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38B1 - 덕트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덕트 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838B1
KR101608838B1 KR1020150138438A KR20150138438A KR101608838B1 KR 101608838 B1 KR101608838 B1 KR 101608838B1 KR 1020150138438 A KR1020150138438 A KR 1020150138438A KR 20150138438 A KR20150138438 A KR 20150138438A KR 101608838 B1 KR101608838 B1 KR 101608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utting
blade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이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성 filed Critical 이종성
Priority to KR102015013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의 바닥면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단의 연결부를 보다 안전하고 깔끔하게 절단하는 덕트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돌출형 블레이드와 축 결합공이 구비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판상의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와 축 결합하며, 커팅부가 삽입되어 축을 기준으로 전후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커팅부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블레이드의 회동방향 전후에 구비된 고정대를 포함하는 지지몸체와; 상기 축 결합공을 관통하며, 상기 블레이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덕트 커팅 장치{DUCT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의 바닥면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단의 연결부를 보다 안전하고 깔끔하게 절단하는 덕트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선용 덕트의 양 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홈이 생성된 채 상부가 개방 되어있어, 홈을 통해 전선을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거나 분기하는 전선 작업과 덕트 절단작업에 용이하다. 하지만 내구성을 강화시킨 개량된 전선용 덕트의 경우, 홈이 생성된 측면의 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기존의 덕트 절단기로 덕트 절단작업을 수행하기에는 덕트의 높이가 높고,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절단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전선용 덕트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할 덕트의 길이를 측정하여 절단한 위치를 표시하고 일체로 연결된 측면의 상부를 톱, 가위, 앵글절단기 또는 쇠톱 등 과 같은 별도의 절단 기구를 통해 작업자가 절단기의 절단날 두께에 맞춰 잘라 주어야 했다. 그 후, 상단부분이 잘린 덕트를 절단기에 잘 맞추어 바닥면을 절단하게 되며, 완전히 절단된 덕트를 가지고 덕트 설치 및 전기배선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가위, 앵글절단기 또는 쇠톱 등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덕트를 절단하다 보니 덕트가 질겨서 절단이 잘 되지 않고, 절단 하더라도 많은 소음과 절단시 발생한 덕트의 파편 및 분진으로 인한 공해가 발생 하였다. 또한 절단된 부위가 매우 예리하여 작업자가 작업 도중 팔과 같은 노출된 부위가 베이는 등의 각종 안전문제가 발생했다.
이와 같은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기술로서, 배선용 덕트를 원하는 길이로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 장치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GLW사의 덕트 커팅기(모델명:DC 125,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는 덕트의 절단 작업에 있어서 간단하고 쉽게 절단되는 덕트 커팅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지만 선행문헌1의 칼날부는 일정 높이 이상 위치시킬 수 없어 상부가 일체로 형성된 높은 높이의 덕트는 선행문헌1의 장치에 삽입할 수 없어 절단작업이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높이가 낮더라도 유연한 재질의 덕트인 경우 절단 작업도중 덕트의 측면이 휘거나 깨지는 등의 위험한 요소가 다수 존재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66103호 (등록일자: 2010.06.17.)은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동일한 품질로 절단되도록 배선용 덕트에 알맞게 특화된 덕트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절단장치의 덕트가 고정하게 되는 모듈화 고정대에 구비된 규격 사이즈의 덕트 만을 삽입 고정하여 절단할 수 있어, 개별 주문하거나 특수한 용도의 덕트는 사용할 수 없으며, 부피가 커서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이동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66103호 (등록일자: 2010.06.17.)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규격 사이즈 이외의 덕트도 쉽게 절단할 수 있는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한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 작업시 소음과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커팅 장치는 돌출형 블레이드와 축 결합공이 구비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판상의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와 축 결합하며, 커팅부가 삽입되어 축을 기준으로 전후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커팅부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블레이드의 회동방향 전후에 구비된 고정대를 포함하는 지지몸체와; 상기 축 결합공을 관통하며, 상기 블레이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좌우 대칭형 제1,2지지몸체가 결합되어 제1,2 지지몸체 사이에 상기 커팅부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핸들레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동력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고정대의 하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덕트 안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브래킷이 더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브래킷 사이에 커팅장치가 장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커팅 장치는 미리 절단할 필요 없이 동일한 품질로 덕트를 절단하며, 작업자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부피 및 무게가 적어 취급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덕트 절단기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덕트의 측면 상부를 절단하는 양면에 칼날을 포함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덕트 양측의 테두리부를 절단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너비의 덕트를 고정하는 고정홈이 구비되어 절단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모품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커팅 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몸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커팅 장치의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커팅 장치의 작동 모습,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를 절단하는 모습.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덕트 커팅 장치의 조립 사시도로 제1 지지몸체(10), 커팅부(20), 제2 지지몸체(30) 순으로 위치하며 제1,2 지지몸체(10,30)가 결합이 되고, 결합된 지지몸체의 중공부(13)와 커팅부(20)의 축 결합공(21)에 조작부(40)의 축(41)이 관통 삽입하게 된다. 지지몸체(10,30)와 결합한 커팅부(20)를 조작하기 위해 조작부(40)와 결합하는 핸들레버(43)가 있고, 이 핸들레버(43)를 위, 아래로 움직이면 커팅부(20)가 왼쪽, 오른쪽으로 작동하게 된다.
커팅부(20)를 품은 제1,2 지지몸체(10,30)에는 커팅부(20)가 좌, 우로 회동가능 하게 위치할 수 있는 장착홈(15)과 덕트 절단시 발생한 파편이나 분진의 제거를 원활하게 하는 이동로(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몸체의 중공부(13)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결합부(14)가 구비되어 있어 체결구를 통해 커팅부(20)가 빠지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다.
커팅부(20)는 축 결합공(21)이 형성된 몸체부와 돌출된 형태의 블레이드(22)를 포함하고 있으며, 지지몸체(10,30)에 결합한 커팅부(20)의 몸체부는 지지몸체(10,30)의 내부에 위치하고 블레이드(22)만 고정대(11)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각각의 부품이 체결구를 통해 분해 및 조립 가능함에 따라 오래 사용하여 닳거나 부서진 부품의 경우, 손상된 부품만 새로 구비하여 교체한 뒤 다시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지지몸체의 상세도로 지지몸체는 한 쌍으로 나누어져 있는 제1,2 지지몸체(10,30)로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다.
결합한 지지몸체(10,30)의 사이에는 커팅부(20)가 삽입되는 장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설명에서는 제1 지지몸체와 제2 지지몸체의 형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지지몸체만을 가지고 설명을 한다.(이하, 지지몸체는 제1 지지몸체와 제2 지지몸체 모두를 의미.)
지지몸체(10,30)의 상단에는 덕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대(11)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정대(11)는 한 쌍의 막대가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하늘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덕트를 절단할 경우 커팅부(20)의 블레이드(22)와 대응하도록 상기 블레이드(22)의 양측으로 고정대(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정대(11)의 하단에는 돌출부(12)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덕트의 상단부분 절단시 덕트의 일부분을 고정시켜 절단하는 도중 덕트가 다른 곳으로 밀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도면에서의 고정대(11)는 일체형으로 되어있어 간격을 조절 할 수 없지만, 필요에 따라서 나사 돌림방식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고정대를 구비하여 규격 사이즈 외의 다양한 크기의 덕트를 고정하시켜 손쉽게 절단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나사 돌림방식 이외의 다양한 방식의 간격조절 수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몸체(10,30)의 하단은 어떠한 형상을 해도 무관하지만, 작업대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브래킷(50)으로 지지몸체(10,30)를 작업대에 고정하기 위해서 브래킷(50)의 형상에 맞는 크기와 형태면 족할 것이다.
지지몸체(10,30)에는 복수개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역할에 따라 그 크기가 각각 다르다.
중심부에는 조작부(40)의 축(41)이 관통하여 커팅부(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중공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부(13)를 중심으로 주변에 2쌍의 대칭되는 결합부(14)가 형성되어 있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지지몸체와 커팅부(20)를 결속하게 된다.
본 도면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0,30)는 한 쌍의 동일한 형태가 아닌 일체형으로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일체로 된 하나의 지지몸체에 커팅부(20)가 삽입할 수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중공부(13)를 통해 삽입된 조작부(40)에 의해 커팅부(20)가 회동가능 한 형태를 취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덕트와 직접 접하여 절단하는 커팅부에 관한 것으로, 축 결합공(21)이 구비된 몸체부에 돌출된 블레이드(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22)는 덕트와 접하게 되는 양 측에 덕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V홈(23)이 형성된 칼날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블레이드(22)는 덕트를 절단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으면 어떤 재질의 블레이드라도 좋을 것이다.
커팅부(20)를 작동하게 하는 조작부(40)와 결합하는 축 결합공(21)에 있어서, 상기 축 결합공(21)과 조작부(40)의 축(41)은 밀착 고정되는 끼워맞춤의 형태로 작동 및 조립, 분해가 용이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커팅부(20)의 구동을 확실하게 한다면 상기 축(41)과 축 결합공(21)은 어떤 형상을 띄고 있어도 족하다.
본 도면에서의 축(41)과 축 결합공(21)은 타원형 내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회전동력 전달이 용이하도록 했다.
축 결합공(21)을 포함하는 몸체부의 외형은 지지몸체(10,30) 내부에서 회동 시 문제가 없다면 어떤 형상을 하더라도 좋을 것이며, 본 도면과 같은 원형이라면 무난할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커팅부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와 결합하는 핸들레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조작부(40)는 지지몸체(10,30)의 중공부(13)를 관통하여 커팅부(20)의 축 결합공(21)과 결합하는 축(41)이 있으며, 상기 축(41)으로부터 연결되는 본체부(44)에는 핸들레버(43)와 결합하는 삽입구(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42)에 긴 막대의 형태의 핸들레버(43)가 결합하는 형태로, 삽입구(42)의 암나사와 핸들레버(43)의 숫나사가 나사결합 하는 방식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나사결합 외에도 다양한 결합방식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핸들레버(43)의 손잡이 부분에는 작업자가 쥐기 편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이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작업자가 덕트를 직접 절단하는 수동방식과 동력부로 작동하는 자동방식이 있다.
수동방식과 자동방식은 공통적으로 브래킷(50)에 포함되는 지지몸체(10,30)와 커팅부(20)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커팅부(20)의 축 결합공(21)에 조작부(40)가 결합되어 있지만, 동력전달 장치인 핸들레버(43)나 동력부(45)는 구비되지 않은 상태의 본체가 있다.
한편, 결합된 지지몸체(10,30)의 고정대(11)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어 절단된 덕트의 분진이나 파편이 틈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틈을 따라 이동한 덕트의 분진이나 파편은 이동로(16)를 통해 본체를 결합하는 브래킷(50)의 관통홀(51)을 따라 지면으로 하강하게 된다.
(a)는 상기 본체의 조작부(40)에 핸들레버(43)를 결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덕트를 절단할 수 있다. 축 결합공(21)에 삽입된 축(41)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본체부(44)의 핸들레버(43)를 상하로 회동하면 커팅부(20)가 좌우로 작동하게 된다.
(b)는 동력부(45)를 이용한 자동방식으로 상기 본체에 있어서, 조작부(40)에 동력부(45)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동력부(45)의 작동에 의해 조작부(40)가 작동하면서 커팅부(20)가 좌우로 회동하게 된다.
동력부(45)에 연결된 스위치를 작업자가 켜면 동력부(45)가 작동을 하면서 덕트를 커팅부(20)가 절단하게 된다.
동력부(45)에 연결된 커팅부(20)의 작동은 좌우 1회 왕복 회동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고, 또는 누르는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 커팅부(2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각각 작동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핸들레버가 설치된 덕트 커팅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 핸들레버(43)를 작동했을 때의 모습이다.
핸들레버(43)를 아래방향으로 내릴 경우, 핸들레버(43)가 위치한 본 장치를 정면으로 봤을 때 조작부(40)에 연결된 커팅부(20)는 왼쪽으로 작동을 하며, 핸들레버(43)를 위 방향으로 올릴 경우, 커팅부(20)는 오른쪽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커팅부(20)는 좌, 우로 작동이 되어 한 자리에서 덕트의 양측면 절단이 가능하다.
본 장치는 핸들레버(43)를 이용한 수동방식 뿐만 아니라, 동력부(45)를 이용한 자동방식의 경우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커팅부(20)가 작동하게 된다.
핸들레버(43)의 작동방향에 따른 커팅부(20)에 의한 덕트의 절단이 확실하다면, 반드시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작동하지 않아도 상관없을 것이다.
한편, 덕트의 왼쪽 측면을 절단시 발생하는 덕트의 분진이나 파편은 왼쪽의 고정대(11) 틈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브래킷(50) 왼편에 위치한 관통홀(51)을 따라 분진과 파편이 하강하게 된다. 덕트의 오른쪽 측면 절단시 발생하는 분진과 파편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7을 참고하면, 플레이트에 결합된 커팅장치로 덕트의 상단부를 절단하는 도면이다.
덕트 안착홈(61)과 상기 덕트 안착홈(61)의 일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60)의 하부에 커팅장치가 위치한 브래킷(50)이 결합하며, 상기 플레이트(60) 상단에 커팅장치 일부가 드러나게 된다. 플레이트(60)의 일측면에는 덕트 받침대(63)가 더 구비되어 있어, 길이가 긴 덕트(62)의 일부를 받쳐줘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덕트(62)의 절단작업에 있어서, 덕트(62)의 상부를 덕트 안착홈(61)과 덕트 받침대(63)에 위치시키고 절단할 덕트(62)의 일측부가 커팅부(20)와 고정대(11) 사이에 놓이도록 덕트(62)의 위치를 조절한다. 조절이 끝나면, 핸들레버(43)를 이용하여 절단하게 되며, 일측부가 절단된 덕트(62)의 반대측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커팅부(20)와 다른 고정대(11) 사이에 덕트(62)를 이동시켜 핸들레버(43)를 이용하여 절단한다.
덕트(62) 절단시 일측부를 절단 후, 반대측을 절단하기 위해 덕트(62)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도록 커팅장치에 한 쌍의 고정대(11)가 구비되어 있다. 즉, 덕트(62)의 일측부를 하나의 고정대(11)에 위치시켜 절단한 후, 타측부를 반대편의 고정대(11)에 맞닿도록 이동시켜 절단하게 되면 덕트(62)의 양 측면 절단이 완료된다.
일부 덕트(62) 중 안착홈(61)보다 폭이 넓은 덕트의 경우 절단할 덕트(62)의 일측이 안착홈(61)에 위치하도록 하여 절단 작업을 수행하고 반대편 절단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하면 덕트의 양측 상단부가 절단된다.
덕트 받침대(63)는 본 도면과 같은 한 쌍의 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는 봉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앵글이나, 장방형으로 형성된 덕트 받침대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덕트 받침대는 플레이트(60)에 평탄하게 연결되어 덕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라면 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제1 지지몸체 11 : 고정대
12 : 돌출부 13 : 중공부
14 : 결합부 15 : 장착홈
16 : 이동로 20 : 커팅부
21 : 축 결합공 22 : 블레이드
23 : v홈 30 : 제2 지지몸체
40 : 조작부 41 : 축
42 : 삽입구 43 : 핸들레버
44 : 본체부 45 : 동력부
50 : 브래킷 51 : 관통홀
60 : 플레이트 61 : 덕트 안착홈
62 : 덕트 63 : 덕트 받침대

Claims (6)

  1. 돌출형 블레이드와 축 결합공이 구비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판상의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 축 결합하며, 커팅부가 삽입되어 축을 기준으로 전후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커팅부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블레이드의 회동방향 전후에 구비된 고정대를 포함하는 지지몸체;
    상기 축 결합공을 관통하며, 상기 블레이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덕트 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좌우 대칭형 제1,2지지몸체가 결합되는 제1,2 지지몸체 사이에 덕트 파편이 이동 가능한 이동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커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핸들레버를 더 포함하는 덕트 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동력부를 더 포함하는 덕트 커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서로 마주보는 하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커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덕트가 안착 위치하게 되는 덕트 안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몸체가 상기 플레이트 상단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를 감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덕트 커팅 장치.
KR1020150138438A 2015-10-01 2015-10-01 덕트 커팅 장치 KR101608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38A KR101608838B1 (ko) 2015-10-01 2015-10-01 덕트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38A KR101608838B1 (ko) 2015-10-01 2015-10-01 덕트 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838B1 true KR101608838B1 (ko) 2016-04-04

Family

ID=5579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438A KR101608838B1 (ko) 2015-10-01 2015-10-01 덕트 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8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376A (ja) 2001-04-17 2002-10-23 Sankyo Densetsu Kogyo Kk 配線ダクトのカッター
WO2014175488A1 (ko) 2013-04-26 2014-10-30 Oh Sang-Keun 끼임방지형 안전커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376A (ja) 2001-04-17 2002-10-23 Sankyo Densetsu Kogyo Kk 配線ダクトのカッター
WO2014175488A1 (ko) 2013-04-26 2014-10-30 Oh Sang-Keun 끼임방지형 안전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546527C2 (de) Stichsäge
US8453546B2 (en) Cast-cutter and method
EP3747611A1 (en) Manual cutting machine
US20170361387A9 (en) An improved wall or floor saw
KR101608838B1 (ko) 덕트 커팅 장치
US4354410A (en) Straight line insulation cutter assembly
AU2004267934A1 (en) Device for cutting and stripping meat
US9333669B2 (en) Cutting devices
CN205552614U (zh) 一种手动胶管切割机
CN215395592U (zh) 一种冻肉切块装置
US20040139615A1 (en) Hair trimming device
EP2928631B1 (en) Hand-held miter saw
KR101608837B1 (ko) 덕트 커팅 시스템
KR200486305Y1 (ko) 높이 조절형 칼집성형기
KR20170043293A (ko) 찬넬 커팅장치
CN205343283U (zh) 一种橡胶分割刀辊
US2772671A (en) Mason's brick cutter
CN211440114U (zh) 一种切段间距可调的中药切片工装
CN212399702U (zh) 一种卷帘门遥控器生产用配件切割装置
CN210061283U (zh) 一种手摇安全快速切片机
JP4539767B2 (ja) ごぼうのささがき装置
CN204426089U (zh) 一种用于园林绿化养护的往复电动锯
CN211250277U (zh) 一种薄膜纵向切刀在线换装机构
CN217915495U (zh) 一种可自动清理的切片机
KR101498541B1 (ko) 정류자의 홈 가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