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038B1 -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038B1
KR101613038B1 KR1020150077377A KR20150077377A KR101613038B1 KR 101613038 B1 KR101613038 B1 KR 101613038B1 KR 1020150077377 A KR1020150077377 A KR 1020150077377A KR 20150077377 A KR20150077377 A KR 20150077377A KR 101613038 B1 KR101613038 B1 KR 101613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mera
central control
display device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민
한유진
Original Assignee
김형민
한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민, 한유진 filed Critical 김형민
Priority to KR102015007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이 개시된다.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시술 장소에 설치된 거울 본체; 상기 거울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거울 본체를 마주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카메라; 상기 거울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거울 본체를 마주하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시술자의 시선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시술 장면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카메라; 상기 시술 장소에 등록된 고객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거울 본체를 마주하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얼굴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고객 정보에 따라 상기 맞춤형 광고를 선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하고,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여 표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SMART MIRROR SYSTEM FOR PERSONALIZED ADVERTISE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미러를 활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실 등에는 시술 중 고객이 자리하는 의자가 구비되며 의자 전면에는 시술 과정에 있어서 시술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한 전면 거울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미용과정에 있어 지루함을 달래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용거울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를 두어서 지루함을 달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미용과정에 있어서 머리 뒷부분의 미용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미용사가 머리의 뒷부분에서 보조거울로 머리 뒷부분을 전면거울에 반사시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0902688호(등록일 2009년 06월 05일) "실시간 이미지 관찰 시스템"에는 미용 시 고객의 전면 머리 모양뿐만 아니라 뒷머리 모양과 좌우 옆머리 역시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고객이 거울 앞에 앉아서 즐거움을 가지고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고객에게 특화된 광고를 선별하여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술 장소에 설치된 거울 본체; 상기 거울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거울 본체를 마주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카메라; 상기 거울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거울 본체를 마주하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시술자의 시선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시술 장면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카메라; 상기 시술 장소에 등록된 고객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거울 본체를 마주하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얼굴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고객 정보에 따라 상기 맞춤형 광고를 선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하고,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여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거울 본체의 후면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거울 본체는 후면에 알루미늄(aluminum)을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로 진공 증착된 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필름은 알루미늄 진공 증착의 정도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투과율과 반사율이 다른 특징을 가지며, 상기 거울 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반사도가 낮아지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부분은 반사도가 가장 낮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윗부분은 상단으로 갈수록 반사도가 높아진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지역, 취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 영상을 선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시술자가 착용 가능한 안경이나 머리띠 형태로 구성되고, 시술 장면에 대한 촬영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송출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되는 광고의 종류와 시간을 광고 노출 결과로서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일부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 거울 앞에 앉아서 즐거움을 가지고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고객에게 특화된 광고를 선별하여 표출함으로써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심미성과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주에게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광고 전달을 위한 매개체로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경로의 광고 모델을 구현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울 앞에 앉은 고객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고객에게 보다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설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스마트 미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게 최적화 된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용실 등과 같은 시술 장소에는 고객의 모습을 비추기 위한 거울이 설치되는 가운데, 최근 거울을 반투광으로 하고 후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각종 컨텐츠나 동영상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고객의 후면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고객의 인증 정보를 영상분석을 통해서 획득하는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설치 장소에 대하여 미용실을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피관리실, 피부관리실, 휴게실 등 시술 장면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니즈(needs)가 있는 모든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설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거울 본체(101), 정면 카메라(103), 디스플레이 장치(104), 웨어러블 카메라(105), 중앙 제어 장치(100), 및 서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기능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용실 의자 앞에는 거울 본체(101)가 설치되는데, 이때 거울 본체(101)의 후면에는 소정 높이에 의자에 앉은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이하, '정면 카메라'라 칭함)(103)가 설치된다.
정면 카메라(103)는 거울 본체(101)의 후면에서 고객의 얼굴 정면 부분에 해당하는 곳에 최소한의 핀홀(Pin hole)을 뚫어 설치함으로써 정면 카메라(103)가 고객의 얼굴을 정면으로 촬영하게 하여 이 후 얼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게 한다.
거울 본체(101)에 시술 과정 중 필요한 스마트 영상과 광고 등을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4)는 거울 본체(101)를 마주하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거울 본체(101)의 후면 하단에 정면 카메라(103)와 인접한 위치(예컨대, 정면 카메라(103)의 아래)에 디스플레이 장치(104)가 설치될 수 있다.
정면 카메라(103)와 디스플레이 장치(104)는 별도의 개별 기기로 구성되거나, 혹은 일체형의 기기로 구성되어 거울 본체(101)의 후면에 설치된다.
정면 카메라(103)와 디스플레이 장치(104)는 중앙 제어 장치(100)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중앙 제어 장치(100)와 서로 인터페이스 될 수 있다.
특히, 거울 본체(101)에는 알루미늄(aluminum)을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로 진공 증착된 필름(이하, '알루미늄 진공 증착 필름'이라 칭함)(102)이 부착된다.
거울 본체(101)의 후면에 부착된 알루미늄 진공 증착 필름(102)은 알루미늄 진공 증착의 정도를 조절하여 수직 방향으로 투과율과 반사율을 다르게 만든 필름을 의미한다. 일 예로, 알루미늄 진공 증착 필름(102)은 거울 본체(101)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위로 갈수록 반사율이 높고 투과율이 낮은 반면에, 아래로 내려갈수록 반사율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거울 본체(101)의 앞에 위치한 의자의 높이와 거울 본체(101)의 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03)의 위치를 고려하여 의자에 앉은 고객의 얼굴이 비추는 범위를 기준으로 위로는 반사율이 점차적으로 100%에 가까이 되도록 하고 고객의 얼굴이 비추는 위치 아래부터 반사율이 조금씩 낮아지도록 하여 거울 본체(101)의 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03)에서 표출되는 영상이 좀더 밝고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술자(예컨대, 헤어 디자이너 등)는 고객이 궁금해할 수 있는 고객의 후면 모습이나 시술 모습 등을 보다 정확히 보여주기 위해서 시술을 진행하는 동안 시술자의 관점으로 시술 장면을 촬영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카메라(105)를 착용한다.
이때, 웨어러블 카메라(105)는 시술자의 편의를 위해 안경 혹은 머리띠 등의 형태로 제작되고, 더욱이 촬영 영상의 전송 환경을 위해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등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110)는 중앙 제어 장치(100)와 통신하여 고객의 데이터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중앙 제어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나 광고 송출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110)는 고객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광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고객 별 개인 정보(나이, 성별, 지역, 헤어스타일 취향 등)는 물론, 얼굴 영상, 헤어스타일 변화 등과 같은 시술 이력, 방문 이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광고 데이터베이스는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광고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광고 데이터베이스는 서버(110)의 내부에 포함되어 구축되거나 혹은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네트워크(10)(예를 들어, 인터넷 혹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 등)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서버(11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중앙 제어 장치(100)와 서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시스템 전반의 구성과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정면 카메라(103), 웨어러블 카메라(105), 디스플레이 장치(103) 등을 제어하며, 정면 카메라(103)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웨어러블 카메라(105)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3)로 전달하여 표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카메라(105)는 시술자 관점에서 촬영된 영상을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으로 중앙 제어 장치(100)로 송출할 수 있고, 이에 중앙 제어 장치(100)는 고객이 시술자 관점에서 시술 장면을 볼 수 있도록 웨어러블 카메라(105)의 영상을 필요한 디스플레이 장치(103)의 상황과 위치에 맞게 표시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정면 카메라(103)로부터 고객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 후 수신 영상으로부터 고객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제어 장치(100)는 서버(110)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 얼굴을 자동 식별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고객에 대해 사전에 입력된 시술 환경(시술 시간, 시술 종류 등)과 시술 대상자의 고객 정보 등에 따라 맞춤형 광고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제어 장치(100)는 서버(110)와의 통신을 통해 얼굴이 인식된 고객의 나이, 성별, 헤어스타일 취향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고객에게 최적화 된 맞춤형 광고를 선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3)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고객이 시술 받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3)를 통해 노출되는 광고의 종류와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정확한 광고 노출 결과를 산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광고 노출 결과를 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때 광고 노출 결과는 광고와 관련된 통계 정보로 활용될 수 있고 향후 광고주에 대한 마케팅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서버(110) 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고객의 과거 영상 및 현재 영상 등에 따라 고객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찾아주는 헤어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가 시술자나 고객의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이하, '스마트 앱'이라 칭함)(20)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 앱(20)에서 스마트 미러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가능한 서버(110)와 통신하여 스마트 미러 시스템에서 제공된 스마트 미러 기능을 사전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와 접속 가능한 스마트 앱에서는 사용자에게 최적화 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통해 저장된 본인의 과거 영상뿐 아니라,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최신 트렌드 보기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미용실을 방문하기 전에 원하는 스타일을 예약해 놓으면 스마트 미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어떠한 미용실을 방문하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예약된 스타일이 자동으로 표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가 미용실을 방문하여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정면 카메라(103)를 통해 사용자 얼굴이 촬영된 영상을 인식한 후(S301), 정면 카메라(103)의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얼굴 인식 분석 결과에 따라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S302).
중앙 제어 장치(100)는 단계(S302)에서 식별된 사용자에 대하여 서버(110)와의 통신을 통해 시술과 관련된 각종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03). 예를 들어, 중앙 제어 장치(100)는 서버(110) 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과거 헤어스타일, 최신 헤어 트렌드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104)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과거 영상과 현재 영상 등을 바탕으로 새로운 헤어스타일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4)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참고하여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시술자인 헤어 디자이너는 웨어러블 카메라(105)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스타일로 시술을 시작한다(S304).
한편, 사용자가 미용실을 방문하기 이전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스마트 앱을 통해 미용실 방문을 사전 예약하고(S305) 서버(110) 상에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등록할 수 있다(S306).
이후, 사용자가 미용실을 방문하여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정면 카메라(103)를 통해 사용자 얼굴이 촬영된 영상을 인식한 후(S307), 정면 카메라(103)의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얼굴 인식 분석 결과에 따라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S308).
이때, 중앙 제어 장치(100)는 식별된 사용자가 사전 등록한 헤어스타일을 디스플레이 장치(104)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헤어 디자이너는 사전 등록된 헤어스타일을 사용자에게 확인 받은 후 웨어러블 카메라(105)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술을 시작한다(S304).
중앙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술을 받는 동안 웨어러블 카메라(105)로부터 시술자 관점의 영상(시술 장면)을 수신하여 수신된 시술 장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4)에 디스플레이 함과 아울러, 시술 중인 사용자의 개인 정보, 예컨대 나이, 성별, 지역, 헤어스타일 취향, 시술 중인 헤어스타일 등에 매칭되는 광고를 선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4)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S309).
중앙 제어 장치(100)는 헤어 디자이너의 시술이 완료되면 정면 카메라(103)와 웨어러블 카메라(105)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완성된 헤어스타일을 촬영할 수 있고, 이를 서버(110)로 전달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S310).
중앙 제어 장치(100)는 시술 동안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하여 해당 광고의 종류와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광고 노출 결과를 통계 정보나 마케팅 정보 등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서버(110)로 전달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용실 등 다양한 시술 장소의 거울 앞에 앉은 고객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고객에게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서비스에는 헤어스타일 시뮬레이터, 과거 영상 보기, 최신 트렌드 보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고객에게 최적화 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는 보다 효율적인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스마트 미러 서비스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상세 내용을 바탕으로 둘 이상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도면들로서 시스템 구성이나 서비스 환경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스마트 미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1: 거울 본체
102: 알루미늄 진공 증착 필름
103: 정면 카메라
104: 디스플레이 장치
105: 웨어러블 카메라
100: 중앙 제어 장치
110: 서버

Claims (6)

  1. 스마트 미러 시스템에 있어서,
    시술 장소에 설치된 거울 본체;
    상기 거울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거울 본체를 마주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카메라;
    상기 거울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거울 본체를 마주하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시술자의 시선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시술 장면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카메라;
    상기 시술 장소에 등록된 고객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거울 본체를 마주하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중앙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얼굴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고객 정보에 따라 상기 맞춤형 광고를 선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하고,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과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여 표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거울 본체의 후면 하단에서 상기 제1 카메라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거울 본체는 후면에 알루미늄(aluminum)을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로 진공 증착된 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필름은 알루미늄 진공 증착의 정도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투과율과 반사율이 다른 특징을 가지며, 상기 거울 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반사율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특성을 가지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부분은 반사도가 가장 낮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윗부분은 상단으로 갈수록 반사도가 높아지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시술자가 착용 가능한 안경이나 머리띠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시술 장면에 대한 촬영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송출하고,
    상기 서버에는 나이, 성별, 지역, 헤어스타일 취향, 얼굴 영상, 시술 이력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얼굴을 분석하여 상기 서버 상에 저장된 고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식별한 후 얼굴이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고객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 영상을 선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 상에 저장된 고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과거 영상과 현재 영상에 따른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일부 기능을 제공하되, 상기 맞춤형 광고와 상기 과거 영상 및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시술 장소를 방문하기 전에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예약한 후 상기 시술 장소를 방문하는 경우 상기 시술 장소의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예약된 헤어스타일이 자동으로 표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지역, 취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 영상을 선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되는 광고의 종류와 시간을 광고 노출 결과로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6. 삭제
KR1020150077377A 2015-06-01 2015-06-01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KR10161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77A KR101613038B1 (ko) 2015-06-01 2015-06-01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77A KR101613038B1 (ko) 2015-06-01 2015-06-01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038B1 true KR101613038B1 (ko) 2016-04-15

Family

ID=5580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377A KR101613038B1 (ko) 2015-06-01 2015-06-01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0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940B1 (ko) * 2016-05-12 2016-10-12 (주)엘리비젼 가상현실을 이용한 헤어 스마트 미러 시스템
KR20180030318A (ko) 2016-09-13 2018-03-22 (주)아이리녹스 욕실용 스마트 미러 장치
CN109431054A (zh) * 2018-12-24 2019-03-08 杭州小肤科技有限公司 智能梳妆镜
EP3462284A4 (en) * 2017-06-12 2019-07-17 Midea Group Co., Ltd.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INTELLIGENT MIRRO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22065684A1 (ko) * 2020-09-22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483B1 (ko) * 2011-06-17 2013-06-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인식기능을 이용하는 지능형 양방향 광고 단말기
KR101406120B1 (ko) * 2012-06-29 2014-06-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483B1 (ko) * 2011-06-17 2013-06-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인식기능을 이용하는 지능형 양방향 광고 단말기
KR101406120B1 (ko) * 2012-06-29 2014-06-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940B1 (ko) * 2016-05-12 2016-10-12 (주)엘리비젼 가상현실을 이용한 헤어 스마트 미러 시스템
WO2017195960A1 (ko) * 2016-05-12 2017-11-16 (주)엘리비젼 가상현실을 이용한 헤어 스마트 미러 시스템
KR20180030318A (ko) 2016-09-13 2018-03-22 (주)아이리녹스 욕실용 스마트 미러 장치
EP3462284A4 (en) * 2017-06-12 2019-07-17 Midea Group Co., Ltd.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INTELLIGENT MIRRO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9431054A (zh) * 2018-12-24 2019-03-08 杭州小肤科技有限公司 智能梳妆镜
WO2022065684A1 (ko) * 2020-09-22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038B1 (ko)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KR102151898B1 (ko) 가상 현실 환경 기반 신원 인증 방법 및 장치
CN107533642B (zh) 用于使用神经网络的生物特征用户识别的设备、方法和系统
KR102504245B1 (ko) 생체 인증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90228448A1 (en)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 Virtual Shopping Assistant
US10134193B2 (en) Smart mirror system for hairstyling using virtual reality
US20180357670A1 (en) Dynamically capturing,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mages based on real-time visual identification of object
WO2019105411A1 (zh) 信息推荐方法、智能镜子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377012A1 (en)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n automated shopping assistant
KR20190097815A (ko) 토탈 뷰티 스타일 추천 방법
KR20180000557A (ko) 미용실 스마트미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미용 서비스 방법
US2020011834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80089790A (ko) 사용자에게 적합한 색상의 화장품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23539159A (ja) バーチャルフィッティングサービス提供方法、装置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100830673B1 (ko) 사용자 특성반영 가상캐릭터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20092889A (ko) 피부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5874980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20210000044A (ko) 증강현실 기반 가상 피팅 시스템 및 방법
KR102200817B1 (ko)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98101B1 (ko) 성인용품 판매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0497741B1 (ko) 미용 고객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5798B1 (ko) 고객 시술 정보 관리 및 crm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70345089A1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generation and utilisation of three-dimensional body scan data
KR101976086B1 (ko) 증강된 모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5801A (ko) 증강된 가발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