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931B1 -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931B1
KR101606931B1 KR1020090010898A KR20090010898A KR101606931B1 KR 101606931 B1 KR101606931 B1 KR 101606931B1 KR 1020090010898 A KR1020090010898 A KR 1020090010898A KR 20090010898 A KR20090010898 A KR 20090010898A KR 101606931 B1 KR101606931 B1 KR 10160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ill image
resolution
mot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614A (ko
Inventor
김흥선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9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영상 저장 및 재생에 있어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동영상 인코딩 도중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을 상기 동영상보다 더 높은 고해상도로 하여 상기 특정 프레임에 연계하여 별도로 저장한다. 또한,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때,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설정받는 과정과,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촬영되어 인코딩되는 동영상 저장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키프레임 순간의 정지영상을 상기 동영상보다 더 높은 고해상도로 하여 별도로 저장하는 과정과, 저장된 동영상 재생이 이루어질 때, 키프레임 순간에 고해상도로 저장된 정지영상 내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해당 부분만을 확대하여 정지영상으로서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동영상, MPEG, I프레임, 키프레임, 정지영상, 스틸영상, 해상도

Description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recording/playing key frame still image and method for or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영상 저장 및 재생에 있어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통신망을 이용하여 단말기간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교환한다.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전송이 이루어질 때, 동영상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동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는 이를 다시 복호화하여 재생한다. 이를 위해, MPEG1(Moving PictureExperts Group 1), MPEG2, MPEG4, H.261, H.263, H.264 등과 같은 다양한 코딩 방식이 동영상 압축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MPEG 코딩 방식의 경우 이미지 코딩을 화면 전체 코딩이 아닌 I프레임(I-frame), B프레임(B-frame), P프레임(P-frame)의 오브젝트 별로 다양한 종류로 코딩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I프레임, B프레임, P프레임을 통한 종래의 코딩 압축 방식의 경우, 설정된 압축 영상 포맷 해상도의 최대값 제한으로 인해, 영상 확대 시에 영상 깨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기존의 MPEG4 압축 방식의 경우 이미지 전체로 코딩되는 키프레임인 I프레임의 압축 영상 포맷은 VGA 640×480을 최대 해상도(Max Resolution)를 갖는다.
그런데, 카메라 출력 영상을 디코딩하여 저장할 경우 720×576의 최대 해상도를 지원하며, 저장된 영상을 확인할 경우 I프레임의 최대 해상도로 인하여 화면 확대 시에 영상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동영상 재생을 중지하고 확대할 경우 해상도의 제한으로 인해 영상이 깨져 보고자하는 이미지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영상 재생 시에 영상의 미세한 부분까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의 저장 및 재생 방안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영상 인코딩 도중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을 상기 동영상보다 더 높은 고해상도로 하여 상기 특정 프레임에 연계하여 별도로 저장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때,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설정받는 과정과,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촬영되어 인코딩되는 동영상 저장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키프레임 순간의 정지영상을 상기 동영상보다 더 높은 고해상도로 하여 별도로 저장하는 과정과, 저장된 동영상 재생이 이루어질 때, 키프레임 순간에 고해상도로 저장된 정지영상 내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해당 부분만을 확대하여 정지영상으로서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메라모듈을 통한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이 저장되는 동영상 저장부와, 상기 동영상보다 더 높은 해상도로서 정지영상이 저장되는 정지영상 저장부와, 상기 인코더를 통 해 인코딩되는 동영상이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동영상 촬영 모드일 때,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영상의 화면전환 키프레임 순간의 정지영상을 상기 동영상의 해상도보다 더 높은 해상도로서 상기 정지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미지 저장 과정에서 메모리 용량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실질적으로 필요한 영상을 고해상도의 정지영상으로 저장함으로써 추후에 중요한 사고 장면의 미세한 부분까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프레임의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MPEG 인코딩 방식의 경우, 키프레임부터 다음 키프레임에 이르기까지 P프레임, B프레임이 차례대로 위치한다.
I프레임(Intra-Frame)은 키프레임으로서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스로부터 직접 압축되어 독립적으로 복원이 가능한 프레임이며, P프레임(Previous 또는 Predicted Frame)은 예측 부호화영상의 약칭으로서 이전에 나온 키 프레임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영상을 말하며, B프레임(Bidirectional Frame)은 쌍방향 예측 부호화 영상으로서 과거로부터 예측하는 순방향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 방식과 미래로부터 예측하는 역방향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를 통해 전후의 I/P 프레임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프레임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MPEG4의 인코딩이 이루어질 때의 예를 들어 설명하겠으나, 상기 I프레임, P프레임, B프레임을 이용하는 MPEG 인코딩 방식이 기초가 되는 H.263, H.264 등의 동영상 인코딩 방식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600)은 2Mega 픽셀 CMOS 센서와 같은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진다.
인코더(400)는 이산여현변환기(DCT;430), 양자화기(420), 가변장부호화기(VLC;410)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모듈(600)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에 대한 인코딩을 수행한다.
인코더(400)는, 이산여현변환기(430)에 의하여 공간적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사이의 직교적 관계를 이용하여 영상을 고주파 성분과 저주파 성분으로 나눈 후에, 양자화기(420)에서 양자화를 수행하여 각 매크로블록별로 변환계수를 할당한 후, 가변장부호화기(410))에서 상기 변환계수를 이용하여 공간적 중복성을 제거함으로써 인코딩이 완료되는 과정을 가진다. 상기 MPEG 방식으로 인코딩된 동영상 파일은 동영상 저장부(200)에 저장된다.
동영상 재생 요청이 있을 때 영상 처리부(100)는, 동영상 저장부(20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호출하여 디코더(500) 내의 VLC디코딩기(510), 역양자화 기(520), 역이산여현변환기(IDCT;530)를 차례로 거치게 한 후 재생부(700)를 통해 재생한다.
본 발명에서 영상 처리부(100)는 동영상 인코딩 및 디코딩 이외에도,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때 카메라모듈(600)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에 대해서 MPEG 인코딩 동영상 저장과는 별도로, 특정 프레임(키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을 상기 동영상보다 더 높은 고해상도로서 저장한다. 상기 특정 프레임은 키프레임이 될 수 있으며, MPEG인코딩 방식에서는 I프레임이 키프레임에 해당된다.
동영상 촬영에 의한 동영상 인코딩 도중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때, 해당 순간의 키프레임 영상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을 동영상의 해상도보다 더 높은 고해상도를 갖도록 하여 별도로 저장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처리부는 MPEG 인코딩되는 동영상을 동영상 저장부(200)에 IBBPBBIBBPB,,,,프레임의 순서대로 차례로 저장한다고 가정할 때, 키프레임(I프레임) 순간의 해당 영상을 고해상도로 하여 별도의 정지영상으로서 정지영상 저장부(300)에 저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2Mega 픽셀의 카메라모듈로 촬영된다고 가정할 때 동영상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키프레임(I프레임)의 경우에는 MPEG 인코딩 해상도 한계로 인해 최대로 640×480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을 뿐이지만, 이와 별도로 정지영상 저장부(300)에는 키프레임(I프레임) 순간에 최대 1600×1200의 해상도의 정지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만약, 5Mega 픽셀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경우에는 최대 2592 ×1944의 해상도를 갖는 정지영상이 정지영상 저장부(3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지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지영상은 고해상도를 갖는 JPEG와 같은 정지 이미지로서, 각 이미지의 헤더 필드에는 매칭되는 동영상의 키프레임(I프레임)의 고유 번호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영상 처리부(100)에서 동영상 저장부(200)에 저장된 동영상을 호출하여 재생할 때, 각각의 키프레임의 순간에 저장된 정지영상(300)이 존재하는지를 정지영상의 헤더에 있는 키프레임 고유번호를 참고하여 검색한 후, 각 키프레임에 매칭되는 정지영상이 있을 경우, 이를 호출하여 해당 정지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00)는 정지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 동영상의 매칭된 프레임의 전후 일정 구간을 함께 재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의 동작 알고리즘을 도 3과 함께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프레임의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동영상 촬영(S302)이 이루어지면, 카메라모듈을 통해 들어오는 영상에 대하여 이산여현변환기(DCT), 양자화기, 가변장부호화기(VLC)를 거쳐 동영상 압축 인코딩(S304)이 이루어진다.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는 중에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S306)한다. 즉, 저장되는 동영상과는 별도로, 화면 변환이 이루어지는 순간과 같이 특정 프레임 순간에 해당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고해상도의 정지영 상을 따로 저장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상기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로부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설정(S308)받는다.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은 도 4와 같이 일정 크기를 갖는 사각형(다각형)의 커서를 촬영뷰 창에 나타내어, 사용자의 입력 인터페이스 조작에 의하여 사각형 커서를 이동시켜 움직임 감지 영역이 설정된다.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판정(S310)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는 해당 움직임 감지 영역 내에서 픽셀값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움직임이 감지되었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 영역 내의 픽셀들의 평균 색상값이 임계치를 넘어설 경우에 움직임이 감지되었다고 판정한다.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감지는 설정된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픽셀 변화를 보고서 판정할 수도 있지만, 움직임 감지 영역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전체 화면을 대상으로 하여 움직임 감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키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을 고해상도로 하여 상기 특정 프레임에 연계하여 정지영상 저장부에 저장(S312)한다.
예컨대, 2Mega 픽셀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때,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키프레임(I프레임)은 MPEG 인코딩 해상도에 의해 최대로 640×480 해상도로 저장되지만, 정지영상 저장부에는 키프레임 순간의 영상이 동영상의 키프레임 해상도보다 높은, 즉, 최대 1600×1200 해상도의 정지영상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결국, 640×480 해상도로 인코딩되는 동영상 저장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최대 1600×1200 해상도를 갖는 고해상도의 키프레임 정지영상이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고해상도의 키프레임 정지영상은 움직임 감지 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 감지된 순간에만 하나의 정지영상으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서, 움직임 감지 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 감지된 순간부터 도 2와 같이 매번의 키프레임 순간마다 고해상도의 정지영상이 다수개로서 연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정들은 동영상 촬영이 종료(S314)될 때까지 반복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키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을 고해상도로 하여 상기 특정 프레임에 연계하여 정지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은, 정지영상의 헤더에 해당 특정 프레임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저장되는 정지영상의 헤더에는 매칭되는 동영상의 키프레임 고유번호가 기록되어 있어, 추후 동영상 재생 시에 관련되는 정지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촬영된 동영상이 디코더에 의해 재생이 이루어질 때, 동영상 재생과 더불어서 정지영상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고해상도의 정지영상이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정지영상은 고해상도의 정지영상 전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와 같이 저장되어 있는 고해상도의 정지영상 내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 부분만을 확대하여 동영상 재생 시에 해당 움직임 감지 영역 부분의 고 해상도 정지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지 저장 과정에서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영상만을 추출하여 고해상도로 저장함으로써 중요한 사고 장면의 미세한 부분까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동영상이 재생될 때 정지영상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 예로서, 반대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정지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 해당 정지영상에 매칭되는 특정 프레임 전후의 구간에 있는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의 5번째 키프레임 순간에 저장된 정지영상이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면, 자동으로, 해당 정지영상 순간의 키프레임 전후 1분의 동영상이 자동 재생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저장되어 있는 정지영상의 헤더에 매칭되는 동영상의 키프레임 고유번호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를 통해 매칭되는 동영상의 해당 순간을 재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프레임의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 저장 및 정지영상 저장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프레임의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감지영역 설정을 위한 커서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 재생 시에 정지 영상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Claims (22)

  1. 삭제
  2.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을 제1 해상도의 동영상으로 인코딩하는 단계와,
    동영상 인코딩 중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에 대해서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더 높은 제2 해상도의 정지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 프레임은 키프레임인 정지영상 저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때 정지영상 저장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만, 피사체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 정지영상을 상기 동영상보다 더 높은 고해상도로 하여 저장하는 정지영상 저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설정받아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내의 피사체 움직임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영상 저장 방법.
  5.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을 제1 해상도의 동영상으로 인코딩하는 단계와,
    동영상 인코딩 중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에 대해서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더 높은 제2 해상도의 정지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재생이 이루어질 때, 상기 특정 프레임 순간에 고해상도로 저장된 정지영상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 프레임은 키 프레임인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재생이 이루어질 때, 상기 특정 프레임 순간에 고해상도로 저장된 정지영상 내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해당 부분만을 확대하여 정지영상으로서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방법.
  7.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을 제1 해상도의 동영상으로 인코딩하는 단계와,
    동영상 인코딩 중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에 대해서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더 높은 제2 해상도의 정지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되어 있는 정지영상이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정지영상에 매칭되는 특정 프레임 전후의 구간에 있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방법.
  8.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때, 정지영상 저장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정지영상 저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설정받는 단계와,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을 제1 해상도의 동영상으로 인코딩하는 단계와,
    동영상 인코딩 중에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에 대해서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더 높은 제2 해상도의 정지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동영상 재생이 이루어질 때, 특정 프레임 순간에 고해상도로 저장된 정지영상 내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해당 부분만을 확대하여 정지영상으로서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동영상 인코딩이 MPEG 인코딩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때, 상기 특정 프레임은 키 프레임으로서, MPEG 인코딩 방식의 I프레임(Intra 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은 촬영되는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 순간마다 다수개로서 저장이 이루어지는 정지영상 저장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의 헤더에는 해당 정지영상과 매칭되는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의 고유 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정지영상 저장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설정받는 과정은, 촬영뷰 창에 다각형의 커서를 위치시켜 사용자의 커서 이동 조작에 의해 설정이 이루어지는 정지영상 저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내의 픽셀값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다고 판정하는 정지영상 저장 방법.
  14. 삭제
  15.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제1 해상도의 동영상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정지영상으로 저장하는 정지영상 저장부;
    상기 인코더를 통해 인코딩되는 동영상이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동영상 촬영 모드일 때,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영상의 화면전환 키프레임 순간의 정지영상을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더 높은 제2 해상도로서 상기 정지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동영상 재생 모드일 때,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동시에 상기 정지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정지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16.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제1 해상도의 동영상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정지영상으로 저장하는 정지영상 저장부;
    상기 인코더를 통해 인코딩되는 동영상이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동영상 촬영 모드일 때,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영상의 화면전환 키프레임 순간의 정지영상을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더 높은 제2 해상도로서 상기 정지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정지영상의 헤더에 해당 정지영상과 매칭되는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의 고유 번호를 기록하는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17.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제1 해상도의 동영상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정지영상으로 저장하는 정지영상 저장부;
    상기 인코더를 통해 인코딩되는 동영상이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동영상 촬영 모드일 때,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영상의 화면전환 키프레임 순간의 정지영상을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더 높은 제2 해상도로서 상기 정지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설정받아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내의 피사체 움직임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영상 저장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재생이 이루어질 때, 특정 프레임 순간에 고해상도로 저장된 정지영상 내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의 해당 부분만을 확대하여 정지영상으로서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정지영상 저장 장치.
  19.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제1 해상도의 동영상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정지영상으로 저장하는 정지영상 저장부;
    상기 인코더를 통해 인코딩되는 동영상이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동영상 촬영 모드일 때,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영상의 화면전환 키프레임 순간의 정지영상을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더 높은 제2 해상도로서 상기 정지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저장되어 있는 정지영상이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정지영상에 매칭되는 특정 프레임 전후의 구간에 있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20.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제1 해상도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동영상 촬영 중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된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에 대해서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더 높은 제2 해상도의 정지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 프레임은 키프레임인 정지영상 저장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때 정지영상 저장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만, 피사체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 정지영상을 상기 동영상보다 더 높은 고해상도로 하여 저장하는 정지영상 저장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설정받아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내의 피사체 움직임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영상 저장 방법.
KR1020090010898A 2009-02-11 2009-02-11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06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898A KR101606931B1 (ko) 2009-02-11 2009-02-11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898A KR101606931B1 (ko) 2009-02-11 2009-02-11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14A KR20100091614A (ko) 2010-08-19
KR101606931B1 true KR101606931B1 (ko) 2016-04-11

Family

ID=4275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898A KR101606931B1 (ko) 2009-02-11 2009-02-11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564B1 (ko) * 2017-02-08 2018-03-27 이정무 다중 영상에 대한 집중 영상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집중 영상 관리 서버, 집중 영상 감시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326B1 (ko) * 2014-05-15 2016-01-14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선별된 프레임을 고해상도로 저장하는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591581B1 (ko) 2016-01-07 2023-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636739B1 (ko) * 2018-12-18 2024-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1320A (ja) * 2004-10-20 2006-05-11 Fuji Photo Film Co Ltd 全方位監視カメラ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1320A (ja) * 2004-10-20 2006-05-11 Fuji Photo Film Co Ltd 全方位監視カメ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564B1 (ko) * 2017-02-08 2018-03-27 이정무 다중 영상에 대한 집중 영상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집중 영상 관리 서버, 집중 영상 감시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14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80763B2 (ja) 画像処理方法
US6404817B1 (en) MPEG video decoder having robust error detection and concealment
KR100616262B1 (ko) 디지털 카메라 장치 및 기록 방법
JP2006253768A (ja) デジタルカメラ
EP1879388B1 (en) Video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video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video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video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JP4887750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6181569A (ja) 画像符号化及び復号化方法又は装置、及び画像記録媒体
US788993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606931B1 (ko) 키프레임 정지영상 저장 및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H09200695A (ja) 高速再生のためのビデオデータの復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18291B1 (ko) 압축된 비디오 신호에서 워터마크 검출
JP2007134755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記録再生装置
JPH0818979A (ja) 画像処理装置
JPH07107466A (ja) 撮像装置
TWI577180B (zh) Dynamic image prediction decoding device, dynamic image prediction decoding method
JP4103276B2 (ja) 画像記録装置および方法
US895305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11055023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US20050105811A1 (en) Processing images
JP3214160B2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復号装置
JP2005300943A (ja) 情報表示位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9290387A (ja) エンコーダ、デコーダ、及び記録再生装置
JP5067492B2 (ja) デジタル動画像記録装置
WO1999067947A1 (en) Image sensing/storing method and image sensing device
JP2007049520A (ja) 画像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