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127B1 -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127B1
KR101607127B1 KR1020150166352A KR20150166352A KR101607127B1 KR 101607127 B1 KR101607127 B1 KR 101607127B1 KR 1020150166352 A KR1020150166352 A KR 1020150166352A KR 20150166352 A KR20150166352 A KR 20150166352A KR 101607127 B1 KR101607127 B1 KR 10160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molar
molar
prosthesis
mandibular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온
Original Assignee
조주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온 filed Critical 조주온
Priority to KR1020150166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치아의 구조를 이용하여 구강공간을 넓히는 방법을 통해 턱관절 근육을 이완시키고 침과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부작용없이 턱디스크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은 구강 내에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의 재료를 하악의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그리고 제1대구치의 치관이 덮히도록 한 후 경화시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을 제작하되, 상기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의 높이를 이웃하는 상기 하악의 제1소구치 및 제1대구치 주변의 치아보다 높게 제작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제작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을 치면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제1-2단계로 이루어진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치면에 고정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을 치아에서 제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채득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로부터 교정기를 제작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교정기를 환자의 치아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정기에 의해 환자의 하관절 이완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은, 구강 내에서 하악골이완 보철물의 재료를 상악 좌우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와 하악 좌우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교합면에 충진한 후 경화시켜 상악측과 하악측 보철물을 제작하되, 상기 상악을 덮은 상기 상악측 보철물은 제1소구치를 제2대구치보다 길게,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를 제2대구치보다 길지만 제1소구치보다는 짧게 하는 한편, 상기 하악을 덮은 상기 하악측 보철물은 이웃하는 다른 치아보다 높으면서 상기 하악측 보철물의 제1소구치를 제2대구치보다 높게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를 동일한 높이로 제작한 후 경화시켜 제조한다.

Description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BRACE JAW DISC}
본 발명은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의 구조를 이용하여 구강공간을 넓히는 방법을 통해 턱관절 근육을 이완시키고 침과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부작용없이 턱디스크 치료에 도움을 주는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악골은 두개골에서 유일하게 관절운동을 하는 것으로 선천적인 기형이나 식습관 등으로 인하여 하악골이 수축되는 턱디스크가 발생되고 또한 수면시 하악골이 후방상방으로 움직임으로써 경추를 압박하고 턱관절 근육들을 수축시키게 된다.
턱디스크는 턱관절과 경추, 요추 등의 통증과 기능장애는 물론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을 동반하여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기 때문에 치료를 통해 완쾌하여야 한다.
턱디스크 치료는 수축된 턱관절 근육을 이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종래 턱디스크 치료 방법으로는 근육이완을 약물이나 주사(근이완제, 보톡스, 진통소염제)로 해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일시적인 통증 해소의 효과만 있을 뿐 근본적인 턱디스크의 원인 해결을 하는 것이기 아니기 때문에 통증이 재발되고 화학적 방법으로 인하여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642352호)은 폐색성 수면무호흡증 또는 코골이증상의 치료를 위한 하악골 전진장치에 있어서, 하악의 일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취부될 수 있게 된 취부구조를 갖는 취부구조물에 최소한 하나의 하측 결합부재가 상측으로 형성된 결합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악의 일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취부될 수 있게 된 취부구조를 갖는 취부구조물에는 최소한 하나의 상측 결합부재가 하측으로 결합면을 갖도록 구성되어서, 이 장치를 환자에 사용하였을 때 하측 및 상측 결합면이 후치근접측부영역에서 결합되도록 하여 반사성의 벌려지는 경로로부터 하악이 전진되고 또한 전진상태가 유지되며, 시상봉합운동중에 하악이 벌려지는 범위가 전진된 교합위치까지 확대되는 하악골 전진장치이며, 하악골이 후진하는 것을 막는 효과는 있지만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구강공간을 넓혀 턱관절 근육을 이완시키는 기능을 장기간 지속시키지 못한다.
등록특허 제10-06423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의 구조를 이용하여 구강공간을 넓히는 방법을 통해 턱관절 근육을 이완시키고 침과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부작용없이 턱디스크 치료에 도움을 주는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은, 구강 내에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의 재료를 하악의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그리고 제1대구치의 치관이 덮히도록 한 후 경화시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을 제작하되, 상기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의 높이를 이웃하는 상기 하악의 제1소구치 및 제1대구치 주변의 치아보다 높게 제작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제작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을 치면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제1-2단계로 이루어진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치면에 고정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을 치아에서 제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채득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로부터 교정기를 제작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교정기를 환자의 치아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정기에 의해 환자의 하관절 이완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은, 구강 내에서 하악골이완 보철물의 재료를 상악 좌우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와 하악 좌우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교합면에 충진한 후 경화시켜 상악측과 하악측 보철물을 제작하되, 상기 상악을 덮은 상기 상악측 보철물은 제1소구치를 제2대구치보다 길게,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를 제2대구치보다 길지만 제1소구치보다는 짧게 하는 한편, 상기 하악을 덮은 상기 하악측 보철물은 이웃하는 다른 치아보다 높으면서 상기 하악측 보철물의 제1소구치를 제2대구치보다 높게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를 동일한 높이로 제작한 후 경화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철물의 재료를 바르는 두께를 가이드하는 스페이서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에 의하면, 교정기를 하악 또는 하악과 상악에 착용하여 하악골을 벌림으로써 턱관절을 이완시켜 턱관절 치료에 도움을 주고 또한 구강공간을 넓혀 침과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턱관절의 이완을 도와 턱디스크의 치료효과를 향상하며, 종래 화학적인 근육 이완 약물 치료시 발생하는 부작용의 동반없이 턱디스크의 치료가 가능하고 아울러 일시적인 통증 완화가 아니라 턱디스크의 완치를 도와 턱디스크 치료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턱디스크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교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교정기에 의해 턱디스크 환자의 하악골이 이완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기의 제조 방법에 적용되는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정기의 제조 방법에 적용되는 스페이서의 설치 예를 보인 측면도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기의 제조 방법에 적용되는 스페이서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기의 치료 전과 치료 후의 도면 대용 사진.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의한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 방법은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 제작 착용 -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 제거 - 교정기(치료 기간 내에 착용되는 영구 교정기를 말함) 제작 및 착용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임시보철물 제작 착용 단계는 교정기를 제작 및 착용을 위한 전 공정으로서 턱디스크 교정기에 의한 저렴한 비용의 재료를 이용하여 교정기에 의한 효과를 느끼도록 함으로써 치료시 환자의 착용감과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한 공정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임시보철물로 사용되는 재료는 강도가 약하여 오랜기간 동안 턱디스크를 치료할 수는 없지만 교정기에 의한 효과를 느낄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1. 하악골이완 임시 보철물 제작.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이하 "임시보철물"이라 칭함)은 분말의 자가중합레진과 바인더(액상 또는 겔상)의 혼합물을 재료로 제작되는 것으로 치과치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특히 의료보험 적용으로 인하여 저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교정기는 상악과 하악의 사이에서 하악을 강제로 벌림으로써 하악골(인체 두개골에서 관절 운동으로 움직이는 뼈)을 강제로 이완시키는 것이며, 임시 보철물은 치료 기간동안 치아에 고정되는 교정기를 제작하기 위한 틀이라 할 수 있다.
자가중합레진(예컨대 상품명 SNAP, 미국산)과 액상 바인더를 예컨대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 레진 혼합물을 하악의 좌우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및 제1대구치의 교합면과 치관(둘레부)이 덮히도록 감싸 즉 치아 형태로 감싸 임시 보철물을 제작한다.
이와 같은 임시 보철물의 제작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루어진다.
레진 혼합물을 하악의 좌우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및 제1대구치의 교합면과 치관을 덮어 임시 보철물을 제작할 때 임시 보철물이 이웃하는 다른 치아와 동일한 높이라면 하악골의 이완이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임시 보철물을 이웃하는 다른 치아보다 더 높게 즉 기존 좌우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및 제1대구치보다 더 높게 형성하여야 한다. 임시 보철물은 주변 치아보다 1~4mm 높게 제작될 수 있다.
임시보철물은 치료기간동안 영구사용되는 교정기가 아니며 교정기보다는 못하지만 턱디스크의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높이를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및 제1대구치의 3개 치아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물론, 임시보철물도 후술하는 것처럼 교정기처럼 4개 치아(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를 대상으로 하는 것과 각 치아들의 높이차를 혀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임시 보철물의 높이는 임시 보철물이 경화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따라서, 레진 혼합물을 하악에 덮은 후 상악과 하악의 구치부(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를 다물게 하여 교합시키고, 이와 같이 교합된 상태에서 임시보철물의 높이가 1~4mm 더 높은 것이다.
임시 보철물은 치관을 덮도록 제작하여야 하며, 이는 임시 보철물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교정기를 통해 하악골의 이완 작용이 변하지 않도록 하면서 다른 치아와 이질감을 주지 않도록 하고 치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임시 보철물을 제작한 후 임시 보철물이 치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치과치료에서 사용되는 접착제(예컨대, Poly-F, 독일산)를 임시 보철물과 치면에 도포하여 임시 보철물을 치아에 접착 고정한다.
임시 보철물은 하악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악과 교합함으로써 임시 보철물의 설치 전과 다르게 하악골을 이완시킨다.
임시 보철물을 하악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악과 교합되는 상악에도 설치 가능하고, 단 상악에 설치되는 임시 보철물은 주변 치아보다 길게 제작되어 턱관절의 이완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2. 임시 보철물 제거.
임시 보철물을 치아에 장착한 상태에서 3일 내지 7일이 경과한 후 임시 보철물을 치아에서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환자에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임시 보철물을 다시 제작한다.
치과치료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보철물 제거기를 이용하여 임시 보철물을 제거한다. 환자가 임시 보철물을 착용한 동안 환자의 착용감, 하악골의 변화 등을 확인하고 그 결과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고 환자가 턱디스크의 치료 효과를 느낀다면 다음 공정인 교정기 제작으로 이어진다.
3. 교정기 제작.
환자의 치아에서 제거한 임시 보철물로 인상(본)을 채득한 후 이 인상을 통해 교정기를 제작(기공소)한다. 교정기는 지르코니아(PFM 크라운,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며 치주의 변색을 초래하지 않아 예민한 환자에게 유리하다), 금속관(가격이 저렴하다), 도재전장관 등 치과 보철 치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의 사용이 가능하다. 제작된 교정기를 치과용 접착제(상품명 GC FujiCEM2, 일본산)로 환자의 치아에 접착한다. 물론, 임시 보철물을 이용하여 기공소에서 교정기를 제작하는 것은 후술하는 실시예 2,3의 교정기(각 치아들의 높이차 형성)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이고, 또한 교정기를 기공소에서 제작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실시예 2,3처럼 환자의 구강 내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도 포함된다.
도 1은 교정기를 사용하기 이전의 상악과 하악의 교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교정기(10)를 사용한 후의 상악과 하악의 교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교정기를 착용함으로써 상악과 하악이 벌어지게 되므로 하악골의 이완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의한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 방법은 글래스 아이노머[예컨대 상품명 리바(Riva), 호주산]를 이용하여 교합고경(occlusal vertical dimension)을 높이는 것이며, 폐구시 하악 전치가 보이지 않는 환자에 적합하다.
1. 상악측/하악측 보철물 제작.
상악과 하악 각각 좌우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와 하악 좌우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의 교합면(중앙)에 리바를 충전하며, 이때 교합면이 평평하도록 한다. 리바의 특성항 치관을 덮으면 혀의 눌림 등을 통해 변형될 수 있으므로 리바처럼 변형될 수 있는 재료는 교합면에만 적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리바 캡슐을 진동기에서 혼합한 후 탐침기를 이용하여 패드에 짜서 적당량씩을 교합면에 충전하고, 면구로 교합면을 평평하게 평탄화한다.
이로써, 상악측 보철물과 하악측 보철물이 만들어진다.
상악측/하측 보철물의 교합면은 치아별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제작됨으로써 하악골 이완을 높여준다.
상악측 보철물에 의한 제1소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길어야 하고(1.5~2.0mm, 바람직하게 1.5mm), 상악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길지만(0.5~1.4mm, 바람직하게 1mm) 제1소구치보다는 짧다(0.4~1.0mm, 바람직하게 0.5mm 내외 정도 짧다). 즉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의 길이는 제1소구치 > 제2소구치 = 제1대구치 > 제2대구치이다.
하악측 보철물은 항상 하악 견치보다 높아야 하고, 제1소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높아야(0.5~1.5mm, 바람직하게 0.5mm) 하고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는 제2대구치와 높이가 같아야 한다. 즉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의 길이는 제1소구치 > 제2소구치 = 제1대구치 = 제2대구치이다.
이와 같이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의 높이차는 스피만곡(curve of spee)에 적합한 것으로 턱디스크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치아에 보철물이 있는 경우 리바는 보철물에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리바의 충전이 불가능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보철물이 없는 치아에는 리바를 충전하고 보철물 부위에는 실시예 1의 자가중합 레진 혼합물을 사용한다.
한편, 소아 턱디스크 환자의 경우 상악과 하악 각각의 제1유구치(제1소구치), 제2유구치(제2소구치), 제1대구치, 총 6개의 교합면에 리바를 충전한다 ( 소아는 12세 이하로서 성인과 달리 제2대구치가 나지 않은 상태이다). 소아는 성인보다 근육의 이완성이 좋기 때문에 성인보다 더 높게(상악과 하악 각각 2.0~4.0mm, 교합시 4.0~8.0mm)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악 6개와 하악 6개의 교합면에 리바를 충전하면 소아의 구강 공간이 넓어져 편도선 크기나 염증이 감소하고 침 분비가 잘되어 면역력이 높아질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 의한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 방법은 광중합 레진(예컨대 상품명 Filtek, 미국산)을 사용하는 것이며, 광중합 레진은 경화시간이 자가중합레진보다 빠른 이점이 있다.
카바(레진용 조각도)로 적당량의 광중합 레진을 떼어 내어 상하악의 제1,2소구치, 제1,2대구치의 교합면(중앙)에 광중합 레진을 교합평면이 평평하도록 충전하고 광중합기로 경화함으로써 상악측 보철물과 하악측 보철물을 제작한다.
이때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상악측 보철물의 제1소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길어야 하고(1.5~2.0mm), 상악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길어야(0.5~1.4mm) 한다. 또한 하악측 보철물의 하악 구치부(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는 항상 하악 견치보다 높아야 하고, 하악 제1소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높아야(0.5~1.5mm) 하고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는 높이가 같아야 한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은 임시보철물을 이용한 적응기간을 적용하지 않고 환자에게 직접 교정기를 제작한 것이며, 그러나, 실시예 2와 실시예 3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악측 보철물과 하악측 보철물을 실시예 1처럼 임시 보철물로 하고 이 임시 보철물(상악측 보철물, 하악측 보철물)을 치면에 접착하며, 일정 시간 경과 후 임시 보철물인 상기 상악측 보철물과 하악측 보철물을 치면에서 제거한 후 상기 상악측 보철물과 하악측 보철물로부터 교정기를 제작하고, 상기 교정기를 환자의 치아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정기에 의해 환자의 하관절 이완을 돕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환자를 통한 임상실험결과 턱디스크의 교정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다수의 환자를 통해 하악에만 교정기(리바, 광중합레진 각각)를 착용, 하악과 상악에 교정기를 착용한 후 결과를 확인하였다. 상악측 보철물에 의한 제1소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1.5mm 길고, 상악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1mm길면서 제1소구치보다는 0.5mm 짧게 하였다. 하악측 보철물은 제1소구치가 제2대구치보다 0.5mm 높고,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는 제2대구치와 높도록 하였다. 도 7과 도 8은 환자의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사진으로서 본 발명을 이용한 교정결과 하악골이 이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환자도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본 발명은 임시보철물(실시예 1)과 상악측/하악측 보철물(실시예 2,3)을 제작할 때 주변 치아보다 높게 제작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들 보철물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의사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의사가 기존 치아와 보철물의 재료를 보면서 보철물을 적정 높이로 맞춰야 하는 것인데,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러한 작업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므로 보철물의 높이를 확인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페이서(1)는 보철물을 적정 높이로 제작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예를 들어 일정 두께의 조각이거나 치아의 상부와 좌우측을 감싸 끼워지는 형태(도 3참고)일 수 있고, 보철물의 전술한 크기 내에서 다양하게 제작 사용될 수 있으며, 환자의 턱디스크 치료에 맞는 높이의 스페이서를 보철물을 제작하는 구강부 주변의 치아에 올리고,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이때 보철물 재료를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까지로 제작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적정 높이의 보철물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상악과 하악의 교합에 의해 눌리지 않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4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를 제1소구치 앞의 견치와 제1대구치 뒤의 제2대구치의 형태로 제작하여 견치와 제2대구치에 각각 끼우는 경우 전후 양측의 스페이서(1,2) 사이 즉 보철물의 재료를 감싸야하는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및 제1대구치의 상부와 좌우 양측만이 보이게 되므로 보철물의 재료로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및 제1대구치를 감싸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스페이서는 교정기가 적용되는 치아의 수량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교정기가 실시예 1처럼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및 제1대구치에 적용되는 경우 후방의 스페이서는 제1대구치 뒤쪽의 제2대구치에 적용되고, 교정기가 실시예 2,3처럼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에 적용되는 경우 후방의 스페이서는 제2대구치 뒤쪽의 제3대구치에 적용된다.
또한,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전후 양측의 스페이서(1,2)는 연결대(3)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스페이서(1)는 보철물의 높이보다 여유있는 두께로 이루어지면서 mm 단위 눈금(4)이 표시되는 것도 바람직하고, 보철물의 제작시 스페이서(1)에 기재된 눈금(4)을 확인하면서 보철물의 높이를 정확하고 빠르게 맞출 수 있다.
스페이서(1)는 하악과 상악 모두 적용 가능하다.
1,2 : 스페이서, 3 : 연결대
4 : 눈금, 10 : 보철물

Claims (6)

  1. 구강 내에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의 재료를 하악의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그리고 제1대구치의 치관이 덮히도록 한 후 경화시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을 제작하되, 상기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의 높이를 이웃하는 상기 하악의 제1소구치 및 제1대구치 주변의 치아보다 높게 제작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제작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을 치면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제1-2단계로 이루어진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치면에 고정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을 치아에서 제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채득한 하악골이완 임시보철물로부터 교정기를 제작하거나 환자의 구강 내에서 하악골이완 보철물의 재료를 이용하여 교정기를 제작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교정기를 환자의 치아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정기에 의해 환자의 하관절 이완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
  2. 구강 내에서 하악골이완 보철물의 재료를 상악 좌우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와 하악 좌우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교합면에 충진한 후 경화시켜 상악측과 하악측 보철물을 제작하되, 상기 상악을 덮은 상기 상악측 보철물은 제1소구치를 제2대구치보다 길게,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를 제2대구치보다 길지만 제1소구치보다는 짧게 하는 한편, 상기 하악을 덮은 상기 하악측 보철물은 이웃하는 다른 치아보다 높으면서 상기 하악측 보철물의 제1소구치를 제2대구치보다 높게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를 동일한 높이로 제작한 후 경화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악측 보철물의 제1소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1.5~2.0mm 길고,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0.5~1.4mm 길게 하고, 상기 하악측 보철물은 주변의 치아보다 높으면서 제1소구치는 제2대구치보다 0.5~1.5mm 높고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는 제2대구치와 높이가 같도록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악측 보철물과 하악측 보철물을 치면에 접착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상악측 보철물과 하악측 보철물을 치면에서 제거한 후 상기 상악측 보철물과 하악측 보철물로부터 교정기를 제작하고, 상기 교정기를 환자의 치아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정기에 의해 환자의 하관절 이완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교정기가 적용되는 치아에 근접되는 치아에 보철물의 재료를 덮는 높이를 가이드하는 스페이서를 적용하여,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만큼 보철물의 재료를 발라 보철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표면에 보철물의 두께를 표시하는 mm 단위의 눈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디스크 교정기 제작 방법.
KR1020150166352A 2015-11-26 2015-11-26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방법 KR10160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52A KR101607127B1 (ko) 2015-11-26 2015-11-26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52A KR101607127B1 (ko) 2015-11-26 2015-11-26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127B1 true KR101607127B1 (ko) 2016-03-29

Family

ID=5566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352A KR101607127B1 (ko) 2015-11-26 2015-11-26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1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343Y1 (ko) 2006-12-08 2008-04-04 이승규 코골이 방지기구
KR101482727B1 (ko) 2013-09-06 2015-01-14 주식회사 수면과건강 3d프린팅을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343Y1 (ko) 2006-12-08 2008-04-04 이승규 코골이 방지기구
KR101482727B1 (ko) 2013-09-06 2015-01-14 주식회사 수면과건강 3d프린팅을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8101B (zh) 一种隐形矫治装置
JP5758396B2 (ja) 鼾及び睡眠時無呼吸を防止するための調節可能な口内下顎前進装置
McNamara et al. Clinical management of the acrylic splint Herbst appliance
KR20150032180A (ko)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Ohkubo et al. Neutral zone approach for denture fabrication for a partial glossectomy patient: a clinical report
TWI763289B (zh) 齒列矯正牙套及其製造方法
JP2002102255A (ja) 歯科矯正用マウスピー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歯科矯正用装置
Benetti et al.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 microstomia: a clinical report
Kim et al. Esthetic rehabilitation of single anterior edentulous space using fiber-reinforced composite
KR102008333B1 (ko) 치아주위근육 정상 중립대 형성을 위한 개인 맞춤형 맹출유도와 골격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Sadighpour et al. Using neutral zone concept in pros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 with brain surgery: a clinical report
TWI782312B (zh) 包覆上顎齒的口腔內吞嚥輔具及其製造方法
EP3348225A1 (en) Orthodontic apparatus
CN113520633A (zh) 齿列矫正牙套及其制造方法
KR101607127B1 (ko) 턱디스크 교정기 제조방법
WO2021170101A1 (zh) 牙齿矫治器、牙科器械、牙齿矫治套组和牙齿矫治系统以及牙齿矫治器的设计方法和制备方法
Rao et al.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molar uprighting spring: an innovative hybrid appliance
CN208693483U (zh) 基于后牙固定式牙合垫矫治器
Stumpel III The natural tooth pontic; simplified
Zhekov et al. CAD/CAM Fiber-Reinforced Composite Adhesive Splint
Kang et al. Esthetic enhancement of a traumatized anterior tooth with a combination of forced eruption and tooth alignment: a case report
Patel et al.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maxillary arch with implant-assisted fixed complete prosthesis using multi-unit straight and angulated abutments
Grayson et al. The role of pediatric dentists and orthodontists in the presurgical treatment of infants born with cleft lip and palate
CN103356303A (zh) 牙齿外伤松动脱位固定装置及其制作方法
JP6454772B1 (ja) 義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