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586B1 -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586B1
KR101612586B1 KR1020120090996A KR20120090996A KR101612586B1 KR 101612586 B1 KR101612586 B1 KR 101612586B1 KR 1020120090996 A KR1020120090996 A KR 1020120090996A KR 20120090996 A KR20120090996 A KR 20120090996A KR 101612586 B1 KR101612586 B1 KR 101612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crylate compound
resin composition
weight
compound ob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019A (ko
Inventor
이건우
조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9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5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HOTORESIST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MATERIAL MANUFACTURED BY USING THE PHOTORESIST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소자와 터치 패널 글라스에 사용되는 유기 박막 재료들은 높은 내구성을 지녀야 한다. 액정 표시 소자에 사용되는 유기 박막의 종류로는 컬러 필터에서 사용되는 블랙 매트릭스, 컬러 픽셀, 오버코트, 그리고 컬럼 스페이서 등이 있다. 이러한 박막 소재들은 액체 상태의 물질을 광식각법이나 열경화 방법을 이용해 경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터치 패널 글라스에서도 유기 박막 재료가 사용되는데 광절연막과 하드 코트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박막이 포함된 제품들은 제조 과정 중이나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에 대비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표면 강도를 지녀야 한다.
이에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박막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재료를 필요로 한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1-0018075호
본 명세서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바인더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66785144-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2066785144-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5의 알킬기; C1~C5의 알콕시기; -F, -Cl, -I 및 -Br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C1~C5의 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화학식 3]
Figure 112012066785144-pat00003
R12은 C1~C5의 알킬렌기이고,
R11, R13, R14,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5의 알킬기; C1~C5의 알콕시기; 또는 -F, -Cl, -I 및 -Br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C1~C5의 알킬기이며,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둘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 R5, R6,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둘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감광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감광재를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박막 및 패턴은 표면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액정 표시 소자의 컬러필터의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터치 패널의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바인더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2 이상의 아민과 2 이상의 아크릴레이트를 한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2066785144-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X1 내지 X4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15120214156-pat00035
[화학식 6]
Figure 112012066785144-pat00006
상기 화학식 6에서, Y1 내지 Y4는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7]
Figure 112015120214156-pat00036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8 또는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112012066785144-pat00008
상기 화학식 8에서, X5 내지 X10은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9]
Figure 112015120214156-pat00037
[화학식 10]
Figure 112012066785144-pat00010
상기 화학식 10에서, Y5 내지 Y10은 하기 화학식 11 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11]
Figure 112015120214156-pat00038
상기 C1~C5인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이소프로필기 등일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Figure 112015120214156-pat00039
는 치환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 내지 90 중량%이다. 이 경우 제조된 박막 또는 패턴의 표면강도는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 내지 80 중량%이다. 이 경우 제조된 박막 또는 패턴의 표면강도는 상승되면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현상성 등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또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는 산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 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내지 150,000일 수 있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5 내지 95 중량%이며, 필요에 따라, 10 내지 9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빛 또는 열에 의하여 개시되어 단량체의 중합을 개시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피플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3',4'-디메톡시페닐)-6-트리아진, 3-{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 프로판산, 2,4-트리클로로메틸-(4'-에틸비페닐)-6-트리아진 또는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비페닐)-6-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 비이미다졸 또는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등의 비이미다졸 화합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 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1-프로판-1-온(Irgacure-907) 또는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폴리노페닐)-부탄-1-온(Irgacure-369) 등의 아세토페논 계 화합물; Ciba Geigy 社의 Irgacure OXE 01, Irgacure OXE 02와 같은 O-아실옥심계 화합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또는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2,4-디에틸 티옥산톤, 2-클로로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또는 디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옥사이드 또는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 프로필 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3,3'-카르보닐비닐-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2-벤조티아졸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메톡시-쿠마린 또는 10,10'-카르보닐비스[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11H-Cl]-벤조피라노[6,7,8-ij]-퀴놀리진-11-온 등의 쿠마린계 화합물 등을 단독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개시제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이다.
본 명세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추가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착색제, 용매 및 첨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함께 첨가하여 사용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2-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프탈산, 프로필렌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산성 변형물과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상품명으로 일본 동아합성사의 TO-2348, TO-2349) 등의 다가 알코올을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등의 글리시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에 (메타)아크릴산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β-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프탈산디에스테르, β-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의 수산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다가 카르복실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부가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화합물에 실리카 분산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Hanse Chemie 사의 Nanocryl XP series(0596, 1045, 21/1364)와 Nanopox XP series(0516, 0525) 등이 있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추가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 내지 80 중량%이다.
상기 착색제는 1종 이상의 안료, 염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흑색 안료로는 카본 블랙, 흑연, 티탄 블랙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의 예로는 시스토 5HIISAF-HS, 시스토 KH, 시스토 3HHAF-HS, 시스토 NH, 시스토 3M, 시스토 300HAF-LS, 시스토 116HMMAF-HS, 시스토 116MAF, 시스토 FMFEF-HS, 시스토 SOFEF, 시스토 VGPF, 시스토 SVHSRF-HS 및 시스토 SSRF(동해카본 ㈜) ; 다이어그램 블랙 II, 다이어그램 블랙 N339, 다이어그램 블랙 SH, 다이어그램 블랙 H, 다이어그램 LH, 다이어그램 HA, 다이어그램 SF, 다이어그램 N550M, 다이어그램 M, 다이어그램 E, 다이어그램 G, 다이어그램 R, 다이어그램 N760M, 다이어그램 LR, #2700, #2600, #2400, #2350, #2300, #2200, #1000, #980, #900, MCF88, #52, #50, #47, #45, #45L, #25, #CF9, #95, #3030, #3050, MA7, MA77, MA8, MA11, MA100, MA40, OIL7B, OIL9B, OIL11B, OIL30B 및 OIL31B(미쯔비시화학㈜) ; PRINTEX-U, PRINTEX-V, PRINTEX-140U, PRINTEX-140V, PRINTEX-95, PRINTEX-85, PRINTEX-75, PRINTEX-55, PRINTEX-45, PRINTEX-300, PRINTEX-35, PRINTEX-25, PRINTEX-200, PRINTEX-40, PRINTEX-30, PRINTEX-3, PRINTEX-A, SPECIAL BLACK-550, SPECIAL BLACK-350, SPECIAL BLACK-250, SPECIAL BLACK-100, 및 LAMP BLACK-101(대구사㈜); RAVEN-1100ULTRA, RAVEN-1080ULTRA, RAVEN-1060ULTRA, RAVEN-1040, RAVEN-1035, RAVEN-1020, RAVEN-1000, RAVEN-890H, RAVEN-890, RAVEN-880ULTRA, RAVEN-860ULTRA, RAVEN-850, RAVEN-820, RAVEN-790ULTRA, RAVEN-780ULTRA, RAVEN-760ULTRA, RAVEN-520, RAVEN-500, RAVEN-460, RAVEN-450, RAVEN-430ULTRA, RAVEN-420, RAVEN-410, RAVEN-2500ULTRA, RAVEN-2000, RAVEN-1500, RAVEN-1255, RAVEN-1250, RAVEN-1200, RAVEN-1190ULTRA, RAVEN-1170(콜롬비아 카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또한, 색깔을 띄는 착색제의 예로는 카민 6B(C.I.12490), 프탈로시아닌 그린(C.I. 74260), 프탈로시아닌 블루(C.I. 74160), 페릴렌 블랙(BASF K0084. K0086), 시아닌 블랙, 리놀옐로우(C.I.21090), 리놀 옐로우GRO(C.I. 21090), 벤지딘 옐로우4T-564D, 빅토리아 퓨어 블루(C.I.42595), C.I. PIGMENT RED 3, 23, 97, 108, 122, 139, 140, 141, 142, 143, 144, 149, 166, 168, 175, 177, 180, 185, 189, 190, 192, 202, 214, 215, 220, 221, 224, 230, 235, 242, 254, 255, 260, 262, 264, 272; C.I. PIGMENT GREEN 7, 36; C.I. PIGMENT blue 15:1, 15:3, 15:4, 15:6, 16, 22, 28, 36, 60, 64; C.I. PIGMENT yellow 13, 14, 35, 53, 83, 93, 95, 110, 120, 138, 139, 150, 151, 154, 175, 180, 181, 185, 194, 213; C.I. PIGMENT VIOLET 15, 19, 23, 29, 32, 37 등이 있고, 이 밖에 백색 안료, 형광 안료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안료로 사용되는 프탈로시아닌 계 착화합물로는 구리 외에 아연을 중심 금속으로 하는 물질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착색제의 함량은 1 내지 80 중량%이다.
상기 용매는 예컨대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틸 에테르, 2-에톡시 프로판올, 2-메톡시 프로판올, 3-메톡시 부탄올,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에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메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용매의 함량은 45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고형분의 함량은 10 내지 5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명세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공정 중에 필요에 따라, 요구되는 성질을 부가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첨가제는 경화촉진제, 열중합억제제, 계면활성제, 광증감제, 가소제, 접착촉진제 및 충전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로는 예컨대 2-머캡토벤조이미다졸, 2-머캡토벤조티아졸, 2-머캡토벤조옥사졸, 2,5-디머캡토-1,3,4-티아디아졸, 2-머캡토-4,6-디메틸아미노피리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및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중합 억제제로는 예컨대 p-아니솔, 히드로퀴논, 피로카테콜(pyrocatechol), t-부틸카테콜(t-butyl catechol),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시아민 암모늄염,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시아민 알루미늄염 및 페노티아진(phenothiaz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 열중합억제제, 계면활성제, 광증감제, 가소제, 접착촉진제 및 충전제는 당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0.01 내지 20 중량%이다.
본 명세서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를 제공한다.
상기 감광재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의 컬러필터 제조용 안료분산형 감광재,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발광 소자의 블랙 매트릭스 형성용 감광재, 오버코트 층 형성용 감광재, 컬럼 스페이서 감광재, 광경화성 도료, 광경화성 잉크, 광경화성 접착제, 인쇄판, 인쇄배선반용 감광재, 기타 투명 감광재,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등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용도에 제한을 특별히 두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롤 코터(roll coater), 커튼 코터(curtain coater), 스핀 코터(spin coater), 슬롯 다이 코터, 각종 인쇄, 침적 등의 방법을 통해, 금속, 종이, 유리 플라스틱 기판 등의 지지체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필름 등의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기타 지지체 상에 전사하거나 제 1의 지지체에 도포한 후 블랭킷 등에 전사, 다시 제 2의 지지체에 전사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적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광원으로는, 예컨대 파장이 250 내지 450㎚의 광을 발산하는 수은 증기 아크(arc), 탄소 아크, Xe 아크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박막 또는 패턴의 표면강도는 0.29 GPa 내지 0.35 GPa 일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해 박막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감광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터치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LCD-TFT) 및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감광재를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컬러필터는 적색 패턴, 녹색 패턴, 청색 패턴, 블랙 매트릭스 및 오버코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는 컬럼 스페이서 및 인쇄배선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컬러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컬러필터는 기재 상에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로 형성된 적색 패턴, 녹색 패턴, 청색 패턴, 블랙 매트릭스, 오버코트층 및 컬럼 스페이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감광재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감광재는 터치패널용 광절연막 또는 하드 코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터치패널은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로 형성된 광절연막 및 하드 코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합성예 1]
디시안디아미드(dicyandiamide, cyanoguanidine) 20 몰을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과량에 녹인 후 교반시키며 70 ℃로 유지하고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glycidyl acrylate) 80 몰을 1 시간에 걸쳐 서서히 섞었다. 이후 반응물을 정제하면 [화학식 4]와 같은 구조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얻었다.
[화학식 4]
Figure 112012066785144-pat00012
상기 화학식 4에서, X1 내지 X4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15120214156-pat00040
[합성예 2]
상기 합성예 1에서,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glycidyl acrylate) 대신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1과 동일하다. 이 때 하기 화학식 6과 같은 화합물이 얻었다.
[화학식 6]
Figure 112012066785144-pat00014
상기 화학식 6에서, Y1 내지 Y4는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7]
Figure 112015120214156-pat00041
[합성예 3]
상기 합성예 1에서, 디시안디아미드(dicyandiamide, cyanoguanidine) 대신 아미노구아니딘(Aminoguanidine)을 사용하고,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glycidyl acrylate) 120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과 동일하다. 이 때 하기 화학식 8과 같은 화합물이 얻었다.
[화학식 8]
Figure 112012066785144-pat00016
상기 화학식 8에서, X5 내지 X10은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9]
Figure 112015120214156-pat00042
[합성예 4]
상기 합성예 3에서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glycidyl acrylate) 대신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3과 동일하다. 이 때 하기 화학식 10과 같은 화합물이 얻었다.
[화학식 10]
Figure 112012066785144-pat00018
상기 화학식 10에서, Y5 내지 Y10은 하기 화학식 11 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11]
Figure 112015120214156-pat00043
[실시예 1]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했다. 상기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 이루어진 바인더 수지로서, 벤질메타크릴레이트/메틸크릴산(BzMA/MAA)(몰비:70/30, Mw:24,000)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광중합 개시제로 Ciba-Geigy사의 Irgacure 369(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폴리노페닐)-부탄-1-온) 1.5 중량부 (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유기용매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를 넣어 전체 총합이 100 중량부가 되도록 한 뒤 쉐이커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혼합시킨 용액을 5마이크론 필터로 수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감광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스핀코팅 방법으로 도포하여 균일한 박막을 형성한 후 100℃ 에서 200초 동안 프리베이크 공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휘발시켰다. 건조된 박막의 두께는 약 4 마이크론이었다. 이후 지름 30 마이크론의 원형 독립 패턴 형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고압수은 램프 하에서 노광시켰다. 상기 노광된 박막을 25℃의 온도에서 0.04%의 수산화칼륨(KOH) 수용액에서 스프레이 방식으로 현상한 후, 순수로 세정하고 에어 블로잉에 의해 건조시켰다. 이후 220℃의 컨벡션 오븐에서 20분간 방치하여 박막 패턴을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대신 2.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5 중량%), 바인더 수지를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대신 46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2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대신 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10 중량%), 바인더 수지를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대신 43.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87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대신 10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20 중량%), 바인더 수지를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대신 38.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77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대신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0 중량%), 바인더 수지를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대신 33.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67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대신 20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40 중량%), 바인더 수지를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대신 28.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57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대신 2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50 중량%), 바인더를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대신 23.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47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대신 30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60 중량%), 바인더 수지를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대신 18.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7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대신 3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70 중량%), 바인더 수지를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대신 13.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27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대신 40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80 중량%), 바인더 수지를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대신 8.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17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3 중량%) 대신 4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0 중량%), 바인더 수지를 47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94 중량%) 대신 3.5 중량부(고형분을 기준으로 7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하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3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4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시예 16]
상기 실시예 5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과 동일하다.
[실시예 17]
상기 실시예 6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다.
[실시예 18]
상기 실시예 7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다.
[실시예 19]
상기 실시예 8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하다.
[실시예 20]
상기 실시예 9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과 동일하다.
[실시예 21]
상기 실시예 10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실시예 22]
상기 실시예 1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24]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하다.
[실시예 25]
상기 실시예 3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실시예 26]
상기 실시예 4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시예 27]
상기 실시예 5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과 동일하다.
[실시예 28]
상기 실시예 6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다.
[실시예 29]
상기 실시예 7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다.
[실시예 30]
상기 실시예 8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하다.
[실시예 31]
상기 실시예 9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과 동일하다.
[실시예 32]
상기 실시예 10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실시예 33]
상기 실시예 1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실시예 34]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5]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하다.
[실시예 36]
상기 실시예 3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실시예 37]
상기 실시예 4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시예 38]
상기 실시예 5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과 동일하다.
[실시예 39]
상기 실시예 6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다.
[실시예 40]
상기 실시예 7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다.
[실시예 41]
상기 실시예 8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하다.
[실시예 42]
상기 실시예 9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과 동일하다.
[실시예 43]
상기 실시예 10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실시예 44]
상기 실시예 1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하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4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5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5과 동일하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6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7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8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하다.
[비교예 9]
상기 실시예 9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과 동일하다.
[비교예 10]
상기 실시예 10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비교예 11]
상기 실시예 1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etr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3]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비교예 14]
상기 실시예 3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비교예 15]
상기 실시예 4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비교예 16]
상기 실시예 5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다.
[비교예 17]
상기 실시예 6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다.
[비교예 18]
상기 실시예 7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다.
[비교예 19]
상기 실시예 8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하다.
[비교예 20]
상기 실시예 9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과 동일하다.
[비교예 21]
상기 실시예 10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비교예 22]
상기 실시예 1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실험예 1]
박막 패턴의 표면 강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박막 패턴의 표면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나노 인덴터 장비의 버코비치(Berkovich) 팁을 이용해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실험예 2]
박막의 현상성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현상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현상시간을 변경시키며 실험을 진행했다. 기판 가장자리의 박막이 깨끗이 제거되는 시간(EBR Time, Edge-bead Remove Time)을 기준으로 현상 시간을 비교했다. 시간이 빠를수록 현상성이 우수하며 통상적으로 100 초 미만인 경우를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결과는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표 1]
실시예와 비교예의 실험 결과
Figure 112012066785144-pat00020
Figure 112012066785144-pat00021
상기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둘 이상의 아민과 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경우 고형분 기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박막 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비교예의 경우 투입량에 따른 박막의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매우 더딤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결과를 관찰해 볼 때,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1 내지 90 중량%인 경우, 제조된 박막 또는 패턴의 표면강도는 상승되면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현상성 등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바인더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120214156-pat00022

    [화학식 2]
    Figure 112015120214156-pat00023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5의 알킬기; C1~C5의 알콕시기; -F, -Cl, -I 및 -Br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C1~C5의 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화학식 3]
    Figure 112015120214156-pat00024

    R12은 C1~C5의 알킬렌기이고,
    R11, R13, R14,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5의 알킬기; C1~C5의 알콕시기; 또는 -F, -Cl, -I 및 -Br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C1~C5의 알킬기이며,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둘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 R5, R6,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둘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Figure 112015120214156-pat00044
    는 치환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15120214156-pat00025

    상기 화학식 4에서, X1 내지 X4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화학식 5]
    Figure 112015120214156-pat00045

    [화학식 6]
    Figure 112015120214156-pat00027

    상기 화학식 6에서, Y1 내지 Y4는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
    [화학식 7]
    Figure 112015120214156-pat00046

    여기서,
    Figure 112015120214156-pat00047
    는 치환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8 또는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8]
    Figure 112015120214156-pat00029

    상기 화학식 8에서, X5 내지 X10은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화학식 9]
    Figure 112015120214156-pat00048

    [화학식 10]
    Figure 112015120214156-pat00031

    상기 화학식 10에서, Y5 내지 Y10은 하기 화학식 11 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
    [화학식 11]
    Figure 112015120214156-pat00049

    여기서,
    Figure 112015120214156-pat00050
    는 치환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또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 내지 90 중량%이며,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5 내지 95 중량%이고, 상기 개시제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착색제, 용매 및 첨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추가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 내지 80 중량%이며, 상기 착색제의 함량은 1 내지 80 중량%이고,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0.01 내지 20 중량%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경화촉진제, 열중합억제제, 계면활성제, 광증감제, 가소제, 접착촉진제 및 충전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
  10. 청구항 9의 감광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9의 감광재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12. 청구항 11의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20090996A 2012-08-21 2012-08-21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12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96A KR101612586B1 (ko) 2012-08-21 2012-08-21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96A KR101612586B1 (ko) 2012-08-21 2012-08-21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019A KR20140025019A (ko) 2014-03-04
KR101612586B1 true KR101612586B1 (ko) 2016-04-14

Family

ID=5064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996A KR101612586B1 (ko) 2012-08-21 2012-08-21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5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8287A1 (en) 2010-05-03 2011-11-10 Basf Se Color filter for low temperature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8287A1 (en) 2010-05-03 2011-11-10 Basf Se Color filter for low temperature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019A (ko)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489B1 (ko)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진 옥심 에스테르를 함유한 광중합 개시제 및 이를 포함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403791B1 (ko)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356869B1 (ko)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성조성물
KR101430806B1 (ko) 불소계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498776B1 (ko)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및 감광재
KR101505720B1 (ko) 실록산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및 감광재
KR101273140B1 (ko)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KR20130091866A (ko) 감광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감광재
KR101391530B1 (ko) 감광성 조성물
KR101612586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01361B1 (ko) 실록산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및 감광제
KR101611657B1 (ko)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KR101678722B1 (ko) 피페리딘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604151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KR101472166B1 (ko)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261618B1 (ko) 가교성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KR101295491B1 (ko)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