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741B1 - 전자석을 구비한 리프팅 장치 및 리프팅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석을 구비한 리프팅 장치 및 리프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741B1
KR101608741B1 KR1020140020630A KR20140020630A KR101608741B1 KR 101608741 B1 KR101608741 B1 KR 101608741B1 KR 1020140020630 A KR1020140020630 A KR 1020140020630A KR 20140020630 A KR20140020630 A KR 20140020630A KR 101608741 B1 KR101608741 B1 KR 101608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ferromagnetic coupling
center
gravity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9101A (ko
Inventor
김종배
박상인
박정현
정병용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74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대상물에 리프팅을 위한 추가 어태치먼트가 필요 없고, 기존에 형성된 중공홀을 이용하여 리프팅 함으로써 이송대상물에 손상을 최소화하고, 이송대상물의 무게중심이 편중되어 이송대상물이 기울어 정확한 위치에 체결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며, 나아가 정확한 위치에 체결을 위해 이송대상물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터빈용 터닝기어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석을 구비한 리프팅 장치 및 리프팅 방법{LIFTING APPARATUS WITH ELECTROMAGNET AND METHOD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석을 구비한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력을 이용하여 터빈용 터닝기어를 이송하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 로터의 일측에는 대용량의 터빈의 가동 및 정지 시 터빈 로터를 극히 서서히 회전시키기 위해 터닝기어가 체결된다. 터빈 정지 후 축을 그대로 두면 터빈 내부 잔열의 대류 현상에 의한 상하부 온도차가 생길 뿐만 아니라, 축 자중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터빈 기동 전, 또는 정지 후 저속으로 돌려준다. 또한 장기간 정지하였던 터빈은 자중에 의해 축이 약간 굽어 있으므로 이런 상태에서 고속회전을 시키면 심한 진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기동하기 전에 축을 서서히 회전시켜서 축의 온도분포를 균등히 하여 굽었던 축을 바르게 하고 로터의 편심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터닝기어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터빈 로터 측단과의 체결을 위해 체결공이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중량물로써,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어 로터의 측면에 배치된 후 체결 고정된다.
종래에는 터닝기어의 이송을 위해 터닝기어의 일측에 러그를 용접하여 부착하고, 상기 러그에 체인 내지 로프를 걸어 크레인으로 이송되었다.
또는, 터닝기어의 일측에 상기 러그의 부착 없이 체인 내지 로프를 감아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었다.
또는, 터닝기어를 터빈 로터 측단에 체결하기 위해 터닝기어 양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공에 체인 내지 로프를 줄걸이하여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송방법은 터닝기어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리기 전에 터닝기어의 일측에 러그를 추가로 용접하여 부착해야하고, 이송이 완료된 후에 터닝기어에 부착된 러그를 제거해야하므로 작업이 복잡하다.
또한 러그를 터닝기어에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표면결함으로 인한 품질저하 발생 및 용접 입열에 의한 열변형발생으로 제품의 건전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로터체결공에 체인 내지 로프를 줄걸이하여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므로, 이송을 위한 작업 준비시간 및 해체를 위한 작업 준비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터닝기어의 표면에 손상을 가하게 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크레인에 체인 내지 로프를 줄걸이하여 터닝기어를 이송하므로 회전이 되지않아 상기 터닝기어의 체결공을 상기 로터의 체결공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크레인에 체인 내지 로프를 줄걸이하여 리프팅 시, 터닝기어의 무게중심이 편중되어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되어 로터 측단에 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반시 이송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리프팅 장치 및 리프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대상물을 원하는 자세로 배치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 및 리프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터빈용 터닝기어 리프팅 장치는, 개구부 내지 중공홀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터닝기어를 조립하도록 리프팅 장치를 이용해서 터빈 로터를 향해 터닝기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송대상물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강자성결합부; 상기 강자성결합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전자석부; 상기 전자석부에 부착되어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이송대상물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무게중심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자성결합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면에 개구부 된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강자성결합부가 상기 개구부에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강자성결합부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패킹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강자성결합부와 개구부는 동일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강자성결합부의 부분의 축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에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전자석부는 상기 강자성결합부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이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된 베어링부재; 상기 전자석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스위치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전자석의 원주면에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 상기 롤러가 설치되는 원환 형상의 베어링하우징;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양측면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원환 형상의 베어링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스토퍼는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내륜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전자석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자석 외면에 체결 결합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의 원주면은 상기 전자석의 원주면과 인접하여 회전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베어링스토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강자성결합부의 축방향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암; 상기 수직암 상부에 상기 수직암과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평암;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무게중심조절부는 상기 수평암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거치되어 슬라이딩되고, 크레인의 후크와 체인을 이용해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무게중심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양 측단에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가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는 양측단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돌기;을 구비하고, 일측에 크레인의 후크와 체인에 연결되는 연결공 또는 고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송대상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강자성결합부가 삽입되는 단계; 상기 강자성결합부에 전자석부가 자력으로 부착되는 단계; 및 상기 이송대상물이 기울지 않도록 상기 이송대상물의 무게중심이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대상물이 회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대상물이 회전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석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대상물이 회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대상물의 무게중심이 조절되는 단계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이송대상물이 움직이면서 무게중심이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리프팅 장치는 이송대상물에 리프팅을 위한 추가 어태치먼트 부착이 필요 없고, 기존에 형성된 개구부 내지 중공홀을 이용하여 리프팅 함으로써 이송대상물에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송대상물의 무게중심이 편중되어 이송대상물이 기울어 정확한 위치에 체결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며, 이송대상물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이송대상물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를 보인 부분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베어링부재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리프팅 장치는 개구부 내지 관통공이 형성된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리프팅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기존의 모든 산업 군에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각종 설비 및 기기를 이송하기 위해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일 예로 터빈에 포함되는 터닝기어와 같이 개구부 내지 중공홀을 포함하는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분야에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리프팅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리프팅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를 보인 부분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베어링부재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는, 이송대상물(10, 10', 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강자성결합부(100), 강자성결합부(100)에 부착될 수 있는 전자석부(200), 전자석부(200)와 연결된 지지부(300), 지지부(300)에 형성되어 이송대상물(10)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무게중심조절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강자성결합부(100)는 상기 이송대상물(10)에 형성된 개구부(11)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개구부(11)의 형상과 동일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강자성결합부(100)가 상기 개구부(11)에 밀착되게 장착되도록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와 상기 개구부(11) 사이의 간격을 매꾸는 패킹커버(1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커버(110)는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강자성결합부(100)가 상기 개구부(11)에 잘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의 재질은 강자성을 띄고, 자석에 흡착되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전자석부(200)에 쉽게 흡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의 일면에 상기 패킹커버와의 체결을 위한 패킹커버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와 상기 이송대상물(10)에 형성된 개구부(11)는 동일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의 부분의 축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에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패킹커버(110)는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킹커버(110)의 일면은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와 상기 이송대상물(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커버(110)의 두께는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와 상기 이송대상물(11) 사이의 빈틈의 길이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11)의 축 단면의 형상, 직경, 폭이 각기 다른 이송대상물(10)에 하나의 강자성결합부(100)를 이용하여 이송 시, 상기 패킹커버(110)가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와 상기 이송대상물(11) 사이에 빈틈없이 배치되도록 상기 패킹커버(110)의 형상, 직경, 두께는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패킹커버(110)의 재질은 금속, 비금속, 고무, 섬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커버(110)는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의 패킹커버체결홈(미도시)과 대응되는 지점에 패킹커버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와 상기 패킹커버(110)는 패킹커버체결부재(120)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와 패킹커버(110)의 체결수단은 나사체결 내지 볼팅체결일 수 있으나, 체결 방법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부(200)는,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전자석(210), 상기 전자석(210)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210)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어링부재(230), 상기 전자석(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석(210)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스위치박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210)의 부분의 축 단면은 상기 배어링부재(230)의 베어링하우징(231)의 내륜에서 회전가능하기 위해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210)의 일측면은 상기 강자성결합부의 일측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210)과 상기 강자성결합부(100)는 동일 중심축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석(210)의 일측면을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의 일측면과 대면하도록 배치시키고, 상기 전자석(210)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전자석(210)과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이 동일 중심축을 가지도록 흡착된다.
또한, 상기 전자석(210)은 상기 스위치박스(220)의 작동에 의하여 전류 인가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박스(220)는, 전류의 세기를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전자석(210)의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박스(220)는, 상기 전자석(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떠한 배치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석(210)의 일측에 부착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전자석(210)과 별도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재(230)는, 상기 전자석(210)의 원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233a, 233b), 상기 롤러(233a, 233b)가 내장되는 원환 형상의 베어링하우징(231), 상기 베어링하우징(231)의 양측면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원환 형상의 베어링스토퍼(232a, 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스토퍼(232a, 232b)는, 상기 베어링하우징(231)의 내륜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전자석(210)이 회전할 때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자석(210)의 외주면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스토퍼(232a, 23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의 외주면 양 단에 하나씩 볼트(234a, 234b)로 체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베어링스토퍼(232a, 232b) 사이에 베어링하우징(23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233a, 233b)의 원주면은 상기 전자석(210)의 원주면과 접하며, 상기 전자석(210)의 원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다만 복수의 롤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필요에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롤러(233a, 233b)은 상기 베어링하우징(23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롤러(233a, 233b)는 상기 베어링하우징(231)의 내주면과 상기 전자석(21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롤러(233a, 233b)의 체결방법은 일반적으로 볼팅체결이 사용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롤러(233a, 233b)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베어링스토퍼(2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전자석부(200)와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암(310), 상기 수직암(310) 상부에서 상기 수직암(310)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평암(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암(310)은 상기 전자석부(200)의 회전축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암(310)은 직경이 비교적 작은 이송대상물(10)부터 직경이 더 큰 이송대상물(10', 10'')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이송대상물이 상기 전자석부(2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수평암(320)은 다양한 두께의 이송대상물에 대해서 무게중심 조절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이송대상물은 터빈용 터닝기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암(310)과 수평암(320)은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고 볼트로 체결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수직암(310)과 상기 수평암(3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베어링부재(230)에 체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게중심조절부(400)는, 상기 지지부(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410), 상기 가이드레일(410)에 거치되어 슬라이딩되고, 체인(21)과 연결되는 크레인후크(20)가 체결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는 무게중심조절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10)은, 상기 전자석(210) 내지 강자성결합부(10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10)은, 양 측단에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420)가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420)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돌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끼워져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420)의 위치조절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석(210) 또는 강자성결합부(10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레일(410)은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4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420)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420)는 일측에 크레인의 후크(20)와 연결되는 고리(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420)는 상기 가이드레일(410)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이송대상물(10)의 무게중심이 조절되고,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4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방법은,
(a) 개구부를 가지는 이송대상물에 강자성결합부가 삽입되는 단계;
(b) 상기 강자성결합부의 일측에 전자석부를 이동시켜 배치하고,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에 의해 서로 흡착되는 단계;
(c) 상기 전자석부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부와 크레인을 연결하고, 상기 크레인을 이용해서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단계;
(d) 상기 이송대상물의 무게중심이 편중되어 이송대상물이 기울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에 마련된 무게중심조절부로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단계;
(e)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전자석부를 상기 강자성결합부에서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단계와 상기 (d)단계는 순서가 서로 바뀌어도 좋다.
상기(a) 단계에서 상기 강자성결합부(100)는 상기 개구부(11)에 삽입되어 빈틈이 없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강자성결합부(100)의 외면에 형성된 패킹커버(110)에 의해 상기 강자성결합부(100)는 상기 개구부(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이송대상물(10, 10', 10'')은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무게중심이 조절된다.
이러한 리프팅방법은 이송대상물을 회전시켜 목적하는 자세로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방법으로서 이송대상물이 회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프팅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리프팅 방법은
(a) 개구부를 가지는 이송대상물에 강자성결합부가 삽입되는 단계;
(b) 상기 강자성결합부의 일측에 전자석부를 이동시켜 배치하고,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에 의해 서로 흡착되는 단계;
(c) 상기 전자석부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부와 크레인을 연결하고, 상기 크레인을 이용해서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단계;
(d) 상기 이송대상물의 무게중심이 편중되어 이송대상물이 기울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에 마련된 무게중심조절부로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단계;
(e) 상기 이송대상물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해 전자석을 베어링부재의 내륜에서 회전시키는 단계;
(f)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전자석부를 상기 강자성결합부에서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단계와 (d) 단계는 순서가 서로 바뀌어도 좋다.
상기(a) 단계에서 상기 강자성결합부(100)는 상기 개구부(11) 사이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b) 단계에서 상기 전자석과 상기 강자성결합부는 동일 중심축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흡착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이송대상물의 중심축 또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회전축에 나란하게 상기 이송대상물이 움직여 무게중심이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10', 10'' : 이송대상물 300: 지지부
11: 개구부 310: 수직암
20: 크레인후크 320: 수평암
21: 체인 400: 무게중심조절부
30: 로터체결공 410: 가이드레일
100: 강자성결합부 420: 무게중심조절부재
110: 패킹커버 421: 고리
120: 패킹커버체결부재 200: 전자석부
210: 전자석 220: 스위치박스
230,230a,230b: 베어링부재 231: 베어링하우징
232,232a,232b: 베어링스토퍼 233,233a,233b: 롤러
240: 베어링체결부재

Claims (15)

  1. 이송대상물에 삽입되는 강자성결합부;
    자력에 의해 상기 강자성결합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전자석부;
    상기 전자석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이송대상물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무게중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강자성결합부에 부착될 수 있는 원형 전자석;
    상기 전자석이 상기 지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전자석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전자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석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스위치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전자석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베어링하우징;
    상기 전자석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자석의 외주면과 접하는 복수의 롤러; 및
    상기 전자석의 회전축 방향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롤러를 사이에 두고 베어링하우징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원환 형상의 베어링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결합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스토퍼는 상기 전자석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결합부와 상기 이송대상물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강자성결합부를 상기 개구부에 밀착시키는 패킹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자석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암;
    상기 수직암 상부에서 상기 수직암과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평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조절부는,
    상기 전자석부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거치되어 슬라이딩되고, 크레인과 연결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되는 무게중심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무게중심조절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돌기 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020630A 2014-02-21 2014-02-21 전자석을 구비한 리프팅 장치 및 리프팅 방법 KR10160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630A KR101608741B1 (ko) 2014-02-21 2014-02-21 전자석을 구비한 리프팅 장치 및 리프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630A KR101608741B1 (ko) 2014-02-21 2014-02-21 전자석을 구비한 리프팅 장치 및 리프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101A KR20150099101A (ko) 2015-08-31
KR101608741B1 true KR101608741B1 (ko) 2016-04-04

Family

ID=5406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630A KR101608741B1 (ko) 2014-02-21 2014-02-21 전자석을 구비한 리프팅 장치 및 리프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7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101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622B2 (en) System for painting a splayed end of a hollow shaft on a rotary paint bench
US20150226265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lifting, positioning and removing a bearing assembly from a shaft
WO2016108259A1 (ja) 原反ロール着脱機構
KR101608741B1 (ko) 전자석을 구비한 리프팅 장치 및 리프팅 방법
KR101712834B1 (ko) 바퀴의 교체가 용이한 모빌랙용 대차
KR101226101B1 (ko) 기판 이송장치용 이송롤러
CN103373586A (zh) 传送装置
KR20130130135A (ko) 벨트의 사행방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석탄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WO2017034386A2 (en) An improved former holder assembly
JP2017523115A (ja) ガラス製造方法に使用される牽引ロールカートリッジ、並びにその製造及び使用方法
US11199219B2 (en) Bottom bearing
US20150210480A1 (en) Conveying roller having a head element
KR101526107B1 (ko) 발전기의 터빈로터용 정렬장치
KR101640128B1 (ko) 회전축의 분해가 용이한 베어링
KR20120121979A (ko) 롤러 앗세이
KR100741760B1 (ko) 스핀들장치
US10876577B2 (en) Hoisting crane, slew bearing, slew bearing assembly method, slew bearing maintenance method and vessel
JP5994542B2 (ja) コンベヤベルトの巻取りドラムへの側板の着脱装置およびコンベヤベルトの巻取り方法
WO2015010158A1 (en) Roller
KR20220015140A (ko) 마그네틱 이송롤러
KR20130133551A (ko) 보조 반송롤러 유닛
KR20190020698A (ko) 드럼에서 부싱 교환
JP5224420B2 (ja) ドラム缶のハンドリング装置
JP7256899B2 (ja) モールドを挿入又は排出するためのコンベアデバイスを有する射出成形システム
JP5962370B2 (ja) ころ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