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394B1 - 가축용 사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가축용 사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394B1
KR101613394B1 KR1020150050192A KR20150050192A KR101613394B1 KR 101613394 B1 KR101613394 B1 KR 101613394B1 KR 1020150050192 A KR1020150050192 A KR 1020150050192A KR 20150050192 A KR20150050192 A KR 20150050192A KR 101613394 B1 KR101613394 B1 KR 10161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glucan
feed
feed additiv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우현
백승혜
백상엽
Original Assignee
백우현
백승혜
백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우현, 백승혜, 백상엽 filed Critical 백우현
Priority to KR102015005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23K1/16
    • A23K1/008
    • A23K1/1637
    • A23K1/1643
    • A23K1/175
    • A23L1/31
    • A23L1/32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면역력을 증강시킴으로써 항생 물질 등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가축용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생상된 육류와 기능성 계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 첨가제는 가축용 사료에 첨가되어 가축에게 급여되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 동충하초 추출물과 β-글루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에 추가적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풍화된 천매암 분말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에 급여하게 되면 산란계에 의해 생상되는 계란에 동충하초 추출물과 β-글루칸이 농축되어 있게 되므로, 이들 계란은 건강보조식품으로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축용 사료 첨가제{Feed Additives for Livestock}
본 발명은 가축의 면역력을 증강시켜 항생 물질 등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가축용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생산된 육류와 기능성 계란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은 고대로부터 인류가 행해왔던 가장 중요한 경제활동 중의 하나이다. 인류의 식량으로서는 크게 식물성과 동물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식물성 식량, 예컨대 쌀, 보리, 밀 등을 생산하는 경제활동을 농업 또는 경종농업(耕種農業)이라 하고, 동물성 식량, 예컨대 우유, 육류, 난류(卵類) 등을 생산하는 행위를 축산업이라고 한다. 종래에는 단순히 축산물을 생산할 때까지의 과정을 축산업으로 분류하였으나, 근래에는 축산물의 생산과 가공, 물류 등을 포함하는 일체의 과정을 축산업으로서 확대하여 분류하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 축산 기술이 발전하면서 축산물에 급여하는 사료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서 축산물에 급여되는 사료 등의 개선을 통해 축산물에 포함되는 각종 성분의 조성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거나 인간에게 필요한 특정 성분을 축산물에 강화시킨 다양한 기능성 축산물이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기능성 축산물 중 기능성 난류, 특히 닭을 통해서 생산하는 기능성 계란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계란은 가장 완벽한 영양 식품으로서 주지되어 있다. 계란은 크게 겉껍질이라 칭하는 난각과 노른자위라 칭하는 난황 및 흰자위라 칭하는 난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영양성분으로서는 수분(74.7%), 단백질(12.3%), 지방(11.2%), 무기질(0.9%), 기타 성분(0.9%)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특히 난황에 포함되어 있는 비텔린(vitelline)은 세포 생성과 생명 합성에 유효하고, 레시틴(lecithin)은 두뇌 활동에 효과적이고 치매 예방과 혈액순환 개선에 유효하며, 루테인(lutein)과 제아산틴(zeaxanthin)은 노화로 인한 시력저하 방지와 망막 보호 및 백내장 등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축에 급여하는 사료에 적절한 성분을 혼합하게 되면 가축으로부터 얻어지는 육류의 성분 조성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닭, 오리, 칠면조 등의 가금류의 경우에는 모체의 육류 조성과 더불어 이들로부터 생상되는 난류의 주요 성분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O 2009/014497(발명의 명칭: Use of Cordyceps species or extract thereof in the egg production)에는 예컨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로부터 추출된 코디세핀(cordycepin)을 닭에게 급여하여 계란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 양을 낮추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개 10-2007-0025342(인슐린 분비 촉진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계란 및 그 제조방법), 특허등록 100537368(기능성 계란 산란용 사료, 그 식수, 이들을 급여하여 생산가능한 기능성 계란 및 그의 생산방법), 특허등록 100835885(고밀도 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키는 건강 기능성 계란) 등에 다양한 기능성 계란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그 밖에도 오메가-3 지방산과 CLA(Conjugated Linoleic Acid) 강화 계란, 비타민 강화 계란, 무기질 강화 계란,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강화 계란 등 매우 많은 종류의 기능성 계란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한편, 축산물에 급여되는 사료의 개선은 부정적인 영향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항생제의 사용이다. 최근 축산업이 집단 사육 형태로 규모화 되면서 축산물의 질병에 대한 노출과 그 전파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질병의 위험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기 위해 가축에게 급여되는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함으로써 사료를 통해 가축에게 항생제를 급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항생제의 급여는 상기한 기능성 제품과 마찬가지로 축산물, 즉 육류나 난류에 항생물질이 축적되어 최종적으로 인간의 체내로 흡수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가축용 사료에 첨가되어 가축의 면역력을 증강시킴으로써 가축에 대한 항생제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사료 첨가제의 이용을 통해 인간의 건강에 최적화된 기능성 계란과 육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가축용 사료 첨가제는 액상의 동충하초 추출물과 액상의 β-글루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코디세핀이 1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과 β-글루칸은 가축용 음수를 통해 가축에게 급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가축용 사료 첨가제는 가축용 사료에 첨가되어 가축에게 급여되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 동충하초 추출물과 β-글루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덱스트린에 액상의 동충하초 추출물이 흡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β-글루칸은 대두박에 액상의 β-글루칸이 흡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에 풍화된 천매암 분말이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육류는 상기한 가축용 사료 첨가제를 급여하여 생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기능성 계란은 상기한 가축용 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에 급여하여 생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축용 사료에 첨가되는 동충하초 추출물과 β-글루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방선균이 모두 가축의 면역력을 높이고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사료 첨가제를 가축에게 급여하게 되면 가축에 대한 항생제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가축의 질병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가축용 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에 급여하게 되면 산란계에 의해 생산된 계란에 동충하초 추출물과 β-글루칸이 농축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계란을 인간이 섭취하게 되면 계란 고유의 완벽한 영양소 섭취와 더불어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섭취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한 계란은 인간의 유효한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가축이라 하면 인간이 사육하여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일체의 동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여기에는 닭, 오리, 칠면조 등과 같이 통상 가금류라고 별도로 분류하기도 하는 일체의 조류도 포함된다.
가축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가축에게 항생제를 투여 또는 급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가축에게 급여한 항생 물질이 육류와 난류에 축적되어 최종적으로 인간의 체내에 흡수되는 부정적인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가축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가축의 면역력을 증강시켜 가축이 질병에 감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축의 면역력 증강은 단순한 방법으로 구현하기 어렵고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자가 많은 연구를 진행한 결과에 의하면, 동충하초와 β-글루칸(Glucan)이 동물의 면연력 증강에 매우 유효하고, 특히 이들 성분을 병용하였을 경우에 보다 큰 상승작용이 발휘됨을 확인하였다.
1. 동충하초
동충하초는 겨울철에는 곤충의 몸에 들어가 월동을 하면서 양분을 흡수하여 곤충을 죽게 하고 여름철이 되면 죽은 곤충의 몸에서 풀 모양의 버섯을 만드는 모습에서 명명된 일종의 버섯이다. 동충하초속 버섯균주는 분류학적으로 볼 때 자낭균문(Ascomycota), 핵균강(Pyrenomycetes), 육자균목(Clavicipitaceae), 동충하초속(Codyceps)에 속하며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100 속 300여종이 알려져 있다.
현재 식용 가능한 동충하초로서는 눈꽃(누에) 동충하초(Poecilomyces japonic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및 시넨시스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의 3종류이다. 이 중에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는 주로 나비목(Lepidoptera)의 유충 또는 번데기를 기주로 하여, 주황색의 곤봉형 자좌를 형성하는 곤충기생균(Entomopathogenic fungi)의 일종으로서, 이는 다른 동충하초에 비해 코디세핀(Cordycepin)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료첨가제로서 상기 동충하초, 바람직하게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을 채용한다.
동충하초 추출물은 예컨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예컨대 180~200 메시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여 분쇄물을 형성하고, 이 분쇄물과 물을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예컨대 100~140도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가열하는 방법을 통해 생성한다.
다음 표 1은 상기한 과정을 통해서 생성한 동충하초 추출물의 유용 성분과 그 기능을 나타낸 것이다.
유용 성분 기 능
코디세핀
(Cordycepin)
천연 항생제, 면역 증강물질
코디세픽산
(Cordycepic acid)
혈관 확장물질, 뇌혈전, 신장 쇄약의 예방과 치료
코디세픽 폴리사카라이드
(Cordycepic polysaccharides)
면역 증진 및 심장과 간장의 개선, 암 억제 및 노화 방지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효소에 의한 노화와 암 및 성인병 예방

비타민
VA 피부 조직의 정상 기능 유지
VP 신진 대사 활성
VB12 뇌 관계, 지능-영양 물질, 신경의 움직임 개선, 간장 보호

미량 원소
세렌 암 예방 및 노화 방지
아연 세포의 생성과 성장
구리 세포 및 피부 재생
동충하초 추출물의 가축에 대한 급여는 액상 또는 입상(파우더)의 형태로 실행한다. 액상 형태의 동충하초 추출물은 가축에 대한 급수에 1/1000~1/3000, 바람직하게는 1/2000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행한다. 여기서 액상의 동충하초 추출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코디세핀이 10 중량% 이상 포함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입상 형태의 동충하초 추출물은 가축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는데, 이때 첨가비율은 사료 1M/T에 예컨대 1kg을 혼합하여 실행한다. 물론, 사료에 대한 동충하초 추출물의 첨가 비율은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입상 형태의 동충하초 추출물은 액상 형태의 동충하초 추출물을 예컨대 덱스트린(dextrin)에 10 중량% 흡착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하게 된다.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가축의 면역 체계를 활성화 하여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특히 동충하초 추출물은 이를 닭 등의 가금류에 급여하였을 때 가금 콜레라. 조류독감(H5N1), 뉴캐슬(Newcastle disease), 마렉병(Marek's disease) 등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닭 콕시듐병(Coccidiosis)과 닭 전염성 기관지염 예방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동충하초 추출물을 육계에 급여하게 되면 닭고기에 이노신(Inosine)의 함량(IMP)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동충하초를 급여한 닭의 IMP는 2.31~2.41 mg/g인데 대하여 동충하초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IMP는 1.61 mg/g이었다. IMP는 육류의 감칠맛을 높이는 핵산 물질로서, IMP의 양은 육류이 맛과 상당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주지되어 있다.
2. β-글루칸
β-글루칸은 호모 세포벽에서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처음 발견된 물질로서, 널리 알려진 것은 포도당이 β-1,3 결합으로 이루어진 β-1,3 글루칸이다. β-글루칸은 보리, 귀리, 호밀 등의 곡류 표피와 세레비시에 효모(S.cerevisiae)의 세포벽, 상황버섯, 구름버섯, 영지버섯, 아가리쿠스버섯 등의 균사체 및 자실체, 애그로박테리움속 박테리아의 세포와 다당 등으로부터 유래된다.
β-글루칸의 가축에 대한 급여는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액상 또는 입상(파우더)의 형태로 실행한다. 액상 형태의 β-글루칸으로서는 예컨대 β-글루칸 3% 농축액을 사용하는데, 가축에 대한 급여는 가축에 대한 음수에 1/1000~1/3000, 바람직하게는 1/2000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행한다. 또한 입상 형태의 β-글루칸은 가축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는데, 이때 첨가비율은 사료 1M/T에 예컨대 1kg을 혼합하여 실행한다. 물론 가축에 대한 β-글루칸의 급여량은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입상 형태의 β-글루칸은 β-글루칸 3% 농축액을 예컨대 대두박에 5 중량% 흡착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하게 된다.
β-글루칸은 백혈구가 분비하는 생리활성 물질인 사이토카인(cytokine)의 분비를 촉진하여 가축의 면역력을 강화함과 더불어 비특이적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항종양, 항세균, 항바이러스 능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β-글루칸을 산란계에 급여하게 되면 β-글루칸이 뼈의 칼슘 동원을 저해하여 체내에 난각 형성에 이용할 수 있는 칼슘의 공급을 도움으로써 난각 강도가 개선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 첨가제는 액상 또는 입상으로 제공된다. 액상의 사료 첨가제는 동충하초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코디세핀이 10 중량% 포함된 액상의 동충하초 추출물과 액상의 β-글루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은 가축에게 제공하는 음수에 투여된다. 가축에 대한 액상 동충하초 추출물과 액상 β-글루칸의 급여량은 음수에 대해 대략 1/1000~1/3000의 비율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입상의 사료 첨가제는 입상 형태의 동충하초 추출물과 입상 형태의 β-글루칸을 포함한다. 이들은 가축용 사료에 혼합되어 가축에게 급여된다. 입상 사료 첨가제의 가축에 대한 급여량은 사료 급여량의 대략 0.1 중량%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입상의 사료 첨가제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분말이 추가로 포함된다. 이때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균의 양은 예컨대 108 cfu/g 정도로 설정된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은 혈압, 당뇨병, 혈행 개선, 혈전 용해, 골다공증, 다이어트, 키 성장 등에 매우 유효한 것으로 연구된 바 있고, 이를 가축에게 급여하는 경우 가축의 면역력을 보다 제고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입상의 사료 첨가제에 풍화된 천매암 또는 흑운모 분말이 추가로 포함된다. 풍화된 천매암(흑운모)의 급여량은 사료 1M/T에 대해 예컨대 2kg 정도로 설정된다. 풍화된 천매암은 다양한 광물질을 포함하여 가축의 성장에 필요한 미량 원소를 충족시킴은 물론이고 가축의 면역력을 유효하게 증강시키게 된다.
다음 표 2는 풍화된 천매암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충청북도 보은군 수한면 병한리 226-3에 위치한 천매암 광산에서 채취한 천매암을 분석한 결과표이다.
SiO2 Al2O3 Fe2O3 MgO K2O Ca S Ti
65.9% 10.2% 5.25% 5.58% 1.22% 2.2% 0.06% 0.6%
Se Ge Mn P B V Sr Z
1.06ppm 2.3ppm 733ppm 540ppm 338ppm 88.8ppm 62ppm 60.7ppm
CEC(염기치환용량 34mep/100g), 유기물 3.6%
특히 상기 풍화된 천매암에는 방선균(Actinomyces) 목에 속하는 스트렙토미세스(Streptomyces)가 8.3×108 cfu/g 이상 포함되어 있다. 이들 방선균은 매우 다양한 종류의 천연 항생 물질을 생산함으로써 가축의 면역력을 제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 동충하초 추출물과 β-글루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방선균은 모두 가축의 면역력을 높이고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사료 첨가제를 가축에게 급여하게 되면 가축에 대한 항생제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가축의 질병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바람직하게 15일 이상 지속적으로 산란계에게 급여하게 되면, 동충하초 추출물과 β-글루칸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용한 성분들이 산란계에 의해 생산되는 계란에 농축되게 된다. 동충하초는 인간에게 있어 간 기능 개선 및 숙취 해소효과, 혈당 강하 및 혈액순환 개선 효과, 항암 효과, 면역력 증대 및 항염증 효과, 자양강장 효과, 미백 효과, 성기능 개선 효과, 뇌와 심혈관 질병 예방 효과, 혈전 용해 효과, 비만 개선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또한 β-글루칸은 인간에게 있어 면역력 강화 효과, 혈압 및 혈당 강화 효과, 피부 재생 및 보호 효과, 유해 활성산소 제거 효과, 항암 효과, 기억력 회복 효과, 림프구의 활성화를 통한 암 예방 효과, 항노화 효과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따라서. 상기한 계란을 인간이 섭취하게 되면 계란 고유의 완벽한 영양소 섭취와 더불어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섭취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한 계란은 인간의 유효한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이를 산란계에 급여하는 경우에 계란에 포함되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의 수치를 낮추게 되고, 특히 계란의 난각 강도를 개선함은 물론 계란의 항균 기능을 높임으로써 계란의 보존 기간을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상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하는 경우에는 동충하초 추출액과 액상 β-글루칸을 가축용 음수에 투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경우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천매암 분말을 가축용 사료에 첨가하여 가축에게 함께 급여하는 방식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가축용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
    열수추출물인 동충하초 추출물과 β-글루칸 및 풍화된 천매암 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풍화된 천매암은 방선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코디세핀이 1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과 β-글루칸은 액상이고,
    가축용 음수를 통해 가축에게 급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충용 사료 첨가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덱스트린에 액상의 동충하초 추출물이 흡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β-글루칸은 대두박에 액상의 β-글루칸이 흡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
  7. 제1항에 있어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50192A 2015-04-09 2015-04-09 가축용 사료 첨가제 KR10161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92A KR101613394B1 (ko) 2015-04-09 2015-04-09 가축용 사료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92A KR101613394B1 (ko) 2015-04-09 2015-04-09 가축용 사료 첨가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784A Division KR20160121402A (ko) 2016-03-28 2016-03-28 가축용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생산된 기능성 계란 및 육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394B1 true KR101613394B1 (ko) 2016-05-12

Family

ID=5602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192A KR101613394B1 (ko) 2015-04-09 2015-04-09 가축용 사료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078A (ko) * 2020-12-18 2022-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보리 및 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충하초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 배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078A (ko) * 2020-12-18 2022-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보리 및 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충하초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 배양방법
KR102636200B1 (ko) * 2020-12-18 2024-02-14 대한민국 보리 및 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충하초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 배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4911B (zh) 一种产蛋家禽饲料添加剂及产蛋家禽饲料
CN102178123B (zh) 一种幼雏山鸡喂养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075645B1 (ko)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하는 곤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곤충의 사육방법, 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되어 가바 함량이 증진된 곤충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CN102987151A (zh) 一种土鸡饲料
CN104996784A (zh) 一种以南极磷虾为主要原料的鱼用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821844A (zh) 提高鸭蛋品质的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565013B1 (ko) 영양란을 얻기위한 닭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74421A (ko) 대장암 발병 억제용 영양 보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Tayeb et al. Effect of propolis supplementation on productive performance in local quail
KR20170057907A (ko) 꽃송이 버섯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
KR102430901B1 (ko) 식용곤충을 배지로 이용하여 재배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건조 분말이 함유된 반려동물용 영양간식
KR20190066461A (ko) 홍삼박을 이용한 식용곤충 인공먹이의 제조방법
KR101871884B1 (ko) 기능성 계란의 생산을 위한 사료 첨가제
CN104247891A (zh) 一种预防鲫鱼出血性锚头鳋病的方法
KR101214935B1 (ko) 오메가-3 함유 팽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KR101613394B1 (ko) 가축용 사료 첨가제
KR20180096545A (ko) 기능성 계란
Makała Impact of Selected Feed Additives in Broiler Nutrition on Breeding and the Meat Quality Features
Al-Khaldani et al. Effect of adding Moringa oleifera leaf powder with or without probiotic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ome biochemical blood characteristics for broiler
KR20160121402A (ko) 가축용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생산된 기능성 계란 및 육류
KR20040051096A (ko) 동충하초 포함 돼지사료용 조성물
KR20220130452A (ko)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은 쌍별귀뚜라미 사육용 기능성 사료 및 그를 적용한 쌍별귀뚜라미 사육 방법
Salih AL-Khaldani et al. Effect of adding Moringa oleifera leaf powder with or without probiotic on growth perform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ome biochemical blood characteristics for broiler.
KR20180022312A (ko) 식품 첨가제
Rebh et al. The effect of the synergistic mixture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nd beta-glucan added to the diet on the productive performance of broilers under heat s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