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497B1 - 휴대 단말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497B1
KR101610497B1 KR1020140112417A KR20140112417A KR101610497B1 KR 101610497 B1 KR101610497 B1 KR 101610497B1 KR 1020140112417 A KR1020140112417 A KR 1020140112417A KR 20140112417 A KR20140112417 A KR 20140112417A KR 101610497 B1 KR101610497 B1 KR 10161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fixing
control unit
fixing portio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315A (ko
Inventor
허남웅
김신구
전슬기
손정남
정우길
이윤복
채용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497B1/ko
Priority to US14/565,834 priority patent/US9766656B2/en
Publication of KR2016002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의 일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의 모서리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을 인식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휴대 단말의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거치 장치{APPARATUS FOR MOUNTING PO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트렁크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의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여 휴대 단말을 거치하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모바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들은 차량 내부 또는 가정에서 안정적인 보관을 위해 전용 거치대에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의 그 형태나 크기가 다양하여 휴대 단말을 거치하는 거치 장치의 형태나 크기도 다양하다. 그리고, 일반적인 거치대의 경우, 휴대 단말을 거치할 때에는 특정 면을 이용하여 잡아주는 방식이나 클립(Clip) 형태의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고, 또한 특정 크기의 휴대 단말이 거치되도록 제작되어 해당 크기를 벗어나거나 그 형태가 다른 경우 거치에 대한 호환성이 없어 사용이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은 측면 또는 상/하면에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특정 면을 잡는 클립 방식에 있어서 휴대 단말이 고정된 경우, 측면 또는 상/하면의 버튼이 눌려져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기능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2쌍의 고정부가 휴대 단말의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여 휴대 단말의 측면 또는 상/하면에 구비된 버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휴대 단말을 거치하는 하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의 일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의 모서리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을 인식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휴대 단말의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2쌍을 이루는 4개의 고정부이고, 상기 4개의 고정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하거나, 1쌍 각각에 포함되는 2개의 고정부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2쌍에 포함되는 4개의 고정부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및 톱니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휴대 단말과 비교하여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고, 손상된 경우 개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인식하거나 또는 NFC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NFC를 통하여 인식된 상기 휴대 단말의 NFC ID가 상기 제어부에 미리 등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이 고정되는 위치로 상기 고정부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충전 시스템과 연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이 응답한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핑(ping)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2쌍의 고정부가 휴대 단말의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여 휴대 단말의 측면 또는 상/하면에 구비된 버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휴대 단말을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의 고정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포함되는 고정부의 다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은 다양한 예가 있을 수 있지만,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 등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도 있다. 그리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사각형의 스마트폰을 휴대 단말의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고, 복수의 고정부는 4개의 고정부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이 스마트폰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포함되는 고정부(120, 130, 140, 150)는 스마트폰(110)의 일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스마트폰(110)의 일면은 스마트폰(110)이 구비한 면 중 가장 넓은 면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면 또는 그 반대쪽 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20, 130, 140, 150)는 대각선 방향(121, 131, 141, 151)으로 이동하여 스마트폰(110)이 구비한 4개의 모서리 각각에 밀착되어 해당 스마트폰(1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스마트폰(110)을 인식한다. 여기서 인식되는 구체적인 대상은 스마트폰(110) 자체가 될 수 있고, 스마트폰(110)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가 스마트폰(110)을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스마트폰(110)이 거치 장치에 놓여지는 경우 해당 스마트폰(110)의 무게를 검출하여 스마트폰(110) 또는 그 크기를 인식할 수 있고, 또는 해당 스마트폰(110)에 NFC 통신을 위한 모듈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경우 NFC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폰(110) 또는 그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는 인식된 스마트폰(110) 또는 그 무게에 따른 크기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NFC를 통하여 제어부가 인식한 스마트폰(110)의 NFC ID가 제어부에 위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된 경우, 제어부는 스마트폰(110)을 다른 휴대 단말과 구분하여 특정하여 인식할 수 있고, 특정된 스마트폰(110)이 고정되기 위해서 고정부가 이동해야 하는 위치로 고정부(120, 130, 140, 150)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부(120, 130, 140, 150)는 이동 중에 스마트폰(110)의 모서리에 대한 걸림을 인식하고 멈추는 방식이 아닌 특정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스마트폰(110)을 고정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부가 차량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과 연동되는 경우, 제어부는 스마트폰(110)이 무선 충전 시스템의 핑(ping) 신호에 따라 응답한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해다아 스마트폰(110)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하여 고정부의 이동 및 휴대 단말의 고정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의 고정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개의 고정부(120, 130, 140, 150)는 휴대 단말이 놓여지는 면의 대각선 방향(121, 131, 141, 151)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4개의 고정부(120, 130, 140, 150)는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하거나, 1쌍 각각에 포함되는 2개의 고정부(120, 140; 130, 150)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2쌍에 포함되는 4개의 고정부(120, 130, 140, 150)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는 거치될 휴대 단말의 모양 또는 거치 상태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향후에 출시될 휴대 단말들에 까지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고정부(120, 130, 140, 150)는 휴대 단말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 또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부드러운 재질 또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의 고정부(120, 130, 140, 150)는 휴대 단말의 모리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에 따라 고정부(120, 130, 140, 150)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에 손상된 고정부만 개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유지 비용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는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모터부(122, 132, 142, 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부(122, 132, 142, 152)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고정부(120, 130, 140, 150)를 이동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부(122, 132, 142, 152) 역시 2쌍이 함께 연동하여 가동되거나, 1쌍씩 연동하여 가동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포함되는 고정부의 다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고정부(120, 130, 140, 150)는 걸쇠 모양의 형태를 구비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에 포함되는 고정부는 도 3과 같이 원형(310) 또는 톱니형(320)과 같은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는 휴대 단말의 모서리의 모양이 라운딩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 다른 모양일 경우에도 휴대 단말을 고정하기 위함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의 모서리에 고정부를 밀착하여 고장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에 구비된 측면 또는 상/하면에 구비된 버튼이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 눌려지지 않으면서 휴대 단말을 거치할할 수 있고, 제어부를 통해서 인식된 휴대 단말을 통해서 자동으로 고정부를 이동하거나 해당 휴대 단말의 인식에 의한 개인화(Personalization)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laims (8)

  1. 휴대 단말의 일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의 모서리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을 인식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휴대 단말의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휴대 단말의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인식하거나 또는 NFC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인식하되, NFC를 통하여 인식된 상기 휴대 단말의 NFC ID가 상기 제어부에 미리 등록된 경우, 휴대 단말이 고정되는 위치로 고정부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2쌍을 이루는 4개의 고정부이고,
    상기 4개의 고정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하거나, 1쌍 각각에 포함되는 2개의 고정부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2쌍에 포함되는 4개의 고정부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및 톱니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휴대 단말과 비교하여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고,
    손상된 경우 개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충전 시스템과 연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이 응답한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핑(ping)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KR1020140112417A 2014-08-27 2014-08-27 휴대 단말 거치 장치 KR10161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417A KR101610497B1 (ko) 2014-08-27 2014-08-27 휴대 단말 거치 장치
US14/565,834 US9766656B2 (en) 2014-08-27 2014-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417A KR101610497B1 (ko) 2014-08-27 2014-08-27 휴대 단말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315A KR20160025315A (ko) 2016-03-08
KR101610497B1 true KR101610497B1 (ko) 2016-04-07

Family

ID=5540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417A KR101610497B1 (ko) 2014-08-27 2014-08-27 휴대 단말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66656B2 (ko)
KR (1) KR101610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2391A1 (zh) * 2016-03-09 2017-09-14 深圳市琇莹印刷有限公司 便携式自拍杆
EP3346581B1 (en) * 2017-01-04 2023-06-1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charger for mobile terminal in vehicle
CN107018222B (zh) * 2017-06-17 2019-10-01 泉州台商投资区华庆商贸有限公司 一种防摔手机壳
CN109871040A (zh) * 2017-12-01 2019-06-11 北京世纪东方通讯设备有限公司 视频监控系统云台控制方法及装置
KR102021095B1 (ko) * 2018-08-31 2019-09-16 주식회사 굿웨이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679Y1 (ko) * 2004-07-31 2004-11-09 이충수 차량용 노트북 고정장치
JP2014088092A (ja) * 2012-10-30 2014-05-15 Fujitsu Ten Ltd 保持装置、及び、保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285B1 (ko) * 2002-09-06 2008-10-31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카테콜 히드라지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5634B1 (ko) 2002-12-24 2009-06-3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플래시 메모리 장치
KR20120003702U (ko)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폰 보호대
KR101277064B1 (ko) 2011-04-27 2013-06-20 이영수 탄성밴드 고정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456789Y1 (ko) 2011-09-01 2011-11-21 백승욱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679Y1 (ko) * 2004-07-31 2004-11-09 이충수 차량용 노트북 고정장치
JP2014088092A (ja) * 2012-10-30 2014-05-15 Fujitsu Ten Ltd 保持装置、及び、保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315A (ko) 2016-03-08
US9766656B2 (en) 2017-09-19
US20160062404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497B1 (ko) 휴대 단말 거치 장치
KR102118049B1 (ko) 로봇 청소기, 로봇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4030834U (zh) 振动电机
US10306030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creen protector
CN103458124B (zh) 一种终端的关机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10571951B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关设备
KR20150045919A (ko)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4519485A (zh) 一种终端之间的通信方法、装置和系统
US10228804B2 (en) Mobile device with periodic estimation of underwater state based on detected acceleration
US10511699B2 (en) Scree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JP2016212760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0571952B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关设备
WO2009057257A1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0571953B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关设备
JP2019029776A (ja) 携帯電子機器、飛行体及び電話システム
CN105808043A (zh) 一种终端应用的设置方法和移动终端
CN108351681B (zh) 电子设备及其托架
WO2016031583A1 (ja)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9217401A (zh) 一种电量控制方法、装置和无人飞行器的遥控器
JP6141352B2 (ja)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70299461A1 (en) Shock-resistance testing apparatus
KR101671244B1 (ko) 스마트폰 충전이 가능 스마트폰 케이스
CN104580667A (zh) 一种信号检测的方法及终端
WO2016197772A3 (zh) 投影处理方法及装置
KR20170090896A (ko)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