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267B1 -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267B1
KR101605267B1 KR1020140149764A KR20140149764A KR101605267B1 KR 101605267 B1 KR101605267 B1 KR 101605267B1 KR 1020140149764 A KR1020140149764 A KR 1020140149764A KR 20140149764 A KR20140149764 A KR 20140149764A KR 101605267 B1 KR101605267 B1 KR 10160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pe
coke oven
wat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4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29Energy recovery, e.g. by cogeneration, H2recovery or pressure recovery turb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는, 코크스오븐에서 트랜스퍼카로 공급되는 적열코크스를 안내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에 설치되어 상기 적열코크스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수를 가열하는 흡열 파이프; 상기 흡열 파이프로부터 가열된 냉각수를 전달받아 상기 코크스오븐의 압출측 도어에 분사하여 세척하는 도어클리너; 상기 흡열 파이프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탱크; 및 상기 흡열 파이프에서 가열된 냉각수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공급탱크 또는 상기 도어클리너로 선택적으로 물을 이송시키는 저장탱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COKE OVEN DOOR CLEANING MACHINE USING WASTE HEAT}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열코크스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된 온수로 코크스오븐 도어를 세척하는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크스오븐(1)에 장입된 코크스는 일정한 건류시간을 거쳐 적열코크스(10)가 되고, 이 과정을 거치면서 코크스오븐(1)에서 다량의 타르성분이 생기게 된다.
이 타르성분은 코크스오븐(1)의 양측에 설치된 코크스오븐 도어의 안쪽 측면에 다량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고착물(11) 때문에 코크스오븐 도어가 코크스오븐(1)에 밀착되지 못하도록 방해하여 코크스오븐(1)에서 발생한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고, 궁극적으로 코크스오븐(1)의 온도를 떨어뜨려서 적열코크스(10)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코크스오븐 도어에 부착된 타르 고착물(11)을 제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스크래퍼 장치를 많이 사용하였다. 스크래퍼를 통해 고착물(11)을 긁어내 제거하는 방법은 효과적이지만, 수백개가 설치되는 스크래퍼의 잦은 탈락으로 인해 수리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래퍼 외에도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고착물(11)을 제거하는 방법도 사용되었으나, 동절기에 물이 파이프 내부에서 동결되고, 이로 인해 동파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열코크스의 열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를 코크스오븐 도어의 세척에 사용하는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는, 코크스오븐에서 트랜스퍼카로 공급되는 적열코크스를 안내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에 설치되어 상기 적열코크스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수를 가열하는 흡열 파이프; 상기 흡열 파이프로부터 가열된 냉각수를 전달받아 상기 코크스오븐의 압출측 도어에 분사하여 세척하는 도어클리너; 상기 흡열 파이프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탱크; 및 상기 흡열 파이프에서 가열된 냉각수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공급탱크 또는 상기 도어클리너로 선택적으로 물을 이송시키는 저장탱크; 를 포함한다.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된 배출 파이프와, 상기 배출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된 전환밸브와, 상기 전환밸브에 각각 연결된 급수호스 및 재활용수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호스는 상기 도어클리너에 연결되며, 상기 재활용수 파이프는 상기 공급탱크에 연결되되,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급수호스 또는 재활용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흡열 파이프는, 상기 케이지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파이프가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탱크와 상기 흡열 파이프를 연결하는 공급탱크 파이프와, 상기 공급탱크 파이프를 개폐시키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흡열 파이프를 연결하는 저장탱크 파이프와, 상기 저장탱크 파이프를 개폐시키는 제2전자밸브와, 상기 케이지가 상기 코크스오븐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접근센서와,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센서에서 결합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1전자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전자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접근센서에서 분리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2전자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탱크 파이프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넘침수 파이프와, 상기 넘침수 파이프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밸브와, 상기 넘침수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된 플로우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열 파이프에 냉각수가 충만하면, 냉각수가 상기 넘침수 파이프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로 유동하면서 상기 플로우스위치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우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1전자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클리너가 이동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주행레일 및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클리너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클리너는, 상기 급수호스에 연결된 분사기와, 상기 분사기에 결합된 노즐과, 상기 분사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기가 상기 클리너 프레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려 회전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분사기의 또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측 도어가 상기 클리너 프레임에 삽입되어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온수를 이용하여 코크스오븐 도어에 부착된 타르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온수를 생산하는데 별도의 열원 없이 적열코크스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하여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셋째, 코크스오븐 도어를 코크스오븐에 밀착시킬 수 있어 생산되는 코크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코크스오븐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오븐의 평면도,
도 2는 코크스오븐에서 트랜스퍼카로 적열코크스를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코크스오븐 도어 일측에 부착된 타르 고착물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클리너 프레임에 압출측 도어의 삽입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오븐(1)에는 푸셔카(2)측에 형성된 푸셔측 도어(5)와, 트랜스퍼카(4)측에 형성된 압출측 도어(6)가 각각 형성된다. 이 중 본 발명은 압출측 도어(6)를 세척하는 도어 클리닝 장치에 대해 다루는 것이다.
적열코크스(10)는 코크스오븐(1)에서 가열된 상태로 트랜스퍼카(4)에 장입된다. 트랜스퍼카(4)의 반대쪽에서 푸셔카(2)가 적열코크스(10)를 밀어낼 때, 트랜스퍼카(4)에 설치된 케이지(100)가 코크스오븐(1)에 밀착하여 적열코크스(10)가 트랜스퍼카(4)로 장입되는 것을 안내한다.
장입 과정에서 적열코크스(10)의 열에 의해 케이지(100)가 가열되는데, 이 열은 그대로 공기중으로 버려지는 폐열이다. 본 발명은 이 열을 이용하여 냉각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냉각수를 압출측 도어(6)에 분사하여 세척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오븐 도어에는 타르 고착물(11)이 발생되어 도어가 코크스오븐(1)에 밀착되는 것을 막는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가열된 온수가 효과적이지만, 별도의 보일러를 사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므로 적열코크스(10)의 열을 활용하는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코크스오븐(1)에서 트랜스퍼카(4)로 공급되는 적열코크스(10)를 안내하는 케이지(100)와, 케이지(100)에 설치되어 적열코크스(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수를 가열하는 흡열 파이프(110), 흡열 파이프(110)로부터 가열된 냉각수를 전달받아 코크스오븐(1)의 압출측 도어(6)에 분사하는 도어클리너(500)를 포함한다.
케이지(100)는 상술한대로 적열코크스(10)가 코크스오븐(1)에서 트랜스퍼카(4)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적열코크스(10)에서 발생하는 열이 케이지(100)를 가열하고, 케이지(100)에 설치된 흡열 파이프(110) 역시 가열되어 그 내부로 유동하는 냉각수가 가열되는 것이다. 이렇게 가열된 냉각수는 도어클리너(500)로 전달되어 압출측 도어(6)에 온수를 분사하여 세척하게 된다.
흡열 파이프(1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공급탱크(200)와 저장탱크(300)를 더 포함하고, 저장탱크(300)는 가열된 냉각수를 도어클리너(500)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열 파이프(110)에 냉각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공급탱크(200)를 설치하는데, 공급탱크(200)에 저장된 냉각수는 필요시 흡열 파이프(110)로 공급되어 가열된다. 또한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300)를 통해 한정된 흡열 파이프(110)의 내부 공간을 보조하는 것이다. 이렇게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온수는 도어 세척시 도어클리너(500)로 공급된다.
일단이 저장탱크(300)에 연결된 배출 파이프(310)와, 배출 파이프(310)의 타단에 연결된 전환밸브(450)와, 전환밸브(450)에 각각 연결된 급수호스(530) 및 재활용수 파이프(220)를 더 포함하고, 급수호스(530)는 도어클리너(500)에 연결되며, 재활용수 파이프(220)는 공급탱크(200)에 연결되되, 전환밸브(450)는 급수호스(530) 또는 재활용수 파이프(220)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온수는 배출 파이프(310)를 통해 배출되는데, 전환밸브(450)에서 두 방향 중 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방은 급수호스(530)로 연결되어 도어클리너(500)에 연결되고, 타방은 재활용수 파이프(220)로 연결되어 공급탱크(200)에 연결된다. 도어클리너(500)로 이동한 온수는 압출측 도어(6)에 분사되어 세척 용도로 사용되고, 공급탱크(200)로 이동한 온수는 다시 흡열 파이프(110)에서 가열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다. 이렇게 재활용수 파이프(220)를 통해 저장탱크(300)에서 공급탱크(200)로 냉각수를 이동시키는 것은, 조업 중단이나 정기 점검 등에 의해 지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온수가 냉각되어 재가열이 필요해지는 경우에 냉각수를 재활용하기 위해서이다.
흡열 파이프(110)는, 케이지(100)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파이프가 병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열 파이프(110)와 케이지(100)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다수 개의 병렬 연결된 흡열 파이프(110)를 이용하는 것이다.
공급탱크(200)와 흡열 파이프(110)를 연결하는 공급탱크 파이프(111)와, 공급탱크 파이프(111)를 개폐시키는 제1전자밸브(410)와, 저장탱크(300)와 흡열 파이프(110)를 연결하는 저장탱크 파이프(112)와, 저장탱크 파이프(112)를 개폐시키는 제2전자밸브(420)와, 케이지(100)가 코크스오븐(1)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접근센서(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접근센서에서 결합신호를 전송받아 제1전자밸브(410)를 개방하고 제2전자밸브(420)를 폐쇄하며, 접근센서에서 분리신호를 전송받아 제2전자밸브(420)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측 도어(6)가 개방되면, 해당 위치에 케이지(100)가 접근하여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되면 접근센서가 결합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는 결합신호를 전송받아서 제2전자밸브(420)를 폐쇄하고 제1전자밸브(410)를 개방시킴으로써 냉각수를 공급탱크(200)에서 흡열 파이프(110)로 이동시킨다. 이 때, 이동 방법은 공급탱크(200)를 흡열 파이프(11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중력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펌프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급탱크 파이프(111)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밸브(430)와, 배기밸브(430)와 저장탱크(300)를 연결하는 넘침수 파이프(120)와, 넘침수 파이프(120)의 중간에 설치된 플로우스위치(440)를 더 포함하고, 흡열 파이프(110)에 냉각수가 충만하면, 냉각수가 넘침수 파이프(120)를 통해 저장탱크(300)로 유동하면서 플로우스위치(440)를 작동시키며, 제어부는, 플로우스위치(440)의 작동신호를 전송받아 제1전자밸브(410)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가 흡열 파이프(110)에 가득 차면 공급탱크 파이프(111)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밸브(430)로 역류하고, 역류된 냉각수는 배기밸브(430)의 측면에 설치된 넘침수 파이프(120)를 통해 저장탱크(300)로 이동하게 된다. 냉각수의 이동 과정 중에 플로우스위치(440)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압력에 의해 플로우스위치(440)가 작동하여 작동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는 플로우스위치(440)로부터 작동신호를 전송받아 제1전자밸브(410)를 폐쇄하여 더 이상의 냉각수가 흡열 파이프(110)로 공급되는 것을 막는다. 이렇게 제1,2전자밸브를 폐쇄하는 이유는 냉각수가 흡열 파이프(110) 내에 머무르면서 더 많이 가열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적열코크스(10)가 트랜스퍼카(4)에 이송되고 케이지(100)가 코크스오븐(1)으로부터 분리되면 접근센서가 제어부에 분리 신호를 전송하고, 분리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제2전자밸브(420)를 개방하여 가열된 냉각수를 저장탱크(300)에 공급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클리너(5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주행레일(610) 및 가이드레일(620)이 형성된 클리너 프레임(600)을 더 포함하고, 도어클리너(500)는, 급수호스(530)에 연결된 분사기(520)와, 분사기(520)에 결합된 노즐(521)과, 분사기(5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분사기(520)가 클리너 프레임(6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620)에 걸려 회전하는 가이드롤러(512)와, 분사기(520)의 또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주행레일(610)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 스프라켓(511)과, 스프라켓(511)을 회전시키는 모터(510)를 포함하며, 압출측 도어(6)가 클리너 프레임(600)에 삽입되어 세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크스오븐(1)에서 탈착된 압출측 도어(6)를 세척하기 위해서, 우선 압출측 도어(6)를 트랜스퍼카(4) 방향으로 후진시키고, 스윙 암(7)을 이용하여 90도 회전시킨 후, 도어실린더(8)를 이용하여 압출측 도어(6)를 클리너 프레임(600)에 접근시켜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어클리너(500)는 클리너 프레임(600) 내부를 회전하면서 압출측 도어(6)의 내측면에 온수를 분사하여 압출측 도어(6)에 형성된 고착물(11)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공급받는 온수는 상술한 흡열 파이프(110)에서 가열되어 급수호스(530)로 공급된 냉각수이다.
도어클리너(500)는 압출측 도어(6)를 세척하기 위한 분사기(520)와 노즐(521)이 포함되고, 클리너 프레임(600)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512)와 스프라켓(511)이 설치된다. 가이드롤러(512)는 클리너 프레임(6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620)상을 주행하며 도어클리너(500)가 클리너 프레임(6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레일(620)은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프라켓(511)은 도어클리너(5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주행레일(610)상에서 회전하는데, 주행레일(610)은 스프라켓(511)과 맞물릴 수 있도록 체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분사기(520)와 노즐(521)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코크스오븐 2: 푸셔카
3: 장입차 4: 트랜스퍼카
5: 푸셔측 도어 6: 압출측 도어
7: 스윙 암 8: 도어실린더
10: 적열코크스 11: 고착물
100: 케이지 110: 흡열 파이프
111: 공급탱크 파이프 112: 저장탱크 파이프
120: 넘침수 파이프 200: 공급탱크
210: 보충수 파이프 220: 재활용수 파이프
300: 저장탱크 310: 배출 파이프
410: 제1전자밸브 420: 제2전자밸브
430: 배기밸브 440: 플로우스위치
450: 전환밸브 500: 도어클리너
510: 모터 511: 스프라켓
512: 가이드롤러 520: 분사기
521: 노즐 530: 급수호스
600: 클리너 프레임 610: 주행레일
620: 가이드레일

Claims (8)

  1. 코크스오븐에서 트랜스퍼카로 공급되는 적열코크스를 안내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에 설치되어 상기 적열코크스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수를 가열하는 흡열 파이프;
    상기 흡열 파이프로부터 가열된 냉각수를 전달받아 상기 코크스오븐의 압출측 도어에 분사하여 세척하는 도어클리너;
    상기 흡열 파이프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탱크; 및
    상기 흡열 파이프에서 가열된 냉각수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공급탱크 또는 상기 도어클리너로 선택적으로 물을 이송시키는 저장탱크; 를 포함하는,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된 배출 파이프와, 상기 배출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된 전환밸브와, 상기 전환밸브에 각각 연결된 급수호스 및 재활용수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호스는 상기 도어클리너에 연결되며,
    상기 재활용수 파이프는 상기 공급탱크에 연결되되,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급수호스 또는 재활용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열 파이프는, 상기 케이지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파이프가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급탱크와 상기 흡열 파이프를 연결하는 공급탱크 파이프와, 상기 공급탱크 파이프를 개폐시키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흡열 파이프를 연결하는 저장탱크 파이프와, 상기 저장탱크 파이프를 개폐시키는 제2전자밸브와, 상기 케이지가 상기 코크스오븐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접근센서와,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센서에서 결합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1전자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전자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접근센서에서 분리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2전자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급탱크 파이프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밸브와, 상기 배기밸브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넘침수 파이프와, 상기 넘침수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된 플로우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열 파이프에 냉각수가 충만하면, 냉각수가 상기 넘침수 파이프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로 유동하면서 상기 플로우스위치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우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1전자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클리너가 이동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주행레일 및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클리너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클리너는, 상기 급수호스에 연결된 분사기와, 상기 분사기에 결합된 노즐과, 상기 분사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기가 상기 클리너 프레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려 회전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분사기의 또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측 도어가 상기 클리너 프레임에 삽입되어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KR1020140149764A 2014-10-31 2014-10-31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KR101605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764A KR101605267B1 (ko) 2014-10-31 2014-10-31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764A KR101605267B1 (ko) 2014-10-31 2014-10-31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267B1 true KR101605267B1 (ko) 2016-03-22

Family

ID=5564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764A KR101605267B1 (ko) 2014-10-31 2014-10-31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2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4819A (ja) * 2005-08-10 2009-02-05 デーエムテ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コークス炉ドアを洗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4819A (ja) * 2005-08-10 2009-02-05 デーエムテ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コークス炉ドアを洗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6987B (zh) 沖洗燃氣渦輪機之燃料系統之方法及相關聯之燃料系統
KR101159594B1 (ko) 고로슬래그용 폐열 회수장치
KR101697138B1 (ko) 프리블로윙 수트 블로워
KR101605267B1 (ko) 폐열을 이용한 코크스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JP2009149698A (ja) コークス炉受炭時集塵装置及び集塵方法
KR101430816B1 (ko) 연소가스의 폐열 회수 장치
CN106667238A (zh) 一种自动蒸汽加热机及其控制方法
KR101159595B1 (ko) 고로슬래그용 폐열 회수장치
KR101439539B1 (ko) 가스배관 세척장치
KR101045542B1 (ko) 수함유 쓰레기 처리 장치
CN102019676B (zh) 蒸汽加热模具的加热设备
CN201848412U (zh) 一种清除煤气管道沉积物的加热器
CN104826836B (zh) 一种清洁小车及使用该清洁小车的排链系统和切丝机
KR102127202B1 (ko)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CN102587261A (zh) 带清洗的沥青喷洒输送装置
KR101262290B1 (ko) 에너지 절감형 보일러
KR20140042528A (ko) 코크스 오븐의 타르 제거장치
KR101142511B1 (ko) 코크스 압출기의 분진 처리 장치
CN208356750U (zh) 循环氨水余热利用制冷机组自动充氮保压装置
KR101289174B1 (ko) 머드건
KR200353152Y1 (ko) 셀프 스팀 세차장치
CN201824538U (zh) 蒸汽加热模具的加热设备
CN104802405B (zh) 阀门式防堵打印机喷头组件
CN220308258U (zh) 一种全向高压猪头脱毛装置
KR101787243B1 (ko) 장입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