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936B1 - 제초제 조성물 및 제초 방법 - Google Patents

제초제 조성물 및 제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936B1
KR101608936B1 KR1020107023353A KR20107023353A KR101608936B1 KR 101608936 B1 KR101608936 B1 KR 101608936B1 KR 1020107023353 A KR1020107023353 A KR 1020107023353A KR 20107023353 A KR20107023353 A KR 20107023353A KR 101608936 B1 KR101608936 B1 KR 101608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oil
belonging
herbicidal
herbicid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411A (ko
Inventor
케이스케 세키노
케이지츠 타나카
요우스케 카네야스
다이스케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스디에스 바이오텍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스디에스 바이오텍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스디에스 바이오텍크
Publication of KR2011003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에 대하여, 목재부의 건조 공정에서 얻은 휘발성 물질을 함유한 증기를 냉각하거나, 또는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을 열수 추출 또는 수증기를 증류해서 얻을 수 있는 유상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 하는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단자엽류, 쌍자엽류, 1년생, 다년생의 넓은 범위에 이르는 살초스펙트럼을 가지고, 경엽처리 활성과 토양(토양 혼화) 처리 활성을 겸비하고, 즉효적이고 장기적 대상으로 하는 잡초종을 확실하게 제초할 수 있으므로, 제초제의 살포에 필요로 하는 노력이나 코스트를 크게 저감 할 수 있다.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의 건조 공정 시에 발생하는 증기나 이러한 목재부를 가공할 때에 발생하는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은, 원래 폐기되는 것이며, 폐기물의 리사이클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제초제 조성물 및 제초 방법{HERBICIDE COMPOSITION AND WEE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목재의 건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얻을 수 있는 유상(油狀) 추출물, 또는,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을 열수 추출 또는 수증기를 증류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유상 추출물을 이용한 제초제 조성물 및 잡초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 제초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방제 대상이 되는 잡초, 즉 표적 잡초는 종류가 많고 발생도 장기간에 걸치기 때문에, 현재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많은 제초제 중에는, 현재 효력, 살초 스펙트럼, 인체에의 안전성, 환경에의 부하등의 점에서 모든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현재, 공원, 정원, 택지, 주차장, 운동장, 도로, 경사면 등의 비농경지의 녹지 관리에 있어서는 제초 활성, 살초스펙트럼, 잔효성, 즉효성이 뛰어난 작용을 발휘하는 제초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환경 파괴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 자연물 지향의 고조로 인하여, 천연계 약제의 이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계 약제의 하나로서 삼나무의 추출물이 알려져 있어서 예를 들면,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5-87614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소취제,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4-217576호 공보(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농원예용 항균제, 일본등록특허 제 3064591호 공보(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진드기살충제, 또는 「일본 목재 학회 제56회 대회 요지, 후지모토 히데도 등, P09-1430」(비특허 문헌 1)로 보고되어 있는 바퀴벌레 기피제가 있으나, 이것들에는 제초 활성의 기재는 전혀 없다.
한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로서는, 예를 들면, 「헤이세이 15년도 에히메위환연연보 6, 요시도메 류지 등, p.55-63」(비특허 문헌 2)로 보고되어 있는 소송채에 대한 발아 억제 효과가 있으나, 삼나무의 나무 껍질 그대로의 이용 또는 수용성 성분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상 추출물에 관한 제초 활성의 기재는 전혀 없다. 또한 「목재 학회지, 1991년, 37권, 다니타 가이미쓰유키 등, p.345-351」(비특허 문헌 3)로 보고되어 있는 야크스기 정유의 열무에 대한 발아 억제 효과는, 발아 지연 효과뿐이며 순간적으로 무작용이 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초 활성을 가진 특성을 발견할 수 없다.
또한,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8-50329호 공보(특허 문헌 4)에 있어서, 소나무, 노송나무, 삼나무의 지엽의 추출액을 사용한 제초제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8-01629호 공보(특허 문헌 5)에 있어서, 노송나무과의 잎유래의 알칼리성 수용액에 의한 추출물을 사용한 제초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5,998,335호 공보(특허 문헌 6)에 있어서는, 송근유(pine oil), 티트리유(tea tree oil), 유칼리유(eucalyptus oil) 등의 정유(an essential oil)의 제초제 조성물로서의 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 문헌에서는, 특정한 식물 유래 또는 지엽 유래의 정유(유상물)를 제초제 조성물로서 이용하고 있으며, 수목의 목재부에 유래하는 추출물에 관한 이용은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칩형상, 섬유형상, 또는 분말형상의 목재 가공물을 잡초 억제를 위해서, 비농경지에 부설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위해서는 다량의 목재 가공물이 필요하고, 또한, 잡초의 번식 억제 효과는 불충분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5-87614호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4-217576호 일본특허 등록공보 제3064591호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8-50329호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8-01629호 미국특허 등록공보 제 5,998,335호
일본 목재 학회 제56회 대회 요지, 후지모토 히데도 등, P09-1430 헤이세이 15년도 에히메위환연연보 6, 요시도메 류지 등, p.55-63 목재 학회지, 1991년, 37권, 다니타 가이미쓰유키 등, p.345-351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 및 녹지 관리 현장에서의 잡초 방제의 현황을 감안하여, 목재 유래의 천연 추출액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표적 잡초를 즉효적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방제 가능한, 환경 부하가 작은 제초제 조성물 및 잡초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제초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는 천연계 성분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상 추출물이, 공원, 정원, 택지, 주차장, 운동장, 도로, 경사면 등의 비농경지의 녹지 관리용 제초제로서 토양 처리, 토양 혼화 처리, 경엽(莖葉)처리의 어느 처리 방법에 있어서도 폭넓은 잡초에 대해서 높은 제초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1회의 처리로 지극히 즉효적이고 장기간의 잔효성을 나타내고, 또한 화학 농약의 제초 효과에 뒤지지 않는 천연계 약제인 점, 또한, 송근유, 티트리유, 유칼리유 등의 종래 알려져 있던 정유의 제초 효과를 능가하는 지극히 효과적인 제초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제초제 조성물 및 제초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상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2. 소나무목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나무과(Cupressaceae) 또는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는 수목인 상기 1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3. 소나무목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나무과의 삼나무속(Cryptomeria), 측백나무속(Thuja), 나한백속(Thujopsis), 노송나무속(Chamaecyparis), 사이프레스속(Cupressus), 또는 향나무속(Juniperus), 소나무과의 등피속(Picea), 솔송나무속(Tsuga), 히말라야 삼나무속(Cedrus), 미송속(Pseudotsuga), 낙엽송속(Larix), 소나무속(Pinus), 또는 전나무속(Abies)에 속하는 수목인 상기 2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4.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나무과의 삼나무속(Cryptomeria)의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인 상기 3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5. 유상 추출물이, 목재부의 건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해서 얻을 수 있는 용액인 상기 1~4의 어느 1항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6. 건조 공정이, 가열 온도 60 내지 240℃로 실시되는 상기 5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7. 건조 공정이, 증기식 건조인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8. 유상 추출물이, 목재부를 열수 추출 또는 수증기 증류하므로서 얻을 수 있는 용액인 상기 1 내지 4의 어느 1항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9. 열수 추출 또는 수증기 증류가, 가열 온도 40 내지 120℃로 실시되는 상기 8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10. 표적 잡초의 경엽부 또는 뿌리부에의 시용(施用), 표적 잡초가 발생하기 전의 토양에의 혼화 및/또는 표적 잡초가 발생하기 전의 토양면에의 시용에 따라, 표적 잡초를 방제 하는 상기 1 내지 9의 어느 1항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11. 무기계 성분을 추가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10의 어느 1항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12. 다른 식물 추출액 및/또는 다른 식물 추출 성분을, 추가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10의 어느 1항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13.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해서 얻을 수 있는 유상 추출물을 표적 잡초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방법.
14. 소나무목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나무과(Cupressaceae) 또는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는 수목인 상기 13에 기재된 제초 방법.
15. 소나무목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나무과의 삼나무속(Cryptomeria), 측백나무속(Thuja), 나한백속(Thujopsis), 노송나무속(Chamaecyparis), 사이프레스속(Cupressus), 또는 향나무속(Juniperus), 소나무과의 등피속(Picea), 솔송나무속(Tsuga), 히말라야 삼나무속(Cedrus), 미송속(Pseudotsuga), 낙엽송속(Larix), 소나무속(Pinus), 또는 전나무속(Abies)에 속하는 수목인 상기 13에 기재된 제초 방법.
16.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나무과의 삼나무속(Cryptomeria)의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인 상기 13에 기재된 제초 방법.
17. 유효 성분의 유상 추출물을 살포액 또는 살포제에 대해서 1 내지 100%의 비율로 함유 하는 제제 또는 원액을, 표적 잡초의 경엽부 또는 뿌리부에의 시용, 표적 잡초가 발생하기 전의 토양에의 혼화 및/또는 표적 잡초가 발생하기 전의 토양면에의 시용으로서 사용하고, 표적 잡초를 방제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제초 방법.
18. 유효 성분의 유상 추출물이, 삼나무목재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얻을 수 있는 증기를 냉각해서 얻을 수 있는 삼나무 정유인 상기 17에 기재된 제초 방법.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단자엽류, 쌍자엽류, 1년생, 다년생의 넓은 범위에 이르는 살초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경엽처리 활성과 토양(토양 혼화) 처리 활성을 겸비하고, 즉효적이고 장기적으로 대상으로 하는 잡초종을 정확하게 제초할 수 있으므로, 제초제 살포에 필요로 하는 노력이나 코스트를 크게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삼나무등의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의 건조 공정 시에 발생하는 증기나, 이러한 목재부를 가공할 때에 발생하는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은 원래 폐기되는 것이며, 폐기물의 리사이클 사용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천연계의 약제이므로, 화학계 약제에 비해서 환경 부하를 저감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많은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실용성이 지극히 높은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배합량을 나타내기 위해서 「%」라고 표기한 것은, 「질량%」의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제의 대상으로 하는 잡초, 즉 표적 잡초에는,
·화본과 잡초, 또는 광엽잡초,
·단자엽류 또는 쌍자엽류의 잡초,
·1년생, 월년생, 다년생 등 생육 양식이 다른 잡초,
·종자, 숙근, 덩이줄기, 구근 등 번식 수단이 다른 잡초,
·구제가 용이한 잡초, 또는 난방제성 잡초,
·특정한 제초제에 저항성을 획득한 잡초,
·역사적인 경과나, 경제적인 이유로 잡초로서 다루어지게 된 식물,
·인위적인 개발이나 환경 파괴에 의한 초종간(草種間) 경합, 선택압의 결과, 길항하는 초종이 구제되었기 때문에 번성해서 강해(强害)잡초화하게 된 식물,
·동일종이라도 발생전, 발생 초기, 생육 초기, 생육 전성기, 결실기, 생육 쇠퇴기 등의 생육 스테이지가 다른 잡초가 포함되어 광범위한 종류의 잡초가 표적 잡초로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이 다종 다양한 환경하에 있는 잡초를 방제 하기 위해서는, 작용이 다른 여러 종류의 화학 제초제 성분을 조합한 제초제를 사용하거나, 제초제를 여러 차례로 나누어 대증요법적으로 처리를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화학 제초제의 다량사용은 분해성 등의 면에서 환경에 대한 부하가 크고, 환경 파괴의 염려나 인체에 대한 안전성 문제로부터 경원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한편, 환경 부하가 작은 제초제로서 여러 가지 천연계 제초제가 제안되고는 있지만, 모두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또는, 방제 대상 잡초의 종류 및 처리 시기가 한정되는, 잔효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실용성이 높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천연계의 약제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제초제이며, 목재의 목재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상 추출물에 의한 이와 같은 특이적인 제초 효과, 살초 스펙트럼, 처리 시기에 대하여 언급한 문헌은 없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녹지 관리용 제초제로서 토양 처리, 토양 혼화 처리, 경엽처리의 어떤 처리 방법에 있어서도, 까마종이(Solanum nigrum), 흰독말풀(Datura stramonium) 등으로 대표되는 가지과(Solanaceae) 잡초, 어저귀(Abutilon theophrasti), 공단풀(Sida spinosa) 등으로 대표되는 아욱과(Malvaceae) 잡초, 둥근잎나팔꽃(Ipomoea purpurea) 등의 나팔꽃류(Ipomoea spps.)나 메류(Calystegia spps.) 등으로 대표되는 메과(Convolvulaceae) 잡초, 개비름(Amaranthus lividus), 청비름(Amaranthus retroflexus) 등으로 대표되는 비름과(Amaranthaceae) 잡초, 도꼬마리(Xanthium pensylvanicum), 돼지풀(Ambrosia artemisiaefolia),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쓰레기통국화(Galinsoga ciliata), 가시엉겅퀴(Cirsium arvense), 개쑥갓(Senecio vulgaris), 개망초(Erigeron annuus) 등으로 대표되는 국화과(Compositae) 잡초, 개갓냉이(Rorippa indica), 들갓냉이(Sinapis arvensis),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등으로 대표되는 유채과(Cruciferae) 잡초, 개여뀌(Polygonum blumei), 나도닭의덩굴(Polygonum convolvulus) 등으로 대표되는 여뀌과(Polygonaceae) 잡초, 쇠비름(Portulaca oleracea) 등으로 대표되는 쇠비름과(Portulacaceae) 잡초, 명아주(Chenopodium album), 좀명아주(Chenopodium ficifolium), 댑사리(Kochia scoparia) 등으로 대표되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 잡초, 별꽃(Stellaria media) 등으로 대표되는 패랭이꽃과(Caryophyllaceae) 잡초, 봄까치꽃(Veronica persica) 등으로 대표되는 현삼과(Scrophulariaceae) 잡초,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등으로 대표되는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잡초,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자주광대나물(Lamium purpureum) 등으로 대표되는 차조기과(Labiatae) 잡초,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 큰땅빈대(Euphorbia maculata) 등으로 대표되는 등대풀과(Euphorbiaceae) 잡초, 갈퀴 덩쿨(Galium spurium), 꼭두서니(Rubia akane) 등으로 대표되는 꼭두서니과(Rubiaceae) 잡초, 제비꽃(Viola mandshurica) 등으로 대표되는 제비꽃과(Violaceae) 잡초, 세스바니아(Sesbania exaltata), 결명자(Cassia obtusifolia) 등으로 대표되는 콩과(Leguminosae) 잡초등의 광엽잡초, 야생 솔껌(Sorghum bicolor), 미국개기장(Panicum dichotomiflorum), 존슨 글래스(Sorghum halepense), 이누비에(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 히메이누비에(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재배 비에(Echinochloa utilis), 바랭이(Digitaria adscendens), 메귀리(Avena fatua), 왕바랭이(Eleusine indica), 강아지풀(Setaria viridis), 둑새풀(Alopecurus aegualis), 새포아풀(Poa annua) 등으로 대표되는 벼과(Gramineae) 잡초, 향부자(Cyperus rotundus), 기름골 (Cyperus esculentus) 등으로 대표되는 금방동사니과(Cyperaceae) 잡초 등의 각종 표적 잡초에 높은 살초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 제초제 조성물은, 베어낸 자리, 휴경농지, 수목원, 목초지, 잔디밭, 선로가, 공터 임업지, 또는 농로, 고랑, 그 외의 비농경지에 발생하는 광범위한 표적 잡초를 제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목의 목재부”란, 수목의 가지, 잎, 뿌리를 포함하지 않는 줄기의 부분이며, 통상, 건축재료나 펄프 원료로서 이용되는 부분, 또는, 건축재료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이다. 즉 나무 껍질을 포함한 줄기 부분, 줄기의 나무 껍질을 제거한 부분, 또한 각재, 기둥재, 판재, 통나무재, 환봉, 합판용 라미나, LVL용 라미나, 목질 섬유, 목재 칩 등으로 가공된 부분, 또는 건축재료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이며, 건축재료의 제조 공정에, 본 발명에 개시하는 목재부의 건조 공정과 증기의 냉각 공정을 삽입하므로서, 건축재료의 제조와 동시에, 제초제 조성물로서 이용 가능한 유상 추출물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러한 건축재료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을 열수 추출(hot water extract) 또는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하는 것으로도, 제초제 조성물로서 이용 가능한 유상 추출물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본 발명의 산업적인 이용가치는 매우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을 얻을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을 제조하고, 다시, 이것들을 열수 추출 또는 수증기 증류에 의해서 처리하는 것으로도, 제초제 조성물로서 이용 가능한 유상 추출물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상 추출물, 보다 자세하게 말하면,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의 건조 공정에서 얻는 증기를 냉각해서 얻는 유상 추출물, 또는,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에 유래하는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을 열수 추출 또는 수증기 증류하므로서 얻는 유상 추출물은, 그 자체로 직접 처리하거나, 나아가서는 물과의 희석 비율을 광범위한 희석율로서 처리해도 뛰어난 제초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유상 추출물의 함유량은, 살포액 또는 살포제에 대해서 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의 비율이다.
소나무목에 속하는 수목중,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인 유상 추출물을 얻기 위한 매우 적합한 수목은, 주로, 노송나무과(Cupressaceae) 또는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는 수목이다.
노송나무과에 속하는 수목중,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인 유상 추출물을 얻기 위한 매우 적합한 수목은, 주로, 삼나무속(Cryptomeria), 측백나무속(Thuja), 나한백속(Thujopsis), 노송나무속(Chamaecyparis), 사이프러스속(Cupressus), 또는 향나무속(Juniperus) 중 하나의 속에 속하는 수목이며, 이러한 수목의 구체적인 예로서 삼나무속(Cryptomeria)에 속하는 삼나무(C. japonica), 측백나무속(Thuja)에 속하는 자이언트측백나무(T. plicata), 투자 스탄디쉬(T. standishii), 측백나무(T. orientalis L.), 투자 스추에네시스 프렌치(T. sutchuenensis Franch.), 눈측백(T. koraiensis Nakai), 서양측백(T. occidentalis) 등, 나한백속(Thujopsis)에 속하는 아스나로 돌라브라타(T. dolabrata), 아스나로 돌라브라타 혼데 변종(T. dolabrata var. hondae) 등, 노송나무속(Chamaecyparis)에 속하는 사이프러스(C. obtusa), 알래스카 사이프러스(C. nootkatensis), 알래스카 옐로우 양치(C. nootkatensis Spach), 화백나무(C. pisifera), 사이프러스 티오이데스(C. thyoides), 사이프러스 포르모센시스(C. formosensis), 로손 사이프러스(C. lawsoniana) 등, 사이프레스속(Cupressus)에 속하는 몬트레이이트삼나무(C. macrocarpa), 애리조나 사이프레스(C. glabra), 카슈미르 사이프레스(C. cashmeriana), 솔잦나무(C. sempervirens), 사이프레스 토룰로사(C. torulosa), 사이프레스 퍼네브리스(C. funebris) 등, 향나무속(Juniperus)에 속하는 향나무(J. chinensis), 두송(J. communis), 연필향나무(J. virginiana), 콜로라도향나무(J. scopulorum), 노간주나무(J. rigida), 케이드노간주나무(J. oxycedrus), 하이노간주나무(J. conferta), 사비나향나무(J. sabina), 주니페라스 택시폴리아(J. taxifolia), 텍사스 양치(J. mexicana), 쥬니페라스 후네브리스(J. funebris), 쥬니페라스 아시이(J. ashei), 쥬니페라스 마크로카르파(J. macrocarpa), 쥬니페라스 에리스로카르파(J. erythrocarpa) 등, 및 그 변종을 들 수 있다.
소나무과에 속하는 수목중,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인 유상 추출물을 얻기 위한 적합한 수목은, 주로 등피속(Picea), 솔송나무속(Tsuga), 히말라야 삼나무속(Cedrus), 솔송화백나무속(Pseudotsuga), 낙엽송속(Larix), 소나무속(Pinus), 또는 전나무속(Abies)의 몇 개의 속에 속하는 수목이다.
이러한 수목의 구체적인 예로서 등피속(Picea)에 속하는 것으로서는, 피세아 시라소웨(P. shirasawae), 피세아 알코키아나, 피세아 비콜라(P. alcokiana , P. bicolor), 독일가문비(P. abies), 피세아 아스페라타(P. asperata), 피세아 메이어리(P. meyeri), 종비나무(P. koraiensis), 피세아 코야메(P. koyamae), 코카사스등피(P. orientalis), 피세아 모리소니콜라(P. morrisonicola), 피세아 윌소니(P. wilsonii), 피세아 오보바타(P. obovata), 피세아 슈렌키아나(P. schrenkiana), 피세아 스미띠아나(P. smithiana), 피세아 알페스트리스(P. alpestris), 피세아 맥시모위찌(P. maximowiczii), 피세아 토라노(P. torano), 피세아 네오베이치(P. neoveitchii), 피세아 마르타네찌(P. martinezii), 피세아 치와와나(P. chihuahuana), 피세아 브루워리아나(P. breweriana), 피세아 브라치틸라(P. brachytyla), 피세아 파레리(P. farreri), 피세아 오모리카(P. omorika), 피세아 마리아나(P. mariana), 피세아 루벤스(P. rubens), 아카에조소나무(P. glehnii), 피세아 퍼퍼레아(P. purpurea), 피세아 발포리아나(P. balfouriana), 리키안젠시스가문비(P. likiangensis), 피세아 스피눌로사(P. spinulosa), 글라우카가문비(P. glauca), 피세아 엔젤만니(P. engelmannii), 피세아 시첸시스(P. sitchensis), 가문비나무(P. jezoensis), 풍겐스가문비(P. pungens) 등 및 그 변종을 들 수 있다.
또한, 솔송나무속(Tsuga)에 속하는 것으로서는 솔송나무(T. sieboldii), 쯔가 디버시폴리아(T. diversifolia), 쯔가 브루노니아넘(T. brunonianum), 쯔가 치넨시스(T. chinensis), 쯔가 카나덴시스(T. canadensis), 쯔가 헤티로필라(T. heterophylla), 쯔가 머텐시아나(T. mertensiana), 쯔가 캐롤리니아나(T. caroliniana) 등이, 히말라야 삼나무속(Cedrus)에 속하는 것으로서는 히말라야 삼나무(C. deodara), 레바논 삼나무(C. libani), 아틀라스 양치(C. atlantica) 등이, 미송속(Pseudotsuga)에 속하는 것으로서는 미송(P. japonica), 더글라스 퍼(P. menziesii) 등이, 낙엽송속(Larix)에 속하는 것으로서는, 유럽 낙엽송(L. decidua, L. europaea), 시베리아 낙엽송(L. sibirica), 그이소나무(L. gmelinii, L. olgensis), 청잎갈나무(L. dahurica), 낙엽송(L. kaempferi , L. leptolepis), 라릭스 프린시피스(L. principis), 티벳 낙엽송(L. kongboensis), 마스터 낙엽송(L. mastersiana), 라릭스 포타니니(L. potaninii), 윈난 낙엽송(L. speciosa), 라릭스 그리피띠(L. griffithii , L. griffithiana), 히말라야 낙엽송(L. himalaica), 미국 낙엽송(L. laricina), 라릭스 릴라일리(L. lyallii), 라릭스 옥시덴탈리스(L. occidentalis) 등, 및 그 변종을 들 수 있다.
 
소나무속(Pinus)에 속하는 것으로서는, 파이나스 아만니아나(P. amamiana), 파이나스 아르만디(P. armandii), 파이나스 아야카휘테(P. ayacahuite), 파이나스 브후타니카(P. bhutanica), 파이나스 치아펜시스(P. chiapensis), 파이나스 다베샤넨시스(P. dabeshanensis, P. dalatensis), 파이나스 펜젤리아나(P. fenzeliana), 파이나스 플렉실리스(P. flexilis), 파이나스 리플렉사(P. reflexa), 파이나스 람버티아나(P. lambertiana), 파이나스 모리소니콜라(P. morrisonicola), 파이나스 몬티콜라(P. monticola), 파이나스 파비플로라(P. parviflora), 파이나스 퍼스(P. peuce), 눈잣나무(P. pumila), 파이나스 스트로비포미스(P. strobiformis), 파이나스 스트로버스(P. strobus), 파이나스 왈리치아나(P. wallichiana), 파이나스 완기(P. wangii), 파이나스 알비칼리스(P. albicaulis), 파이나스 셈브라(P. cembra), 파이나스 코레인시스(P. koraiensis), 파이나스 시비리카(P. sibirica), 파이나스 네르소니(P. nelsonii), 파이나스 크렘피(P. krempfii), 백송(P. bungeana), 파이나스 게라디아나(P. gerardiana), 파이나스 스콰마타(P. squamata), 파이나스맥시마티네찌(P. maximartinezii), 파이나스 핀세아나(P. pinceana), 파이나스 르제도우스키(P. rzedowskii), 파이니스 셈브로이데스(P. cembroides), 파이나스 컬미니콜라(P. culminicola), 파이나스 디스칼라(P. discolor), 파이니스 에듈리스(P. edulis), 파이나스 요하니스(P. johannis), 파이나스 모노필라(P. monophylla), 파이나스 오리자벤시스(P. orizabensis), 파이나스 쿠와드리폴리아(P. quadrifolia), 파이나스 레모타(P. remota), 이가고요우(P. aristata), 파이나스 발포리아나(P. balfouriana), 파이나스 롱게바(P. longaeva), 적송(P. densiflora), 파이나스 헬드레치(P. heldreichii), 파이나스 황샤넨시스(P. hwangshanensis), 파이나스 케시야(P. kesiya), 파이나스 런천시스(P. luchuensis), 타이완 적송(P. massoniana), 몬타나소나무(P. mugo), 파이나스 니그라(P. nigra), 파이나스 레시노사(P. resinosa), 파이나스 실베스트리스(P. sylvestris), 파이나스 타불리포미스(P. tabuliformis), 파이나스 타이와넨시스(P. taiwanensis), 파이나스 썬버기(P. thunbergii), 파이나스 트로피칼리스(P. tropicalis), 파이나스 윤난네시스(P. yunnanensis), 파이나스 피네아(P. pinea), 파이나스 브루티아(P. brutia), 파이나스 카나리엔시스(P. canariensis), 파이나스 할레펜시스(P. halepensis), 파이나스 라테리(P. latteri), 파이나스 머쿠시(P. merkusii), 파이나스 피나스터(P. pinaster), 파이나스 록스버기(P. roxburghii), 파이나스 레이오필라(P. leiophylla), 파이나스 룸홀찌(P. lumholtzii), 파이나스 카리베아(P. caribaea), 파이나스 클라우사(P. clausa), 파이나스 큐벤시스(P. cubensis), 파이나스 에치나타(P. echinata), 파이나스 엘리오띠(P. elliottii), 파이나스 글라브라(P. glabra), 파이나스 혼듀렌시스(P. hondurensis), 파이나스 옥시덴탈리스(P. occidentalis), 파이나스 팔루스트리스(P. palustris), 파이나스 푼젠스(P. pungens), 파이나스 리기다(P. rigida), 파이나스 세로티나(P. serotina), 파이나스 테다(P. taeda), 바지니아소나무(P. virginiana), 반크시아소나무(P. banksiana), 롯지포르소나무(P. contorta), 파이나스 아테누아타(P. attenuata), 그레기소나무(P. greggii), 파이나스 헤레레(P. herrerae), 파이나스 잘리스카나(P. jaliscana), 파이나스 로소니(P. lawsonii), 비숍소나무(P. muricata), 오오카르파소나무(P. oocarpa), 파트라소나무(P. patula), 파이나스 프레테르미사(P. praetermissa), 파이나스 프링글레이(P. pringlei), 라지아타소나무(P. radiata), 파이나스 테크누마니(P. tecunumanii), 파이나스 테오코테(P. teocote), 파이나스 아플센시스(P. apulcensis), 파이나스 아리조니카(P. arizonica), 파이나스 코오페리(P. cooperi), 오오미소나무(P. coulteri), 파이나스 데보니아나(P. devoniana), 파이나스 두란겐시스(P. durangensis), 파이나스 엔젤마니(P. engelmanii), 파이나스 에스테베찌(P. estevezii), 파이나스 고도니아나(P. gordoniana), 파이나스 하트웨지(P. hartwegii), 제프리소나무(P. jeffreyi), 파이나스 맥시미노이(P. maximinoi), 몬테즈마소나무(P. montezumae), 폰데로사소나무(P. ponderosa), 파이나스 슈도스트로버스(P. pseudostrobus), 파이나스 사비니아나(P. sabiniana), 파이나스 토레야나(P. torreyana) 등, 및 그 변종을 들 수 있다.
전나무속(Abies)에 속하는 것으로서는, 아비에스 프라세리(A. fraseri), 아비에스 발삼(A. balsamea), 아비에스 비폴리아(A. bifolia), 아비에스 라시오카파(A. lasiocarpa), 아비에스 시비리카(A. sibirica), 분비나무(A. sachalinensis), 아비에스 코레아나(A. koreana), 아비에스 네프로레피스(A. nephrolepis), 아비에스 베이치(A. veitchii), 아비에스 베이치 시코키아나 변종(A. veitchii var. sikokiana), 아비에스 그란디스(A. grandis), 아비에스 콘콜라(A. concolor), 아비에스 두란젠시스(A. durangensis), 아비에스 플릭키(A. flinckii), 아비에스 과테말렌시스(A. guatemalensis), 아비에스 네브로덴시스(A. nebrodensis), 아비에스 알바(A. alba), 아비에스 보리시-레지스(A. borisii-regis), 아비에스 세팔로니카(A. cephalonica), 아비에스 노드만니아나(A. nordmanniana), 아비에스 노드만니아나(A. nordmanniana), 아비에스 실리시카(A. cilicica), 아비에스 핀사포(A. pinsapo), 아비에스 핀사포 마로카나 변종(A. pinsapo var. marocana), 아비에스 누미디카(A. numidica), 아비에스 카와카미(A. kawakamii), 아비에스 호몰레피스(A. homolepis), 아비에스 레커바타(A. recurvata), 아비에스 퍼마(A. firma), 아비에스 베산즈엔시스(A. beshanzuensis), 아비에스 폴로필라(A. holophylla), 아비에스 첸시엔시스(A. chensiensis), 아비에스 첸시엔시스 살로넨시스 아종(A. chensiensis subsp. salouenensis), 아비에스 핀드로우(A. pindrow), 아비에스 지유안네시스(A. ziyuanensis), 아비에스 아마빌리스(A. amabilis), 아비에스 마리에시(A. mariesii), 아비에스 델라바이(A. delavayi), 아비에스 파브리(A. fabri), 아비에스 포레스티(A. forrestii), 아비에스 첸기(A. chengii), 아비에스 덴사(A. densa), 아비에스 스페크타비리스(A. spectabilis), 아비에스 파게시(A. fargesii), 아비에스 판진샤넨시스(A. fanjingshanensis), 아비에스 유안바오샤넨시스(A. yuanbaoshanensis), 아비에스 스콰마타(A. squamata), 아비에스 렐리지오사(A. religiosa), 아비에스 베쟈리(A. vejarii), 아비에스 베쟈리 멕시카나 변종(A. vejarii var. mexicana), 아비에스 히케리(A. hickelii), 아비에스 히케리 오악사카나 변종(A. hickelii var. oaxacana), 아비에스 프로세라(A. procera), 아비에스 마그니피카(A. magnifica), 아비에스 마그니피카 샤스텐시스 변종(A. magnifica var. shastensis), 아비에스 브락테아타(A. bracteata) 등, 및 그 변종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인 유상 추출물을 얻기 위한 노송나무과에 속하는 다른 수목으로서 커닝과미아속(Cunninghamia)에 속하는 커닝과미아(C. lanceolata) 등의 수목, 아스로탁시스속(Athrotaxis)에 속하는 수목, 타이완 삼나무속(Taiwania)에 속하는 수목, 세코이아속(Sequoia)에 속하는 세코이아 센퍼비렌스(S. sempervirens) 등의 수목, 세코이아덴드론속(Sequoiadendron)에 속하는 세코이아덴드론 기간텀(S. giganteum) 등의 수목, 메타세콰이아속(Metasequoia)에 속하는 아케보노 삼나무(M. glyptostroboides) 등의 수목, 탁소디움속(Taxodium)에 속하는 탁소디움 디스티첨(T. distichum) 등의 수목, 해송속(Glyptostrobus)에 속하는 수목, 칼리트리스속(Callitris)에 속하는 칼리트리스 바이레이이(C. baileyi), 칼리트리스 카네센스(C. canescens), 칼리트리스 콜러멜라리스(C. columellaris), 칼리트리스 드럼몬디(C. drummondii), 칼리트리스 엔들리체리(C. endlicheri), 칼리트리스 몬티콜라(C. monticola), 칼리트리스 뮐레리(C. muelleri), 칼리트리스 네오칼레도니카(C. neocaledonica), 칼리트리스 오블롱가(C. oblonga), 칼리트리스 프레이시(C. preissii), 칼리트리스 롬보이데아(C. rhomboidea), 칼리트리스 설카타(C. sulcata), 칼리트리스 베르코사(C. verrucosa), 칼리트리스 마클레아야나(C. macleayana) 등의 수목, 악티노스트로버스속 (Actinostrobus)에 속하는 악티노스트로버스 아쿠미나투스(A. acuminatus), 악티노스트로버스 아레나리우스(A. arenarius), 악티노스트로버스 피라미달리스(A. pyramidalis) 등의 수목, 네오칼리트로프시스속(Neocallitropsis)에 속하는 네오칼리트로프시스 판체리(N. pancheri) 등의 수목, 위드린토니아속(Widdringtonia)에 속하는 위드린토니아 세다르베르겐시스(W. cedarbergensis), 위드린토니아 노디플로라(W. nodiflora), 위드린토니아 슈바르지(W. schwarzii), 위드린토니아 휘테이(W. whytei) 등의 수목, 디셀마속(Diselma)에 속하는 디셀마 아체리(D. archeri) 등의 수목, 피츠로야속(Fitzroya)에 속하는 피츠로야 커프레소이데스(F. cupressoides) 등의 수목, 아우스트로세드러스속(Austrocedrus)에 속하는 아우스트로세드러스 칠렌시스(A. chilensis) 등의 수목, 리보세드러스속(Libocedrus)에 속하는 리보세드러스 아우스트로칼레도니카(L. austrocaledonica), 리보세드러스 비드윌리 (L. bidwillii), 리보세드러스 체발리에리(L. chevalieri), 리보세드러스 플루모사(L. plumosa), 리보세드러스 야틴시스(L. yateensis) 등의 수목, 필게로덴드론속(Pilgerodendron)에 속하는 필게로덴드론 우비페룸(P. uviferum) 등의 수목, 파프아세드러스속(Papuacedrus)에 속하는 파프아세드러스 파푸아나(P. papuana) 등의 수목, 포케니아속(Fokienia)에 속하는 포케니아 호드긴시(F. hodginsii) 등의 수목, 칼로세드러스속(Calocedrus)에 속하는 칼로세드러스 데커렌스(C. decurrens), 칼로세드러스 포모사나(C. formosana), 칼로세드러스 마크로레피스(C. macrolepis) 등의 수목, 테트라클리니스속(Tetraclinis)에 속하는 테트라클리니스 아티큘라타(T. articulata) 등의 수목, 마이크로비오타속(Microbiota)에 속하는 마이크로비오타 데커사타(M. decussata) 등의 수목, 떡갈나무속(Platycladus)에 속하는 떡갈나무(P. orientalis) 등의 수목, 칼리트롭시스속(Callitropsis)에 속하는 칼리트롭시스 누트카텐시스(C. nootkatensis), 칼리트롭시스 비에트나멘시스(C. vietnamensis), 칼리트롭시스 데커렌스(C. decurrens), 칼리트롭시스 포모사나(C. formosana) 등의 수목, 및 그 변종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인 유상 추출물을 얻기 위한 소나무과에 속하는 다른 수목으로서 케텔레에리아속(Keteleeria)에 속하는 케텔레에리아 다비디아나(K. davidiana), 케텔레에리아 포모사나(K. formosana), 케텔레에리아 포투네이(K. fortunei) 등의 수목, 카타야속(Cathaya)에 속하는 수목, 및 그 변종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인 유상 추출물로서는, 상기 수목 유래의 추출물을 1종류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나, 2종류 이상을 병용하는 것 어느쪽이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은,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의 인공 건조 공정에서 얻을 수 있는 증기를 냉각하므로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적합한 가열 온도는, 가온된 목재부의 온도로서 60 내지 24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이다. 목재 공업에 있어서, 통상, 실시되는 목재 건조의 온도 범위는 40 내지 90℃가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의 건조 온도는 약간 특수한 온도 조건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인 제초제 조성물로서 유용한 유상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온도 범위에서의 건조 실시와 그때 발생하는 증기의 포집이 중요하다. 통상, 이러한 증기는 목재 건조 공정의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건조 공정은, 예를 들면, 각재, 기둥재, 판재, 통나무재, 환봉, 합판용 러미나, LVL용 러미나, 목질 섬유 또는 목재 칩의 함수율을 저하시키기 위한 건조 스케줄의 일환으로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재, 기둥재, 판재, 통나무재 또는 환봉의 방부성이나 치수 안정성을 높일 목적으로 행해지는 고열 건조에서의 건조 스케줄의 일환으로서 이러한 건조 공정을 실시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고, 사모 우드(ThermoWood) 등의 명칭으로 불리는 고품질인 건조 목재의 제조와 동시에, 환경에의 부하가 작은 천연계의 제초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열 건조의 건조 스케줄의 구체적인 예는, 제일 공정으로서 먼저 4시간 이내의 단시간에 목재 온도를 90 내지 100℃로 상승시키고, 다음에, 제2 공정으로서 그 후의 수시간 내지 약 30시간이 시간을 들여 목재 온도를 서서히 120℃전후까지 상승시키고, 다음에, 제3 공정으로서 목재 온도를 200℃ 전후까지 서서히 가열하여 목재에 열처리를 가한다는 것이며, 이 제1 공정의 후반과 제2 공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을 얻기 위한 증기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시간은, 목재의 크기, 가열 설비의 능력에 따라 적당히, 조정되어야 하지만, 목재의 중심부분이 상기 온도에 이르고 나서, 두께 10 mm이하의 얇은 판자나 팁의 경우는 적어도 5분 이상, 두께 5 cm 이상의 목재의 경우는 적어도 15분 이상, 상기 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건조 공정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건조 방식으로서는, 증기식 건조(Steam-heated dry), 연도식 건조(Indirect furnace-type dry), 훈연식 건조(Direct-fired dry), 전기 가열식 건조(Electro-heat dry), 태양열 이용 건조(Solar dry), 열판건조(Press dry), 적외선 건조(Infrared dry), 고주파(마이크로파) 건조(High-frequency dielectric dry), 감압 건조(Vacuum dry)를 들 수 있으며 증기식 건조(Steam-heated dry)가 특히 적합하게 사용 가능하지만, 상술한 온도 범위에서의 가열이 실시 가능하면, 다른 건조 방식의 사용이나, 상기의 건조 방식의 조합 사용도 가능하다. 건조 방식의 조합예로서는, 증기식 건조와 고주파 건조의 병용, 고주파 건조와 감압 건조의 병용을 들 수 있다. 또한 감압 건조의 경우는 목재를 4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이상으로 가열하고, 또한 진공도로서 1.32×104 Pa(100 mmHg) 이하로 감압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로 사용되는 건조 설비는, 상기의 건조 방식의 기기를 갖춘 건조실(dry kiln)이며, 건조실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물 등의 냉매 및/또는 공기를 사용해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방법이거나, 수중에 증기를 도입하는 방법 등으로 냉각하므로써,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을 포함한 응축수가 포집된다. 이와 같은 냉각은, 통상 10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이하에서 행해진다. 얻어진 응축수를 정치 하면 액면의 유층으로서 유상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이러한 유상 추출물은 유층을 회수하므로써, 또는 섬유, 부직포, 직물, 시트, 매트, 입자, 컬럼 등의 형태의 기름 회수 제품, 기름 흡수 제품, 또는 기름 흡착 제품에 접촉시키므로서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름 회수 제품등은 응축수의 수층에 소량 분산된 유상 추출물을 회수할 목적으로도 유용하다. 또한 사용되는 건조실에는, 통상, 목재의 건조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건조 초기에 습도를 높이기 위한 수증기 공급관(증자관)을 갖추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수증기의 일부도,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을 함유한 응축수로서 포집된다.
응축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층에는, 목재 유래의 휘발 성분중, 수용성이 높은 성분이 용해되어 있지만, 이러한 성분은 본 발명의 목적인 표적 잡초의 방제를 위해서는 방제 효과가 작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사용은 필수는 아니다. 그러나, 자원의 유효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목의 지엽 부분에서는 응축수의 수층으로 이행하는 다양한 성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지엽 부분은 아니고 목재부를 사용해서 유상 추출물을 얻는 것이 필수이지만, 열에너지의 유효 이용과 자원의 유효 이용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목재의 건조와 동시에 지엽의 건조를 하므로서, 다양한 성분을 함유한 응축수의 수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수층의 수용액이나 그 성분을 다른 산업적인 이용에 제공하는 것도 합리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은,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에 유래하는,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을 열수 추출(hot water extract) 또는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로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열수 추출 또는 수증기 증류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통상, 4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이다. 추출에 요하는 시간은, 사용하는 목재 칩, 톱밥, 또는 목분의 크기에 따라 적당히 조정하면 되지만, 통상, 1시간 내지 24시간의 범위에서 추출 조작이 실시된다. 또한,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 40 atm까지의 압력 범위에서 가압을 실시하므로서, 120 내지 240℃의 범위에서,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처리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보다 많은 유상 추출물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아임계 조건 또는 초임계 조건에서의 추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은 천연계의 추출물이므로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지만, 세스퀴터펜(sesquiterpene), 세스퀴터펜알콜(sesquiterpene alcohol), 디터펜(diterpene), 및 디터펜 알코올(diterpene alcohol)을 이들의 합계 함유량으로서 5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스퀘터펜 또는 세스퀘터펜알콜에 속하는, 히마칼렌(himachalene), 카디넨(cadinene), 카디놀(cadinol), 머롤렌(muurolene), 엘레몰(elemol), 유데스몰(eudesmol), 세드렌(cedrene), 세도롤(cedrol), 뜨욥센(thujopsene), 디터펜에 속하는 16-카우렌(16-kaur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 속하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이들 10 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4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인 것이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의 특징이다. 또한, 이러한 화합물에는, 다양한 이성체가 존재하고, 예를 들면, 카디넨(cadinene)의 경우, α-카디넨(α­cadinene), β-카디넨(β­cadinene),γ-카디넨(γ­cadinene), δ-카디넨(δ­cadinene)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이러한 이성체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은 세스쿼터펜, 세스쿼터펜알콜, 디터펜, 또는 디터펜 알코올에 속하는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고 이 점에 있어서, 피넨(pinene), 터피넨(terpinene), 리모넨(limonene), 사비넨(sabinene), 미르센(myrcene), 시네올(cineol), 캠펜(camphene) 등의 모노터펜(monoterpene)을 주된 성분으로 하는 종래 알려져 있던 정유, 예를 들면, 송근유(pine oil), 송엽유(pine needle oil), 티 트리-유(tea tree oil), 유칼리유(eucalyptus oil) 등과는 완전히 성질과 상태, 제초 효과가 다르다. 즉, 귤과(Rutaceae), 차조기과(Lamiaceae), 장미과(Rosaceae), 국화과(Asteraceae), 은매화과(Myrtaceae), 미나리과(Apiaceae), 포포나무과(Annonaceae), 붓꽃과(Iridaceae), 감람나무과(Burseraceae), 패랭이꽃과(Caryophyllaceae), 생강과(Zingiberaceae), 목서과(Oleaceae), 녹나무과(Lauraceae), 벼과(Poaceae), 자목련과(Magnoliaceae), 제비꽃과(Violaceae), 콩과(Leguminosae) 등의 소나무목에 속하지 않는 식물에서 얻을 수 있던 정유나, 소나무목의 수목이라도 그 지엽에서 얻을 수 있던 정유는, 세스쿼터펜, 세스쿼터펜알콜, 디터펜, 또는 디터펜 알코올에 속하는 성분의 함유량이 낮기 때문에 제초 효과가 불충분하고, 제초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고농도로 여러 차례의 살포 처리가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은, 광범위한 종류의 잡초에 대해서 뛰어난 제초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토양면을 동시에 처리하므로서, 살포 후의 장기간에 걸치는 잡초 방제 효과를 가지므로, 매우 유용한 제초제 조성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 및 그 이용 방법이, 종래 알려져 있는 정유와 그 이용 방법과는 다르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을 다시 증류, 분류, 컬럼 분획, 용매 추출등의 조작에 제공하여, 그 성분을 분리, 농축, 또는 정제 하여 제초제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을 함유한 제초제 조성물은, 잡초 방제의 목적으로, 표적 잡초의 경엽부 또는 뿌리부에의 시용, 표적 잡초가 발생하기 전의 토양에의 혼화 및/또는 표적 잡초가 발생하기 전의 토양면에의 시용에 의해서 사용된다.
시용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표적 잡초의 경엽부나 그 뿌리부의 토양에 대한 살포 처리, 표적 잡초의 경엽부에 대한 도포 처리, 표적 잡초의 경엽부 또는 뿌리부에 대한 적하 처리, 표적 잡초의 번식을 억제하고 싶은 토양중에의 혼화 처리 또는 주입 처리, 표적 잡초의 번식을 억제하고 싶은 토양 표면에의 살포 처리 또는 적하 처리를 들 수 있다. 또한, 표적 잡초의 방제 처리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을 직접시용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통상, 전술한 바와 같이, 유상 추출물을 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의 비율로 함유 하는 살포액 또는 살포제를 조제해서 시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용물로서 상기 유상 추출물, 제제 용액, 또는 이러한 희석액을 고체 담체에 담지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표적 잡초의 방제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유효 성분인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의 농도로서는, 예를 들면 액체상태로 사용하는 경우는 1~90%, 바람직하게는 10~85%정도이며, AL(applicable liquid) 제로서 그대로 살포하거나, 물로 희석해서 살포, 적하, 도포 처리한다. 희석 살포 또는 적하 하는 경우는, 통상 1 m2 당 10~1000 ml, 바람직하게는 50~400 ml의 물로 희석해서 처리한다.
또한, 이러한 용액을 표적 잡초의 경엽부에 대한 도포 처리에 사용하는 경우, 용액은 경엽부의 표면적 1 m2당 통상 5~500 ml, 바람직하게는 10~200 ml 도포해서 시용된다.
또한, 이러한 용액을 표적 잡초의 경엽부 또는 뿌리부에 대한 적하 처리에 사용하는 경우, 또는 표적 잡초의 번식을 억제하고자 하는 토양에 대한 적하 처리에 사용하는 경우는, 적하의 반복 회수, 빈도에 따라서, 적하하는 액량을 적당히 조정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용액을 표적 잡초의 번식을 억제하고자 하는 토양에 대한 혼화 처리 또는 주입 처리에 사용하는 경우, 처리되는 토양의 깊이, 표적 잡초를 방제 하는 기간에 따라서, 적당히 시용하는 용액의 양을 조정해야 하지만, 처리되는 토양면의 면적 1 m2당의 용액량으로서 통상 10~5000 ml, 바람직하게는 50~1000 ml로 시용된다.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 제제 용액, 또는 이들 희석액을 고체 담체에 담지하여 사용하므로서, 고형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고형 제제중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의 적합한 비율은, 고형 제제 전체의 질량을 100%로 했을 경우, 10~90%, 바람직하게는 20~80% 정도이다. 이러한 고형 제제를 통상, 1 m2 당 0.1g~10kg, 바람직하게는 0.125g~5kg, 더욱 바람직하게는 0.625g~1kg 뿌려서 처리한다. 이러한 고형 제제는, 토양 표면에 부설 또는 토양중에 혼합해서 시용 하는 것도 가능하며, 특히, 토양 표면에 층형상으로 부설하는 방법은, 장기간의 표적 잡초 방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유용하다.
상기의 표적 잡초의 방제 방법중, 어떤 방법을 채용하는가는, 처리할 잡초나 토양의 상황, 주변의 환경 상황, 이용 가능한 살포 기기의 유무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의 배합량은, 살포시의 희석의 유무나 희석 배율의 크기, 표적 잡초의 번성 밀도, 필요로 하는 잡초 방제 기간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된다.
상기 고형 제제를 얻기 위해서 사용 가능한 고체 담체의 적합한 예로서 탈크, 진흙, 벤토나이트, 카오리나이트, 파이로페라이트, 산성 백토, 규조토, 화이트 카본, 바미큐라이트, 인회석, 석고, 운모, 규사, 탄산칼슘, 속돌가루, 펄라이트, 세라믹스파쇄물, 벽돌파쇄물, 콘크리트파쇄물, 쇄석, 광석 분말, 점토소성물 등의 무기계 담체, 결정성 셀룰로오스, 전분, 목편, 코르크편, 톱밥, 목분, 왕겨, 종이조각, 식물계 섬유 등의 식물계 담체, 폴리염화비닐, 석유 수지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체 담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류 이상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농약 제제로 범용되고 있는 액체 담체를 첨가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액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시크로헥사놀, 아밀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 나프타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에틸 셀로솔브, 부틸 셀로솔브,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 이소프로필, 아세트산 벤질 등의 에스테르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극성 용매류, 케로신, 광유, 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액체 담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류 이상 병용해도 된다.
또한, 다시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분산제, 또는 보조제 등을 배합해서, 일반 농약이 취할 수 있는 형태, 즉 유제, 현탁제, 훌로아불제, 펠릿제, 수화제, 입자제, 분제, 과립형상 수화제, 집합체 물질 중의 마이크로 캅셀 등의 각종 제형으로 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 가능한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알킬 술폰산염, 리그닌 술폰산염, 폴리옥시 에틸렌글리콜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알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 모노 알킬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비닐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옥수수 전분,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 분산제, 보조제는, 각각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되며, 병용 하는 경우의 혼합비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pH조정을 위한 성분을 첨가하는 것도, 보다 안정적인 제초 효과를 얻기 위해서 유용하다. pH를 조정할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알칼리성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트리 에탄올 아민, 프로판올 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N-메틸 에탄올 아민, N-메틸 디에탄올 아민, N, N-디메틸 에탄올 아민, N-에틸 에탄올 아민, N-에틸 디에탄올 아민, 이소프로판올 아민, 아미노 에틸 에탄올 아민,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헥사민, 폴리에틸렌이민, N, N-디메틸 에틸렌 디아민, 1, 2-프로판 디아민, 1, 3-프로판 디아민, 폴리 아릴 아민, 암모니아,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등의 아민계 또는 암모니아계 화합물, NaOH,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의 원소의 주기율표의 1A족의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 Mg(OH)2 등의 원소의 주기율표의 2A족의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pH조정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산성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구연산, 호박산, DL-사과산, D-사과산, L-사과산, 프로피온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등의 유기산, 황산, 염산, 인산 등의 광산을 들 수 있다. pH의 조정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3~11,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이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베어낸 자리, 휴경밭, 목초지, 잔디지, 수목원지의 수목 주변, 임업지, 식생숲의 수목 주변, 농로, 유휴지, 공터, 주차장, 선로내, 선로단, 운동장, 공원, 산책길, 두렁, 강가, 모래사장, 그 외의 비농경지에 발생하는 광범위한 잡초를 제초할 수 있다. 제초제 조성물은, 상기 대상에 사용한 경우라도,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유용한 수목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며, 또한 불쾌한 악취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뛰어난 잡초의 방제 방법이다.
상승적인 잡초 방제 효과에 의해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의 제초 효과를 한층 높이기 위해서, 무기계 성분을 다시 첨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무기계 성분은,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암모늄, 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등의 탄산계 화합물, 산화칼슘, 염화칼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 함유 화합물, 붕산, 붕사, 붕산 칼슘 등의 붕소 함유 화합물, 염소산 나트륨염, 및 이러한 무기계 화합물의 함수 염 또는 소성물이며,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붕산 칼슘, 산화 마그네슘 및 염소산 나트륨염이 특히 적합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계 성분으로서 마그네슘계 붕산 광석 또는 칼슘계 붕산 광석의 분쇄물도 유용하고, 이러한 광석의 적합한 예로서 캠 셀석(Camsellite), 카나베이사이트(Canavesite), 콩고 라이트(Congolite) 등의 마그네슘계 붕산 광석, 카르시보라이트(Calciborite), 카르사이베보로시라이트(Calcybeborosilite), 찰즈석(Charlesite), 쉘컬라이트(Chelkarite), 크리노쿨체트바이트(Clinokurchatovite), 콜레마나이트(Colemanite), 콜브라나이트(Collbranite), 우렉스석(Ulexite) 등의 칼슘계 붕산 광석, 이들 광석의 소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용성이 낮은 무기물에 있어서는 미세분체로서 사용하는 것도 유용하다. 이러한 무기계 성분의 적합한 사용 농도는, 시용물에 함유되는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의 농도를 1로 했을 경우, 0.01~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이다. 또한, 이러한 무기계 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상승적인 잡초 방제 효과에 의해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의 제초 효과를 한층 높이기 위해서, 다른 식물 추출액 및/또는 다른 식물 추출 성분을, 첨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식물 추출액으로서 감귤류, 허브류, 대, 조리대, 침엽수 등의 식물에 있어서의, 과실, 과피, 종자, 잎, 뿌리로부터의 추출액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식물 추출 성분의 적합한 예로서 d체, l체, 또는 d/l체의 리모넨(limonene)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른 식물 추출액 및/또는 다른 식물 추출 성분의 사용량은, 동시에 사용하는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의 농도와 이러한 다른 식물 추출액 및/또는 다른 식물 추출 성분이 가지는 제초 능력에 따라, 적당히, 조정되지만, 예를 들면, d-리모넨을 이용하는 경우는, 시용물에 함유된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의 농도를 1로 했을 경우, d-리모넨의 적합한 사용 농도는 0.01~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이다. 또한 이와같은 다른 식물 추출액 및/또는 다른 식물 추출 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는, 다종 다양한 잡초를 동시에 방제하기 위해서 그 외의 제초제, 예를 들면 설포닐우레아, 피라졸, 디페닐에테르, 트리아진, 우레아, 아미드, 카바메이트계 등의 제초제의 1종류 또는 그 이상과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초제의 예로서는 다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아이옥시닐(ioxynil), 아클로니펜(aclonifen), 아지프로트린(aziprotryne), 아시플루오르펜나트륨염(acifluorfen-sodium), 아짐설퍼론(azimsulfuron), 아서설람(asulam), 아세토클로(acetochlor), 아트라진(atrazine), 아닐로포스(anilofos), 아자페니딘(azafenidin), 아미카바존(amicarbazone), 아미도설퍼론(amidosulfuron), 아미트롤(amitrole), 아미노피랄리드(aminopyralid), 아미프로포스-메틸(amiprophos-methyl), 아메트린(ametryne), 알라클로(alachlor), 알록시딤(alloxydim), 이소우론(isouron), 이속사클로르톨(isoxachlortole), 이속사플루톨(isoxaflutole), 이속사벤(isoxaben), 이소프로터론(isoproturon), 이마지퀸(imazaquin), 이마자픽(imazapic), 이마자피르(imazapyr), 이마자메타벤즈-메틸(imazamethabenz-methyl), 이마자목스-암모늄염(imazamox-ammonium), 이마제타피르(imazethapyr), 이마조설퍼론(imazosulfuron), 인다노판(indanofan), 에글리나진-에틸(eglinazine-ethyl), 에스프로카브(esprocarb), 에탈플러랄린(ethalfluralin), 에타메트설퍼론-메틸(ethametsulfuron-methyl), 에티디무론(ethidimuron), 에톡시설퍼론(ethoxysulfuron), 에톡시펜-에틸(ethoxyfen-ethyl), 에토퍼메세이트(ethofumesate), 에토벤자니드(etobenzanid), 엔도나탈(endothal), 옥사디아존(oxadiazon), 옥사디아길(oxadiargyl), 옥사사지클로메폰(oxaziclomefone), 옥사설퍼론(oxasulfuron), 옥시플루오르펜(oxyfluorfen), 오리잘린(oryzalin), 오르소설파머론(orthosulfamuron), 오르소벤카브(orthobencarb), 올레인산(oleic acid), 카펜스트롤(cafenstrole), 카펜트라존-에틸(carfentrazone-ethyl), 카부틸레이트(karbutilate), 카베타미드(carbetamide), 퀴잘로폽-P-에틸(quizalofop-P-ethyl), 퀴노클라민(quinoclamine), 퀸클로락(quinclorac), 퀸메락(quinmerac), 쿠밀러론(cumyluron),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글리포세이트-트리메슘염(glyphosate-trimesium),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glufosinate-ammonium), 클레토 딤(clethodim), 클로디나폽-프로파길(clodinafop-propargyl), 클로피랄리드 (clopyralid), 클로마존(clomazone), 클로메톡시펜(chlomethoxyfen), 클로멥프롭(clomeprop), 클로란설람-메틸(cloransulam-methyl), 클로람벤(chloramben), 클로리무론-에틸(chlorimuron-ethyl), 크롤티아미드(DCBN), 클로탈림(chlorphthalim), 클로록시우론(chloroxuron), 클로설퍼론(chlorsulfuron), 클로탈-디메틸(chlorthal-dimethyl), 클로로톨루론(chlorotoluron), 클로니트로 펜(chlornitrofen), 클로부팜(chlorbufam), 클로플루레놀-메틸(chlorflurenol-methyl), 클로프로팜(chlorpropham), 클로브로무론(chlorbromuron), 클로로아세트산(chloroacetic acid), 잔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xanthomonas campestris), 시아나진(cyanazine), 시안산나트륨염, 디우론(DCMU), 디에타틸-에틸(diethatyl-ethyl), 시클로에이트(cycloate), 시클록시딤(cycloxydim), 디클로설람(diclosulam), 시클로설파무론(cyclosulfamuron), 디클로프롭(dichlorprop), 디클로베닐(DBN), 디클로폽-메틸(diclofop-methyl), 디쿼트-디브로마이드(diquat-dibromide), 디티오필(dithiopyr), 시듀론(siduron), 디니트라민(dinitramine), 시니돈-에틸(cinidon-ethyl), 시노설퍼론(cinosulfuron), 디노세브(dinoseb), 디노타브(dinoterb), 시할로폽-부틸(cyhalofop-butyl), 디페나미드(diphenamid), 디페녹시우론(difenoxuron), 디펜조쿼트(difenzoquat), 디풀르페니칸(diflufenican), 디풀르펜조필(diflufenzopyr), 디프로페트린(dipropetryn), 시마진(simazine), 디메타클로(dimethachlor),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 디메테나미드(dimethenamid), 시메트린(simetryne), 디메피페레이트(dimepiperate), 디메퍼론(dimefuron), 신메틸린(cinmethylin), 설코트리온(sulcotrione), 설펜트라존(sulfentrazone), 설포설포론(sulfosulfuron), 설포메트론-메틸(sulfometuron-methyl), 세톡시딤(sethoxydim), 터바실(terbacil), 터부틸라진(terbuthylazine), 터부트린(terbutryne), 터부메톤(terbumeton), 다임론(dymron), 다조메트(dazomet), 달라폰(dalapon), 티아자풀론(thiazafluron), 티아조필(thiazopyr), 티엔카바존(thiencarbazone), 티오카바질(tiocarbazil), 티디아지민(thidiazimin), 티펜설퍼론-메틸(thifensulfuron-methyl), 데스메디팜(desmedipham), 테트라피온(tetrapion), 테닐클로(thenylchlor), 테부탐(tebutam), 테부티우론(tebuthiuron), 테프라록시딤(tepraloxydim), 테퍼릴트리온(tefuryltrione), 데스메트린(desmetryne), 템보트리온(tembotrione), 토프라메존(topramezone), 트랄콕시딤(tralkoxydim), 트리아지플람(triaziflam), 트리아설퍼론(triasulfuron), 트리-알레이트(tri-allate), 트리에타진(trietazine), 트리클로필(triclopyr), 트리토설퍼론(tritosulfuron), 트리오펜설퍼론(triofensulfuron), 트리플루설퍼론-메틸(triflusulfuron-methyl), 트리플루라린(trifluralin), 트리플록시설퍼론-나트륨(trifloxysulfuron-sodium), 트리베뉴론-메틸(tribenuron-methyl), 드렉스레라모노세라스, 나프탈람(naptalam), 나프로아닐리드(naproanilide),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니코설퍼론(nicosulfuron), 네브론(neburon), 노르펄라존(norflurazon), 파라쿼트-디클로라이드(paraquat-dichloride), 할록시폽(haloxyfop), 할로사펜(halosafen), 할로설퍼론-메틸(halosulfuron-methyl), 비알라포스(bialaphos), 피클로람(picloram), 피콜리나펜(picolinafen), 비스피리크백나트륨(bispyribac-sodium), 피녹사덴(pinoxaden), 비페녹스(bifenox), 피페로포스(piperophos), 피라클로닐(pyraclonil), 피라설포톨(pyrasulfotole), 피라족시펜(pyrazoxyfen), 피라조설퍼론-에틸(pyrazosulfuron-ethyl), 피라졸레이트(pyrazolate), 피라존(pyrazon), 피라후르펜에틸(pyraflufen-ethyl), 피리다폴(pyridafol), 피리치오백나트리움염(pyrithiobac-sodium), 피리데이트(pyridate), 피리후탈리드(pyriftalid), 피리브치카브(pyributicarb), 피리벤족심(pyribenzoxim), 피리미술판(pyrimisulfan), 피리미노백메틸(pyriminobac-methyl), 피록사술폰(pyroxasulfone), 피록스술람(pyroxsulam), 페뉴론(fenuron), 페녹사프롭에틸(fenoxaprop-P-ethyl), 펜트라자미드(fentrazamide), 펜메디팜(phenmedipham), 포사민-암모늄염(fosamine-ammonium), 포메사펜(fomesafen), 포람설퍼론(foramsulfuron), 부타클로(butachlor), 부타페나실(butafenacil), 부타미포스(butamifos), 부틸레이트(butylate), 부테나클로(butenachlor), 부트라린(butralin), 부트록시딤(butroxydim), 플메트설람(flumetsulam), 플라자설퍼론(flazasulfuron), 플람프롭(flamprop), 프리미설퍼론-메틸(primisulfuron-methyl), 플루아지폽(fluazifop), 플루아졸레이트(fluazolate), 플루오메터론(fluometuron),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fluoroglycofen-ethyl), 플루카바존-나트륨염(flucarbazone-sodium), 플루클로랄린(fluchloralin), 플루세토설퍼론(flucetosufuron), 플르티아셋-메틸(fluthiacet-methyl), 플루피르설퍼론-메틸-나트륨염(flupyrsulfuron-methyl-sodium), 플루페나셋트(풀티아미드)(flufenacet(fluthiamide)), 플루펜필-에틸(flufenpyr-ethyl), 플루폭삼(flupoxam), 플루미옥사진(flumioxazin), 플루미클로락-펜틸(flumiclorac-pentyl), 플루리돈(fluridone), 플루레놀(flurenol), 프레틸락콜(pretilachlor), 프로글리나진-에틸(proglinazine-Et), 프로디아민(prodiamine), 프로설퍼론(prosulfuron), 프로파퀴자폽(propaquizafop), 프로팩클로(propachlor), 프로파진(propazine), 프로파닐(propanil), 프로피자미드(propyzamide), 프로피소크롤(propisochlor), 프로팜(propham), 프로폭시딤(profoxydim), 프로플루아졸(profluazol), 프로설포카브(prosulfocarb), 프로폭시카바존-나트륨염(propoxycarbazone-sodium), 브로마실(bromacil), 프로메트린(prometryne), 프로메톤(prometon), 브로목시닐(bromoxynil), 브로모페녹심(bromofenoxim), 브로모뷰티드(bromobutide), 플로라설램(florasulam), 플루록시필(fluroxypyr), 플루로클로리돈(flurochloridone), 플루타몬(flurtamone), 헥사지논(hexazinone), 베나졸린-에틸(benazolin-ethyl), 베네핀(benefin), 페녹스설람(penoxsulam), 베플루부타미드(beflubutamid), 페블레이트(pebulate), 펠라곤산(pelargonic acid), 바놀레이트(vernolate), 벤카바존(bencarbazone), 벤즈펜디존(benzfendizone), 벤설리드(bensulide), 벤설퍼론-메틸(bensulfuron-methyl), 벤조비시클론(benzobicyclon), 벤조페납(benzofenap), 페톡사미드(pethoxamid), 벤타존나트륨염(bentazon), 펜타노크롤(pentanochlor), 벤티오카브(benthiocarb),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펜톡사존(pentoxazone), 벤퍼레새이트(benfuresate), 메소설퍼론-메틸(mesosulfuron-methyl), 메소트리온(mesotrione), 메타자크롤(metazachlor), 메타설포카브(methasulfocarb), 메타벤조티아즈론(methabenzthiazuron), 메타미트론(metamitron), 메타미폽(metamifop), 메탐(metam), MSMA(methylarsonic acid), 메치오졸린(methiozolin), 메틸다임 론(methyldymron), 메톡슈론(metoxuron), 메토설람(metosulam), 메트설퍼론-메틸(metsulfuron-methyl), 메토프로트린(methoprotryne), 메토브롬론(metobromuron), 메토벤즈론(metobenzuron), 메톨라크롤(metolachlor/S-metolachlor), 메트리브진(metribuzin), 메페나셋트(mefenacet), 모노설퍼론(monosulfuron), 모놀리뉴론(monolinuron), 몰리네이트(molinate), 요드설퍼론-메틸-나트륨염(iodosulfuron-methyl-sodium), 락토펜(lactofen), 리뉴론(linuron), 림설퍼론(rimsulfuron), 레나실(lenacil), 염소산 나트륨염(sodium chlorate), 2, 3, 6-TBA, 2, 4, 5-T, 2, 4-DB, 2, 4-PA, DNOC, EPTC, MCPA, MCPB, MCPP, MDBA, TCA-나트륨염(TCA-sodium). 또한, 이와 같은 제초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시용물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살충제, 살균제, 식물 생장 조절제, 비료 등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을 시용 하기 전, 시용 할 때 및/또는 시용 한 후에, 롤러 등에 의한 구름압력, 벌초기계 등에 의한 벌채, 고속 액체 분사기 등으로 인한 살포 등의 물리적인 방법에 따라 표적 잡초의 경엽부에 상처를 내는 방법도, 제초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용하다.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이 표적 잡초의 경엽부의 상처 부분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잡초 내부에 침입한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고형 제재를 얻기 위한 담체나, 상승적인 잡초 방제 효과를 위한 무기계 성분을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혼합하여, 이것을 살포액 또는 살포제로서 사용하므로서, 고형 성분을 표적 잡초의 경엽부에 충돌 또는 부착시켜서, 표적 잡초의 경엽부에 상처를 냄으로서 제초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이 가지는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면, 시용 되는 장소에 키가 큰 잡초와 키가 작은 유용 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경우, 주로 키가 큰 잡초에 물리적으로 상처를 입혀 더욱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을 시용 하므로서, 키가 큰 잡초를 선택적으로 방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천연계의 조성물이면서 이와 같이 간단한 방법으로 선택적인 제초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본 발명은 지극히 특징적이고, 또한 유용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 제초제 조성물의 조제예, 제제예 및 시험예에 의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래와 같은 례중, 「부」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조제예 1:
삼나무의 목재부 유래의 유상 추출물(이하, 「삼나무 정유(sugi-refined-oil)」라고 부른다)의 조제는, 특허 문헌 1 기재의 방법에 따랐다. 즉,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를 벌채해서, 다시 제재하여 얻은 미건조재 약 100 kg를, 증기식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가열 온도 120℃의 조건하에서 함수율 20%이하가 되도록 건조시켰다. 건조 개시 후, 삼나무 유래의 성분을 포함한 수증기를 냉각 포집하여, 약 40 kg의 응축수를 얻었다. 이 응축액을 방치해서, 응축액의 상부에 부유 한 유층 약 150 g를 디캔테이션에 의해 분리하고, 삼나무 정유로서 이하의 제제예, 시험예에 사용하였다.
제제예 1:펠릿제
톱밥 75부에 삼나무 정유 20부를 함침시키고, 옥수수 전분 5부를 첨가하여 막대 모양으로 성형해서 펠릿제(직경 약 2 mm, 길이 5~10 mm의 원주형)를 얻었다.
제제예 2:플로어불(에멀션) 제
폴리비닐 알코올 5부, 데몰 N(상품명:카오 주식회사) 3부, 안티 폼-E20(상품명:카오 주식회사) 0.5부, 물 41.5부를 교반·혼합하여, 여기에 삼나무 정유 50부를 적하 하면서 첨가하여 플로어불(에멀션)을 얻었다.
시험예 1:밭경엽처리 포트 시험(잡초 발생 초기 처리)
350 cm2의 플라스틱 포트에 밭토양을 충전하여, 피, 바랭이, 메퀴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나팔꽃의 종자를 파종하고, 약 1 cm 복토하였다. 흡수(吸水) 후, 파종 11일째에 삼나무 정유를 원액 또는 물로 희석한 것, 또는 제제예 2에 준해서 조제한 플로어불제를 원액 또는 물로 희석한 것을, 1 m2당 살포액량 200 ml로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또한, 시험은 18~30℃의 유리 온실 내에서 실시하고, 적당히, 하면흡수 시켰다. 조사는 처리 후 3일째에 표 1에 나타내는 기준에 따라 관찰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제초효과의 판정기준
판정기준 제초효과
10 억제율 96% 이상
9 " 86~95%
8 " 76~95%
7 " 66~95%
6 " 56~95%
5 " 46~95%
4 " 36~95%
3 " 26~95%
2 " 16~95%
1 " 5% 이하
밭경옆처리포트시험 (잡초발생초기처리)
살포액에서의 희석배율 살포액농도 또는 투하제제량 1m2당 투하 삼나무정유량(ml) 제초효과
바랭이 메귀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
나팔꽃
원액 또는 그 물희석액
100 1% 2 5 3 2 3 3 2
20 5% 10 9 8 8 7 7 7
10 10% 20 10 10 10 10 10 10
4 25% 50 10 10 10 10 10 10
2 50% 100 10 10 10 10 10 10
1 100%(원액) 200 10 10 10 10 10 10
플로어블제제 또는 그 물희석액
50 4ml/m2 2 5 4 3 4 4 3
10 20ml/m2 10 10 9 8 8 8 7
5 40ml/m2 20 10 10 10 10 10 10
2 100ml/m2 50 10 10 10 10 10 10
1 200ml/m2 100 10 10 10 10 10 10
시험예 2:밭토양 처리 포트 시험(잡초 발생 사전 처리)
350 cm2의 플라스틱 포트에 밭토양을 충전해서, 피, 바랭이, 메귀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나팔꽃의 종자를 파종 해서, 약 1 cm 복토하였다. 흡수 후, 파종 다음날에 삼나무 정유를 원액 또는 물로 희석한 것을, 1 m2 당 살포액량 200 ml로 균일하게 토양 표면에 살포하였다. 또한, 제제예 1에 준해서 조제한 펠릿제를 소정의 투하량이 되도록 균일하게 토양 표면에 살포하였다. 또한, 시험은 18~30℃의 유리 온실 내에서 실시하여, 적당히 하면흡수 시켰다. 조사는 처리 후 15일째에 표 1에 나타내는 기준에 따라 관찰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밭경옆처리포트시험 (잡초발생전처리)
살포액에서의 희석배율 살포액농도 또는 투하제제량 1m2당 투하 삼나무정유량(ml) 제초효과
바랭이 메귀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
나팔꽃
원액 또는 그 물희석액
100 1% 2 2 1 2 3 2 0
20 5% 10 5 4 4 6 6 0
10 10% 20 8 7 7 9 8 0
4 25% 50 9 9 9 10 9 1
2 50% 100 9 10 10 10 10 3
1 100%(원액) 200 10 10 10 10 10 5
플로어블제제 또는 그 물희석액
10g/m2 2 1 1 1 2 1 0
50g/m2 10 5 4 4 5 5 0
100g/m2 20 8 7 7 8 7 0
250g/m2 50 9 9 9 9 9 2
500g/m2 100 9 10 10 9 9 4
시험예 3:밭경엽처리 포트 시험(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
350 cm2의 플라스틱 포트에 밭토양을 충전하여, 피, 바랭이, 메귀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나팔꽃의 종자를 파종하여, 약 1 cm 복토하였다. 흡수 후, 파종 25일째에 삼나무 정유를 원액 또는 물로 희석한 것을, 1 m2 당 살포액량 200 ml로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또한, 시험은 18~30℃의 유리 온실내에서 실시하고, 적당히, 하면흡수 시켰다. 조사는, 처리 후 10일째에 표 1에 나타내는 기준에 따라 관찰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밭경옆처리포트시험(잡초발생전성기처리)
살포액에서의 희석배율 살포액농도 또는 투하제제량 1m2당 투하
삼나무정유량(ml)
제초효과
바랭이 메귀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 나팔꽃
원액 또는 그 물희석액
100 1% 2 2 2 1 1 2 3
20 5% 10 6 8 3 4 4 7
10 10% 20 7 9 5 7 7 8
4 25% 50 10 10 9 10 10 10
2 50% 100 10 10 10 10 10 10
1 100%(원액) 200 10 10 10 10 10 10
조제예 2:
피세아 에비스 (Picea abies), 미송(Pseudotsuga menziesii (Mirbel) Franco), 낙엽송(Larix kaempferi), 파이너스 실베스트리스(Pinus sylvestris), 파이나스 엘리오티(Pinus elliottii) 또는 파이나스 라디아타(Pinus radiata)의 제재된 미건조재, 각각 약 100 kg를 사용하여, 조제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여, 각각의 목재부에 유래하는 120g~200g의 유상 추출물을 얻었다. 이하, 각각의 유상 추출물을 「PA정유(PA-refined-oil)」, 「PM정유(PM-refined-oil)」, 「LK정유(LK-refined-oil)」, 「PS정유(PS-refined-oil)」, 「PE정유(PE-refined-oil)」, 「PR정유(PR-refined-oil)」라고 부른다. 또한, 본 조제예에서의 유상 추출물의 회수는, 건조 공정에서 발생한 증기를 냉각해서 얻을 수 있던 응축수를, 우선 1주간 정치하고, 다음에 액면에 생긴 유층을 기름 흡착재(오르소브(ORSORB))(COSMO ECO SUPPORT INC.제)에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4:밭경엽처리 포트 시험(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
조제예 2에서 얻은 각 유상 추출물을 사용해서 제제예 2에 준하여 플로어불(에멀션) 제를 조제하여, 살포액에서의 물희석 배율을 4배에 고정한 것 이외는 시험예 3에 준한 방법으로, 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에서의 제초 효과를 검토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밭경옆처리포트시험(잡초발생전성기처리)
사용한 정유 제초효과
바랭이 메귀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
나팔꽃
각유상추출물의 4배희석액
PA정유 10 10 10 10 10 10
PM정유 10 10 9 10 9 8
LK정유 10 10 9 10 9 9
PS정유 10 10 9 10 10 9
PE정유 10 10 10 10 10 10
PR정유 10 10 10 10 10 10
1m2 당 투하정유량은 50ml이다.
제제예 3:무기계 성분을 함유 하는 제재
조제예 1 및 조제예 2에서 얻은 각 유상 추출물 10부에, 중탄산나트륨(NaHCO3) 6부와 물 84부를 첨가 혼합하여 액제를 얻었다.
시험예 5:전경엽처리 포트 시험(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
제제예 3으로 조제한 액제를 사용하여, 액제의 물희석은 하지 않고, 원액인 채 사용하는 조건으로 고정한 것 이외는 시험예 3에 준한 방법으로, 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에서의 제초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유상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물을 사용한 제제, 즉 중탄산나트륨만을 함유한 제제를 비교를 위해서 조제하여, 비교예로서의 제초 효과를 함께 검토하였다. 1 m2 당 살포액량 200 ml로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밭경옆처리포트시험(잡초발생전성기처리)
사용한 정유 제초효과
바랭이 메귀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
나팔꽃
삼나무정유+중탄산나트륨 10 10 9 9 9 9
PA정유+중탄산나트륨 10 9 10 9 9 10
PM정유+중탄산나트륨 9 9 8 9 9 9
LK정유+중탄산나트륨 10 10 9 9 9 9
PS정유+중탄산나트륨 9 10 8 9 9 9
PE정유+중탄산나트륨 10 10 10 9 9 10
PR정유+중탄산나트륨 10 10 9 8 8 9
비교예(중탄산나트륨뿐) 3 4 4 3 4 2
비교예(삼나무정유뿐) 7 9 5 7 7 8
1m2 당 투하량은 정유는 20ml, 중탄산나트륨은 12g이다.
제제예 4:무기계 성분을 함유 하는 제제
조제예 1 및 조제예 2에서 얻은 각 유상 추출물 10부에, 일차 입자의 크기가 체적 평균지름(지름의 MV치, 즉 Mean Volume Diameter)으로서 0.1~0.2 mm인 붕산 칼슘(CaB4O7·nH2O)의 분말 6부와 물 84부를 첨가 혼합하여 액제를 얻었다.
시험예 6:전경엽처리 포트 시험(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
제제예 4로 조제한 액제를 사용해서 액제의 물희석은 하지 않고 원액인 채 사용하는 조건으로 고정한 것 이외는 시험예 3에 준하여, 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에서의 제초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유상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물을 사용한 제제, 즉 붕산 칼슘만을 함유한 제제도 비교를 위해서 조제하여, 비교예로서의 제초 효과를 함께 검토하였다. 1 m2 당 살포액량 200 ml로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사용한 정유 제초효과
바랭이 메귀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
나팔꽃
삼나무정유+붕산칼슘 10 10 9 10 10 10
PA정유+붕산칼슘 10 10 10 10 10 10
PM정유+붕산칼슘 9 10 9 9 10 9
LK정유+붕산칼슘 10 10 10 10 10 10
PS정유+붕산칼슘 9 10 9 10 10 10
PE정유+붕산칼슘 10 10 10 10 9 10
PR정유+붕산칼슘 10 10 9 9 10 10
비교예(붕산칼슘뿐) 4 4 5 4 4 3
비교예(삼나무정유뿐) 7 9 5 7 7 8
1m2 당 투하량은 정유는 20ml, 붕산칼슘은 12g이다.
제제예 5:다른 식물 추출 성분을 함유 하는 제제
조제예 1 및 조제예 2에서 얻은 각 유상 추출물 10부에, d리모넨(d-limonene) 10부, 폴리비닐 알코올 2부, 데모르 N(상품명:카오 주식회사) 2부, 안티 홈 E-20(상품명:카오 주식회사) 0.2부와 물 75.8부를 첨가 혼합하여 액제를 얻었다.
시험예 7:전경엽처리 포트 시험(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
제제예 5로 조제한 액제를 사용해서 액제의 물희석은 하지 않고 원액인 채 사용하는 조건으로 고정한 것 이외는 시험예 3에 준하고, 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에서의 제초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유상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물을 이용한 제제, 즉, d-리모넨만을 함유한 제제도 비교를 위해서 조제하여, 비교예로서의 제초 효과를 함께 검토하였다. 1 m2 당 살포액량 200 ml로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밭경옆처리포트시험(잡초발생전성기처리)
사용한 정유 제초효과
바랭이 메귀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
나팔꽃
삼나무정유+d-리모넨 10 10 10 10 10 10
PA정유+d-리모넨 10 10 10 10 10 10
PM정유+d-리모넨 10 10 9 9 9 9
LK정유+d-리모넨 10 10 9 10 10 9
PS정유+d-리모넨 9 10 9 9 10 9
PE정유+d-리모넨 10 10 10 10 10 10
PR정유+d-리모넨 10 10 10 9 9 9
비교예(d-리모넨뿐) 5 7 5 6 6 4
비교예(삼나무 정유뿐) 7 9 5 7 7 8
1m2 당 투하량은 정유는 20ml, d-리모넨은 20ml이다.
시험예 8:선택적인 잡초 방제
잡초로서 새포아풀(Poa annua)이 번식한 옥외의 금잔디(Zoysia matrella) 육성지에 있어서, 롤러 솔(롤러폭이 약 18 cm, 솔폭이 약 6 cm)에 제제예 3에서 조제한 삼나무 정유를 사용한 액제를 깊이 스며들게 하고, 약 5 kg의 하중을 솔에 가하여 육성지의 전압(轉壓)을 하면서, 육성지 1 m2 당 액제를 40 g의 양으로 도포하였다. 도포 후, 10일 후에 제초 효과를 조사한 바, 도포한 장소에서의 새포아풀의 고사를 확인하였다. 더욱이, 금잔디에 대한 생육 저해등의 악영향은 확인되지 않고, 선택적인 제초 처리 효과가 확인되었다.
시험예 9:밭경엽처리 포트 시험(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
생활의 나무(Tree of life Co., Ltd)로부터 입수한 시판하는 정유를 사용해서 각종 정유의 제초 효과를 비교하였다. 사용한 정유는, 이하의 4 종류이며, 상세한 것은 다음과 같다.
양치-우드 버지니아 정유;노송나무과의 연필향나무(Juniperus virginiana)의 목재부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서 추출된 정유이며, 개시되어 있는 정보에 의하면 2%이상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주성분은, 트요프센이 25.47%, 세드롤이 23.83%, α-세드렌이 21.37%, β-세드렌 및 β-칼리 올레피렌이 5.10%, 위드롤이 2.93%이다. 따라서, 세스쿼터펜에 속하는 트요프센과 α-세드렌, 세스쿼터펜알코올에 속하는 세드롤의 함유량이 많은 정유이며, 이 3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은 70.67%이다. 이 정유는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에 해당하는 것이며, 이하, 「정유 A(essential-oil A)」라고 부른다.
양치-우드 아틀라스 정유;노송나무과의 히말라야 삼나무(Cedrus atlantica)의 목재부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서 추출된 정유이며, 개시되어 있는 정보에 의하면 2%이상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주성분은, β-히마칼렌이 46.72%, α-히마칼렌이 12.05%, 알로마딘드린이 17.57%이다. 따라서, 세스퀴텔펜에 속하는 β-히마칼렌과 α-히마칼렌의 함유량이 많은 정유이며, 이 두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58.77%이다. 이 정유는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에 해당하는 것이며, 이하, 「정유 B(essential-oil B)」라고 부른다.
싸이프레스 정유;노송나무과의 싸이프레스 셈퍼비렌스(Cupressus sempervirens)의 잎·가지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서 추출된 정유이며, 개시되어 있는 정보에 의하면 2%이상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주성분은, α-피넨이 51.22%,δ-3-칼렌이 22.44%, 리모넨이 3.74%, 텔피노렌이 3.56%이며, 모노텔펜에 속하는 성분의 함유량이 많은 정유이다. 이 정유는 목재부로부터의 추출물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에는 해당되지 않는 것이며, 비교예로서 사용하였다. 이하, 이 정유를 「정유 C(essential oil C)」라고 부른다.
유칼리글로블르스 정유;후트모모과의 유칼립투스 글로불러스(Eucalyptus globulus)의 잎·가지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에 의하여 추출된 정유이며, 개시되어 있는 정보에 의하면 2%이상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주성분은, 리모넨 및 1, 8-시네올이 86.76%, γ-텔피넨이 4.92%, p-시멘이 3.78%이며, 모노텔펜에 속하는 성분의 함유량이 많은 정유이다. 이 정유는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지 않는 식물 유래이며, 또한, 목재부로부터의 추출물도 아니므로, 본 발명의 유상 추출물에는 해당되지 않는 것이며, 비교예로서 사용하였다. 이하, 이 정유를 「정유 D(essential-oil D)」라고 부른다.
이러한 정유를 사용해서 제제예 2에 준해서 플로어불(에멀션) 제제를 조제하고, 살포액에서의 물희석 배율을 2배로 고정한 것 이외는 시험예 3에 준한 방법으로, 잡초 발생 전성기 처리에서의 제초 효과를 검토하였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밭경옆처리포트시험(잡초발생전성기처리)
사용한 정유 제초효과
바랭이 메귀리 청비름 명아주 둥근잎
나팔꽃
각정유를 50% 함유한 플로어블제의 2배 희석액
정유 A 10 10 9 10 10 10
정유 B 10 9 9 10 9 9
정 유C[비교예] 3 4 3 2 3 2
정유 D[비교예] 2 3 3 2 2 2
1m2 당 투하정유량은 정유는 50ml이다.
표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초제 조성물은, 잡초의 발생 전부터 생육 전성기까지의 폭넓은 범위에서, 비농경지의 중요 잡초를 확실하게 또한 즉효적으로 방제 할 수 있었다. 특히, 잡초경엽처리의 고살(枯殺)특성은, 처리 다음날부터 약의 징후를 나타내고, 매우 즉효적으로 표적 잡초를 방제 할 수 있는 점에서 화학 농약에도 필적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토양 처리 활성을 가진 점은, 잡초의 발생 성쇠가 긴 적용 장면에서도, 또한, 피복 식물이 고사한 후, 나지화된 토지에는 잡초의 재발생이 가속하지만, 그러한 장면에서도 장기간의 잡초 방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19)

  1.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의 건조공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얻을수 있는 유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2.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를 수증기 증류 하므로써 얻어지는 유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3.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를 열수추출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과(Cupressaceae) 또는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는 수목인 제초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소나무목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나무과의 삼나무속(Cryptomeria), 측백나무속(Thuja), 나한백속(Thujopsis), 노송나무속(Chamaecyparis), 사이프레스속(Cupressus), 또는 향나무속(Juniperus), 소나무과의 등피속(Picea), 솔송나무속(Tsuga), 히말라야 삼나무속(Cedrus), 미송속(Pseudotsuga), 낙엽송속(Larix), 소나무속(Pinus), 또는 전나무속(Abies)에 속하는 수목인 제초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나무과의 삼나무속(Cryptomeria)의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인 제초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건조공정이 가열온도 60 내지 240℃로 실시되는 제조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건조공정이 증기식 건조인 제초제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수증기증류가 가열온도 40 내지 120℃로 실시되는 제초제 조성물.
  10. 제3항에 있어서, 열수추출이 가열온도 40 내지 120℃로 실시되는 제초제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적잡초의 경엽부 또는 뿌리부에의 시용, 표적잡초가 발생하기 전의 토양에의 혼화 및/또는 표적잡초가 발생하기 전의 토양면에의 시용에 따라 표적잡초를 방제하는 제초제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탄산 나트륨 또는 붕산칼슘을 추가로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리모넨을 추가로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14. 소나무목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부의 건조공정에서 발행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얻을수 있는 유상추출물을 표적잡초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소나무목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과(Cupressaceae) 또는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는 수목인 제초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소나무목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나무과의 삼나무속(Cryptomeria), 측백나무속(Thuja), 나한백속(Thujopsis), 노송나무속(Chamaecyparis), 사이프레스속(Cupressus), 또는 향나무속(Juniperus), 소나무과의 등피속(Picea), 솔송나무속(Tsuga), 히말라야 삼나무속(Cedrus), 미송속(Pseudotsuga), 낙엽송속(Larix), 소나무속(Pinus), 또는 전나무속(Abies)에 속하는 수목인 제초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소나무목(Pinales)에 속하는 수목이 노송나무과의 삼나무속(Cryptomeria)의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인 제초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유상 추출물을 살포액 또는 살포제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제제 또는 원액을 표적잡초의 경엽부 또는 뿌리부에의 시용, 표적잡초가 발생하기 전의 토양에의 혼화 및/또는 표적잡초가 발생하기 전의 토양에의 시용으로 사용하고 표적잡초를 방제하는 제초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유상 추출물이 삼나무재의 건조공정에서 얻어지는 증기를 냉각하여 얻을수 있는 삼나무 정유인 제초방법.
KR1020107023353A 2008-08-19 2009-03-24 제초제 조성물 및 제초 방법 KR101608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0640 2008-08-19
JP2008210640 2008-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411A KR20110031411A (ko) 2011-03-28
KR101608936B1 true KR101608936B1 (ko) 2016-04-04

Family

ID=4393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353A KR101608936B1 (ko) 2008-08-19 2009-03-24 제초제 조성물 및 제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136B1 (ko) * 2018-11-29 2020-06-23 조경훈 친환경 제초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7842B1 (ko) * 2019-09-26 2020-02-14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물 유래의 식물 생육 억제용 조성물
KR102328358B1 (ko) * 2019-12-27 2021-11-1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더우드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631338B1 (ko) * 2023-09-11 2024-01-29 조동희 송진을 이용한 친환경 제초제 및 그를 이용한 제초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614A (ja) * 2003-09-19 2005-04-07 Miyazaki Prefecture 木材の乾燥排出液を利用した消臭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614A (ja) * 2003-09-19 2005-04-07 Miyazaki Prefecture 木材の乾燥排出液を利用した消臭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411A (ko) 201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9462B1 (en) Herbicide composition and weed control method
JP5415042B2 (ja) 除草剤組成物及び除草方法
US8153561B2 (en) Limonene-containing herbicide compositions, herbicide concentrate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for organic production
US10863741B2 (en) Herbicidal compositions
US20080300225A1 (en) Pesticidal formulation containing oxymatrine or matrine
Lachance et al. Repellent effectiveness of seven plant essential oils, sunflower oil and natural insecticides against horn flies on pastured dairy cows and heifers
KR101608936B1 (ko) 제초제 조성물 및 제초 방법
EA018968B1 (ru) Гербицид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пироксасульфон vii
CA2701944A1 (en) A natural herbicide containing lemongrass essential oil
CN102657211B (zh) 一种防治蚧壳虫类害虫的油基制剂
KR101615174B1 (ko) 다이쿼트디브로마이드와 비선택성 제초제를 포함하는 상승작용적 제초제 혼합물
TW200904332A (en) Method of improving the growth of a plant
ES2907650T3 (es) Uso de una mezcla de herbicidas en patatas
TWI514968B (zh) 除草劑組成物之製造方法
AU2003257249B8 (en) Eremophilone and eremophilone derivatives for pest control
JP5491241B2 (ja) 望まれない植物の防除組成物および防除方法
JP2022070224A (ja) 除草剤組成物及び除草方法
AU2021316989A1 (en) Synergistic herbicidal formulations,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CN106689206A (zh) 一种治疗柑橘树黄化病的农药
Rosskopf et al. Evaluation of Dominus®(allylisothiocyanate) for tomato and bell pepper production
Patel et al. Evaluation of newer insecticides against gram pod borer and its impact on population of natural enemies in summer green gram
JP2021075477A (ja) 除草剤組成物
JP2021006514A (ja) 除草剤組成物
JP2021075478A (ja) 除草剤組成物
TW201206347A (en) For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