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040B1 - 결함회피 컷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결함회피 컷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040B1
KR101605040B1 KR1020100003884A KR20100003884A KR101605040B1 KR 101605040 B1 KR101605040 B1 KR 101605040B1 KR 1020100003884 A KR1020100003884 A KR 1020100003884A KR 20100003884 A KR20100003884 A KR 20100003884A KR 101605040 B1 KR101605040 B1 KR 101605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defect
polarizer
cutting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904A (ko
Inventor
배연섭
한동수
안병훈
채성욱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0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8Carriages forming part of a cut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함회피 컷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결함회피 컷팅장치는 마킹이 완료된 편광판의 결함을 검출하는 결함검출부와, 상기 결함검출부에서 검출된 결함을 회피하여 레이저로 편광판을 절단하는 레이저절단부를 포함하고, 편광판 절단 장치는 브라켓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편광판을 인출하는 피딩롤과, 상기 편광판의 결함을 회피하여 레이저로 편광판을 절단하는 결함회피 컷팅 장치를 포함하여, 별도의 연마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불량품으로 낭비되는 양을 현저히 줄이고, 편공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편광판의 고속 절단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결함회피 컷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 장치{The defect-avoiding cutting device and the cutting device of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편광판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와 같은 광학소자에는 편광판이 적용된다.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된 편광자(또는 ‘편광필름’이라고도 함)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acetyl cellulose, TAC)으로 대표되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적층되어 있으며,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점착제층, 이형필름, 표면보호필름 또는 기능성 코팅층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다층구조의 편광판은 롤에 감겨진 시트형상 제품으로서 제조되며, 용도에 따라 낱장의 편광판으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종래 편광판을 절단하는 방법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04360호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편광 원판(2)을 다공질 시트(1)을 커팅 매트로서 칼(4)에 의해 절단하여 편광판(3)을 제조한다. 그러나 종래의 칼날 컷팅 방식은 컷팅 이후에 컷팅 부분이 매끄럽지 않아 연마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고, 컷팅 부산물이 편광판(3)에 잔존하여 제품 품질을 저하시킨다.
또한, 종래 펀칭 금형에 의한 편광판 절단 방법은 펀칭력에 의해 편광판 절단부가 휘어지거나 절단 규격의 변경에 따른 금형 수정으로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편광판의 결함을 육안으로 검사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구별하는 경우에는 결함검출 정확도가 떨어지며, 고속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연마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불량품으로 낭비되는 양을 현저히 줄이고, 편공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고속 생산이 가능코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함회피 컷팅 장치는, 마킹된 편광판의 결함을 검출하는 결함검출부와; 상기 결함검출부에서 검출된 결함을 회피하여 레이저로 편광판을 절단하는 레이저절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편광판 절단 장치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편광판을 인출하는 피딩롤과; 상기 편광판의 결함을 회피하여 레이저로 편광판을 절단하는 결함회피 컷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함회피 컷팅 장치는, 마킹된 편광판의 결함을 검출하는 결함검출부와; 상기 결함검출부에서 검출된 결함을 회피하여 레이저로 편광판을 절단하는 레이저절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편광판의 연신방향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어큐뮬레이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편광판의 연신방향 정도를 수정하는 정도 보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딩롤의 하측에 설치된 대기롤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도 보정수단은, 상기 편광판의 중심위치를 수정하는 제 1 보정수단과; 상기 편광판의 측면 틀어짐을 수정하는 제 2 보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절단부는, 상기 편광판의 연신 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레이저 헤드와; 상기 편광판의 연신 반향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헤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레이저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편광판을 세척하는 클리너와; 상기 세척된 편광판을 적재하는 양품 적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절단부와 상기 클리너 사이에 위치하여 이물질이 검출된 편광판을 적재하는 불량품 배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보정수단은, 편광판의 중심위치를 연산하는 씨피씨 시스템과; 상기 씨피씨 시스템의 중심 위치 데이타를 통해 편광판의 중심위치를 조정하는 가이드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보정수단은, 카메라로 편광판의 양 끝단 및 측면부를 감지하여 편광판의 측면 틀어짐을 감지하는 비젼부와; 상기 비젼부의 위치 감지 데이타를 이용하여 편광판의 앞단을 잡아 편광판의 틀어짐보정 및 컷팅위치로 이동 시키는 클램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연마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불량품으로 낭비되는 양을 현저히 줄이고, 편공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신속한 절단 공정이 이루어져서 낱장의 편광판에 대한 고속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편광판 절단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절단 장치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광판은 편광자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자의 한 면에는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편광자 보호필름, 액정셀과 점합하게 되는 점착제층 및 박리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편광자의 다른 한 면에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구비되는 다층구조를 갖는다.
편광자로는 PVA 수지로 된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PVA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과,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이미드계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필름; 술폰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천연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티렌,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통상의 중합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박리필름으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나일론6,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실리콘계, 불소계,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해 적절히 이형처리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필요에 따라 표면보호필름, 반사판, 반투과판, 위상차판, 시야각보상필름 등의 광학필름이 더 적층될 수 있으며,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코팅층, 오염방지층, 대전방지층, 반사방지층, 방현층 또는 확산층 등의 기능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층구조의 편광판은 시트형상으로 롤에 감겨진 후 용도에 따라 낱장의 편광판으로 절단되어 액정표시패널의 제조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시트형상 제품으로서 통상의 구조를 갖는 편광판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안티글레어층, 반사방지층, 확산층 등의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또는 반사판, 반투과판, 위상차판, 시야각 보상필름 등의 각종 광학층이 적층된 편광판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며, 편광판 이외에도 시트형상의 제품에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판의 ‘결함’은 미세한 스크래치, 휨 또는 뒤틀림과 같은 미세한 변형, 기포 및 크랙의 생성, 표면 또는 내부의 이물질의 혼입, 흠집 또는 오염 등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연신 방향’은 편광판의 진행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구성 또는 이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편광판(10)의 연신 반향으로 슬릿 한 시트형상의 편광판(10)은 피딩롤(20)에 롤(roll)형상으로 권취되어 권출부에 세팅된다. 피딩롤(20)은 브라켓(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편광판(10)을 인출한다.
피딩롤(20)의 하측에는 대기롤(25)이 위치한다. 피딩롤(20)의 롤 형상으로 권취된 편광판이 모두 인출되기 전에, 대기롤(25)에 권취된 편광판(15)의 끝단을 소정 길이만큼 인출하여 권출부에 셋팅 고정한다.
피딩롤(20)의 편광판(10)이 모두 인출되기 직전에, 피딩롤(20)의 편광판(10)과 대기롤(25)의 편광판(15)을 이음장치로 접착한다. 이음장치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피딩롤(20)의 편광판(10)과 대기롤(25)의 편광판(10)을 접착한다.
이로써, 피딩롤(20)의 편광판(10)이 모두 권출되면, 대기롤(25)의 편광판(15)이 계속해서 편광판(10)을 권출하게 되므로 피딩롤(20)을 새롭게 교체하기 위해 절단 장치가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편광판(10)을 모두 권출한 피딩롤(20)은 배출되고, 대기롤(25)이 상승하여 피딩롤(20)의 자리를 차지한다.
피딩롤(20)에서 권출된 편광판(10)은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어큐뮬레이터(30)에 반입(搬入)된다.
편광판(10) 컷팅시, 절단 장치는 가감속을 하게 되는데, 이때 편광판(10)의 정도(正道)가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급작스런 가감속으로 편광판(10)이 헌팅하는 것을 어큐뮬레이터(30)가 방지하게 된다. 어큐뮬레이터(30)는 절단 장치의 가감속을 용이하게 단축시키도록 연신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상/하 승강한다.
어큐뮬레이터(30)의 양쪽에는 제 1 고정롤러 및 제 2 고정롤러가 형성된다. 어큐뮬레이터(30)는 제 1 고정롤러와 상기 제 2 고정롤러 사이에서 편광판(10)의 연신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승강한다. 어큐뮬레이터(30)는 제 1 고정롤러와 제 2 고정롤러의 중립축을 기준으로 변위가 변화하거나, 복수개의 어큐뮬레이터의 평균 변위를 기준으로 변위가 변화한다.
편광판(10)의 연신 방향속도가 증가할 경우에는 중립축 방향 또는 평균변위 방향으로 어큐뮬레이터(30)가 이동하고, 편광판(10)의 연신 방향속도가 감소할 경우에는 중립축 반대 방향 또는 평균변위 반대 방향으로 어큐뮬레이터(30)가 이동한다.
이로써, 절단 장치의 연신 방향 속도를 급작스럽게 가속 또는 감속할 경우에도 편광판이 급작스럽게 당겨지거나 쳐지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이로 인해 절단 장치의 연신 방향의 가감속 시간을 용이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30)를 통과한 평관판(10)은 정도(正道) 보정수단에 의해 중심위치와 측면 틀어짐이 보정된다. 정도 보정수단은 중심위치를 수정하는 제 1 보정수단과 측면 틀어짐을 수정하는 제 2 보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제 1 보정수단은 씨피씨(Center Point Controler) 시스템(41)과 가이드롤(42)로 구성된다.
씨피씨 시스템(41)은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편광판(10)의 양 끝단의 위치를 감지하여 편광판의 현재 중심위치가 소정의 중심위치로부터 이탈된 정도를 계산한다.
씨피씨 시스템(41)을 통해 편광판(10)이 중심위치로부터 이탈된 정도는 가이드롤(42)의 상하 또는 측면 움직임을 통해 보정한다.
제 1 보정수단을 통해 중심위치를 수정한 다음에, 제 2 보정수단을 통해 측면 틀어짐을 보정한다.
제 2 보정수단은 비젼부(43)와 클램프(44)로 구성된다.
비젼부(43)는 카메라와 데이터 처리장치로 구성되는데, 3개 이상의 카메라로 편광판(10)의 양 끝단부와 측면부를 감지하여 편광판(10)의 측면 틀어짐을 감지한다. 카메라로 통해 입력된 측면 틀어짐 정보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해 위치 감지 데이타로 변환된다.
비젼부(43)의 위치 감지 데이타를 이용하여 클램프(44)는 편광판(10)의 앞단을 잡아 편광판의 측면 틀어짐을 보정하면서 레이저절단부(60)로 편광판(10)을 이동시킨다.
편광판(10)은 결함 검출을 위하여 마킹부에서 편광판(10)에 잉크젯 마킹을 실시한다. 잉크젯 마킹은 편광판(10)을 피딩롤(20)에 권취하기 전에 실시될 수 있으며, 피딩롤(20)에서 권출된 이후에도 실시될 수 있다.
마킹된 편광판(10)은 클램프(44)를 이용하여 레이저 컷팅 위치까지 이동되며, 소정의 절단위치에서 고정된다.
결함검출부(50)는 마킹이 완료된 편광판(10)의 결함을 검출한다. 결함검출부(50)는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결함의 크기와 위치를 감지한다.
레이저절단부(60)는 결함검출부(50)에서 검출된 결함을 회피하여 레이저로 편광판(10)을 절단한다. 레이저로 편광판(10)을 절단하기 때문에 별도의 연마공정이 생략된다.
레이저절단부(60)는 편광판(10)의 연신 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레이저 헤드(61)와, 편광판(10)의 연신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헤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63)를 포함한다.
레이저절단부(60)는 본 실시예에서는 n개를 예로서 설명한다. 레이저절단부(60)의 개수만큼 결함검출부(50)도 형성된다.
제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50)를 이용하여 편광판(10)의 결함여부를 검출한다. 결함검출부(50)는 시트형상의 편광판의 절단 규격(폭과 너비)별로 결함의 유무를 검출하며, 결함검출부(50)가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50)로 구성되면, 제 1 내지 제 n 절단 규격에 대해서 결함 유무를 검출한다.
우선,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50)를 작동한다. 다음으로,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50)에서 결함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결함검출단계(S20)에서, 제 m 결함검출부(50)에서 결함이 검출되면, 제 1 내지 제 m-1 레이저절단부(60)를 동작하여 편광판(10)을 절단하고, 제 m 결함검출부(50)에서 결함이 검출되지 않으면, 제 1 내지 제 n 레이저절단부(60)를 동작하여 편광판(10)을 절단한다. 여기서, m과 n은 자연수이며, m은 1<m≤n인 관계를 만족한다.
제 m 결함검출부(50)에서 결함이 검출되지 않아서, 제 1 내지 제 n 레이저절단부(60)를 동작하여 편광판(10)을 절단한 이후에는, 편광판(10)을 제 1 전진 고정하고, 다시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50)를 동작하여 결함을 검출한다. 여기서, 편광판(10)을 제 1 전진 고정하는 것은 편광판(10)의 절단 규격에 대한 연신 방향 반대쪽의 끝부분이 제 1 레이저절단부(60) 상에 놓이도록 전진하여 고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 m 결함검출부(50)에서 결함이 검출되어서, 제 1 내지 제 m-1 레이저절단부(60)를 동작하여 편광판(10)을 절단한 이후에는, 편광판(10)을 제 2 전진 고정하고, 다시 제 2 내지 제 n 결함검출부(50)를 작동한다. 여기서, 편광판(10)을 제 2 전진 고정하는 것은 결함의 연신 방향 반대쪽 끝부분이 제 1 레이저절단부(60) 상에 놓이도록 전진하여 고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내지 제 n 결함검출부(50)를 동작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제 k 결함검출부(50)에서 결함이 검출되면, 제 1 내지 제 k-1 레이저절단부(60)를 동작하여 편광판(10)을 절단하고, 제 k 결함검출부(50)에서 결함이 검출되지 않으면, 제 1 내지 제 n 레이저절단부(60)를 동작하여 편광판(10)을 절단한다. 여기서, k와 n은 자연수이며, k은 1<k≤n인 관계를 만족한다.
제 1 내지 제 n 레이저절단부(60)를 동작하여 편광판(10)을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편광판(10)을 제 1 전진 고정하고,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50)를 작동한다. 한편, 제 1 내지 제 k-1 레이저절단부(60)를 동작하여 편광판(10)을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편광판(10)을 제 2 전진 고정하고, 제 2 내지 제 n 결함검출부(50)를 작동한다. 여기서, 제 m 결함검출부(50) 와 제 k 결함검출부(50)는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50)에서 결함이 검출되는 최상 순위 결함검출부(50)이다. 예로서, 제 1 내지 제 4 결함검출부(50) 중에서 제 2 결함검출부(50)와 제 4 결함검출부(50)에서 결함이 검출된 경우에, 제 m 결함검출부(50) 또는 제 k 결함검출부(50)는 제 2 결함검출부(50)가 된다.
이로써, 결함에 의해 버려지는 편광판(10)이 최소가 되고, 낱장의 편광판(10) 생산성이 향상된다.
편광판(10)의 결함 영역을 갖는 편광판(10)은 별도로 설치된 불량품 배출부(80)에 적재된다. 결함이 없는 편광판(10)은 클리너(70)에 의해 세척된 이후에 양품 적재부(90)에 적재된다. 클리너(70)는 편광판(10)의 연신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우선, 결함부위에 대한 연신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회피컷팅을 실시하여 육안 검사시의 결함검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 편광판의 제품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고속으로 절단이 가능한 레이저 헤드를 복수개 사용하여 생산량을 증대시킨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편광판을 절단하는 것이므로, 칼날 절단의 경우에 필요한 컷팅부 연마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대기롤에 의해, 연속적인 편광판 공급되므로 절단장치의 멈춤이 방지되어 고속 생산이 된다.
또한,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절단장치의 가감속 구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속 생산이 된다.
또한, 보정수단에 의해 편광판의 정도(正道)가 수정되므로 고속 생산시에도 고정도(高正道)가 유지된다.
또한, 복수개의 결함검출부와 복수개의 레이저절단부로 구성되어 편광판의 결함을 회피하면서 복수매 절단이 되므로, 고속 생산이 된다.
또한, 결함 없는 편광판과 결함있는 편광판을 구별하여 적재하므로 고속 생산시 고속 적재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편광판을 절단하는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10 : 편광판 20 : 피딩롤
25 : 대기롤 15 : 편광판
30 : 어큐뮬레이터 40 : 정도 보정수단
41 : 씨피씨 시스템 42 : 가이드롤
43 : 비젼부 44 : 클램프
50 : 결함검출부 60 : 레이저절단부
61 : 레이저 헤드 63 : 가이드 부재
70 : 클리너 80 : 불량품 배출부
90 : 양품 적재부

Claims (12)

  1. 마킹된 편광판의 결함을 검출하는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에서 검출된 결함을 회피하여 레이저로 편광판을 절단하는 제 1 내지 제 n 레이저절단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 중 제 m 결함검출부에서 결함이 검출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m-1 레이저절단부를 동작하여 상기 편광판을 절단하고,
    절단한 이후에 상기 편광판의 결함의 연신 방향 반대쪽 끝부분이 상기 제1레이저절단부 상에 놓이도록 상기 편광판을 전진하여 고정하되,
    n과 m은 자연수이며, 1 < m ≤ n 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회피 컷팅장치.
  2.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편광판을 인출하는 피딩롤과;
    상기 편광판의 결함을 회피하여 레이저로 편광판을 절단하는 결함회피 컷팅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결함회피 컷팅장치는,
    마킹된 편광판의 결함을 검출하는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에서 검출된 결함을 회피하여 레이저로 편광판을 절단하는 제 1 내지 제 n 레이저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n 결함검출부 중 제 m 결함검출부에서 결함이 검출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m-1 레이저절단부를 동작하여 상기 편광판을 절단하고,
    절단한 이후에 상기 편광판의 결함의 연신 방향 반대쪽 끝부분이 상기 제1레이저절단부 상에 놓이도록 상기 편광판을 전진하여 고정하되,
    n과 m은 자연수이며, 1 < m ≤ n 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절단 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연신방향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어큐뮬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절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연신방향 정도를 수정하는 정도 보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절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의 하측에 설치된 대기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절단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도 보정수단은,
    상기 편광판의 중심위치를 수정하는 제 1 보정수단과;
    상기 편광판의 측면 틀어짐을 수정하는 제 2 보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절단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레이저절단부 각각은,
    상기 편광판의 연신 방향으로 설치된 레이저 헤드와;
    상기 편광판의 연신 반향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헤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절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레이저절단부에 의해 각각 절단된 편광판을 세척하는 클리너와;
    상기 세척된 편광판을 적재하는 양품 적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절단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레이저절단부와 상기 클리너 사이에 위치하여 이물질이 검출된 편광판을 적재하는 불량품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절단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정수단은,
    편광판의 중심위치를 연산하는 씨피씨 시스템과;
    상기 씨피씨 시스템의 중심 위치 데이타를 통해 편광판의 중심위치를 조정하는 가이드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절단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정수단은,
    카메라로 편광판의 양 끝단 및 측면부를 감지하여 편광판의 측면 틀어짐을 감지하는 비젼부와;
    상기 비젼부의 위치 감지 데이타를 이용하여 편광판의 앞단을 잡아 편광판의 틀어짐보정 및 컷팅위치로 이동 시키는 클램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절단 장치.
KR1020100003884A 2010-01-15 2010-01-15 결함회피 컷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 장치 KR101605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84A KR101605040B1 (ko) 2010-01-15 2010-01-15 결함회피 컷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84A KR101605040B1 (ko) 2010-01-15 2010-01-15 결함회피 컷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04A KR20110083904A (ko) 2011-07-21
KR101605040B1 true KR101605040B1 (ko) 2016-03-21

Family

ID=4492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884A KR101605040B1 (ko) 2010-01-15 2010-01-15 결함회피 컷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2723A (zh) * 2012-04-24 2013-10-30 星云电脑股份有限公司 复合式自动收送料激光加工机
KR101496957B1 (ko) * 2013-01-14 2015-03-02 (주)피엔티 표면 처리 장치
TWI706174B (zh) * 2018-07-25 2020-10-0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偏光結構及其接合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435A (ja) * 2003-05-29 2004-12-16 Toppan Printing Co Ltd 帯状ワークの搬送装置
JP2005067019A (ja) * 2003-08-25 2005-03-17 Rengo Co Ltd 長尺シートの切断ラインにおける不良ブランクの識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435A (ja) * 2003-05-29 2004-12-16 Toppan Printing Co Ltd 帯状ワークの搬送装置
JP2005067019A (ja) * 2003-08-25 2005-03-17 Rengo Co Ltd 長尺シートの切断ラインにおける不良ブランクの識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04A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9608B2 (en) Continuous roll of optical function film, method of manufa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employing same, and optical function film laminating device
TWI490561B (zh)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display unit, a sheet product used therein, and a reel material
US9019609B2 (en) Continuous roll of optical function film, method of manufa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employing same, and optical function film laminating device
US871544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97447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optical panel assemblies
CN102105824B (zh) 光学显示装置的制造系统及制造方法
JP4339396B2 (ja) 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搬送機構
US20100326589A1 (en) Manufacturing system for an optica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an optical display device, excluding device and excluding method
KR101605040B1 (ko) 결함회피 컷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 장치
JP2009186987A (ja) 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システム
KR101420308B1 (ko)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이 구현된 시스템
KR101704556B1 (ko) 편광판의 커팅 장치 및 방법
KR101380204B1 (ko) 편광판의 결함 제거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된 시스템
KR101565011B1 (ko) 편광판 정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096130A1 (ja) 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システム
KR101605034B1 (ko) 편광판 절단 방법
WO2009087870A1 (ja) 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システム
KR20110083905A (ko) 편광판 절단 장치 및 방법
KR20110083879A (ko) 상향식 레이저 주사 장치
KR20110093264A (ko) 편광판 적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