)의 사이즈는 리모트 컨트롤러(3440)로부터 수신된 휠 시그널에 따라 변경된다.
감소된 확대 레벨(3422)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3430)의 사이즈를 증가시키고, 반면 증가된 확대 레벨(3424)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3430)의 사이즈를 감소키시킨다.
상기 인디케이터(3430)는, 예를 들어 확대하고자 하는 또는 확대된 특정 영역을 안내하는 가이드 박스의 그래픽 이미지로 구현된다.
도 34의 메인 스크린에 출력되는 컨텐트의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션에 따라 움직이는 포인터의 좌표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트의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정보가 HD(High Definition)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의 좌표 정보에 0.66배를 스케일링 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트의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정보가 FHD(Full High Definition)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의 좌표 정보에 1배를 스케일링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컨텐트의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정보가 UHD(Ultra High Definition)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의 좌표 정보에 2배를 스케일링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확대 모드가 실행된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44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맨드에 따라, 상기 윈도우(3420) 및 인디케이터(3430)가 모두 사라지도록 컨트롤 한다.
상기 윈도우 및 인디케이터가 모두 사라진 이후, 상기 확대 모드가 실행 중임을 안내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그래픽 이미지는 확대 배율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그래픽 이미지를 선택하는 커맨드에 따라, 상기 윈도우(3420) 및 인디케이터(3430)를 다시 디스플레이 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 시킨 경우 확대된 화면의 특정 지점을 포인터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270)는 인디케이터(3530)에 의해 특정된 영역을 제1 영역(3510)에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전체 화면의 특정 지점(3512)을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커맨드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인디케이터(3530)에 의해 특정된 영역의 중심점을 기존의 중심점(3514)에서 특정 지점(3512)으로 이동하고, 특정 지점(3512)을 중심으로 새로운 확대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새로운 확대 영역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2 영역(3520)내에서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의 중심점을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영역(3510)내에서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의 중심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1 영역(3510)을 이용하여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의 중심점을 선택시, 세밀하게 확대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제2 영역(3520)을 이용하여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의 중심점을 선택시, 오리지날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특정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활성화 시킨 경우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TV 또는 STB)는, 외부 장치에 의해 컨트롤 되며, 상기 외부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도 36은 외부 장치의 일예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리모트 컨트롤러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리모컨(3640)은 휠 키(3642), 방향 키(3644), 음량 키(3646)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70)는 휠 키(3642) 조작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3640)으로부터 수신하면, 휠 키(3642)의 조작에 따라 화면 확대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70)는 휠 키(3642)의 위쪽 방향으로 휠을 회전하는 입력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면, 화면 확대 비율을 증가시킨다. 컨트롤러(270)는 휠 키(3642)의 아래쪽 방향으로 휠을 회전하는 입력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면, 화면 확대 비율을 감소시킨다.
사용자는 리모컨의 휠 키로 화면 확대 비율을 1 ~ 5배로 변경할 수 있고, 휠 키를 1 단위씩 움직일 때마다, 0.2배씩 화면 확대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화면 확대 비율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사용자 설정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컨트롤러(270)는 음량 키(3646) 조작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3640)으로부터 수신하면, 음량 키(3646)의 조작에 따라 화면 확대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70)는 음량 키(3646)의 + 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면, 화면 확대 비율을 증가시킨다. 컨트롤러(270)는 음량 키(3646)의 - 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면, 화면 확대 비율을 감소시킨다.
컨트롤러(270)는 방향 키(3644) 조작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3640)으로 수신하면, 방향 키(3644) 조작에 따라 인디케이터(3630)에 의해 특정된 영역의 중심점을 기존의 중심점에서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고,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확대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확대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1 영역(3610)에 디스플레이한다.
외부 리모컨 키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 확대 비율 및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PIP 화면에 대응하는 제 2 영역(3620)내 인디케이터(3630)의 위치 및 사이즈도 연동하여 변경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리모컨(3650)은 음량 키(3656), 채널 키(3652), 터치 패드(3654)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외부 리모컨(3650)은 모션 센서 또는 음성 인식 센서에 의해서도 컨트롤 가능하다.
컨트롤러(270)는 음량 키(3656) 조작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3650)으로부터 수신하면, 음량 키(3656)의 조작에 따라 화면 확대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70)는 음량 키(3656)의 위쪽 방향 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면, 화면 확대 비율을 증가시킨다. 컨트롤러(270)는 음량 키(3656)의 아래 방향 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면, 화면 확대 비율을 감소시킨다.
컨트롤러(270)는 채널 키(3652) 조작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3650)으로부터 수신하면, 채널 키(3652)의 조작에 따라 화면 확대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3630)는 채널 키(3652)의 위쪽(UP) 방향 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면, 화면 확대 비율을 증가시킨다. 컨트롤러(270)는 채널 키(3652)의 아래 방향(DOWN) 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면, 화면 확대 비율을 감소시킨다.
컨트롤러(270)는 터치 패드(3654) 조작에 대응하는 특정 커맨드를 외부 리모컨(3640)으로 수신하면, 터치 패드(3654) 조작에 따라 인디케이터(3630)에 의해 특정된 영역의 중심점을 기존의 중심점에서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고,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확대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확대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1 영역(361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영역 확대 모드에서 좌표 변환 및 UIBC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제어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비디오 및/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레터 박스 영역을 제거한 후, 스크린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원격 제어 장치(4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제어 신호일 경우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 상단은 A1(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1(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1(960, 0,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1(960, 540, 960, 54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좌측 상단은 A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2(192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2(1920, 1080, 1920, 108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제어 아이콘을 F1(480, 10, 960, 54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동일한 제어 아이콘을 F2(960, 20, 1920, 1080) 좌표 지점에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비디오 컨텐트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비디오 컨텐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F2 좌표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F2 좌표 값을 UIBC 신호로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 테이블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고, F2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F2 좌표를 F1 좌표로 변환하고, F1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UIBC 통신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특정 영역 확대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윈도우(3810)에 원본 비디오 컨텐트의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인디케이터(3830)을 이용하여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 선택시, 메인 스크린(3810)에 원본 비디오 데이터 대신 특정 영역만 확대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8에서 예시한 메인 스크린(3810)에 표시되는 특정 영역 확대 비디오 데이터는 인디케이터(3830)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데이터의 특정 영역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좌측 상단은 A8(48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8(480, 54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8(1440, 0,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8(1440, 540, 1920, 108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서 좌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A8, B8, C8, D8 좌표는 윈도우(3820) 내 인디케이터(3830)의 좌우상하의 좌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좌표 테이블을 설정하는 경우, 별도의 좌표 변환 과정 없이 특정 영역 확대 모드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좌표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8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특정 영역 확대 모드에서는 메인 스크린(3810)의 좌표 테이블을 새롭게 설정하여, 메인 스크린(3810)과 윈도우(3820) 사이에 서로 다른 좌표 테이블을 사용하도록 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메인 스크린(3910)에 표시된 F2 좌표에 위치한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F2 좌표 선택 신호를 좌표 변환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F2 좌표에 대응하는 F1 좌표 값에 대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어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창의 좌측 상단은 A3(96, 216,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3(96, 486, 960, 540)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3(384, 216, 960, 54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3(384, 486, 960, 54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A3, B3, C3, D3 좌표 값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응하도록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3 좌표 값을 A4(192, 432, 1920, 1080) 좌표 값으로, B3 좌표 값을 B4(192, 972, 1920, 1080) 좌표 값으로, C3 좌표 값을 C4(768, 432, 1920, 1080) 좌표 값으로, D3 좌표 값을 D4(768, 972, 1920, 1080) 좌표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변환된 좌표 A4, B4, C4, D4의 좌표 값을 UIBC 신호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창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메인 스크린(3910)이 아닌 윈도우(3920)의 A4,B4,C4,D4 좌표지점에 제어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인디케이터(3930)가 제어 창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크린(3910)에는 제어 창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400) 등을 통해 윈도우(4020) 내부의 인디케이터(4030)를 제어 창을 선택하도록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인디케이터(4030)가 선택한 특정 영역 확대 비디오 데이터를 메인 스크린(40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좌측 상단은 A9(0, 324,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좌측 하단은 B9(0, 864,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상단은 C9(576, 324, 1920, 1080) 좌표를 가지고, 우측 하단은 D9(576, 864, 1920, 1080) 좌표를 가지는 것으로서 좌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A9, B9, C9, D9 좌표는 윈도우(4020) 내 인디케이터(4030)의 좌우상하의 좌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좌표 테이블을 설정하는 경우, 별도의 좌표 변환 과정 없이 특정 영역 확대 모드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좌표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특정 영역 확대 모드에서는 메인 스크린(4010)의 좌표 테이블을 새롭게 설정하여, 메인 스크린(4010)과 윈도우(4020) 사이에 서로 다른 좌표 테이블을 사용하도록 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특정 영역 확대 모드 상태에서 메인 스크린(4010)의 좌표 테이블과 윈도우(4020)의 좌표 테이블을 동일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인 스크린(4010)을 통해 특정 좌표(G2 좌표) 값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도 37에서 미리 생성한 좌표 맵핑 테이블에 따라 G2 좌표 값을 G1 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UIBC 통신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4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표 변환 또는 좌표 맵핑 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미러링을 통한 영상 확대에서도 이동 단말기에 사용자가 의도한 제어 신호를 오류 없이 송신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소스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제1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좌표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좌표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좌표는 UIBC(User Input Back Channel)을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최초 수행하는 시점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내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소스 디바이스 기반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좌표 및 상기 오브젝트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싱크 디바이스 기반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싱크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의 제3 좌표를 선택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 좌표 테이블을 수신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 좌표 테이블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좌표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좌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영상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변경된 영상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변경 좌표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변경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크기가 변경된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4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좌표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5 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제5 좌표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11. 소스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좌표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좌표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좌표는 UIBC(User Input Back Channel)을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내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소스 디바이스 기반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좌표 및 상기 오브젝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싱크 디바이스 기반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의 제3 좌표를 선택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 좌표 테이블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드 좌표 테이블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좌표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영상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변경된 영상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변경 좌표 테이블을 생성하는단계;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좌표 테이블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변경 좌표 테이블을 맵핑한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크기가 변경된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4 좌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좌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좌표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5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좌표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60113175A 2016-09-02 2016-09-02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62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75A KR102627518B1 (ko) 2016-09-02 2016-09-02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5/675,628 US10575041B2 (en) 2016-09-02 2017-08-11 Method for controlling source device at sink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201710712264.3A CN107801094B (zh) 2016-09-02 2017-08-18 在信宿装置处控制信源装置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设备
EP17188822.5A EP3291565A1 (en) 2016-09-02 2017-08-31 Method for controlling source device at sink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75A KR102627518B1 (ko) 2016-09-02 2016-09-02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160A true KR20180026160A (ko) 2018-03-12
KR102627518B1 KR102627518B1 (ko) 2024-01-23

Family

ID=5974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75A KR102627518B1 (ko) 2016-09-02 2016-09-02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75041B2 (ko)
EP (1) EP3291565A1 (ko)
KR (1) KR102627518B1 (ko)
CN (1) CN10780109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5140B2 (en) 2018-08-29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ame controlling external device
WO2024080389A1 (ko) * 2022-10-11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2536B2 (en) 2004-06-04 2021-04-06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media presentation at multiple recipients
JP6122477B2 (ja) * 2015-10-15 2017-04-26 株式会社オプティム 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画面共有方法
KR102598082B1 (ko) * 2016-10-28 2023-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333658A1 (de) * 2016-12-09 2018-06-13 Sick Ag Steuerung zum sicheren steuern zumindest einer maschine
KR20180099182A (ko) * 2017-02-28 201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914728B2 (ja) * 2017-05-26 2021-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83929B2 (en) 2018-03-30 2020-09-22 Apple Inc. Managing playback groups
US10993274B2 (en) 2018-03-30 2021-04-27 Apple Inc. Pairing devices by proxy
US11297369B2 (en) * 2018-03-30 2022-04-05 Apple Inc. Remotely controlling playback devices
JP7118764B2 (ja) * 2018-06-20 2022-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54833B2 (ja) * 2018-06-20 2022-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84273A (ko) * 2019-01-02 2020-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시스템
US20220030319A1 (en) * 2019-01-15 2022-01-27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666119B (zh) * 2019-03-06 2023-11-21 华为终端有限公司 Ui组件显示的方法及电子设备
CN110662095B (zh) * 2019-08-28 2021-10-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投屏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10047112A (ko) * 2019-10-21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8401A (ko) * 2020-01-06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30424A (ko) * 2020-04-22 2021-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CN111654727A (zh) * 2020-06-28 2020-09-11 北京汗粮科技有限公司 一种向大屏终端投屏交互操作的方法
CN113741840A (zh) * 2020-09-10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多窗口投屏场景下的应用界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20048245A (ko) 2020-10-12 202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시스템
CN114442972A (zh) * 2020-10-31 2022-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及电子设备
CN112468863A (zh) * 2020-11-24 2021-03-09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投屏控制方法、设备及电子设备
US11703991B2 (en) * 2021-12-06 2023-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ith mouse contro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866B1 (ko) *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US20130138728A1 (en) * 2011-11-25 2013-05-30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28041A (ko) * 2013-09-05 2015-03-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vn 시스템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60253142A1 (en) * 2015-02-27 2016-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creen mirroring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5864B2 (en) * 2000-03-16 2010-04-27 Matrox Graphic Inc. User selectable hardware zoom in a video display system
JP4719641B2 (ja) * 2006-07-27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データ提供方法、動画像データ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動画像データ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動画像データ提供装置及び動画像データ提供システム。
US9632648B2 (en) 2012-07-06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and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5100907B (zh) 2014-04-28 2018-05-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选择性投屏的方法及其装置
GB201408258D0 (en) * 2014-05-09 2014-06-25 British Sky Broadcasting Ltd Television display and remote control
KR20160002530A (ko) * 2014-06-30 2016-01-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604657B1 (ko) 2014-08-27 2016-03-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과 차량 디스플레이의 미러 링킹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866B1 (ko) *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US20130138728A1 (en) * 2011-11-25 2013-05-30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28041A (ko) * 2013-09-05 2015-03-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vn 시스템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60253142A1 (en) * 2015-02-27 2016-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creen mirroring ser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5140B2 (en) 2018-08-29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ame controlling external device
WO2024080389A1 (ko) * 2022-10-11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1565A1 (en) 2018-03-07
US20180070122A1 (en) 2018-03-08
CN107801094A (zh) 2018-03-13
US10575041B2 (en) 2020-02-25
KR102627518B1 (ko) 2024-01-23
CN107801094B (zh)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518B1 (ko)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431183B2 (en) Wireless device displaying images and matching resolution or aspect ratio for screen sharing during Wi-Fi direct service
US10402146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334200B2 (en)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system
US11089149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1110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584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619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35414A (ko) 무선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9927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523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91303A (ko) 단말기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117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75822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including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mobile terminal
KR20180052302A (ko)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