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440B1 -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및 그 밴드소재 - Google Patents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및 그 밴드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440B1
KR101607440B1 KR1020150136298A KR20150136298A KR101607440B1 KR 101607440 B1 KR101607440 B1 KR 101607440B1 KR 1020150136298 A KR1020150136298 A KR 1020150136298A KR 20150136298 A KR20150136298 A KR 20150136298A KR 101607440 B1 KR101607440 B1 KR 10160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material
band
hole
screw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혁
Original Assignee
이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혁 filed Critical 이희혁
Priority to KR102015013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3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lips, clamps, or like fastening or attaching devices, e.g. for electric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4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aberdashery, e.g. buckles, combs; pronged fasteners, e.g. staples
    • B21D53/5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aberdashery, e.g. buckles, combs; pronged fasteners, e.g. staples metal slide-fasten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7/00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n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7/02Single metal-working processes; Machines or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8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 F16L33/085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with a scroll-type screw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그 표면 길이방향으로 여러개 형성하는 나사공(d1)과, 상기 나사공(d1) 일측끝부로 형성하는 나사체결공(d3)과, 상기 나사체결공(d3) 양측부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하는 체결홈(d4)과, 상기 나사공(d1) 일측부와 나사체결공(d3) 사이에 형성하는 결합공(d2)과, 상기 나사공(d1) 타측부에 형성하는 걸림돌기(d5)로 밴드소재(d)를 구성하되, 상기 밴드소재(d)를 원형의 띠 형태가 되게 한돌림 하면서 양측의 걸림돌기(d5)와 결합공(d2)을 상호 걸림고정시켜 정원이 상시 유지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를 특징으로 하고 아울러, 상기 밴드소재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에 의해 밴드소재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제조하여 생산효율성을 높이고 나아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원의 밴드소재를 완벽하게 생산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및 그 밴드소재{Band production methods and the band}
본 발명은 호스체결밴드에 이용하는 밴드소재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제조하여 생산효율성을 높이고 나아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원의 밴드소재를 완벽하게 생산제조할 수 있도록 한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및 그 밴드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호스체결밴드(a)는 파이프에 접속된 호스 외주연을 가압고정하는 수단으로서, 통상 스크류(c)가 안착되도록 일정 크기의 안착홈을 가지면서 양측부로 체결편을 가지는 하우징(b)과, 외주연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단으로는 스크류머리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b)의 안착홈에 안치되는 스크류(c)와, 원형의 띠 형태로 되면서 그 표면에 연속해서 나사공이 형성되고 동시에 하부 양측에 체결홈이 대칭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체결편 상측에 안착되는 밴드소재(d)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호스체결밴드는 통상 첨부된 도면 도 8에서와 같이 이송장치를 통해 안착이송지그를 각 공정별 일정타임으로 운영하는 지그이송공정(101)과, 하우징투입장치를 통해 안착이송지그로 호스체결밴드의 하우징(b)을 정위치 낙하투입하는 하우징투입공정(102)과, 하우징투입공정(102)을 거쳐 이송된 안착이송지그상의 하우징(b)에 스크류(c)를 스크류투입장치로 정위치 낙하 투입시키는 스크류투입공정(103)과, 스크류투입공정(103)을 거쳐 이송된 하우징(b)과 스크류(c) 상부로 밴드소재(d)를 밴드투입장치로 정위치 투입시키는 밴드소재투입공정(104)과, 밴드소재투입공정(104)을 거쳐 이송된 하우징(b)과, 밴드소재(d)를 결합장치를 통해 상호 결합시켜 호스채결밴드(a)를 완성하는 밴드고정공정(105)과, 밴드고정공정(105)을 거쳐 완성된 호스체결밴드(a)를 배출장치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정(106)으로 이루어진 특허출원 제2015-0072865호"호스 체결밴드 자동조립시스템"에 의해 자동화 조립생산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상기 설명한 호스 체결밴드에 있어서 그 구성요소로 이용되는 밴드소재에 있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호스 체결밴드용 밴드소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와 폭으로 된 밴드소재 표면으로 연속해서 나사공이 형성되고 또 그 일측에 나사체결공과 체결홈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밴드소재는 원형의 띠 형태로 감아 앞서 설명한 호스 체결밴드 자동조립시스템에 투입하여 호스 체결밴드가 완성될 수 있도록 이용된다.
그러나 위 설명한 보통의 밴드소재는 그 제조에 있어 많은 문제점을 가졌던 바, 밴드소재 생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고 또 호스체결밴드의 조립에 필요한 원형의 띠 형태(정원)로 정확하게 제조/공급하기가 매우 힘들어 불필요한 부가 공정 및 불량 조립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즉, 종래에는 일정길이로 재단한 밴드소재 표면으로 여러 개의 나사공과 나사체결공 그리고 상기 나사체결공 양측부에 대칭되는 체결홈을 각각의 공정을 거쳐 제조하였으므로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면서도 어려웠고, 특히 일정길이의 밴드소재를 밴딩롤장치 또는 포밍장치를 통해 원형의 띠 형태로 감아 제조하였던 바, 생산성이 매우 저조하였고 또 다수 공정이 작업 여건상 자동으로 연속해서 실시되지 못하고 모두 별개의 공정으로 개별 실시되어 제반시설의 낭비 및 과다한 인력손실을 야기하는 등 제품의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특히 재료의 종류 및 재료의 제조방법에 따라 재료자체의 경도차이등에 따라 재료의 탄성이 각각 달라 원형으로 가공시 소성변형이 발생 연속 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또한 재료의 롯드 별 차이가 발생됨은 물론 재료를 신규 투입시에 그 재료 특성에 맞도록 신규 조정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 되고 있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 위 공정 중 밴드소재를 원형의 띠 형태로 밴딩하는 밴딩공정에서는 통상 밴드소재를 포밍장치 또는 밴딩롤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포밍장치를 이용한 작업의 경우는 밴드소재의 재질 특성 및 강도 그리고 포밍장치의 특성상 둥근 정원(正圓)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웠고 또 그 제작시 밴드소재 양단이 벌어지는 문제로 인해 차후 호스체결밴드 조립생산 과정에서 상기 밴드소재를 작업자가 정원으로 감아 하우징과 스크류에 결합하여 호스체결밴드를 완성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그리고 상기 포밍장치는 아래 설명할 밴딩롤장치에 비해 생산성이 빠르나 위 다수 문제로 그 이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밴딩롤장치를 이용한 작업의 경우는 밴드소재를 밴딩롤러에 권취하는 방식으로 둥근 정원(正圓)이 되게 제작하는데, 이는 상기 포밍장치에 비해 형상 제작이 용이하다. 하지만 작업자가 밴드소재를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밴딩작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 그리고 장시간의 작업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또 호스체결밴드의 작용 특성상 스크류의 나사회전에 의해 밴드소재의 조임이 실시될 수 있도록 밴드소재 표면으로 사선방향의 나사공을 다수 형성하고 있어, 위 밴딩롤장치를 통해 둥근 정원으로 밴드소재를 작업할 때, 그 작업공정에서 상기 나사공의 형성각도에 의해 밴드소재 양단이 어긋나게 감겨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 또한 차후 호스 체결밴드 조립생산 과정에서 작업자가 밴드소재의 양단을 동일하게 겹쳐 하우징과 스크류에 결합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5-0072865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00927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문제를 일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 체결밴드에 이용되는 밴드소재의 제작을 소재종류 및 재질에 관계없이 보다 간소화된 공정을 통해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호스 체결밴드의 조립생산 과정에서 요구되는 가장 바람직한 형태인 원형의 띠 형태(정원)로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스 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및 그 밴드소재는 롤에 권취된 일정폭을 가진 띠 형태의 밴드소재(d)를 연속 공급시켜 프레스공정(1)과 포밍공정(2) 그리고 배출공정(3)을 통해 가공완성하여 정원의 밴드소재(d)를 제작함에 있어,
상기 프레스공정(1)은 연속해서 반복공급되는 밴드소재(d)를 분할된 펀칭가공부(11)와 성형가공부(12)로 동시 가공하되, 펀칭가공부(11)는 밴드소재(d)의 표면으로 여러 개의 나사공(d1)을 사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천공하면서 나사공(d1) 일측끝부에 결합공(d2)과 나사체결공(d3) 그리고 나사체결공(d3) 양측부에 상호 대칭되는 체결홈(d4)을 순차적으로 동시 천공하고,
성형가공부(12)는 상기 펀칭가공부(11)를 거쳐 이송되는 밴드소재(d)의 나사체결공(d3)을 확장지그를 통해 확장시켜 일정크기를 가지게 하면서 나사체결공(d3) 양측부에 상호 대칭 형성된 체결홈(d4)의 양단이 상기 나사체결공(d3)의 확장과정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돌출형성되게 하고, 동시에 상기 나사공(d1) 타측끝부에 걸림돌기(d5)를 돌출형성토록 가공하며,
상기 포밍공정(2)은 포밍파트(21)와 절단파트(22) 그리고 결합파트(23)로 나늬어 포밍파트(21)는 상기 프레스공정(1)을 거친 밴드소재(d)를 다수의 절곡대로 순차적으로 구부려 정원이 되게 한돌림 하면서 밴드소재(d)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d5)와 결합공(d2)이 겹쳐지도록 포밍가공하고,
절단파트(22)는 상기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가 다수의 절곡대에 의해 가공시작될 때, 밴드소재(d)의 나사체결공(d3)을 경계로 하여 일정길이 절단시켜 위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의 한돌림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도모하며,
결합파트(23)는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의 양측 결합돌기(d5)과 결합공(d2)을 겹쳐지게 정원으로 가공완료하였을 때, 상기 결합돌기(d5)의 상부를 타격하여 상기 걸림돌기(d5)가 결합공(d2)에 걸림 고정되게하고,
상기 배출공정(3)은 포밍공정(2)을 통해 정원으로 완성된 밴드소재(d)를 타격핀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한 본 발명은 호스 체결밴드에 이용되는 밴드를 간소화된 공정을 통해 보다 많은 량을 단시간 내에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경쟁력이 높고, 특히 호스 체결밴드의 조립생산 과정에서 필요조건으로 요구되는 밴드의 정원 생산을 가능케 하여 주므로 호스 체결밴드의 조립생산 효율성과 정확성 그리고 편의성을 최대화시켜 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제조공정을 나타낸 간략요약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레스공정에 이용되는 프레스금형의 간략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레스공정에 의한 밴드소재의 가공예시도,
도 4는 '가'부 확대도,
도 5는 프레스공정의 성형가공부에 의한 나사체결공과 체결홈의 가공 상태를 예시한 '나'부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프레스공정을 통해 가공완성된 밴드소재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프레스공정과 포밍공정 그리고 배출공정을 통해 가공완성된 밴드소재 확대 단면 및 그 작용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밴드소재를 적용한 호스체결밴드 조립시스템 예시도.
상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단 아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에 대한 설명은 간략 또는 생략토록 하고 또 동일 명칭에 대하여 하나의 부호로 통일하여 설명토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호스 체결밴드용 밴드 제조방법은 첨부된 도면 도1 에서와 같이 롤에 권취된 일정폭의 띠 형태 밴드소재(d)를 연속 공급시켜 프레스공정(1)과 포밍공정(2) 그리고 배출공정(3)을 통해 원형의 띠 형태(정원)로 가공완성토록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스공정(1)은 상,하 한벌의 프레스금형(4)으로 이루어지고, 또 프레스금형(4)의 길이방향으로 펀칭가공부(11)와 성형가공부(12)가 분활 구성되어, 한번의 동작으로 동시 가공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프레스금형(4)의 펀칭가공부(11)에는 도2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 개 돌출형성되는 나사공펀치(41)와 상기 나사공펀치(41)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공펀치(42)와 나사체결공펀치(43) 그리고 상기 나차체결공펀치(43)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체결홈펀치(44)가 구성되고, 프레스금형(4)의 성형가공부(12)에는 길이방향 양측부에 확장돌부(45)와 절곡펀치(46)가 구성된다(펀칭가공부와 성형가공부의 구성은 상금형 또는 하금형에 형성되고 그 반대금형의 경우 상기 구성을 수용할 수 있는 반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에 이용되는 밴드소재(d)는 롤에 권취된 일정폭의 띠 형태로서, 일정길이의 제1가공구간(d-1)과 제2가공구간(d-2)이 연속해서 반복적으로 구획되어 이송가공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프레스공정(1)으로 이송롤러(도면미도시)에 의해 밴드소재(d)가 이송되면, 도3과 같이 초기 작동에 의해 밴드소재(d)의 제1가공구간(d-1)이 도2와 같이 펀칭가공부(11)에 위치하여 밴드소재(d) 표면으로 여러 개의 나사공(d1)이 사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천공되고, 동시에 상기 나사공(d1) 일측끝부 위치에 결합공(d2)과 나사체결공(d3) 그리고 나사체결공(d3) 양측부에 상호 대칭되는 체결홈(d4)이 동시에 천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공정(1)의 성형가공부(12)는 초기 공실 상태를 가지고, 밴드소재(d)의 제2가공구간(d-2)은 대기상태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밴드소재(d)의 제1가공구간(d-1)이 프레스공정(1)의 성형가공부(12)로 이송되어 정 위치하고, 동시에 밴드소재(d)의 제2가공구간(d-2)이 상기 설명한 펀칭가공부(11)로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어 정위치한다.
그러면 프레스공정(1)의 성형가공부(12)는 위 펀칭가공부(11)를 통해 1차 가공된 밴드소재(d)의 제1가공구간(d-1)으로 2차가공을 실시하되, 상기 2차가공은 밴드소재(d)의 나사체결공(d3)을 확장돌부(45)를 통해 확장시켜 일정크기를 가지게 하면서 나사체결공(d3) 양측부에 상호 대칭 형성된 체결홈(d4)의 양단이 상기 나사체결공(d3)의 확장과정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돌출형성되게 하고, 동시에 상기 나사공(d1) 타측끝부에 걸림돌기(d5)를 돌출형성토록 가공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부(d5)는 일측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게 돌출형성하고 또 위 1차가공에서 형성한 결합공(d2)과의 결합 용이한 크기로 형성하면서 나사공(d1)의 크기보다 소폭 크게 형성한다.
한편, 상기 성형가공부(12)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위 펀칭가공부(11)와 하나의 금형에 분할구성되어 동시 작동하는 것으로, 위 성형가공부(12)가 밴드소재(d)를 2차가공 할 때, 상기 펀칭가공부(11)는 위 실시한 1차 가공을 밴드소재(d)의 제2가공구간(d-2)에 동일하게 실시한다.
참고로, 프레스공정의 펀칭가공부와 성형가공부는 위 과정을 통해 밴드소재에 연속해서 반복구획되는 제1,2가공구간을 동시 가공하여 상기 설명한 초기 시작 1회를 제외한 나머지 연속작업시, 프레스금형의 일회 작동 마다 위 가공이 완성된 하나의 밴드소재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으로 밴드소재로의 다수 가공 작업이 종래에 비해 보다 신속해짐은 물론 그로 인한 생산력의 증대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프레스공정(1)을 거친 밴드소재(d)를 도 1에서와 같이 포밍공정(2)의 포밍파트(21)와 절단파트(22) 그리고 결합파트(23)를 통해 한돌림하여 정원으로 완성하게 되는데,
포밍공정(2)의 포밍파트(21)는 프레스공정(1)을 거친 밴드소재(d)를 다수의 절곡대(24)와 회전롤(25)로 순차적 구부려 정원이 되게 한돌림하면서 밴드소재(d)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d5)과 결합공(d2)이 겹쳐지도록 가공한다.
절단파트(22)는 상기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가 다수의 절곡대(24)에 의해 가공(한돌림)시작될 때, 밴드소재(d)의 나사체결공(d3)을 경계로 하여 일정길이 절단시켜 위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의 한돌림으로 정원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밴드소재의 절단은 위에서 밴드소재에 구획한 구간과 구간사이(나사체결공의 끝부분을 경계로 하여)를 절단하여 일정길이를 가지게 하는데, 이때 밴드소재의 일정길이는 위 포밍파트에서 밴드소재를 특정 규격(지름)으로 정원이 되게 감았을 때, 밴드소재 양측의 결합돌기(d5)과 결합공(d2)이 겹쳐지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게 한다.
결합파트(23)는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의 양측 결합돌기(d5)와 결합공(d2)을 겹쳐지게 정원으로 한돌림 완료하였을 때, 상기 결합돌기(d5)의 상부를 타격대(26)로 타격하여 걸림돌기(d5)가 결합공(d2)에 걸림고정되게 가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포밍공정을 통해 일정길이의 밴드소재(d)를 정원으로 가공하여 완성한 밴드를 배출공정(3)을 통해 취출핀(도면 미도시)으로 배출완료한다.
이상설명의 본 발명은 통상의 호스 체결밴드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밴드를 보다 간소화된 공정을 통해 신속 정확하게 제조하고 또 인력 및 공정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대량생산을 가능케 하여 생산효율성 증대 및 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종래에 가장 크게 지적되었던 밴드소재의 재질(금속재질)특성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양측단이 벌어져 사용의 불편과 불량을 야기하였던 문제들을 포밍공정에서 밴드소재를 한돌림 하면서 밴드소재 양측에 구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상호 걸림 고정시켜 밴드소재가 정원을 상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에 위 문제로 인해 별도 실시하였던 불필요한 공정을 모두 배제시킬 수 있고 또 차후 호스체결밴드로의 조립사용에 매우 편리함을 제공하면서 조립불량을 방지하고, 특히 호스체결밴드의 자동화 조립공정에 용이하게 이용되어 완성품인 호스체결밴드의 생산력과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주는 이점을 가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밴드소재(d)를 밴드소재(d) 표면으로 사선방향 여러개 형성된 나사공(d1)과, 상기 나사공(d1) 일측끝부로 형성되는 나사체결공(d3)과, 상기 나사체결공(d3) 양측부로 상호 대칭되는 형성되는 체결홈(d4)과, 상기 밴드소재(d)의 나사공(d1) 일측부와 나사체결공(d3)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공(d2)과, 상기 밴드소재(d)의 나사공(d1) 타측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d5)로 구성하되,
상기 밴드소재(d)를 원형의 띠 형태가 되게 한돌림 하면서 양측의 걸림돌기(d5)와 결합공(d2)을 상호 걸림고정시켜 정원이 상시 유지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 호스체결밴드의 조립구성품으로 이용되는 밴드소재는 도8과 같이 정원의 형상을 상시 유지한 상태가 되어야만, 호스체결밴드로의 조립구성이 용이하고 더욱이 호스체결밴드 조립시스템의 자동화 공정에 정밀하게 이용가능 하다.
만약 위 밴드소재의 정원유지 상태가 불량(종래 밴드소재의 재질특성상 그 탄성력에 의해 양측단이 벌어지는 현상을 가졌음)일 경우 별도의 수작업 공정을 통해야만 일부 호스체결밴드와의 조립이 가능하였으므로 작업효율성과 생산성이 떨어 졌고, 특히 위 호스체결밴드 조립시스템의 자동화 공정에서의 이용이 불가능하면서 많은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 구성으로 통해 밴드소재를 상시 정원 상태를 유지시켜 위 종래 문제점을 모두 일소하고자 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결합돌기를 소정의 경사각으로 비스듬히 돌출구성하여 타측 결합홈과의 걸림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때 상기 밴드소재의 재질특성상 일정한 탄성을 가짐에 따라, 원형의 띠 형태로 한돌림 되었을 때 그 돌림 반대방향으로 탄성(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함홈의 걸림상태를 더욱 강하게 결속도모한다.
참고로, 상기 구성의 밴드소재를 호스체결밴드에 적용할 경우 도8에 도시된 호스체결밴드(a)를 얻게 되고 또 상기 호스체결밴드(a)를 호스 조임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스크류(c)를 회전시켜 밴도소재를 도7의 조임방향(aa)으로 나사조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밴드소재는 결합공에 걸림된 걸림돌기가 밴드소재의 조임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있어, 밴드소재의 조임시 나사공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호스체결밴드 작용이 종래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 : 프레스공정 11 : 펀칭가공부
12 : 성형가공부 2 : 포밍공정
21 : 포밍파트 22 : 절단파트
23 : 결합파트 3 : 배출공정
a : 호스체결밴드 aa : 조임방향
b : 하우징 c : 스크류
d : 밴드소재 d1 : 나사공
d2 : 결합공 d3 : 나사체결공
d4 : 체결홈 d5 : 결합돌기

Claims (3)

  1. 롤에 권취된 일정폭을 가진 띠 형태의 밴드소재(d)를 연속 공급시켜 프레스공정(1)과 포밍공정(2) 그리고 배출공정(3)을 통해 가공완성하여 정원의 밴드소재(d)를 제작함에 있어,
    상기 프레스공정(1)은 연속해서 반복공급되는 밴드소재(d)를 분할된 펀칭가공부(11)와 성형가공부(12)로 동시 가공하되, 펀칭가공부(11)는 밴드소재(d)의 표면으로 여러 개의 나사공(d1)을 사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천공하면서 나사공(d1) 일측끝부에 결합공(d2)과 나사체결공(d3) 그리고 나사체결공(d3) 양측부에 상호 대칭되는 체결홈(d4)을 순차적으로 동시 천공하고,
    성형가공부(12)는 상기 펀칭가공부(11)를 거쳐 이송되는 밴드소재(d)의 나사체결공(d3)을 확장지그를 통해 확장시켜 일정크기를 가지게 하면서 나사체결공(d3) 양측부에 상호 대칭 형성된 체결홈(d4)의 양단이 상기 나사체결공(d3)의 확장과정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돌출형성되게 하고, 동시에 상기 나사공(d1) 타측끝부에 걸림돌기(d5)를 돌출형성토록 가공하며,
    상기 포밍공정(2)은 포밍파트(21)와 절단파트(22) 그리고 결합파트(23)로 나늬어 포밍파트(21)는 상기 프레스공정(1)을 거친 밴드소재(d)를 다수의 절곡대로 순차적으로 구부려 정원이 되게 한돌림 하면서 밴드소재(d)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d5)와 결합공(d2)이 겹쳐지도록 포밍가공하고,
    절단파트(22)는 상기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가 다수의 절곡대에 의해 가공시작될 때, 밴드소재(d)의 나사체결공(d3)을 경계로 하여 일정길이 절단시켜 위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의 한돌림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도모하며,
    결합파트(23)는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의 양측 결합돌기(d5)와 결합공(d2)을 겹쳐지게 정원으로 가공완료하였을 때, 상기 결합돌기(d5)의 상부를 타격하여 상기 걸림돌기(d5)가 결합공(d2)에 걸림 고정되게하고,
    상기 배출공정(3)은 포밍공정(2)을 통해 정원으로 완성된 밴드소재(d)를 타격핀으로 배출시켜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2.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에 있어서,

    연속해서 반복공급되는 밴드소재(d)의 표면으로 여러 개의 나사공(d1)을 사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천공하면서 나사공(d1) 일측끝부에 결합공(d2)과 나사체결공(d3) 그리고 나사체결공(d3) 양측부에 상호 대칭되는 체결홈(d4)을 천공하는 펀칭가공부(11)와,
    상기 펀칭가공부(11)를 거쳐 이송되는 밴드소재(d)의 나사체결공(d3)을 확장지그를 통해 확장시켜 일정크기를 가지게 하면서 나사체결공(d3) 양측부에 상호 대칭 형성된 체결홈(d4)의 양단이 상기 나사체결공(d3)의 확장과정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돌출형성되게 하고, 동시에 상기 나사공(d1) 타측끝부에 걸림돌기(d5)를 돌출형성토록 가공하는 성형가공부(12)를 순차적으로 동시 진행하는 프레스공정(1)과;
    상기 프레스공정(1)을 거친 밴드소재(d)를 다수의 절곡대로 순차적으로 구부려 정원이 되게 한돌림 하면서 밴드소재(d)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d5)와 결합공(d2)이 겹쳐지도록 포밍가공하는 포밍파트(21)와,
    상기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가 다수의 절곡대에 의해 가공시작될 때, 밴드소재(d)의 나사체결공(d3)을 경계로 하여 일정길이 절단시켜 위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의 한돌림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도모하는 절단파트(22)와,
    포밍파트(21)에서 밴드소재(d)의 양측 결합돌기(d5)와 결합공(d2)을 겹쳐지게 정원으로 가공완료하였을 때, 상기 결합돌기(d5)의 상부를 타격하여 상기 걸림돌기(d5)가 결합공(d2)에 걸림 고정되게하는 결합파트(23)로 각각 구분하여 동시에 가공하는 포밍공정(2)과;
    상기 포밍공정(2)을 통해 정원으로 완성된 밴드소재(d)를 타격핀으로 배출시켜 완료하는 배출공정(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에 의해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그 표면 길이방향으로 여러개 형성하는 나사공(d1)과, 상기 나사공(d1) 일측끝부로 형성하는 나사체결공(d3)과, 상기 나사체결공(d3) 양측부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하는 체결홈(d4)과, 상기 나사공(d1) 일측부와 나사체결공(d3) 사이에 형성하는 결합공(d2)과, 상기 나사공(d1) 타측부에 소정의 경사각으로 구성하여 형성하는 걸림돌기(d5)로 밴드소재(d)를 구성하되,
    상기 밴드소재(d)를 원형의 띠 형태가 되게 한돌림 하면서 양측의 걸림돌기(d5)와 결합공(d2)을 상호 걸림고정시켜 정원이 상시 유지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3. 삭제
KR1020150136298A 2015-09-25 2015-09-25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및 그 밴드소재 KR101607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298A KR101607440B1 (ko) 2015-09-25 2015-09-25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및 그 밴드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298A KR101607440B1 (ko) 2015-09-25 2015-09-25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및 그 밴드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440B1 true KR101607440B1 (ko) 2016-03-29

Family

ID=5566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298A KR101607440B1 (ko) 2015-09-25 2015-09-25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및 그 밴드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2165A (zh) * 2020-07-24 2020-10-30 林瑞 一种电力高低压横担制作加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078A (ja) 2006-06-15 2007-12-27 Kato Seisakusho:Kk ホースバンド
KR101427228B1 (ko) * 2013-03-06 2014-09-23 (주)동아금속 타이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078A (ja) 2006-06-15 2007-12-27 Kato Seisakusho:Kk ホースバンド
KR101427228B1 (ko) * 2013-03-06 2014-09-23 (주)동아금속 타이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2165A (zh) * 2020-07-24 2020-10-30 林瑞 一种电力高低压横担制作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440B1 (ko) 호스체결밴드용 밴드소재 제조방법 및 그 밴드소재
JP2009037980A (ja) 電池缶および金属缶用ブランクとこれを用いた電池缶および金属缶の製造方法
TW200833451A (en) Manufacturing process of turnbuckle and structure thereof
CN104889698A (zh) 一种钛合金环槽铆钉整体式加工方法
US46215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irclips
KR101539080B1 (ko) 파이프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US106540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epped member
KR101076615B1 (ko) 냉간단조를 이용한 자동차 수동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와이어연결용 핀의 제조방법
GB2515512A (en) Article and method of formation
JP2007009989A (ja) 円錐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09901B1 (ko) 와이어 메시 필터 제조 장치
CN109570611B (zh) 一种便于薄壁铜管端头切割用模头及切割方法
KR200453644Y1 (ko) 볼트 전조용 금형
US3164038A (en) Method of making scissors
EP3250333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urved pieces from a continuous metal element
KR20150005006A (ko) 카라비너의 제조방법
CN112387868B (zh) 一种内外锯齿锁紧垫圈连续冲压方法
US20180126432A1 (en) Composite manufacturing method with extruding and turning processes
KR200490051Y1 (ko) 단차부와 나사산의 동시 가공이 가능한 기능성 다이스
WO20161816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epped member
RU219108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тулки с наружным кольцевым элементом
KR100508498B1 (ko) 휨 교정과 나사가공이 동시 가능한 롤링 다이스와 그제조방법
CN110277303B (zh) 用于蝶形铌管的加工设备及加工方法
JP2016215273A (ja) 段付き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325838Y1 (ko) 휨 교정과 나사가공이 동시 가능한 롤링 다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