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833B1 -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833B1
KR101610833B1 KR1020150086093A KR20150086093A KR101610833B1 KR 101610833 B1 KR101610833 B1 KR 101610833B1 KR 1020150086093 A KR1020150086093 A KR 1020150086093A KR 20150086093 A KR20150086093 A KR 20150086093A KR 101610833 B1 KR101610833 B1 KR 101610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aw water
electrolytic bath
stirring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정
심세진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크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렌텍 filed Critical (주)크렌텍
Priority to KR102015008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25B1/265Chlo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벽 중 적어도 일부분이 음전극체로 형성된 전해조 본체에 전극 이동기기로 이동 가능하게 양전극체를 설치하고, 원수의 PH를 감지하는 제1PH센서,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전해조 본체 내에서 반응한 반응액의 PH를 감지하는 제2PH센서 및 상기 전극 이동기기를 제어부에 연결하여 차아염소산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전극 이동기기와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의 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HOCl 유출량 대응 범위를 넓히고, 유효염소 농도를 폭넓게 제어하여 다양한 사용 조건에 따른 적합한 유효염소 농도를 가지는 차아염소산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Hypochlorous Acid}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아염소산수의 유효염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수는 무색, 무미, 무취의 폭넓고 강한 살균력을 가지는 것으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살균 및 소독수로 점차 그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차아염소산수는 식중독균, 유해미생물, 바이러스, 곰팡이를 99.9% 이상 살균하는 시험 결과를 통해 한국 KFDA, 유럽 EPA, 미국 PDA, 일본후생노동성, FDA-FSIS, USDA 등에서 식품 살균 또는 일반 살균 소독제로 승인 및 인가된 바 있다.
상기 차아염소산부는 희석염산을 전해조로 전기분해한 후 이를 물로 희석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는 전해조 내에 전극이 고정되어 전해조 내에서 반응면적 조절이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HOCl 유출량의 변화 시 전류 제어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다양한 HOCl 유출량의 변화에 대응하기가 사실상 불가능가고, 원수 pH와 경도 등에 따라 반응 조절이 불가능하여 원수 의존성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는 전해조와 전해조로 전기분해된 반응용액을 물로 희석하는 교반조가 별도로 구비되어 설치 공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전해조 내에서 전기분해 시 발열문제를 해소하지 못하고, 전기분해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반응성이 저하되어 반응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국내특허공개 제2008-0050380호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2008.06.0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조 내에서 전극을 이동시켜 반응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반조와 전해조를 일체화하여 전해조의 전기분해 시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는, 외벽 중 적어도 일부분이 음전극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염산용액이 유입되는 반응실이 구비되고, 상기 반응실 내로 희석된 염산용액을 유입시키는 염산 유입구와 전기분해되어 반응된 반응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응액 배출구를 구비한 전해조 본체, 상기 전해조 본체의 반응실 내로 일부분이 삽입되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양전극체, 상기 양전극체를 이동시키는 전극 이동기기, 상기 전해조 본체 내에서 반응한 반응액과 원수가 유입되어 반응액과 원수를 교반하여 배출하는 교반조 본체, 상기 교반조 본체 내로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 유입라인부에 설치되어 원수의 PH를 감지하는 제1PH센서, 상기 교반조 본체 내로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 유입라인부에 설치되어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전해조 본체 내에서 반응한 반응액의 PH를 감지하는 제2PH센서 및 상기 전극 이동기기, 상기 제1PH센서, 상기 유량계, 상기 제2PH센서, 상기 음전극체와 상기 양전극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차아염소산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전극 이동기기와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극 이동기기는, 상기 양전극체와 나사결합하며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작동 나사부, 상기 작동 나사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동력전달 기어부; 및 상기 동력전달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수 공급라인부에 설치된 원수량 제어밸브, 상기 전해조 내로 염산용액을 공급하는 염산 공급라인부에 설치된 염산 공급펌프 및 염산 공급제어밸브, 상기 교반조 본체에서 반응액과 교반된 원수를 배출하는 메인 배출라인부에 설치되는 배출량 제어밸브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해조 본체는 일부분이 상기 음전극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이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 자켓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해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부측에 상기 반응실 내에서 전기분해된 반응액이 배출되는 복수의 반응액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해조 본체는 상기 교반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반응액 배출구를 포함한 외주면이 상기 교반조 본체 내의 교반실에 의해 감싸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실에는 상기 교반조 본체와 상기 전해조 본체의 사이에 복수의 교반용 스크류부재가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조 본체는 내부의 교반실 내로 원수를 유입시키는 복수의 원수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원수 유입구는 상기 교반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전해조의 반응액 배출구와 서로 마주보고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실에는 상기 교반조 본체와 상기 전해조 본체의 사이에 복수의 교반용 스크류부재가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교반용 스크류부재는 상기 반응액 배출구와 상기 원수 유입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조 본체의 외벽은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 자켓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는, 상기 냉각 자켓부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HOCl 유출량 대응 범위를 넓히고, 유효염소 농도를 폭넓게 제어하여 다양한 사용 조건에 따른 적합한 유효염소 농도를 가지는 차아염소산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해조의 냉각효과를 향상시켜 전기분해 시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전해조의 반응액과 원수와의 혼합 효율을 향상시켜 차아염소산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을 제조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 시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특히 차아염소산을 다량 사용 시 해당 유효염소를 가지는 차아염소산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전해조가 적용된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전해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전해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전해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는, 본체 케이싱(10), 상기 본체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염산 탱크(20), 상기 염산 탱크(20)로부터 염산을 공급받는 전해조 본체(30), 상기 전해조 본체(30)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교반실(40a)이 구비되는 교반조 본체(40), 상기 교반조 본체(40)로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 공급라인부(50), 상기 원수 공급라인부(50)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조 본체(40) 내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60),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교반된 차아염소산수를 배출하는 메인 배출라인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염산 탱크(20)는 희석된 염산용액이 저장되고, 2% ~ 6%의 희석 염산용액이 저장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전해조 본체(30)는 상기 염산 탱크(20)와 염산 공급라인부(21)로 연결되고, 상기 염산 공급라인부(21)에는 염산 공급펌프(80) 및 염산 공급제어밸브(90)가 설치되어 상기 염산 탱크(20)로부터 상기 전해조 본체(30)로 공급되는 염산용액의 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수 공급라인부(50) 및 상기 메인 배출라인부(70)에는 각각 원수의 유입량 및 제조된 차아염소산수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원수량 제어밸브(51), 배출량 제어밸브(7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전해조 본체(30)에는 양전극체(100)와 음전극체(31)가 구비되며, 상기 양전극체(100)와 상기 음전극체(31)는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 공급부(180)에 연결된다.
상기 염산 공급제어밸브(90), 상기 원수량 제어밸브(51), 상기 배출량 제어밸브(71)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전해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전해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전해조 본체(30)는, 외벽 중 적어도 일부분이 음전극체(31)로 형성되고, 내부에 염산용액이 유입되는 반응실(30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반응실(30a) 내에서 전기분해된 반응액이 배출되는 복수의 반응액 배출구(32)가 형성되고,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하부면에는 상기 반응실(30a) 내로 염산용액을 유입시키는 염산 공급라인부(21)가 연결되는 염산 유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상부에는 양전극체(10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양전극체(100)는 일부분이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반응실(30a) 내에서 염산용액 내에 삽입된다.
상기 양전극체(100)와 상기 음전극체(31)는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180)에 연결되고,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180)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반응실(30a) 내 염산용액을 전기분해한다.
상기 전해조 본체(30) 내에서 상기 염산용액은 전기분해를 통해 반응하여 반응액을 형성한다. 상기 염산용액의 전기분해에 의한 반응식1은 하기와 같다.
[반응식1]
2HCl + H2O → HCl + HClO +H2
상기 전해조 본체(30) 내에 반응액에는 차아염소산수를 형성하는 HClO뿐만 아니라 미량의 HCl과 H2가 존재하며, 상기 교반조 본체(40) 내에서 원수(H2O)와 혼합되어 차아염소산수(HClO + H2O)가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전해조 본체(30)는 일부분이 상기 음전극체(31)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이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 자켓부(120)로 형성되어 상기 반응실(30a) 내부에서 전기분해에 의한 반응 시 발생하는 반응열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 자켓부(120)는 상기 반응실(30a) 내부에서 전기분해 반응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냉각시켜 상기 반응실(30a) 내부에서의 반응성을 향상시키며 반응시 발열에 의한 반응성 저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상면은 절연재로 형성되며, 상기 양전극체(100)가 관통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양전극체(100)를 상, 하 이동시키는 전극 이동기기(110)가 구비된다.
상기 전극 이동기기(110)는, 상기 양전극체(100)와 나사결합하며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작동 나사부(111);
상기 작동 나사부(111)에 맞물려 회전하는 동력전달 기어부(112); 및
상기 동력전달 기어부(112)를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전극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작동 나사부(111)를 관통하여 나사결합하는 이동 나사부(101)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 나사부(111)는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이동 지지체에 장착되는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양전극체(100)는 상기 전동 모터(1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 나사부(111)가 회전하면 상기 작동 나사부(1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 하 이동하게 되어 상기 반응실(30a) 내에서 상기 염산용액에 잠기는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전해조 본체(30)는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반응액 배출구(32)의 둘레 즉, 상기 반응액 배출구(32)를 포함한 상기 외측면 둘레를 상기 교반조 본체(40) 내의 교반실(40a)로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반조 본체(40)에는 상기 반응액과 상기 원수를 교반시켜 형성된 차아염소산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메인 배출라인부(70)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상부 측에는 외주면 둘레로 복수의 반응액 배출구(32)가 형성되고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내부 교반실(40a)이 상기 반응액 배출구(32)를 감싸게 되어 상기 반응액 배출구(32)에서 배출된 반응액이 상기 교반실(40a) 내로 바로 유입되게 되어 상기 교반실(40a) 내의 원수와 즉시 혼합되어 차아염소산 발생효과가 크게 상승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해조 본체(30)는 상기 교반조 본체(40) 내에 삽입되어 상기 교반실(40a) 내에 채워지는 원수에 의해 냉각되어 반응시 발생하는 반응열에 의해 반응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해조 본체(30) 내에서 전기분해 반응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한다.
한편,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외벽은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 자켓부(120)가 형성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는, 상기 냉각 자켓부(120)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기기(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 순환기기(130)는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외벽에 형성되는 상기 냉각 자켓부(120)의 냉각수도 함께 순환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 순환기기(130)는 상기 냉각 자켓부(120) 내로 냉각수를 유입시키는 냉각수 유입관(131), 상기 냉각 자켓부(120) 내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관(132), 상기 냉각수 유입관(131)과 상기 냉각수 배출관(132)이 연결되는 냉각수 탱크(133), 상기 냉각수 유입관(131)과 상기 냉각수 배출관(132) 중 어느 한 측에 설치되는 냉각수 순환제어밸브(134)와 냉각수 순환펌프(1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 순환기기(130)는, 상기 냉각수 유입관(131)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냉각수를 열교환하여 냉각시키는 열교환기(13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수 순환기기(130)는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외벽에 형성된 냉각 자켓부(120), 상기 전해조 본체(30) 외벽에 형성된 냉각 자켓부(120)로 각각 냉각수를 순환 공급하여 상기 교반조 본체(40) 내의 원수와 반응액, 상기 전해조 본체(30) 내의 반응액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도록 한다.
상기 냉각 자켓부(120)는 상기 교반조 본체(40) 내에서 교반되는 원수와 반응액의 온도를 냉각시켜 이로써 상기 반응실(30a) 내부에서 전기분해 반응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냉각시킬 수 이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반응실(30a) 내부에서의 반응성을 향상시키며 반응시 발열에 의한 반응성 저하 문제를 해소하고 상기 전해조 본체(30) 내에서 전기분해 반응에 대한 효율을 더 극대화한다.
또한, 상기 교반조 본체(40) 내의 원수와 반응액과 교반되어 형성되는 차아염소산수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교반과 배출되는 차아염소산수의 사용 시 온도 차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수 공급라인부(50)에는 상기 교반조 본체(40) 내로 유입되는 원수의 PH를 감지하는 제1PH센서(150) 및 상기 교반조 본체(40) 내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60)가 설치된다.
상기 전해조 본체(30) 내에는 전기분해된 반응액의 PH를 감지하는 제2PH센서(160)가 설치된다.
상기 전극 이동기기(110), 상기 제1PH센서(150), 상기 유량계(60), 상기 제2PH센서(160),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메인 배출라인부(70)에 의해 배출되는 차아염소산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전극 이동기기(110)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부(170)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량뿐만 아니라 상기 전극 이동기기(110)를 통해 상기 양전극의 반응 길이를 제어하여 HOCl 유출량 대응 범위를 넓히고, 유효염소 농도를 폭넓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PH센서(150), 상기 유량계(60), 상기 제2PH센서(160) 뿐만 아니라 상기 원수 공급라인부(50)에 설치된 원수량 제어밸브(51), 상기 염산 공급펌프(80) 및 염산 공급제어밸브(90), 상기 배출량 제어밸브(71)에 연결되어 상기 제1PH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원수의 PH, 상기 유량계(60)에 의해 측정된 원수의 유입유량, 상기 전해조 본체(30) 내에 설치된 상기 제2PH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반응실(30a) 내 반응액의 PH를 전달받아 다양한 조건에 따른 즉, 사용 시 해당 사용처에 적합한 유효염소 농도를 설정하고, 해당 유효염소 농도를 가지는 차아염소산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냉각수 순환기기(13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 순환제어밸브(134)와 상기 냉각수 순환펌프(13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조 본체(40)는 내부의 교반실(40a) 내로 원수를 유입시키는 복수의 원수 유입구(41)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원수 유입구(41)는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상부에서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반응액 배출구(32)와 서로 마주보고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액 배출구(32)와 상기 원수 유입구(41)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반응액의 배출 시 수압과 상기 원수의 유입 시 수압에 의한 충돌로 반응액과 원수를 더 원활하게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하부면 중앙에는 원수와 반응액이 혼합된 차아염소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실(40a)에는 상기 교반조 본체(40)와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사이에 복수의 교반용 스크류부재(140)가 세워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용 스크류부재(140)는 상기 반응액 배출구(32)와 상기 원수 유입구(4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반응액 배출구(32)에서 배출된 반응액과 상기 원수 유입구(41)에서 유입된 원수를 나선형으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더 원활하게 서로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전해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반응액 배출구(32)는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41)는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반응액 배출구(32)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용 스크류부재(140)는 상기 반응액 배출구(32)와 상기 원수 유입구(41)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반응액 배출구(32)와 상기 원수 유입구(41)는 각각 상기 전해조 본체(3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41)는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반응액 배출구(32)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유입되는 원수와 배출되는 반응액이 더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고, 유입 및 배출 시 압력에 의해 더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내부 전체에서 즉, 상기 교반실(40a) 전체에서 고른 교반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원수 공급라인부(50)는 원수 공급부에 연결되는 메인 공급관부(50a)와 상기 메인 공급관부(50a)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상기 원수 유입구(41)로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 공급관부(5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PH센서(150), 상기 유량계(60), 상기 원수량 제어밸브(51)는 상기 메인 공급관부(50a)에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용 스크류부재(140)에 의해 상기 원수 및 상기 반응액 배출구(32)에서 배출된 상기 반응액이 나선형으로 흐르면서 와류를 형성하여 더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조 본체(40)의 하부면 중앙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에 메인 배출라인부(70)가 연결되어 균일하고 고르게 혼합된 상태인 최종 차아염소산수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HOCl 유출량 대응 범위를 넓히고, 유효염소 농도를 폭넓게 제어하여 다양한 사용 조건에 따른 적합한 유효염소 농도를 가지는 차아염소산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해조의 냉각효과를 향상시켜 전기분해 시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전해조의 반응액과 원수와의 혼합 효율을 향상시켜 차아염소산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을 제조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 시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특히 차아염소산을 다량 사용 시 해당 유효염소를 가지는 차아염소산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케이싱 20 : 염산 탱크
21 : 염산 공급라인부 30 : 전해조 본체
30a : 반응실 31 : 음전극체
32 : 반응액 배출구 40 : 교반조 본체
40a : 교반실 41 : 원수 유입구
50 : 원수 공급라인부 50a : 메인 공급관부
50b : 분기 공급관부 51 : 원수량 제어밸브
60 : 유량계 70 : 메인 배출라인부
71 : 배출량 제어밸브 80 : 염산 공급펌프
90 : 염산 공급제어밸브 100 : 양전극체
101 : 이동 나사부 110 : 전극 이동기기
111 : 작동 나사부 112 : 동력전달 기어부
113 : 전동 모터 120 : 냉각 자켓부
130 : 냉각수 순환기기 131 : 냉각수 유입관
132 : 냉각수 배출관 133 : 냉각수 탱크
134 : 냉각수 순환제어밸브 135 : 냉각수 순환펌프
136 : 열교환기 140 : 교반용 스크류부재
150 : 제1PH센서 160 : 제2PH센서
170 : 제어부 180 : 직류전원 공급부

Claims (10)

  1. 외벽 중 적어도 일부분이 음전극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염산용액이 유입되는 반응실이 구비되고, 상기 반응실 내로 희석된 염산용액을 유입시키는 염산 유입구와 전기분해되어 반응된 반응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응액 배출구를 구비한 전해조 본체;
    상기 전해조 본체의 반응실 내로 일부분이 삽입되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양전극체;
    상기 양전극체를 이동시키는 전극 이동기기;
    상기 전해조 본체 내에서 반응한 반응액과 원수가 유입되어 반응액과 원수를 교반하여 배출하는 교반조 본체;
    상기 교반조 본체 내로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 공급라인부에 설치되어 원수의 PH를 감지하는 제1PH센서;
    상기 교반조 본체 내로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 공급라인부에 설치되어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전해조 본체 내에서 반응한 반응액의 PH를 감지하는 제2PH센서; 및
    상기 전극 이동기기, 상기 제1PH센서, 상기 유량계, 상기 제2PH센서, 상기 음전극체와 상기 양전극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차아염소산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전극 이동기기와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부측에 상기 반응실 내에서 전기분해된 반응액이 배출되는 복수의 반응액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해조 본체는 상기 교반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반응액 배출구를 포함한 외주면이 상기 교반조 본체 내의 교반실에 의해 감싸지도록 상기 교반조 본체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조 본체의 상부 측에는 내부의 교반실 내로 원수를 유입시키는 복수의 원수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조 본체의 하부면에는 교반된 차아염소산수를 배출하는 메인 배출라인부가 연결되고,
    상기 반응액 배출구는 상기 전해조 본체의 상부 측에 상기 원수 유입구와 대응되게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원수 유입구와 상기 반응액 배출구와 서로 마주보고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교반실에는 상기 교반조 본체와 상기 전해조 본체의 사이에 복수의 교반용 스크류부재가 세워져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교반용 스크류부재는 상기 반응액 배출구와 상기 원수 유입구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반응액 배출구에서 배출된 반응액과 상기 원수 유입구에서 유입된 원수를 나선형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며,
    상기 전해조 본체는 일부분이 상기 음전극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이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 자켓부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조 본체의 외벽은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 자켓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이동기기는,
    상기 양전극체와 나사결합하며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작동 나사부;
    상기 작동 나사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동력전달 기어부; 및
    상기 동력전달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 공급라인부에 설치된 원수량 제어밸브, 상기 전해조 내로 염산용액을 공급하는 염산 공급라인부에 설치된 염산 공급펌프 및 염산 공급제어밸브, 상기 교반조 본체에서 반응액과 교반된 원수를 배출하는 메인 배출라인부에 설치되는 배출량 제어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자켓부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KR1020150086093A 2015-06-17 2015-06-17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KR101610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093A KR101610833B1 (ko) 2015-06-17 2015-06-17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093A KR101610833B1 (ko) 2015-06-17 2015-06-17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833B1 true KR101610833B1 (ko) 2016-04-20

Family

ID=5591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093A KR101610833B1 (ko) 2015-06-17 2015-06-17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8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106B1 (ko) * 2007-02-01 2008-01-10 남궁정 차아염소산 전기분해조, 이를 이용한 차아염소산 제조장치및 제조방법
KR100970708B1 (ko) * 2009-09-01 2010-07-16 한국코스믹라운드(주)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제조방법 및 미산성 차아염소수산수의 제조장치
KR101391193B1 (ko) * 2012-07-25 2014-05-02 동인메디텍 주식회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106B1 (ko) * 2007-02-01 2008-01-10 남궁정 차아염소산 전기분해조, 이를 이용한 차아염소산 제조장치및 제조방법
KR100970708B1 (ko) * 2009-09-01 2010-07-16 한국코스믹라운드(주)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제조방법 및 미산성 차아염소수산수의 제조장치
KR101391193B1 (ko) * 2012-07-25 2014-05-02 동인메디텍 주식회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120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CN208328132U (zh) 具有在线精确配比功能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CN208328130U (zh) 基于浮球控制阀自动补水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TWI439569B (zh) 用於製備次氯酸水的電解系統
CN208328133U (zh) 可降低盐耗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CN208328131U (zh) 可提高反应速率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KR101610834B1 (ko)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MXPA05008734A (es) Planta para descomposicion de agua mediante electrolisis.
US10041177B2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EP2361227B1 (en) Disinfection system
US9856156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electrolyzed sterilizing water, and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electrolyzed sterilizing water, containing same
CN106277227A (zh) 一种利用电化学pH调节装置和芬顿试剂处理废水的方法
CN102021602B (zh) 次氯酸钠发生器
KR101610833B1 (ko)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US20170314150A1 (en) Aiding device and system for stably producing food-grade chlorine dioxide solution with high purity
KR101446571B1 (ko) 고농도 및 저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수용액 동시 생성장치
WO2015122435A1 (ja) 海水電解システム及び電解液注入方法
KR101517676B1 (ko) 고농도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 장치
KR101510455B1 (ko)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KR100706118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의 물 보충장치
JP4676185B2 (ja) 電解水製造装置
KR100754274B1 (ko) 사이클론형 전기분해용 전해조
KR20180095394A (ko) 전해수 생성장치
KR200462705Y1 (ko) 의료기기 소독용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101054266B1 (ko) 살균 전해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살균 전해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