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541B1 -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541B1
KR101612541B1 KR1020150009662A KR20150009662A KR101612541B1 KR 101612541 B1 KR101612541 B1 KR 101612541B1 KR 1020150009662 A KR1020150009662 A KR 1020150009662A KR 20150009662 A KR20150009662 A KR 20150009662A KR 101612541 B1 KR101612541 B1 KR 10161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penicinoline
composition
disease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한
김일찬
한세종
오현철
김윤철
손재학
김동철
이희숙
고원민
이동성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0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61K31/4725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23L1/3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진균 Penicillium sp. SF-5995에서 추출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메틸-페니시놀린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염증반응 관련하여 RAW264.7 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매개체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Methyl-Penicinoline}
본 발명은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진균 Penicillium sp. SF-5995에서 추출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메틸-페니시놀린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신체 방어 시스템에서 시, 공간적으로 조절되는 주요 과정이다. 그러나, 조절되지 않는 염증반응은 간염, 패혈성 쇼크, 관절염 및 퇴행성 신경질환 등의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대식세포는 염증과 신체 방어 메카니즘에서 중심 역할을 한다. 다양한 내인성 또는 외인성 자극들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α), 인터루킨-1베타(IL-1β), 산화질소(NO) 및 프로스타그란딘(PGs)과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매개체를 생성한다. 이 과정은 염증 반응의 필수적 특징이다(Fujihara et al., Pharmacol. Ther. 100:171194, 2003). 이러한 반응은, 지질다당류류(LPS)의 자극에 매우 민감하고 복합적 염증 신호의 활성화에 반응하는, RAW 264.7 대식세포를 지질다당류로 자극하여 광범위하게 연구하고 있다(Doyle et al., Biochem. Pharmacol. 72:1102-1113, 2006).
미세아교세포는 다양한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두뇌 대식세포로 간주되고 있다. 미세아교세포의 과활성화 또는 지속적인 활성화는 뇌졸중,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 및 HIV-관련 치매를 포함한 여러 퇴행성 신경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Brown et al., Mol. Neurobiol. 27:325-355, 2003). 따라서, 전염증성 효소와 사이토카인의 억제는 신경 퇴행성 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 불멸화된 뮤린 미세아교세포주인, BV2 미세아교세포는 1차 미세아교세포의 형태와 기능적 특성의 대부분이 유지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미세아교세포의 인-비트로 모델로 사용된다(Block et al., Nat. Rev. Neurosci. 8:57-69, 2007).
염증 반응의 차단은 치료제 개발을 위한 타겟이다(Bocchini et al., J. Neurosci. Res. 31:616-621, 1992). 따라서, 천연물이 특이 염증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신규 소분자의 잠재적 원천으로 조사되고 있다(Choi, R.J. et al., Int. Immunopharmacol. 18:182-190, 2014; Rogerio et al., Pharmacol. Res. 62:298-307, 2010; Pan, M.H. et al., Food Funct. 1:15-31, 2010).
해양 환경의 고유한 특성으로, 해양 진균은 다양한 신규 이차 대사산물의 잠재적 원천이다(D'Orazio, N. et al., Mar. Drugs 10:812-833, 2012; Senthilkumar, K. et 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572-859, 2013; Fenical, W. et al., Nat. Chem. Biol. 2:666-673, 2006; Bugni, T.S. et al., Nat. Prod. Rep. 21:143-163, 2004). 여러가지 해양 진균에서 분리된 생리활성 이차 대사산물로부터,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Saleem, M. et al., Nat. Prod. Rep. 24:1142-1152, 2007; Lee, D.S. et al., J. Pharmacol. Sci. 116:283-295, 2011; Lee, D.S. et al., Mar. Drugs 11:1409-1426, 2013; Lee, S.U. et al., J. Nat. Prod. 74:1284-1287, 2011).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해양 진균 유래의 생리활성 이차 대사산물을 이용한 항염증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Penicillium sp. SF-5995로부터 추출된 메틸-페니시놀린의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RAW264.7 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항염증 및 항신경염증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틸-페니시놀린(methy-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06149415-pat00001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염증반응 관련하여 RAW264.7 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매개체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RAW264.7 대식세포(A)와 BV2 미세아교세포(B)에서의 세포 생존능에 대한 메틸-페니시놀린(5-160μM)의 효과이다.
도 2는 RAW264.7 대식세포를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간 전처리 후, 24시간 LPS(1 ㎍/mL) 자극으로 유도되는 질산염(A), PGE2 (B), IL-1β (C) 및 IL-6 (D)의 농도를 측정하여, 메틸-페니시놀린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BV2 미세아교세포를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 전처리 후, 24시간 LPS(1 ㎍/mL) 자극으로 유도되는 질산염(A), PGE2 (B), IL-1β (C) 및 IL-6 (D)의 농도를 측정하여, 메틸-페니시놀린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RAW264.7 대식세포를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 전처리 후, 24시간 LPS(1 ㎍/mL) 자극으로 유도되는 COX-2 (A)와 iNOS (B) 발현에 대한 메틸-페니시놀린 효과를 웨스턴블롯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BV2 미세아교세포를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 전처리 후, 24시간 LPS(1 ㎍/mL) 자극으로 유도되는 (A) COX-2 와 (B) iNOS 발현에 대한 메틸-페니시놀린 효과를 웨스턴블롯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RAW264.7 대식세포를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 전처리 후, 30분간 LPS에 의해 유도되는 NF-κB 활성에 대한 메틸-페니시놀린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A) IκB-α와 p-IκB-α, (B) 핵추출물에서 NF-κB의 p65와 p50를 웨스턴블롯으로 분석, (C) NF-κB ELISA (Active Motif) kit를 사용하여 핵 추출물에서 NF-κB 결합 정도를 측정.
도 7은 BV2 미세아교세포를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 전처리 후, 30분간 LPS에 의해 유도되는 NF-κB 활성에 대한 메틸-페니시놀린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A) IκB-α와 p-IκB-α, (B) 핵추출물에서 NF-κB의 p65와 p50를 웨스턴블롯으로 분석, (C) NF-κB ELISA (Active Motif) kit를 사용하여 핵 추출물에서 NF-κB 결합 정도를 측정.
도 8은 RAW264.7 대식세포를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 전처리 후, 30분간 LPS (500 ng/mL)에 의해 유도되는 (A) ERK 인산화(p-ERK) (B) JNK 인산화 (p-JNK) 및 (C) p38 MAPK 인산화 (p-p38 MAPK) 단백질 발현에 대한 메틸-페니시놀린의 효과를 웨스턴블롯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9는 BV2 미세아교세포를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 전처리 후, 30분간 LPS (500 ng/mL)에 의해 유도되는 (A) ERK 인산화(p-ERK) (B) JNK 인산화 (p-JNK) 및 (C) p38 MAPK 인산화 (p-p38 MAPK) 단백질 발현에 대한 메틸-페니시놀린의 효과를 웨스턴블롯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Penicillium sp. SF-5995로부터 추출한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이 RAW264.7 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산화질소, PGE2 및 IL-1β 생성을 억제, iNOS 및 COX-2 발현을 억제하고, IκB-α의 인산화 수준을 감소시키며, NF-κB 활성화를 억제, JNK 및 p38 MAPK 인산화 수준을 감소시킴으로써,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메틸-페니시놀린(methy-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메틸-페니시놀린(methy-penicinoline)은 남극 테라 노바만에서 채집한 산호로부터 분리한 Penicillium sp. SF-5995에서 추출한 항염증 활성을 갖는 화합물로, 상기 메틸-페니시놀린(methy-penicinoline)은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06149415-pat00002
본 발명의 메틸-페니시놀린(methy-penicinoline)은 항염증 및 항신경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은 관절염, 비염, 간염, 각막염, 위염, 장염, 신장염,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췌장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화상 염증, 피부염, 치주염, 치은염 및 퇴행성 신경염증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퇴행성 신경염증은 알츠하미어병, 파킨슨병, HIV-관련 치매(HAD), 헌팅턴병, 루게릭병,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뇌졸중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 산화질소(NO), 프로스타그란딘 E2(PGE2) 및 인터루킨-1β(IL-1; interleukin-1β)의 생성 억제;
2) 유도성 산화질소 효소(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발현 억제;
3) IκB-α(inhibitor kappa B-α)의 인산화 수준 감소;
4) NF-κB(nuclear factor kappaB)의 활성화 억제; 및
5) EPK, JNK 및 p38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 수준 감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액제, 현탁액, 동결 건조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0,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건강상태, 체중, 연령, 성별, 식이, 배설율,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시간, 투여경로 및 투여기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1~10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1~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06149415-pat00003
본 발명의 식품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건강기능 식품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라말린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프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식품 또한, 식품조성물로써 기능성 식품, 영양보조제, 건강 식품, 식품 첨가제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 예컨대, 앞서 언급한 라말린을 차, 쥬스,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분말화 하거나,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을 음료, 과실 및 가공식품,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 빵류, 면류, 조미료 등 각종 식품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06149415-pat00004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등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본원에서 "염증"이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각종 유해한 자극에 의한 상해를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생체방어 기전이다. 염증의 자극에는, 감염 혹은 화학적, 물리적 자극이 있으며, 염증의 과정은 급성과 만성 염증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급성염증은 수일이내의 단기적인 반응이며, 혈장성분이나 혈구 등이 미소순환계를 게재하여 이물 제거에 관련한다. 만성염증은 지속시간이 길며, 조식의 증식등이 보여진다.
본원에서 "산화질소"는 세포 내 염증반응 유발시 산화질소 합성효소에 의해 생성량이 증가하는 물질로, 염증반응의 지표가 되는 분자이다. 신경계에서 산화질소는 신경세포에 존재하는 신경계 산화질소 합성효소(NOS)에 의하여 합성된다. 상기 합성된 산화질소는 뇌세포에서 cGMP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인지한 정보를 오랫동안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산화질소(NO)는 자유 라디칼로 생리학적, 병리학적 과정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NO는 산화질소 합성효소에 의해 엘-아르기닌(L-Arginine) 산화에 의해 합성된다(Atkan, et al., 75: 639-653, 2004).
본원에서 "COX-2"는 염증반응과 관련된 단백질인 프로스타그란딘을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효소로, 세포내 COX-2 발현 수준의 증가는 염증반응이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
"프로스타그란딘 E2(PGE2)"는 프로스타그란딘 엔도페록시드 합성효소라고 불리는 COX-2에 의해 염증 부위에서 생성되는 다른 염증 매개체이다. PGE2는 많은 심장혈관 질환,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및 만성 위궤양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과 관련되어 있다(St-Onge, M. et al., Biochim.Biophys.Acta. 1771:1235-1245, 2007; Turini, M.E. et al., Annu.Rev.Med. 53:35-57, 2002; Rocca, B. et al., Int.Immunopharmacol. 2: 603-630, 2002; Singh, V.P. et al., Pharmacology 72:77-84, 2004).
본원에서 "MAPK"는 성장인자 등이 세포막에 위치한 수용체를 활성화하려면 이 신호를 세포막으로부터 핵으로 전달함으로써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주요 신호전달계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해양진균의 분리 및 확인
Penicillium sp. SF-5995는 2012년 1월에 남극 테라 노바만(74, 37' 39.895" S, 164, 14' 26.895" E)의 수심 4.5 ~ 21m 아래의 산호에서 채취하여 분리하였다. 표본은 멸균 플라스틱 백에 저장하였고, 실험실에 수송되어 다른 과정을 수행하기 전까지 냉동으로 유지하였다.
표본의 1g을 막자사발과 막자로 분쇄 후 멸균 바닷물(10mL)과 혼합한 후, 일부(0.1 mL)를 바닷물을 포함하는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로 25℃에서 14일간 배양하였다. 여러 번 분리, 정제 후, 글리세롤 서스펜션(20%, w/v)에 -70℃로 보관하였다.
리보솜 RNA(rRNA)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SF-5995의 28S rRNA 유전자(GenBank accession number KF562347)는 Penicillium steckii (HM469415), Penicillium chrysogenum (FJ890400) 및 Penicillium paxilli (FJ890402)와 각각 99.63%, 98.63% 및 98.01%의 유사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해양진균 유래의 SF-5995는 Penicillium sp.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Penicillium sp. SF-5995은 한국생물자원센터에 균주를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2743BP).
실시예 2: 메틸-페니시놀린의 분리 및 구조결정
해양 진균 Penicillium sp. SF-5995는 0.4% (w/v) potato starch, 2% (w/v) dextrose, 3% (w/v) NaCl, 1.5% (w/v) 한천(agar)이 포함된 PDA 배지로 25℃에서 14일간 배양한 후, 에틸아세테이트(4 x 1000 mL)로 추출하여 474.3 mg의 추출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C18-functionalized silica gel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20, 40, 60, 80 및 100%의 메탄올로 단계적으로 용출시켜서 분리하였다. 60% 메탄올로 용출한 분획(32.1 mg)을 역상 HPLC를 사용하여 40 ~ 60%의 메탄올로 50분 동안 농도구배를 주고 화합물 1[2.0 mg, t R=31.3min]을 정제하였다.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는 NMR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NMR 스펙트라(1D 및 2D)는 JEOL JNM ECP-400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DMSO-d 6를 기록하였으며, 1H은 400MHz, 13C은 100MHz에서 작동하였고, 화학 이동은 잔류용매의 피크(δHC=2.50/39.5)에 따라 상대적 기준으로 하였다. HSQC 및 HMBC 실험은 1 J CH = 140 Hz과 n J CH=8Hz으로 각각 최적화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octadecyl-functionalized silica gel C18(12nm, S-75㎛, YMC, Japan)과 실리카 겔 60(silica gel 60; 230-400 mesh, Merck,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는 silica gel 60 F254 plates(Merck, Germany)로 수행하였으며,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PLC,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는 Yamazen MPLC system과 Ultra Pak SI-40A silica gel column(11 x 300 mm, Yamazen, Japan)으로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한 메틸-페니시놀린 NMR 구조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400 MHz, DMSO-d 6 ) δ: 11.80 (1H, s, 7-NH), 8.06 (1H, d, J = 8.0 Hz, H-12), 7.69 (2H, br d, H-9, H-10), 7.35 (1H, dt, J = 8.0 Hz, 4.0 Hz, H-11), 7.13 (1H, br t, H-3), 6.46 (1H, br d, J = 3.9 Hz, H-1), 3.67 (3H, s, H-17); 13C-NMR (100 MHz, DMSO-d 6 ) : 174.1 (C-14), 168.3 (C-16), 141.2 (C-6), 140.3 (C-8), 132.8 (C-10), 125.3 (C-12), 124.8 (C-13), 124.1 (C-11), 123.6 (C-5), 123.1 (C-3), 119.2 (C-9), 114.0 (C-14), 112.4 (C-1), 110.4 (C-2), 52.5 (C-17).
[화학식 1]
Figure 112015006149415-pat00005
이에, 상기 화화식 1의 메틸-페니시놀린을 분리 추출하고, 구조를 결정하였다.
실시예 3: 메틸-페니시놀린의 세포독성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메틸-페니시놀린의 세포독성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RAW264.7 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확인하였다.
10% FBS, 페니실린 G (100 units/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g/mL) 및 L-글루타민(2 mM)이 함유된 DMEM(Gibco BRL Co, USA) 배지에서 RAW264.7 대식세포 및 BV2 미세아교세포(5 x 105cells/mL)를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나타내는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으로 확인하였다(Berridge et al., Arch. Biochem. Biophys. 303:474-482, 1993). 포마잔(formazan)의 형성은 살아있는 세포내 기능적 미토콘드리아 수에 비례한다.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2.5 mg/mL MTT 50 μL을 96-well plates의 1 x 105cells/mL 세포에 첨가하여 최종 농도 0.5 mg/mL로 37℃에서 3-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형성된 포마잔은 산성 2-프로판올에 용해시켜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틸 페니시놀린 5~160μM로 24시간 동안 배양 한 (A) RAW264.7 대식세포, (B) BV2 미세아교세포의 세포 생존능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즉, 메틸-페니시놀린 5-160 μM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 후 실시예에서는 5-160 μM 농도 범위의 메틸-페니시놀린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메틸-페니시놀린의 전염증성 매개체 및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
염증 매개체가 활성화될 때, 대식세포는 염증 부위에서 NO를 생성한다(Ohshimaet al., 16:784-789, 2010).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염증성 매개체 및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측정하였다.
iNOS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NO 산화의 최종산물인 질산염의 생성을 Griess 방법(Titheradge et al., Meth. Mol. Biol. 100:83-91, 1998)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NO, PGE2, IL-6 및 IL-1β의 농도는 ELISA kit(R&D system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1: RAW264.7 대식세포에서 NO, PGE 2 , IL-6 및 IL-1β의 생산
LPS(1 ㎍/mL)로 24시간 자극한 RAW264.7 대식세포에서 메틸-페니시놀린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10-80 μM의 비세포독성 농도 범위의 메틸 페니시놀린의 처리시 전염증성 매개체인 NO와 PGE2를 평가하였다.
RAW264.7 대식세포를 30분간 메틸-페니시놀린으로 전처리 후, 24시간동안 LPS(1 ㎍/mL)로 자극한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 처리군은 대조군 그룹에 비해 배양 배지에서 질산염 농도를 약 10배 정도 증가시킨다. 또한, 메틸-페니시놀린 전처리는 IC50 값은 42μM로 NO의 생성을 감소시켰다(도 2A). 동일한 조건에서, 메틸-페니시놀린은 농도-의존적으로 PGE2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IC50 값은 39μM로 나타났다(도 2B). 따라서 메틸-페니시놀린은 LPS에 의해 유도되는 전염증 매개체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전염증 사이토카인 IL-1β 및 IL-6를 측정한 결과,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틸-페니시놀린으로 전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IL-1β 생성이 감소되고(도 2C), IC50 값이 36μM으로 나타난 반면, IL-6의 생성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2D).
4-2: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NO, PGE 2 , IL-6 및 IL-1의 생산
LPS(1 ㎍/mL)로 24시간 자극한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메틸-페니시놀린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다(Lynch et al., Glia 29:1-13, 2000).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 처리군은 대조군 그룹에 비해 배양 배지에서 질산염 농도를 약 10배 정도 증가시킨다. 또한, 미세아교세포에 30분간 메틸-페니시놀린의 전처리는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을 감소시키며, IC50 값은 49μM을 나타냈다(도 3A). 동일한 조건에서, 메틸 페니시놀린은 농도-의존적으로 PGE2 생성을 감소시키며, IC50은 34μM로 나타났다(도 3B).
또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전염증 사이토카인 IL-1β는 메틸-페니시놀린 농도 의존적으로 생성이 감소하였고, IC50 값은 34μM로 나타났으나(도 3C), IL-6의 생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3D).
실시예 5: 메틸-페니시놀린의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LPS에 의해 유도되는 Toll-like receptor 4의 발현 및 iNOS의 발현 증가에 의해 NO 생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알려져있으며(Heo, S.K. et al., Immunol. Lett. 120:57-64, 2008),COX-2는 프로스타그란딘 생성에 촉매작용을 하는 유도 효소이다(Minghetti, L. et al., J. Neuropathol. Exp. Neurol. 63:901-910, 2004; Kim, J.B. et al., Biol. Pharm. Bull. 30:2345-2351, 2007).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LPS에 의해 유도되는 iNOS와 COX-2의 발현에 대한 메틸-페니시놀린의 효과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RAW264.7 대식세포 및 BV2 미세아교세포를 200 x g로 3분간 원심분리하여, 프로테아제 저해제 혼합물(0.1 mM PMSF, 5 mg/mL 아프로티닌, 5 mg/ml 펨스타틴 A, 1 mg/ml 키모스타틴)이 포함된 20 mM Tris-HCl 버퍼(pH 7.4)로 용해시켰다. 단백질 농도는 Lowry protein assay kit(Sigma; P5626)으로 측정한 후, 30 ㎍ 단백질을 12% SDS-PAGE로 전기영동하였다. 이 후, ECL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Bio-Rad, USA)로 트랜스퍼하여, 1차 항체(항-iNOS, 항-COX-2: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및 2차 항체(Cell Signaling, USA)와 반응시키고 ECL(Amersham Pharmacia Biotech, USA)로 검출하였다.
RAW264.7 대식세포 및BV2 미세아교세포를 비세포독성 농도 범위인 10~80μM의 메틸-페니시놀린으로 전처리 후, LPS(1 ㎍/mL)로 자극하였다. 그 결과, 메틸-페니시놀린이 농도-의존적으로, LPS에 의해 유도되는 COX-2(도 4A, 5A)와 iNOS(도 4B, 5B)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메틸-페니시놀린이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카므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매개체를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메틸-페니시놀린의 IκB-α 인산화 및 NF-κB 활성에 미치는 영향
NF-κB는 iNOS, COX-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위한 중요 전사인자로(Moynagh et al., J. Cell. Sci. 118:4589-4592, 2005), 두개의 서브유닛(p65 및 p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불활성 헤테로다이머는 세포질에 존재하여, IκB-α 단백질에 결합하여 IκB-α를 억제한다(Gomez, P.F. et al., J. Immunol. 175:6924-6230, 2005). LPS와 같은 전염증 신호에 의한 자극으로, IκB kinase에 의해 인산화된 IκB-α는 26S 프로테아좀-매개 경로를 통해 분해되어 NF-κB를 핵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한다(Strayhorn, W.D. et al., Arch. Biochem. Biophys. 40:76-84, 2002).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LPS에 의해 유도되는 전염증 효소와 매개체의 생성을 억제하는 메틸-페니시놀린의 메카니즘을 IκB-α의 인산화 및 분해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6-1: IκB-α 인산화
RAW264.7 대식 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의 세포질 및 핵 단백질은, 프로테아제 억제 칵테일 I(EMD Biosciences, USA)과 1mM PMSF가 포함된 PER-Mammalian 단백질 추출 버퍼(1:20, w:v) (Pierce Biotechnology, US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세포질 분획은 4℃에서 10분 동안 15,000 x g 로 원심분리하여 준비하였으며, 핵과 세포질 단백질의 추출은 NE-PER 핵 및 세포질 추출 시약(Pierce Biotechnology, USA)을 각각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식세포내 IκB-α는 LPS 처리(1시간, 500 ng/mL) 후 분해되고 인산화되었으나, 20~80μM의 농도의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간 전처리한 경우에는 NF-κB(p50 및 p65)의 핵으로의 이동이 억제되고, LPS에 의해 유도되는 IκB-α의 인산화와 분해가 현저하게 저해되었다. LPS 처리 1시간 후에 핵내 p50 및 p65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메틸-페니시놀린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도 6B).
6-2: NF-κB DNA 결합 활성
RAW264.7 대식세포에서 메틸-페니시놀린 처리 후 COX-2와 iNOS의 유전 발현이 감소가 NF-κB의 결합 활성 억제와 연관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메틸-페니시놀린 20, 40 또는 80 μM을 30분간 처리한 후, 핵 추출물을 준비하여 Trans-AM NF-κB binding assay(Active Motif)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RAW264.7 대식 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는 메틸-페니시놀린으로 처리 후, LPS로 30분간 자극하여 실시예 6-1의 방법으로 세포질 및 핵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20 ㎍의 핵 단백질을 complete lysis 버퍼에 희석힌 20 ㎕ 샘플과 30 ㎕ complete DNA binding 버퍼(DTT, herring sperm DNA, 결합 버퍼 AM3)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시켰다. 이 후, 100 ㎕ NF-κB 항체(1:1000)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키고, 100 ㎕ HRP-결합 항체(1:1000)로 1시간 반응시켰다. 100 ㎕ 현상액을 첨가하여 5분후 정지액으로 반응을 중단하고,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LPS로 30분간 자극한 대식세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NF-κB DNA-결합 활성이 약 4배 정도 증가하였다. 또한, BV2 미세아교세포에서도 NF-κB 활성화에 대한 메틸-페니시놀린의 유사한 효과가 관찰되었다(도 7). 이로써, 메틸-페니시놀린의 항염증 효과가 NF-κB 활성화 억제와 관련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메틸-페니시놀린의 MAPK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MAPK 경로는 염증 반응 동안 활성된 대식세포에 의해 전염증성 매개체의 방출과 합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호 경로 중 하나이다(Bondeson et al., Gen. Pharmacol. 29:127-150, 1997). 여러 MAPK 패밀리 단백질에서 특히 EPK, JNK 및 p38은 항염증제 개발을 위한 중요한 타겟으로 여겨진다(Zhang et al., Cell. Mol. Life Sci. 64:2771-2789, 2007).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메틸-페니시놀린에 의해 억제되는 염증반응이 MAPK 경로에 의해 매개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대식세포 및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p38과 ERK, JNK의 인산화에 대한 메틸-페니시놀린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W264.7 대식세포포의 EPK, JNK 및 p38의 인산화 수준은 LPS로 30분 처리 후에 증가하였으나, 10~80μM의 농도의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간 전처리한 경우는 LPS에 의해 유도되는 JNK의 인산화만이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고(도 8B), ERK 및 p38의 인산화에는 영향이 없었다. 반면, LPS는 EPK, JNK 및 p38의 발현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이로써, 메틸-페니시놀린이 MAPK-JNK 신호 경로의 저해를 통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V2 미세아교세포에 10~80μM의 농도의 메틸-페니시놀린으로 30분간 전처리한 경우, LPS에 의해 유도되는 p38의 인산화가 메틸-페니시놀린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으나(도 9C), EPK 및 JNK의 인산화에는 영향이 없었다. 반면, LPS는 EPK, JNK 및 p38의 발현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이로써, 메틸-페니시놀린이 p38 MAPK 신호 경로의 저해를 통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743BP 20150113

Claims (9)

  1.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06149415-pat00006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은 해양진균 Penicillium sp. SF-5995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관절염, 비염, 간염, 각막염, 위염, 장염, 신장염,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췌장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화상 염증, 피부염, 치주염, 치은염 및 퇴행성 신경염증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신경염증은 알츠하미어병, 파킨슨병, HIV-관련 치매(HAD), 헌팅턴병, 루게릭병,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뇌졸중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 산화질소(NO), 프로스타그란딘 E2(PGE2) 및 인터루킨-1β(IL-1; interleukin-1β)의 생성 억제;
    2) 유도성 산화질소 효소(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발현 억제;
    3) IκB-α(inhibitor kappa B-α)의 인산화 수준 감소;
    4) NF-κB(nuclear factor kappa B)의 활성화 억제; 및
    5) JNK 또는 p38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 수준 감소.
  7.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페니시놀린(Methyl-penicinoline)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5006149415-pat00007
KR1020150009662A 2015-01-21 2015-01-21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62A KR101612541B1 (ko) 2015-01-21 2015-01-21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62A KR101612541B1 (ko) 2015-01-21 2015-01-21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541B1 true KR101612541B1 (ko) 2016-04-15

Family

ID=5580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662A KR101612541B1 (ko) 2015-01-21 2015-01-21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541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S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1, 2(11), 866-869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0, 20(11), 3284-3286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2012, 60(11), 1458-146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Investigation of constituents from Cinnamomum camphora (L.) J. Presl and evaluation of their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Yoon et al. Anti-neuroinflammatory effect of aurantiamide acetate from the marine fungus Aspergillus sp. SF-5921: Inhibition of NF-κB and MAPK pathways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mouse BV2 microglial cells
KR101271562B1 (ko) 올레아놀린산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Zhao et al. Steroidal alkaloid solanine A from Solanum nigrum Linn. exhib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lipopolysaccharide/interferon γ-activated murine macrophages and animal models of inflammation
KR101621851B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640219B1 (ko) 벤즈알데히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12541B1 (ko) 메틸-페니시놀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195831A (ja) IκBキナーゼ阻害剤
TW202313064A (zh) 新穎異黃酮化合物
KR20160045980A (ko) 아렌시아미드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36217A (ko)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47377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331782B1 (ko) 해양 유래 진균 페니실리움 글라브룸(Penicillium glabrum) SF-7123의 대사체를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당뇨용 조성물
KR101705253B1 (ko) 세룰레닌 또는 세룰레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46916B1 (ko) 베타-카르볼린 알칼로이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3869B1 (ko) 디히드로이소쿠마린 유도체를 함유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11799B1 (ko) 동백나무 뿌리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548605B1 (ko) 인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시르투인 활성화로 치료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50250715A1 (en) Remedy
KR20110053639A (ko) 모르피난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또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40039809A (ko) 소야사포닌 Aa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5554B1 (ko) 택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3870B1 (ko) Tmc-256c1을 함유하는 염증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13053077A (ja) 美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