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848B1 - 정관 마개 - Google Patents

정관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848B1
KR101606848B1 KR1020140100545A KR20140100545A KR101606848B1 KR 101606848 B1 KR101606848 B1 KR 101606848B1 KR 1020140100545 A KR1020140100545 A KR 1020140100545A KR 20140100545 A KR20140100545 A KR 20140100545A KR 101606848 B1 KR101606848 B1 KR 101606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sectomy
tube
present
vasoconstricto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418A (ko
Inventor
박형근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8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1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20Vas deferens occluders; Fallopian occluders
    • A61F6/22Vas deferens occluders; Fallopian occluders implantable in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남성 피임법의 하나인 정관 수술에 의해 절제 및 결찰된 정관이 의도치 않게 재결합되어 정관이 재개통되거나, 정관 수술 후 시간이 경과되면서 양측 절단면이 주위 조직과 유착되어 점차 그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게 됨으로써 후일 정관 복원술식을 시행할 때 정관 수술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를 박리 제거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정상적인 정관을 절제함에 따라 수술 결과에 악영향을 미치는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규한 정관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정관 마개는 절제된 정관의 단면부를 감싸면서 상기 정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그 일면이 개방면을 형성하는 마개로서, 생체에서 분해되지 않는 비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관 마개{Vas deferens cap}
본 발명은 남성 피임법의 하나인 정관 수술에 의해 절제 및 결찰된 정관이 의도치 않게 재결합되어 정관이 재개통되거나, 정관 수술 후 시간이 경과되면서 양측 절단면이 주위 조직과 유착되어 점차 그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게 됨으로써 후일 정관 복원술식을 시행할 때 정관 수술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를 박리 제거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정상적인 정관을 절제함에 따라 수술 결과에 악영향을 미치는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규한 정관 마개에 관한 것이다.
피임법이란 출산계획에 따라 원하지 않은 임신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말하는데, 피임 대상을 기준으로 남성과 여성에 대한 피임법이 각기 다르며, 호르몬을 조절하거나 살정 효과가 있는 약물, 콘돔 등을 사용하는 일시적인 피임법은 물론 수술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피임을 유지시키는 다양한 피임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 중에서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반영구적 피임 술식으로 정자의 통로인 정관을 절제 및 결찰하는 이른바 정관 수술(vasectomy)이 널리 시술되고 있는데, 이는 음낭에 작은 절개 부위를 만들고 이 부위를 통해 정관을 꺼내 절단한 뒤 양측 정관을 비흡수성 봉합사로 결찰한 후 다시 제자리로 돌려놓는 시술이다.
이러한 정관 수술은 간단한 시술로 종료되기 때문에 대부분 시술 직후 일상업무나 일상생활을 하는 데 지장이 없고 합병증도 크지 않으며, 피임 성공률도 거의 100%에 달하기 때문에 널리 선호되고 있다.
다만, 드물게 결찰된 정관이 재결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수술 후에 결찰된 정관의 일부가 염증반응으로 인해 괴사되거나 수술시 사용된 결찰사의 자연소실로 인해 노출된 정관의 양 절단면이 재결합하여 누공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재결합으로 인한 누공은 정관의 재개통과 의도치 않은 임신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정관의 재개통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정관 수술의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정관 수술 후 여러 가지 목적으로 다시 임신을 원하는 경우 대부분 일차 수술로 정관 복원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정관 복원술 이후 다시 정자가 나오는 개통률은 70% 정도로 낮은 편이다. 이렇게 정관 수술의 간단함과 우수한 피임 효과에 비해 정관 복원술의 개통률이 낮은 이유는 정관 수술 후의 항정자 항체 생성, 고환기능 부전 등의 원인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정관 복원술식에서의 연결부위의 협착이나 연결부위의 어긋난 문합과 같이 순전히 외과적인 요인에 가장 크게 기인한다.
특히, 정관 수술 후 시간이 경과되면서 정관의 양측 절단면이 주위 조직과 유착되어 점차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정관 복원술시 이전의 정관 수술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여 그 주변의 유착을 박리하고 제거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이전 수술부위를 찾지 못하여 정상적인 정관 부위를 절제함에 따라 수술 결과에 악영향이 일어나는 경우도 나타난다.
이와 같이, 정관 수술 후의 예기치 않은 재결합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정관 복원술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정관 수술에 의해 절제된 정관이 주위 조직과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관 복원술이 필요한 이전의 수술부위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어야 함에도 이를 고려한 정관 수술용 기구나 장치의 예를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고,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1557235호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정관 수술 후의 예기치 않은 재결합이나 주변 조직과의 유착을 방지하고, 나아가 정관 복원술이 필요한 이전의 수술부위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관 수술과 정관 복원술 양자의 성공률을 제고시킬 수 있는 신규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정관 마개는 절제된 정관의 단면부를 감싸면서 상기 정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그 일면이 개방면을 형성하는 마개로서, 생체에서 분해되지 않는 비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관 마개는 금(Au)을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관 마개는 상기 개방면에 인접하여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홀을 관통한 봉합사를 이용하여 정관을 결찰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관 마개는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정관 마개 안에 삽입된 정관의 적어도 일부를 양면에서 압박하도록 소성변형될 수 있는 압착편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정관 마개는 비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마개가 절제된 정관의 단면부를 감싸면서 반영구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절제 및 결찰된 정관이 예기치 않게 재결합되거나 주변 조직과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관 마개는 정관 복원술이 필요한 이전의 수술부위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관 수술과 정관 복원술 양자의 성공률을 제고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관 마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관 마개를 절제된 정관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정관 마개에 대한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관 마개(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관 마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관 마개를 절제된 정관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정관 마개에 대한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정관 마개(10)는 그 일면이 개방면(12)을 형성하는 일종의 마개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정관 수술 과정 중에 절제된 정관의 각 단부가 삽입되어 그 단면부를 감싸게 되며, 정관은 정관 마개(10)에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정관 마개(10)는 생체에서 분해되지 않는 비흡수성 물질, 예를 들면 비흡수성 봉합사에 상당하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비흡수성 정관 마개(10)가 정관의 절단면을 외부 조직에 대해 차단함에 따라 정관 수술 후의 예기치 않은 재결합이나 주변 조직과의 유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제된 정관의 절단부에 정관 마개(10)가 반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일 정관 복원술이 필요할 경우 이전의 수술부위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음에 따라 정관 수술은 물론 정관 복원술의 성공률까지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정관 마개(10)를 시술할 경우 시술자가 이물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그 크기는 정관의 사이즈에 최대한 가깝도록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실제로는 정관 수술 후 염증반응이나 정액누출 등으로 인해 다수의 환자에게서 수술부위의 결절이 촉지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정관 마개(10)를 사용하더라도 그 이물감은 기존의 정관 수술과 비슷한 것으로 평가된다.
여기서, 정관 마개(10)의 재질로는 본 발명의 목적상 외과적 시술로 제거하기 전까지는 반영구적으로 생체 조직 안에서 존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흡수성 재질일 것이 요구되고 이러한 한도 내에서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인체 적합성이 이미 검증되어 있고 장기간의 안정성이 보장되며 작은 크기로 가공하기 쉽다는 여러 장점을 가진 금(Au)을 포함하는 합금(예를 들면, 18K Gold)을 적용하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관 마개(10)를 절제된 정관(V)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관 마개(10)의 개방면(12)에 인접하여 홀(14)을 형성하여 놓고, 이 홀(14)을 관통한 비흡수성 봉합사(S)를 이용하여 정관(V)을 단단히 결찰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도 2에서는 하나의 홀(14)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두 개 이상의 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경우 봉합사를 여러 홀을 지그재그로 통과시켜 좀더 강하게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정관 마개(10)와 정관 사이의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변형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관이 삽입되는 개방면(12)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정관 마개(10) 안에 삽입된 정관의 적어도 일부를 양면에서 압박하도록 소성변형될 수 있는 압착편(16)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마주보는 한 쌍의 압착편(16)을 손이나 도구로 눌러 소성변형시켜 정관을 양쪽에서 압박함으로써 정관 마개(10)의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3은 절개된 링 형태의 압착편(16)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밖에 "ㄷ"자 형상이나 나선으로 꼬인 형상 등 다양한 형태의 압착편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관 마개(10)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정관 마개 12: 개방면
14: 홀 16: 압착편
V: 정관 S: 봉합사

Claims (4)

  1. 절제된 정관의 단면부를 감싸면서 상기 정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그 일면이 개방면을 형성하는 마개로서, 생체에서 분해되지 않는 비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관 마개의 개방면에 인접하여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비흡수성 봉합사가 삽입되어 정관에 결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관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관 마개는 금(Au)을 포함하는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관 마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관 마개는,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개방면에 삽입된 정관의 적어도 일부를 양면에서 압박하도록 소성변형될 수 있는 압착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관 마개.
KR1020140100545A 2014-08-05 2014-08-05 정관 마개 KR101606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545A KR101606848B1 (ko) 2014-08-05 2014-08-05 정관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545A KR101606848B1 (ko) 2014-08-05 2014-08-05 정관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418A KR20160016418A (ko) 2016-02-15
KR101606848B1 true KR101606848B1 (ko) 2016-03-28

Family

ID=5535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545A KR101606848B1 (ko) 2014-08-05 2014-08-05 정관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8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7129A (en) 1970-10-02 1972-08-29 Abcor Inc Contraceptive device and method of employing same
US20020059936A1 (en) * 2000-11-22 2002-05-23 John Burton Method and device for vas occlusion
JP2005517481A (ja) 2002-02-20 2005-06-16 バイオメディカル エンジニアリング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管状構造物の内部結紮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090078271A1 (en) * 2007-09-25 2009-03-26 Sokal David C Vas deferens vasectomy capp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235B1 (ko) 2014-08-05 2015-10-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7129A (en) 1970-10-02 1972-08-29 Abcor Inc Contraceptive device and method of employing same
US20020059936A1 (en) * 2000-11-22 2002-05-23 John Burton Method and device for vas occlusion
JP2005517481A (ja) 2002-02-20 2005-06-16 バイオメディカル エンジニアリング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管状構造物の内部結紮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090078271A1 (en) * 2007-09-25 2009-03-26 Sokal David C Vas deferens vasectomy cap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418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Courtney et al. Setons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fistula in ano
JPS5985653A (ja) 非弾性、生体適合性止血クリツプ
Yoon et al. Laparoscopic tubal anastomosis: fertility outcome in 202 cases
CN103989500B (zh) 一种止血夹
WO2004045430A3 (en) Tenaculum-like device for intravaginal operations
WO2002039880A3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l ligation of tubular structures
Prosst et al. Prospective pilot study of anorectal fistula closure with the OTSC Proctology
US201102201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ccluding A Lumen
Kriplani et al. Laparoscopic-assisted uterovaginal anastomosis in congenital atresia of uterine cervix: follow-up study
WO2002078549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and ligation of uterine arteries
JPS58190432A (ja) 非金属製の生体内共存性を有する止血鉗子
JP2008529730A (ja) 子宮卵管閉塞デバイ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04112615A3 (en) Temporary hemostatic plu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AP2004003114A0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rnal ligation of tubular structures
JPH0332373B2 (ko)
Cheatle The long saphenous vein: to strip or not to strip?
KR101606848B1 (ko) 정관 마개
KR20170121990A (ko)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KR101435661B1 (ko) 자궁경부수술 후 회복도구
KR101557235B1 (ko)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WO2020259182A1 (zh) 组织捆扎装置
CN215306354U (zh) 用于push手术的可调节松紧度的止血装置
RU2240735C1 (ru) Клипса для обтурации полых протяженных органов
Rajendran Tubal recanalisation-microsurgical tubal reversal anastomosis
RU2464940C1 (ru)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косой пахово-мошоночной грыжи у де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