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266B1 -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266B1
KR101612266B1 KR1020140049162A KR20140049162A KR101612266B1 KR 101612266 B1 KR101612266 B1 KR 101612266B1 KR 1020140049162 A KR1020140049162 A KR 1020140049162A KR 20140049162 A KR20140049162 A KR 20140049162A KR 101612266 B1 KR101612266 B1 KR 101612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entrance
signal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960A (ko
Inventor
엄정임
박성걸
Original Assignee
금부전자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부전자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부전자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26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은 보안 대상지역(2)의 출입구(1)에 배치되어 출입자를 감시하는 감지부(3)와; 보안대상지역(2)을 순찰하는 순찰자가 휴대하여 보안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5)와; 그리고 감지부(3) 및 단말기(5)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여 각 출입구(1) 및 보안대상지역(2)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중앙 제어부(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combined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대상지역에 통합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상황실과 양 방향으로 연동함으로써 외부자의 출입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순찰자가 RFID가 장착된 감시 단말기를 휴대하여 보안대상지역에 접근시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보안 공백을 줄일 수 있는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범죄 사건, 사고, 테러 등 외부의 위험요인이 증가하고 있고, 그 형태도 다양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험에 대응하여 보안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보안수요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보안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경비원 등 인력에 의하여 감시하는 방식과, 센서 등 전자장비에 의하여 감시하는 방식 등 다양한 보안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전자장비에 의한 감시방식의 경우, 보안 대상지역에 각 구역별로 감지센서를 배치하고, 이들 감지센서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해당 감지센서에 외부자가 감지되면 상황실에 신호가 전달되거나, 경광등, 경보음이 발생함으로써 외부 침입이 있음을 전파하게 된다.
혹은 경비인력이 보안 대상지역을 주기적으로 순찰을 하거나, 신고가 접수되었을 때 현장에 출동하여 직접 확인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안시스템은 보안 대상지역의 면적이 광범위한 경우, 특히 군부대와 같이 감시지역이 넓고, 산악지역인 경우에는 감지센서들과 상황실간의 거리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외부자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감지센서와 상황실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신호케이블의 절단, 파손 등으로 인하여 감시 체계가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는 무선인 경우에는 감지센서의 출력문제 등으로 인하여 신호의 전달거리에 한계가 있어서, 산악지역인 경우에는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이 발생할 수도 있어서 침입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지 못할 수도 있다.
특허출원 제10-2008-121832호(명칭:에스아이피 기반의 통합보안 관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보안대상지역에 통합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상황실과 양 방향으로 연동함으로써 외부자의 출입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순찰자가 감시 단말기를 휴대하여 보안대상지역에 접근시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보안 공백을 줄일 수 있는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는 보안 대상지역(2)의 출입구(1)에 배치되어 출입자를 감시하는 감지부(3)와;
보안대상지역(2)을 순찰하는 순찰자가 휴대하여 보안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5)와; 그리고
감지부(3) 및 단말기(5)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여 각 출입구(1) 및 보안대상지역(2)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중앙 제어부(7)를 포함하며,
중앙 제어부(7)는 전환 컨트롤 보드(25)와;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여 처리하는 제어모듈(27)과, 제어모듈(27)에 의하여 처리되는 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모니터(33)와,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포트(23), 제어모듈(27)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를 각 감지부(3) 및 단말기(5)로 송수신하는 RF 모듈(31)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를 포함하며,
제어모듈(13)은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70)와,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각 단말기 ID를 파악함으로써 각 출입구 근처의 순찰자 상황을 파악하는 ID 연산부(72)와, 각 출입구의 순찰자중 이상이 발생한 출입구로 이동할 순찰자들을 결정하는 단말기 관리부(76)와, 해당 출입구로 이동하는 순찰자의 단말기(5)에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78)를 포함하며,
방향 표시부(78)는 순찰자의 단말기(5)에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기(5)의 디스플레이 창에 방향을 표시하거나 엘이디 램프를 점멸시킴으로써 방향을 표시하며,
단말기 관리부(76)는 해당 출입구(1) 및 다른 출입구의 순찰자들을 상황을 파악하고 해당 출입구(1)로 이동할 순찰자와 현 위치를 유지할 순찰자들을 결정하여 지시함으로써 감시업무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ISM Band 및 지정주파수의 양방향 유.무선데이터 송수신 통신환경을 활용한 보안대상지역의 출입 통제에 관한 통합보안관리 솔루션으로 유사시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침입 및 기존 유선환경에서의 절단, 쇼트 등으로 인한 출입보안통제의 취약점을 강화하고 각 보안대상지역의 출입 이상 유무를 감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출입구에 설치되는 통합감지센서(열감지, 충격감지, 온도감지, 빛감지, 화재감지 등)를 통하여 발생된 변화신호를 디지털 데이터화 하여 GUI관리콘솔의 통합관리시스템 및 단말기별 소지 관리자에게 위험신호와 데이터신호를 송신함으로서 즉각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현재의 운영상황을 디지털 데이터로 송신 장비의 RF Signal Level 값, 온도상태, 잠금장치 상태, 배터리의 잔량 표시, 기타 옵션 등의 상태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서 향상된 운영 상태와 보안성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기존의 유선방식에서 나타나는 설치상의 난해한 전선 매립으로 인한 단점을 개선하고 양방향 유.무선데이터송수신 방식으로 설치 운영에 쉽고 빠른 점을 감안하여 특수 목적으로 언제든지 사용자가 직접 적용 가능함으로써 외부의 노출 및 침입으로 인한 자산, 인명손실에 적극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침입으로 인한 위험도를 낮추어 안정된 감시활동과 각종 관리업무의 효율성을 증진시켜 보안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셋째, 유.무선통신 상에서 복합감지센서와 통합관리시스템의 운영관리서버 간의 양방향 유.무선통신 보안 관리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응용분야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보안 관리의 중요한 축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보안 신용도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다수의 출입구중 이상이 발생한 출입구의 위치를 순찰자가 휴대한 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순찰자가 신속하게 해당 출입구에 접근할 수 있으며, 순찰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일부 순찰자는 현 위치에 대기하고 다른 순찰자를 이상이 발생한 출입구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든 출입구의 감시업무가 공석없이 항상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연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구의 감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감지부의 송수신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감지부의 RFID 센서와 휴대용 단말기의 RFID 태그간의 연동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상황실의 중앙 제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중앙 제어부의 제어모듈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중계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은 보안 대상지역(2)의 출입구(1)에 배치되어 출입자를 감시하는 감지부(3)와; 보안대상지역(2)을 순찰하는 순찰자가 휴대하여 보안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5)와; 감지부(3) 및 단말기(5)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여 각 출입구(1) 및 보안대상지역(2)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중앙 제어부(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통합 보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보안 대상지역(2)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관리 시스템이 감시 가능한 지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건물일 수도 있고, 일정 면적의 평지일 수도 있고, 혹은 야산을 중심으로 한 섹터일 수도 있다. 특히, 군부대의 경우 광활한 섹터에 대한 경계임무를 수행하므로 보안 대상지역(2)은 상당히 확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안 대상지역(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구(1)가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보안 상황에 따라 다수개의 출입구(1)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출입구(1)에는 상기한 감지부(3)가 배치됨으로써 출입하는 모든 대상(이하, 출입자)을 감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지부(3)는 출입구(1)에 배치되어 출입자가 지나가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와; 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 및 제어하여 중앙 제어부(7) 및 단말기(5)에 송수신하며, 중앙 제어부(7) 및 단말기(5)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서로 연동하는 송수신 유닛(4)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감지부에 있어서, 감지센서(S)는 다양한 방식의 감지센서(S)를 의미하며, 예들 들면 마그네틱 센서, 열 감지 센서, 화재감지센서, 충격감지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광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센서는 어느 하나만이 적용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센서가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센서(S)의 감지신호는 송수신 유닛(4)으로 전송됨으로써 송수신 유닛(4)은 출입구(1)의 이상유무를 파악하고, 중앙 제어부(7)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유닛(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S)의 신호가 입력되는 센서포트(9)와; 전환 컨트롤 보드(11)와;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모듈(13)과; 제어모듈(13)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를 중앙 제어부(7)로 송수신하거나, 단말기(5)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모듈(15)과; 송수신 유닛(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와; 휴대용 단말기(5)와 RFID 통신을 할 수 있는 RFID(21)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포트(9)는 복수개의 포트가 배치됨으로써 각 센서(S)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그네틱 센서, 열 감지 센서, 화재감지센서, 충격감지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광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이 포트(9)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서포트(9)는 센서(S)만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전원, 경광등과 같은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한 향후 센서(S)가 추가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예비포트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전환 컨트롤 보드(11)는 각 센서포트(9)와, 전원 공급부(10)와, RFID(21)와 연동하고, 신호를 제어모듈(13)에 출력한다.
이러한 전환 컨트롤 보드(11)는 다양한 포트가 배치되며, 예를 들면, 각 센서 포트 10개, AC전원 포트, DC전원 포트, 경광등 포트, 사이렌 포트(Siren Port), 배터리 포트(Battery Port), 태양전지판넬포트(Solar Port) 등의 포트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센서(S) 등 외부 전자기기들이 전환 컨트롤 보드(11)에 접속되어 서로 신호를 주고 받거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13)은 이러한 전환 컨트롤 보드(1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함으로써 출입구(1)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모듈(13)은 각 센서(S)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황 발생을 인지하고, 신호를 분석하여 충격, 빛, 적외선, 마그네틱 등으로 구분한 후 RF모듈(15)을 통하여 중앙 제어부(7)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모듈(13)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센서(S)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중앙 제어부(7)에 송신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7)에서는 제어모듈(13)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제어모듈(13)로 수신완료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모듈(13)은 상황이 발생하면 옥외, 옥내의 형광등 점멸과 함께 사이렌을 울림으로써 상황이 발생했음을 주위에 전파하게 된다.
이때, 제어모듈(13)과 중앙 제어부(7)의 신호 송수신은 배터리 관리, 주파수 관리를 위하여 불필요한 송신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간격 소정 횟수만큼만 통보가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해당 ID의 제어모듈(13)로부터 5초 간격으로 5회만 중앙 제어부(7)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3)은 송신신호의 Level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경보모듈의 감시모드 진입 시, 제어모듈(13)은 지연회로를 동작시킴으로써 일정 시간 후에 경보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보기의 감시모드에 진입하면 20초 후에 경보상태에 진입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3)에서 경보모드에 진입하는 것과 반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앙 제어부(7)에서도 해당 제어모듈(13)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인위적으로 경보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13)에는 점검버튼이 배치됨으로써 자체 컨디션 테스트(Condition Test)를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각 출입구(1)에는 인식코드(ID)가 설정되어 있음으로 해당 출입구(1)의 제어모듈(13)로부터 신호가 중앙 제어부(7)에 전송되면, 중앙제어부(7)는 상황이 발생한 출입구(1)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신호가 중계기(6)를 통하여 중앙 제어부(7)에 전송된 경우, 중앙 제어부(7)는 해당 ID를 인식함으로써 몇 번 중계기(6)를 경유하여 수신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3)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는 상기 RF모듈(15)에 의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RF모듈(15)은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RF 트랜시버(transcevier), 레귤레이터(Regulator), 칩(MCU)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RF모듈(15)은 다양한 모델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00~400㎒ 대역의 400 RF송수신기와, 800㎒~1.8㎓ 대역의 800 RF송수신기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RF모듈(15)에는 스펙트럼(Spectrum) 기능을 삽입하여 출입구(1) 인접구역에 배치된 조명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조명탑 전체를 일시에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점등 및 소등을 함으로써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RF모듈(15)의 프로토콜(Protocol)은 TCP/IP,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RS232, RS485, RS422를 사용함으로써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전국 어디에서나 온라인을 통한 장비의 사후관리가 가능하다.
참고로,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는 직렬통신방식을 의미하며, RXD(Receive data), TXD(transmit data), GND(신호레벨) 3개를 기본으로 한다.
RS485는 다중 직렬포트방식으로서, 반이중통신(Half duplex)이므로 2선으로 통신을 하며, TRX+, TRX-신호이다.
RS422는 다중 직렬포트방식으로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이므로 4선으로 통신을 하며, TX+, TX-, RX+, RX-신호이다.
그리고, 이러한 RF모듈(15)은 FSK변조(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손실을 최적화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RF모듈(15)에 의하여 송수신 되는 신호는 안테나(17)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0)는 AC전원 혹은 DC전원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의 사용이 불가능한 장소에서는 태양전지(19)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전원의 사용이 가능한 장소에서는 AC 혹은 DC전원을 사용하며,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안테나(17)는 제어모듈(13)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신호를 중앙 제어부(7)로 송출하거나, 역으로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모듈(13)로 전달한다. 이러한 안테나(17)는 다양한 방식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헤리컬(Helical) 또는 휩(Whip) 안테나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RFID(21)는 RFID 방식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5)에 부착된 RFID 태그(T)와 연동함으로써 해당 출입구(1)에 접근하는 순찰자를 파악할 수 있다.
즉, RFID방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태그(T)를 이용한 무선통신방식으로서, 이러한 통신방식은 외부에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아도 센서(S)에 의한 전기장/자기장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RFID 통신 시스템은 각 출입구(1)에 장착되며, 무선 주파수를 전파하여 데이터를 리딩하는 RFID(21)와; 휴대용 단말기(5)에 장착되며 칩(C)과 안테나(A)로 구성된 태그(T)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RFID 태그(T) 방식의 리딩 과정을 설명하면, RFID 태그(T)에는 순찰자의 인적사항, 순찰시간, 블록위치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출입구(1)에 장착된 RFID(21)가 무선 주파수를 전파하며, 전파된 주파수가 휴대용 단말기(5)에 부착된 RFID 태그(T)의 안테나(A)를 통하여 칩(C)에 전달되고, 칩(C)은 이 주파수에 반응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안테나(A)를 통하여 RFID(21)에 송신함으로써 리딩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RFID 무선통신방식은 각 주파수 대역별로 사용되는 장소와 용도가 구분되어 있다. 예들 들면, UHF방식은 9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리더와 RFID 태그의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5m 내지 10m 범위 이내이다. 이 UHF 방식은 데이터 리딩 거리가 길어서 물류 시스템에 주로 적용된다.
그리고, HF방식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리더와 RFID 태그(T)의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1cm 내지 3cm 범위 이내이다. 이러한 HF방식은 보안과 안전상의 이유로 현재 교통카드, 신용카드용에 주로 사용된다.
듀얼 태그방식(Dual Tag)은 상기 UHF방식의 태그와 HF방식의 태그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UHF방식과 HF방식이 용도와 성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으로, 이 2가지 방식의 태그를 병렬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UHF방식은 물류용으로 사용하고, HF방식은 제품별 정보 인식용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출입구(1)의 RFID(21)가 휴대용 단말기(5)의 RFID 태그(T)를 리딩하는 경우, 이 데이터는 감지부(3)를 통하여 중앙 제어부(7)에 전송됨으로써, 상황실에서는 해당 출입구(1)에 접근하는 순찰자의 인적사항, 순찰시간, 블록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 출입구(1)에 배치된 감지부(3)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중앙 제어부(7)는 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출입구(1)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중앙 제어부(7)는 보안 대상지역(2)의 상황실내에 배치되어 각 감지부(3) 및 휴대용 단말기(5)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보안 대상지역(2)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 제어부(7)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컨트롤 보드(25)와;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여 처리하는 제어모듈(27)과; 제어모듈(27)에 의하여 처리되는 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모니터(33)와;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포트(23)와; 제어모듈(27)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를 각 감지부(3) 및 단말기(5)로 송수신하는 RF 모듈(31)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중앙 제어부에 있어서, 전환 컨트롤 보드(25)는 모니터(33)와, 포트(23)와, 전원 공급부(24)와, RFID(30)와 연동하고, 신호를 제어모듈(27)에 출력한다.
이러한 전환 컨트롤 보드(25)는 다양한 포트가 배치되며, 예를 들면, 모니터 포트, AC전원 포트, DC전원 포트, 경광등 포트, 사이렌 포트(Siren Port), 배터리 포트(Battery Port), 태양전지판넬포트(Solar Port) 등의 포트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외부 전자기기들이 전환 컨트롤 보드(25)에 접속되어 서로 신호를 주고 받거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27)은 이러한 전환 컨트롤 보드(25)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함으로써 출입구(1)의 감지부(3)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이상 유무를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모듈(27)은 각 출입구(1)의 감지부(3)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입력부(70)를 통하여 상황 발생을 인지하고, 신호를 분석한다.
그리고, 제어모듈(27)에서는 신호가 입력되면 ID 연산부(72)를 통하여 ID분석을 함으로써 해당 출입구(1)를 인식하게 되며, 해당 출입구(1)의 감지부(3)에 출력부(74) 및 안테나(29)를 통하여 수신완료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모듈(27)은 ID 연산부(72)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에 의하여 단말기 관리부(76)에서 해당 출입구(1) 및 다른 출입구 근처에서 근무중인 순찰자들의 단말기(5)를 통하여 순찰자들의 인원, 위치 등의 상황을 하고, 복수의 순찰자들중 해당 출입구(1)로 이동할 순찰자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번 출입구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2번 출입구에 3명의 순찰자가 근무중이고, 3번 출입구에 1명의 순찰자가 근무중이라면, 제어모듈(27)의 단말기 관리부(76)는 2번 및 3번 출입구의 순찰자 수를 연산하고 이동할 순찰자를 결정하게 된다.
즉, 단말기 관리부(76)는 3번 출입구의 순찰자 단말기(5)에 신호를 전송하여 1번 출입구로 이동하지 말 것을 지시하고, 2번 출입구의 순찰자 3명 단말기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2명의 순찰자만을 해당 출입구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1명의 순찰자는 현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시한다.
따라서, 3번 출입구의 순찰자가 1번 출입구로 이동함으로써 3번 출입구의 감시업무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어모듈(27)의 단말기 관리부(76)가 순찰자를 선택하는 과정은 랜덤(Random) 방식일 수도 있고, 과거 해당 출입구에 근무한 횟수를 참고하여 최다 근무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어모듈(27)은 해당 출입구(1)로 이동하는 순찰자의 단말기(5)에 방향 표시부(78)를 통하여 현재 위치에서 해당 출입구가 어느 방향인지를 안내해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1번 출입구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2번 출입구가 1번 출입구의 우측에 위치한 상태라면, 방향 표시부(78)은 2번 출입구에서 출동하는 순찰자의 단말기(5)에 좌측을 표시하는 엘이디 램프 등을 점멸시키거나, 디스플레이창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순찰자는 1번 출입구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초보 근무자이고, 보안대상지역이 넓어서 출입구 개수가 많은 경우 이러한 방향표시기능은 유용하다.
결국, 다수의 출입구중 이상이 발생한 출입구의 위치를 순찰자가 휴대한 단말기(5)에 표시함으로써 순찰자가 신속하게 해당 출입구에 접근할 수 있으며, 순찰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일부 순찰자는 현 위치에 대기하고 다른 순찰자를 이상이 발생한 출입구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든 출입구의 감시업무가 공석없이 항상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27)은 상황이 발생하면 옥외, 옥내의 형광등 점멸과 함께 사이렌을 울림으로써 상황이 발생했음을 주위에 전파하게 된다.
이때, 제어모듈(27)은 배터리 관리, 주파수 관리를 위하여 불필요한 송신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간격 소정 횟수만큼만 통보가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해당 ID의 제어모듈(27)로부터 5초 간격으로 5회만 중앙 제어부(7)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7)은 해당 출입구(1)의 감지부(3)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인위적으로 경보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가 중계기(6)를 통하여 중앙 제어부(7)에 전송된 경우, 중앙 제어부(7)는 해당 ID를 인식함으로써 몇 번 중계기(6)를 경유하여 수신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33)는 제어모듈(27)에 의하여 처리된 데이터를 화면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의 규격은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LCD, LED 모니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니터에는 보안 관련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각 출입구(1)의 감지부(3)로부터 입력된 레벨(Level) 값, 입력된 출입구 ID, 온도, Battery 잔량, 화재, 충격, 열 감지, 마그네틱 및 기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가 중계기(6)를 경유하여 수신된 경우, 해당 중계기 번호(ID), 중계기 송신 Level 값, 중계기 Battery 잔량, 중계기 온도 값 등의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실 근무자는 이 모니터를 통하여 보안 대상지역(2)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23)는 복수개의 포트가 배치됨으로써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전원, 배터리, 경광등, 태양전지판넬 등과 포트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향후 연결 기기가 추가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예비포트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27)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는 상기 RF 모듈(31)에 의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RF 모듈(31)은 출입구(1)의 감지부(3)에 배치된 RF모듈(15)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RF 모듈(31)은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RF 트랜시버(transcevier), 레귤레이터(Regulator), 칩(MCU)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RF 모듈(31)은 상기한 RF모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한편, 전원 공급부(24)는 AC전원 혹은 DC전원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의 사용이 불가능한 장소에서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전원의 사용이 가능한 장소에서는 AC 혹은 DC전원을 사용하며,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안테나(29)는 제어모듈(27)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신호를 각 출입구(1)의 감지부(3)로 송출하거나, 역으로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모듈(27)로 전달한다. 이러한 안테나(29)는 다양한 방식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헤리컬(Helical) 또는 휩(Whip) 안테나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각 출입구(1)의 감지부(3)에서 송출된 신호는 상황실의 중앙 제어부(7)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지만, 보안 대상지역(2)이 넓은 경우 출입구(1)에서 송출된 신호가 중간에 중계기(6)를 거쳐서 중앙 제어부(7)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계기(6)는 각 출입구(1)에 배치된 감지부(3)의 송수신 유닛(4)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6)는 감지센서(S)의 신호가 입력되는 센서포트(41)와; 전환 컨트롤 보드(43)와;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모듈(45)과; 제어모듈(45)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를 중앙 제어부(7)로 송수신하거나, 단말기(5)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모듈(47)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42)와; 태양전지판넬(49)을 포함한다.
따라서, 중계기(6)는 출입구(1)에 배치된 송수신 유닛(4)과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중계기(6)의 설치는 주파수방식으로 동시다발적으로 위험경보가 발생할 경우 각 송수신단말기들에 시간을 순차적으로 분배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원하는 수량 이상의 설정을 할 경우 다중신호전송방식으로(개별식별기능도 가능)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발생이벤트가 어떠한 성격의 센서에 의해서 작동 전송되었는지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로고파일을 생성하여 운영에 따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보안대상지역(2)에는 순찰자가 지속적으로 순찰활동을 하므로 이들 순찰자들도 보안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5)를 휴대하여 중앙 제어부(7)와 데이터를 주고 받음으로써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컨트롤 보드(53)와;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모듈(55)과; 제어모듈(55)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를 출입구(1)의 감지부(3) 및 중앙 제어부(7)로 송수신하거나, 단말기(5)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모듈(57)과; 전원 공급부(52)와; 현재 보안 상태 및 방향을 표시하는 인디게이터(61)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전환 컨트롤 보드(53)는 전원 공급부(52)와, RFID(63), 인디게이터(61)와 연동하고, 신호를 제어모듈(55)에 출력한다.
이러한 전환 컨트롤 보드(53)는 다양한 포트가 배치되며, 예를 들면, 전원 포트, 경광등 포트, 사이렌 포트, 배터리 포트 등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어모듈(55)은 이러한 전환 컨트롤 보드(53)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함으로써 출입구(1)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제어모듈(55)은 출입구(1)의 감지부(3)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황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황정보를 RF모듈(57)을 통하여 중앙 제어부(7)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55)은 RFID 방식에 의하여 출입구(1)에 장착된 RFID(21)와 연동함으로써 해당 순찰자가 출입구(1)에 접근함을 알릴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RFID 태그(T)에는 순찰자의 인적사항, 순찰시간, 블록위치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출입구(1)에 장착된 RFID(21)가 무선 주파수를 전파하며, 전파된 주파수가 휴대용 단말기(5)에 부착된 RFID 태그(T)의 안테나(A)를 통하여 칩(C)에 전달되고, 칩(C)은 이 주파수에 반응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안테나(A)를 통하여 RFID(21)에 송신함으로써 리딩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1)의 RFID(21)가 휴대용 단말기(5)의 RFID 태그(T)를 리딩하는 경우, 이 데이터는 감지부(3)를 통하여 중앙 제어부(7)에 전송됨으로써, 상황실에서는 해당 출입구(1)에 접근하는 순찰자의 인적사항, 순찰시간, 블록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디게이터(61)는 휴대용 단말기(5)에서 수신되는 모든 정보를 화면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인디게이터(61)는 다양한 규격의 디스플레이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LED, LCD 방식이다.
그리고, 이 인디게이터(61)에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송신기 ID 및 인식표 전송, 순찰 구역 디스플레이, 배터리 잔량, 송신레벨 값, 온도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상이 발생한 출입구의 방향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5)는 순찰 중 비상버튼 사용 시 비상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주변 알림음을 발생할 수도 있고, 경광등을 발광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55)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는 상기 RF모듈(57)에 의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RF모듈(57)은 출입구(1)에 배치된 RF모듈(15)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52) 및 안테나(59)도 출입구(1)에 배치된 전원 공급부(10) 및 안테나(17)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보안 대상지역(2)의 출입구(1)에 배치되어 출입자를 감시하는 감지부(3)와;
    보안대상지역(2)을 순찰하는 순찰자가 휴대하여 보안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5)와; 그리고
    감지부(3) 및 단말기(5)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여 각 출입구(1) 및 보안대상지역(2)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중앙 제어부(7)를 포함하며,
    중앙 제어부(7)는 전환 컨트롤 보드(25)와;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여 처리하는 제어모듈(27)과, 제어모듈(27)에 의하여 처리되는 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모니터(33)와,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포트(23), 제어모듈(27)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를 각 감지부(3) 및 단말기(5)로 송수신하는 RF 모듈(31)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를 포함하며,
    제어모듈(13)은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70)와,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각 단말기 ID를 파악함으로써 각 출입구 근처의 순찰자 상황을 파악하는 ID 연산부(72)와, 각 출입구의 순찰자중 이상이 발생한 출입구로 이동할 순찰자들을 결정하는 단말기 관리부(76)와, 해당 출입구로 이동하는 순찰자의 단말기(5)에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78)를 포함하며,
    방향 표시부(78)는 순찰자의 단말기(5)에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기(5)의 디스플레이 창에 방향을 표시하거나 엘이디 램프를 점멸시킴으로써 해당 출입구의 방향을 표시하며,
    단말기 관리부(76)는 해당 출입구(1) 및 다른 출입구의 순찰자들을 상황을 파악하고 해당 출입구(1)로 이동할 순찰자와 현 위치를 유지할 순찰자들을 결정하여 지시함으로써 감시업무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감지부(3)는 출입구(1)에 배치되어 출입자가 지나가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와; 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 및 제어하여 중앙 제어부(7) 및 단말기(5)에 송수신하며, 중앙 제어부(7) 및 단말기(5)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서로 연동하는 송수신 유닛(4)을 포함하는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송수신 유닛(4)은 감지센서(S)의 신호가 입력되는 센서포트(9)와; 전환 컨트롤 보드(11)와;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모듈(13)과; 제어모듈(13)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를 중앙 제어부(7)로 송수신하거나, 단말기(5)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모듈(15)과; 송수신 유닛(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와; 휴대용 단말기(5)와 RFID 통신을 할 수 있는 RFID(21)를 포함하는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RFID는 각 출입구(1)에 장착되며, 무선 주파수를 전파하여 데이터를 리딩하는 센서(S)와; 휴대용 단말기(5)에 장착되며 칩(C)과 안테나(A)로 구성된 태그(T)를 포함하는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단말기(5)는 전환 컨트롤 보드(53)와;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모듈(55)과; 제어모듈(55)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를 출입구(1)의 감지부(3) 및 중앙 제어부(7)로 송수신하거나, 단말기(5)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모듈(57)과; 송수신 유닛(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2)와; 보안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게이터(61)를 포함하는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KR1020140049162A 2014-04-24 2014-04-24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12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162A KR101612266B1 (ko) 2014-04-24 2014-04-24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162A KR101612266B1 (ko) 2014-04-24 2014-04-24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960A KR20150122960A (ko) 2015-11-03
KR101612266B1 true KR101612266B1 (ko) 2016-04-14

Family

ID=5459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162A KR101612266B1 (ko) 2014-04-24 2014-04-24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589B1 (ko) * 2021-11-30 2022-10-06 주식회사 프로에스콤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2149A (ja) * 2007-07-30 2009-02-12 System Integrate Lab:Kk 集合住宅における警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2149A (ja) * 2007-07-30 2009-02-12 System Integrate Lab:Kk 集合住宅における警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960A (ko)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US20060220785A1 (en) Generic radio transmission network for door applications
RU2401947C2 (ru) Шахтная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оповещения и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горнорабочих
US9728072B2 (en) Method for detecting, recognizing, and automatic disarming of an alarm control unit, and alarm system suitable for its use
KR101676848B1 (ko) 스마트 안전 헬멧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910191B2 (ja) 保護具着用検知システム及びid−tag付き保護具
US20190034679A1 (en) Transportable Passage Control Device for a Work Area
US20230060136A1 (en) Smartlock system for improved fire safety
KR102340644B1 (ko) 인공지능형 토탈 보안관제 서비스시스템
KR101370982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이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안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감지방법
CN102483877A (zh) 控制和监控方法
RU82270U1 (ru) Шахтная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оповещения и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горнорабочих
CN104809852B (zh) 用于危险管理系统的总线的组合
CN114866958A (zh) 一种基于人员位置检测的告警信息分级系统装置及告警方法
KR101612266B1 (ko)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75392B1 (ko)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시스템
CN104991224A (zh) 基于ZigBee和RFID的隧道定位安全管理系统
KR101653706B1 (ko) 통합 보안관리 방법
CN11699315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高炉出铁区域人员风险管控系统
KR100821682B1 (ko) 비상문 자동개폐기의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관리방법
JP4030957B2 (ja) 進入者管理システム及び不審進入者の検出方法
CN106297132A (zh) 楼宇入侵检测预警系统
KR20100013135A (ko) 수동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안전위험개소 출입정보제공
CN205881110U (zh) 一种人员的位置区域管理系统
US979896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mart card based mobile pull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