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031B1 -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031B1
KR101607031B1 KR1020140190853A KR20140190853A KR101607031B1 KR 101607031 B1 KR101607031 B1 KR 101607031B1 KR 1020140190853 A KR1020140190853 A KR 1020140190853A KR 20140190853 A KR20140190853 A KR 20140190853A KR 101607031 B1 KR101607031 B1 KR 101607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olling
unit
cooling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훈
윤명석
이광근
이철원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되는 압연 조건으로 소재를 압연 처리하는 압연부와; 압연 처리되는 상기 소재를 냉각 처리하는 냉각부; 및 상기 압연 처리 후 및 상기 냉각 처리 후 소재의 각부에 대한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되는 상기 온도가 기설정되는 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압연 조건 및 상기 냉각 조건을 재설정하는 모니터링 부를 포함하는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ROLLED TEMPERATURE}
본 발명은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 후 및, 냉각후 소재의 온도가 균일해지도록 압연 조건 및 냉각 조건을 재설정할 수 있는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고인성 형강을 생산하기 위해 저온 압연 및 가속 냉각(QST)을 적용한 형강 제어 압연을 실시한다.
이러한 제어 압연 공정에서, 작업자 오작에 의한 대기, Roll 냉각수, 대기 온도 변화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온도 불균일 및 이로 인해 형상 변형과 물성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67849호(공개일 : 2005년 07월 05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 후 및, 냉각후 소재의 온도가 균일해지도록 압연 조건 및 냉각 조건을 재설정할 수 있는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설정되는 압연 조건으로 소재를 압연 처리하는 압연부와; 압연 처리되는 상기 소재를 냉각 처리하는 냉각부; 및 상기 압연 처리 후 및 상기 냉각 처리 후 소재의 각부에 대한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되는 상기 온도가 기설정되는 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압연 조건 및 상기 냉각 조건을 재설정하는 모니터링 부를 포함하는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모니터링 부는, 상기 압연부의 후단에서, 압연되는 상기 소재의 각부에 대한 제 1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 측정부와, 상기 냉각부의 후단에서, 냉각되는 상기 소재의 각부에 대한 제 2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 측정부와, 상기 제 1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1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압연 조건을 재설정하고, 상기 제 2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2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냉각 조건을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온도 측정부 및 상기 제 2온도 측정부 각각은, 상기 소재의 각부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 취득기와, 상기 소재의 각부에 대한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소재의 각부에 대한 영역을 구획하고, 구획된 각 영역에, 측정된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연 조건 및 상기 냉각 조건을 상기 소재의 규격 및 강종에 따라 구분하여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재는, 소재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소재 이동 경로는, 상기 소재의 양측부 근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을 잇는 한 쌍의 제 2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측정기는, 다수로 구비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 프레임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압연 후 및, 냉각후 소재의 온도가 균일해지도록 압연 조건 및 냉각 조건을 소재의 규격 및 강종에 따라 재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온도 측정기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영상 취득기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온도 측정기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영상 취득기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크게 압연부(100)와, 냉각부(200)와, 모니터링 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압연부(100)는 롤러 테이블(20) 상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소재(10)를 미리 설정되는 압연 조건으로 압연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소재(10)는 H 형강일 수 있다. 물론, H 형강 이외 다른 형상의 형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연 조건은 롤러 테이블(20)의 구동 제어를 통한 소재(10)의 이송 속도 및, 압연에 요구되는 압연유의 유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200)는 압연부(100)의 후단에 배치되며, 압연부(100)를 통해 압연이 완료된 소재(10)를 냉각 처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냉각부(200)는 QST(Quenching & Self Tempering)공정을 거치는 것이 좋다.
상기 모니터링 부(300)는 압연 처리 후 및 상기 냉각 처리 후 소재(10)의 각부에 대한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되는 상기 온도가 기설정되는 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압연 조건 및 상기 냉각 조건을 재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니터링 부(300)는 제 1온도 측정부(310)와, 제 2온도 측정부(320)와, 제어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온도 측정부(310)는 압연부(100)의 후단에 설치되며, 압연 처리가 완료되어 배출되는 소재(10)의 각부에 대한 제 1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 2온도 측정부(320)는 냉각부(200)의 후단에 설치되며, 냉각 처리가 완료되어 배출되는 소재(10)의 각부에 대한 제 2온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제 1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1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압연 조건을 재설정하고, 상기 제 2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2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냉각 조건을 재설정한다.
상기 제 1,2목표 온도는 바람직하게 일정의 온도 범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 1,2온도 측정부(310,320)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 하여, 제 1온도 측정부(310)의 구성을 대표적인 예로 설명한다.
상기 제 1온도 측정부(310)는 제 1온도 측정기(311)와, 제 1영상 취득기(31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영상 취득기(312)는 카메라와 같은 장치로서, 소재(10)의 각부에 대한 영상을 취득한다.
바람직하게,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재(10)가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에워싸도록 원형을 이루는 이동 레일(500)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 레일(500)에는, 상기 제 1영상 취득기(312)가 설치되고, 상기 제 1영상 취득기(312)는 별도의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이동 레일(5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영상 취득기(312)는 이동 레일(500)을 따라 이동되면서 소재(10)의 각부에 대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고, 이 취득된 영상을 제어부(33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330)는 취득된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소재(10)의 각부에 대한 영역을 구획하고, 구획된 각부의 영상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 하면, 제 1온도 측정기(311)는 소재(10)의 각부에 대한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3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소재(10)의 양측부 근방에는 한 쌍의 제 1가이드 프레임(410)과,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프레임(410)의 상단 및 하단을 잇는 한 쌍의 제 2가이드 프레임(420)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 1온도 측정기(311)는 제 1가이드 프레임(410) 및 제 2가이드 프레임(420) 각각에서 리니어 모터(미도시)를 통해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 1온도 측정기들(311)은 소재(10)의 각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상술한 구획된 영역에 대응하여 해당 영역에서의 온도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소재(10)는 소재 이동 경로(a)를 따라 이동되고, 압연부(100)에서 설정된 압연 조건으로 압연 처리된다.
이어, 압연 처리된 소재(10)는 압연부(100)로부터 배출되고, 제 1센서(301)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330)로 전송한다.
상기 제 1센서(301)는 광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330)는 제 1온도 측정부(310)를 사용하여 소재(10)의 각부에 대한 구획된 영상 및, 구획된 영상에 해당되는 제 1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330)로 전송한다.
제어부(330)는 측정된 제 1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1목표 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 1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1목표 온도 범위에 포함되면, 소재(10)를 냉각부(200)로 이송 및, 해당 압연 조건을 유지한다.
반면, 제 1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1목표 온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함될 수 있도록 압연 조건을 재설정하고, 다음 소재(10)의 압연 조건에 적용한다.
그리고, 압연 처리된 소재(10)는 냉각부(200)를 통해 냉각 처리되어 배출된다.
이때, 냉각 처리된 소재(10)는 냉각부(200)로부터 배출되고, 제 2센서(302)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330)로 전송한다.
상기 제 2센서(302)는 광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330)는 제 2온도 측정부(320)를 사용하여 소재(10)의 각부에 대한 구획된 영상 및, 구획된 영상에 해당되는 제 2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330)로 전송한다.
제어부(330)는 측정된 제 2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2목표 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 2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2목표 온도 범위에 포함되면, 소재(10)를 냉각상으로 이송 및, 해당 냉각 조건을 유지한다.
반면, 제 2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2목표 온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함될 수 있도록 냉각 조건을 재설정하고, 다음 소재의 냉각 조건에 적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연 조건 및 상기 냉각 조건을 상기 소재의 규격 및 강종에 따라 구분하여 재설정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압연 공정부(110)는 압연부(100)의 공정을 제어하고, 냉각 공정부(210)는 냉각부(200)의 공정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압연 및 냉각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인적자원의 낭비를 막고 형상 정밀도 및 기계적 물성의 적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목표 온도에 부합하는 공정 조건 (압연, 냉각)을 데이터 베이스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강종과 규격 생산 시, 각 온도 조건에 맞게 압연 공정 제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온도 측정 방식의 변화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형강 압연의 온도제어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압연부
110 : 압연 공정부
200 : 냉각부
210 : 냉각 공정부
300 : 모니터링 부
310 : 제 1온도 측정부
311 : 제 1온도 측정기
312 : 제 1영상 취득기
320 : 제 2온도 측정부
321 : 제 2온도 측정기
322 : 제 1영상 취득기
330 : 제어부

Claims (5)

  1. 설정되는 압연 조건으로 소재를 압연 처리하는 압연부;
    압연 처리되는 상기 소재를 냉각 처리하는 냉각부; 및
    상기 압연 처리 후 및 상기 냉각 처리 후 소재의 각부에 대한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되는 상기 온도가 기설정되는 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압연 조건 및 냉각 조건을 재설정하는 모니터링 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부는,
    상기 압연부의 후단에서, 압연되는 상기 소재의 각부에 대한 제 1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 측정부와,
    상기 냉각부의 후단에서, 냉각되는 상기 소재의 각부에 대한 제 2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 측정부와,
    상기 제 1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1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압연 조건을 재설정하고, 상기 제 2온도가 기설정되는 제 2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냉각 조건을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온도 측정부 및 상기 제 2온도 측정부 각각은,
    상기 소재의 각부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 취득기
    상기 소재의 각부에 대한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소재의 각부에 대한 영역을 구획하고, 구획된 각 영역에, 측정된 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소재는, 소재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되,
    상기 소재 이동 경로는, 상기 소재의 양측부 근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을 잇는 한 쌍의 제 2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온도 측정기는, 다수로 구비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 프레임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연 조건 및 상기 냉각 조건을 상기 소재의 규격 및 강종에 따라 구분하여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5. 삭제
KR1020140190853A 2014-12-26 2014-12-26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07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853A KR101607031B1 (ko) 2014-12-26 2014-12-26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853A KR101607031B1 (ko) 2014-12-26 2014-12-26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031B1 true KR101607031B1 (ko) 2016-04-11

Family

ID=5580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853A KR101607031B1 (ko) 2014-12-26 2014-12-26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0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948Y1 (ko) 1995-12-28 2000-08-01 이구택 고온 강판 하면온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948Y1 (ko) 1995-12-28 2000-08-01 이구택 고온 강판 하면온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234B2 (en) Form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 of a forming machine
CN104307892B (zh) 连轧穿带过程中带材头部纠偏的方法
KR101463338B1 (ko) 시편 굽힘각도 자동 측정장치
CN103890540A (zh) 厚度测量系统以及厚度测量方法
JP5828817B2 (ja) 条鋼材の形状検査方法
RU2019113108A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установки литья и прокатки
CN106914494B (zh) 热轧带钢的板形控制系统及方法
US202201436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traightening wire or strip material
KR101432155B1 (ko) 스테이지 스케일 보정 방법
KR101605004B1 (ko) 강판두께 및 스카핑 량 측정장치
KR101607031B1 (ko) 압연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30838B1 (ko) 열간 압연 장치
CN101206178A (zh) 带钢生产中的红外热成像检测方法
KR101411877B1 (ko) 압연기용 균열 감지장치
KR101546191B1 (ko) 소재 냉각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소재 냉각 방법
KR102045633B1 (ko) 슬라브 트랙킹 장치
DE10200903637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der Oberflächentemperatur einer Arbeitswalze
KR101536907B1 (ko) 노즐 검사 장치
CN104924065B (zh) 高精度拉矫机辊校零装置及其校零方法
KR101632462B1 (ko) 슬라브 측면의 상하 비대칭량 및 와핑을 동시에 측정하는 시스템
RU2438815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авки сварных стыков рельсов в холодном состоянии
KR20230006647A (ko) 압연기에서의 연신 동작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압연기
KR20110010501A (ko) 압연기의 판 속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19020238A (ja) エッジ計測による赤熱加圧成形材の非接触型外形計測装置
US202303025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out measurements on a material being processed in a rolling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