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915B1 -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 Google Patents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915B1
KR101604915B1 KR1020140099948A KR20140099948A KR101604915B1 KR 101604915 B1 KR101604915 B1 KR 101604915B1 KR 1020140099948 A KR1020140099948 A KR 1020140099948A KR 20140099948 A KR20140099948 A KR 20140099948A KR 101604915 B1 KR101604915 B1 KR 101604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il
housing
bu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242A (ko
Inventor
장정철
서제형
정운필
이성진
Original Assignee
뉴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모텍(주) filed Critical 뉴모텍(주)
Priority to KR102014009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915B1/ko
Priority to US15/319,801 priority patent/US10404128B2/en
Priority to PCT/KR2015/003520 priority patent/WO2016021803A1/en
Publication of KR2016001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를 덮어 절연하는 상부 인슐레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하부를 덮어 절연하는 하부 인슐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어셈블리; 및 원형의 버스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 단자 및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접촉부를 갖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수용하는 버스바 하우징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상기 상부 인슐레이터의 중앙부에 형성된 버스바 안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Motor with Bus-bar Assembly}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버스바 어셈블리를 가짐으로써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된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상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BLDC 모터: Brushless DC Motor)는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된 코일을 각 상별로 결선하여 전원단자나 제어 회로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많은 BLDC 모터에서 버스바 어셈블리를 채택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6655호에서는 코일의 결선 구조를 위해 단자 조립체와 터미널 몰드를 포함하는 구조의 버스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각 티스에 권선된 코일의 말단을 일일이 버스바의 연결단자에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며, 버스바를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41127호에서는 링 형상의 절연체를 이용하여 코일의 가이드와 결선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코일을 가이드하여 절연체에 일일이 연결하여야 하고 코일 말단에 대한 처리도 인쇄회로기판에 납땜하는 등의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조립이 용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버스바 어셈블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버스바 어셈블리의 구조를 통해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내재되어 있는 목적들은 아래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를 덮어 절연하는 상부 인슐레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하부를 덮어 절연하는 하부 인슐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어셈블리; 및
원형의 버스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 단자 및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접촉부를 갖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수용하는 버스바 하우징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상기 상부 인슐레이터의 중앙부에 형성된 버스바 안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버스바 안착부에는 복수 개의 코일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 가이드에는 접촉단자 삽입부가 상기 코일이 상기 접촉단자 삽입부의 상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에는 코일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이 상기 코일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스바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PCB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PCB 하우징의 내부에 PCB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의 버스에 형성되는 전원 연결부가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스바 하우징의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버스바 하우징의 중앙에 형성된 축 관통부를 관통하고 동시에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중앙에 형성된 축 관통부를 관통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로터 하우징; 상기 로터 하우징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 상기 로터 하우징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부 돌출부; 및 상기 내부 돌출부에 결합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로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 하우징의 축 관통부에 결합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축 관통부에 결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새로운 버스바 어셈블리의 구조를 통해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된 모터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서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버스바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타 4 병렬 결선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서 스테이터 어셈블리와 버스바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상부 인슐레이터와 버스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로터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스테이터 어셈블리(10), 버스바 어셈블리(20),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한다) 하우징(30) 및 로터 어셈블리(40)로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어셈블리(10)는 스테이터 코어를 감싸는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와,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스바 어셈블리(20)는 스테이터 어셈블리(10)의 상부 인슐레이터에 결합된다. PCB 하우징(30)은 스테이터 어셈블리(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부"는 모터(100)의 로터 어셈블리(40) 쪽을, "상부"는 모터(100)의 PCB 하우징(30) 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PCB 하우징(30)은 상부 PCB 하우징(31)과 하부 PCB 하우징(32)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이 둘 사이에 위치하는 PCB(33)를 포함한다. 버스바 어셈블리(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세 개의 전원 연결부(도 3의 22e, 23e, 24e)는 하부 PCB 하우징(32)에 형성된 전원단자 삽입부(311)에 삽입되어 PCB(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에서와 같이, 하부 PCB 하우징(32)에 형성된 볼트 삽입부(312)에는 긴 볼트가 삽입되는데, 이 긴 볼트에 의해 스테이터 어셈블리(10), 버스바 어셈블리(20) 및 PCB 하우징(30)이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커넥터(34)는 PCB(33)에 외부 전원 등과 같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샤프트(35)는 하부 PCB 하우징(32)의 중앙부에 고정 및 결합되는데, 샤프트(35)에는 로터 어셈블리(40)의 베어링이 결합되어 로터 어셈블리(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100)에서 스테이터 어셈블리(10)에 버스바 어셈블리(2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 어셈블리(20)는 스테이터 어셈블리(10)의 상부 인슐레이터(11)의 상부에 결합된다. 특히, 종래의 버스바 어셈블리는 코일이 권선되는 부분의 바로 위에 결합이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경우, 스테이터 어셈블리(10)의 중앙부 상부에 결합이 되기 때문에 버스바 어셈블리(2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테이터 어셈블리(20)에 권선되는 코일(14)은 스테이터 어셈블리(20)의 티스 절연부 주위에 권선된다. 권선되는 코일의 말단은 인접한 티스로 권선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코일의 권선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의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는데, 12 개의 티스를 갖는 스테이터 어셈블리(20)에 3상 델타 4 병렬 결선을 하는 경우를 실시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물론, 티스의 개수나 권선의 형태는 다양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으나, 도 3 및 도 4에서는 3상 델타 4 병렬 결선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델타 4 병렬 결선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1번 티스(u1)에 권선된 코일은 버스바 어셈블리(20)의 제1 접촉부(22c)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지나면서 인접한 2번 티스(v1)에 권선된다. 2번 티스(v1)에 권선된 코일은 제2 접촉부(23c)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지나면서 인접한 3번 티스(w1)에 권선된다. 3번 티스(w1)에 권선된 코일은 제3 접촉부(24c)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지나면서 인접한 4번 티스(u2)에 권선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12번 티스(w4)에 권선된 코일은 1번 티스의 코일 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권선 및 결선 순서에 따라 3상 델타 4 병렬 결선을 이루게 된다. 같은 상인 1번 티스(u1), 4번 티스(u2), 7번 티스(u3) 및 10번 티스(u4)는 제1 버스(22a)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2번 티스(v1), 5번 티스(v2), 8번 티스(v3) 및 11번 티스(v4)는 제2 버스(23a)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3번 티스(w1), 6번 티스(w2), 9번 티스(w3) 및 12번 티스(w4)는 제3 버스(24a)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100)의 버스바 어셈블리(20)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바 어셈블리(20)는 버스바 하우징(21), 제1 버스바(22), 제2 버스바(23) 및 제3 버스바(24)로 이루어진다. 물론, 버스바의 개수는 결선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앞서 든 실시예에서와 같이 3 개의 버스바를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3상 결선의 경우 3 개 또는 4 개의 버스바를 사용하며, 통상 최소한 2 이상의 버스바를 사용하는 경우에 버스바 구조의 실익이 있다.
버스바 하우징(21)의 중심부에는 샤프트와 로터 어셈블리의 베어링 등이 관통하는 축 관통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축 관통부(211)의 테두리의 일부에는 키홈(21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 인슐레이터(11)에 형성된 키(116b)가 키홈(211a)에 삽입되어 버스바 어셈블리(20)가 상부 인슐레이터(11)에 결합될 때,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는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버스 가이드(212)는 버스바 하우징(21)의 하부에 다수 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버스 가이드(212) 사이에 제1 내지 제3 버스(22, 23, 24)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버스 가이드(212) 중의 일부는 그 말단에 결합 후크(213)가 형성되고, 또 버스 가이드(212)의 일측에 결합홈(214)을 형성하여, 결합 후크(213)를 상부 인슐레이터(11)의 결합홈(115b)에 결합시키고 결합홈(214)에는 상부 인슐레이터(11)의 결합 후크(115a)를 결합시킴으로써 버스바 어셈블리(20)가 상부 인슐레이터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공(215)은 버스바 하우징(21)의 주위에 3 개 정도 형성하는데, 반드시 3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에 필요한 개수로 변경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결합공(215)에는 긴 볼트가 관통하여 스테이터 어셈블리(10), 버스바 어셈블리(20) 및 PCB 하우징(30)이 함께 결합되도록 한다.
제1 버스바(22)는 같은 상의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원형의 제1 버스(22a)에 4 병렬 연결을 위해 4 개의 제1 연결단자(22b)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연결단자(22b)의 말단에는 다소 구부려진 형상의 제1 접촉부(22c)를 형성하고, 제1 접촉부(22c)에는 코일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1 코일 삽입홈(22d)이 형성된다. 코일은 제1 코일 삽입홈(22d)에 압입되어 전기적인 통전을 이루게 된다. 또한, 코일 권선이 완료된 후에 제1 접촉부(22c)를 상부 인슐레이터(11)에 형성된 접촉 단자 삽입부(113a)에 삽입하여, 접촉 단자 삽입부(113a) 내에서 코일이 제1 코일 삽입홈(22d)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인해 전기적 접촉 부위에 별도의 용접을 하지 않고도 전기적 통전을 이룰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버스바(23)는 같은 상의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원형의 제2 버스(23a)에 4 병렬 연결을 위해 4 개의 제2 연결단자(23b)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연결단자(23b)의 말단에는 다소 구부려진 형상의 제2 접촉부(23c)를 형성하고, 제2 접촉부(23c)에는 제2 코일 삽입홈(23d)을 형성한다. 코일은 제2 코일 삽입홈(23d)에 압입됨으로써 전기적인 통전을 이루게 된다.
제3 버스바(24)에도 원형의 제3 버스(24a)에 4 병렬 연결을 위해 4 개의 제3 연결단자(24b)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연결단자(24b)의 말단에는 제3 접촉부(24c)를 형성하고 제3 접촉부(24c)에 제3 코일 삽입홈(24d)을 형성하여, 코일이 이 제3 코일 삽입홈(24d)에 압입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제1 내지 제3 버스바(22, 23, 24)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1 내지 제3 전원 연결부(22e, 23e, 24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전원 연결부(22e, 23e, 24e)는 PCB(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100)에서 스테이터 어셈블리(10)와 버스바 어셈블리(20)를 분해하여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어셈블리(10)는 스테이터 코어(13)의 상부 및 하부를 상부 인슐레이터(11)와 하부 인슐레이터(12)가 각각 감싸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13)는 원형의 코어 베이스(131)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티스(132) 및 코어 베이스(1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133)으로 이루어진다. 결합공(133)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3 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결합의 안정성 면에서 유리하다. 티스(132)는 코어 베이스(131)의 외경 또는 내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도 6에서 12 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계 사양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결합공(133)은 긴 볼트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코어 베이스(131)에 형성하여도 좋고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상부 인슐레이터(11)의 상부 베이스 절연부(111)는 코어 베이스(131)의 상부 및 중앙부를 덮는 형상을 갖는다. 상부 티스 절연부(112)는 상부 베이스 절연부(111)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티스(132)의 상부를 덮어 절연한다. 하부 인슐레이터(12)의 하부 베이스 절연부(121)는 코어 베이스(131)의 하부를 덮지만 중앙부위는 덮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재료의 절감을 위해 바람직하다. 하부 베이스 절연부(121)의 중앙부 내측에는 복수 개의 결합공(123)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공(123)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3 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결합의 안정성 면에서 유리하다. 물론 결합공(123)을 상부 인슐레이터(11)의 상부 베이스 절연부(111)의 내측에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제작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 티스 절연부(122)는 티스(132)의 하부를 덮어 절연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100)의 상부 인슐레이터(11)와 버스바 어셈블리(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바 어셈블리(20)는 스테이터 어셈블리(10)의 상부 인슐레이터(11)에 결합된다. 결합에 의한 고정 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겠지만, 도 7에서는 버스바 어셈블리(20)의 결합 후크(213)가 상부 인슐레이터(11)의 결합홈(115b)에, 상부 인슐레이터(11)에 형성된 결합 후크(115a)가 버스바 어셈블리(20)에 형성된 결합홈(214)에 상호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베이스 절연부(111)는 스테이터 코어(13)의 코어 베이스(131)의 상부 를 덮고 있는데, 그 중앙부 윗 부분을 중앙 돌출부(116)를 제외하고 덮는 형상을 갖는다. 상부 티스 절연부(112)에 권선된 코일은 상부 베이스 절연부(11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코일 가이드(113)와 코일 가이드(113)가 형성하는 코일 통로(114)에 의해 안내되고 코일 가이드(113)에 형성된 접촉 단자 삽입부(113a) 상부의 코일 안착부(113b)를 통과한다. 코일 안착부(113b)에 놓인 코일은 접촉부(22c, 23c, 24c)에 형성된 코일 삽입홈(22d, 23d, 24d)이 접촉 단자 삽입부(113a)에 삽입될 때 접촉부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게 된다.
상부 베이스 절연부(111)의 상부의 버스바 어셈블리(20)가 위치하는 부분은 버스바 안착부(115)라 칭한다. 상부 베이스 절연부(111)의 중앙부에는 축 관통부(116a)가 형성된 중앙 돌출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 돌출부(116)는 버스바 하우징의 축 관통부(211)에 결합된다. 이 때, 중앙 돌출부(116)에 형성된 키(116b)가 축 관통부(211)에 형성된 키홈(211a)에 삽입됨으로써 버스바 하우징이 정위치로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버스바 안착부(115)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공(115c)은 버스바 하우징(21)의 결합공(215)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긴 볼트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1 내지 제3 버스(22a, 23a, 24a)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내지 제3 전원 연결부(22e, 23e, 24e)는 버스바 하우징(21)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 수용부(216a, 216b, 216c)를 통해 버스바 어셈블리(20)의 상부로 가이드되어 돌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같는 상부 인슐레이터(11)와 버스바 어셈블리(20)가 결합되는 순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테이터 코어(12)에 상부 인슐레이터(11)와 하부 인슐레이터(1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코일(14)을 권선한다. 코일(14)은 각 티스 부위에 권선이 되면 그 말단이 코일 가이드(113) 사이의 코일 통로(114)를 지나 코일 가이드(113)의 접촉 단자 삽입부(113a) 상부의 코일 안착부(113b)를 통과하여 인접한 티스에 권선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12 개의 티스 모두에 코일을 권선한다.
다음으로, 버스바 어셈블리(20)를 상부 인슐레이터(11)에 결합한다. 이 때, 각 버스 말단의 코일 삽입홈(22d, 23d, 24d)에 접촉 단자 삽입부(113a)를 지나는 코일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버스바 어셈블리(20)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하여 간편하게 전기적 결선을 이루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100)의 로터 어셈블리(40)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로터 어셈블리(40)는 로터 하우징(41), 마그넷(42), 제1 베어링(43), 제2 베어링(44) 및 스페이서(45)로 이루어진다.
마그넷(42)은 복수 개로 적용하는데, 로터 하우징(41)의 측벽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다. 로터 하우징(41)의 중앙부 내측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내부 돌출부(411)를 가지며, 내부 돌출부(411)의 중앙부 내측에는 베어링 안착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안착부(412)에는 제1 및 제2 베어링(43, 44)이 압입되어 고정되며, 제1 및 제2 베어링 사이에는 스페이서(45)를 설치하여 제1 및 제2 베어링(43, 44)의 위치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베어링의 개수도 2 2 개가 아닌 다양한 개수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베어링(43, 44)의 내주면에는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35)가 결합되어 샤프트(35)를 축으로 로터 어셈블리(40)가 회전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명심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이 범위 내에서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스테이터 어셈블리 11: 상부 인슐레이터
12: 하부 인슐레이터 13: 스테이터 코어
14: 코일 20: 버스바 어셈블리
21: 버스바 하우징 22: 제1 버스바
23: 제2 버스바 24: 제3 버스바
30: PCB 하우징 31: 상부 PCB 하우징
32: 하부 PCB 하우징 33: PCB
34: 커넥터 35: 샤프트
40: 로터 어셈블리 41: 로터 하우징
42: 마그넷 43: 제1 베어링
44: 제2 베어링 45: 스페이서
100: 모터 111: 상부 베이스 절연부
112: 상부 티스 절연부 113: 코일 가이드
114: 코일 통로 115: 버스바 안착부
116: 중앙 돌출부 121: 하부 베이스 절연부
122:하부 티스 절연부 123: 결합공
211: 축 관통부 212: 버스 가이드
213: 결합 후크 214: 결합홈
215: 결합공 311: 전원단자 삽입부
312: 볼트 삽입부 411: 내부 돌출부
412: 베어링 안착부

Claims (5)

  1.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를 덮어 절연하는 상부 인슐레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하부를 덮어 절연하는 하부 인슐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어셈블리; 및
    원형의 버스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 단자 및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접촉부를 갖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수용하는 버스바 하우징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원형의 코어 베이스와 상기 코어 베이스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티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어 베이스의 상부 및 중앙부를 덮는 상부 베이스 절연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상기 상부 베이스 절연부에 형성된 버스바 안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버스바 안착부에는 복수 개의 코일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 가이드에는 접촉단자 삽입부가 상기 코일이 상기 접촉단자 삽입부의 상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에는 코일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이 상기 코일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코일이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의 상기 접촉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PCB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PCB 하우징의 내부에 PCB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의 버스에 형성되는 전원 연결부가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하우징의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버스바 하우징의 중앙에 형성된 축 관통부를 관통하고 동시에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중앙에 형성된 축 관통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로터 하우징;
    상기 로터 하우징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
    상기 로터 하우징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부 돌출부; 및
    상기 내부 돌출부에 결합되는 베어링;
    으로 이루어지는 로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 하우징의 축 관통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축 관통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140099948A 2014-08-04 2014-08-04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KR10160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48A KR101604915B1 (ko) 2014-08-04 2014-08-04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US15/319,801 US10404128B2 (en) 2014-08-04 2015-04-08 Motor with bus-bar assembly
PCT/KR2015/003520 WO2016021803A1 (en) 2014-08-04 2015-04-08 Motor with bus-ba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48A KR101604915B1 (ko) 2014-08-04 2014-08-04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242A KR20160016242A (ko) 2016-02-15
KR101604915B1 true KR101604915B1 (ko) 2016-03-21

Family

ID=5526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948A KR101604915B1 (ko) 2014-08-04 2014-08-04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04128B2 (ko)
KR (1) KR101604915B1 (ko)
WO (1) WO2016021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8651A1 (en) 2017-02-13 2018-08-1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for power tools
JP7044106B2 (ja) * 2017-03-31 2022-03-30 日本電産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AU201714133S (en) * 2017-06-21 2017-08-02 Ningbo Pelican Drone Co A motor
KR101969889B1 (ko) * 2017-12-01 2019-04-18 계양전기 주식회사 방수수단을 갖는 브러시리스 모터
FR3083024B1 (fr) * 2018-06-26 2022-04-22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interconnexion pour 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destinee a un vehicule automobile
US10862376B2 (en) * 2018-08-07 2020-12-08 Makita Corporation Electric work machine
KR102327756B1 (ko) * 2019-12-26 2021-11-18 뉴모텍(주) 브러쉬리스 dc 모터
CN212627378U (zh) * 2020-05-26 2021-02-26 广东德昌电机有限公司 电动装置、无刷直流电机及其定子
WO2023277458A1 (ko) * 2021-07-02 2023-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부품 모듈 및 모터
KR102634429B1 (ko) * 2022-03-29 2024-02-06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모듈화된 터미널 유닛이 구비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DE102022210701A1 (de) 2022-10-11 2024-04-1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In Außenläuferbauart ausgebildeter Elektromotor und Radnabenantrieb für ein 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1755A1 (de) * 2002-03-26 2003-10-02 Ebm Werke Gmbh & Co. Kg Stator für elektromotoren mit wicklungs-verschaltungsanordnung
KR101192468B1 (ko) * 2011-04-13 2012-10-17 뉴모텍(주) 작업성과 통전 신뢰성이 향상된 버스바의 결선 구조
US20130278094A1 (en) 2012-04-20 2013-10-24 Nidec Motor Corporation Integrated direct drive motor and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759A (ja) * 2001-10-26 2003-05-09 Sumitomo Wiring Syst Ltd 車両用薄型ブラシレスモータの集中配電部材の製造方法
KR100866655B1 (ko) 2007-01-19 2008-11-03 에스앤티대우(주) 자동차용 브러쉬리스 모터의 버스바를 이용한 병렬 권선결합구조
JP2011120413A (ja) * 2009-12-07 2011-06-16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KR200456092Y1 (ko) 2010-03-02 2011-10-11 계양전기 주식회사 브러쉬리스 모터용 버스바 장치
KR200455469Y1 (ko) 2010-03-02 2011-09-06 계양전기 주식회사 브러쉬리스 모터의 파워 커넥터와 버스바 전원연결구조체
KR101992687B1 (ko) 2012-06-28 2019-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JP2014204528A (ja) * 2013-04-03 2014-10-2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1755A1 (de) * 2002-03-26 2003-10-02 Ebm Werke Gmbh & Co. Kg Stator für elektromotoren mit wicklungs-verschaltungsanordnung
KR101192468B1 (ko) * 2011-04-13 2012-10-17 뉴모텍(주) 작업성과 통전 신뢰성이 향상된 버스바의 결선 구조
US20130278094A1 (en) 2012-04-20 2013-10-24 Nidec Motor Corporation Integrated direct drive motor and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3902A1 (en) 2017-05-11
KR20160016242A (ko) 2016-02-15
WO2016021803A1 (en) 2016-02-11
US10404128B2 (en)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915B1 (ko)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KR101674080B1 (ko)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KR101604914B1 (ko)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JP4404199B2 (ja) 同期電動機
KR101835644B1 (ko) 전기 모터, 특히 차량 부품의 전기 모터
US7514829B2 (en) Busbar unit for an electric motor
US11342805B2 (en) Stator,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WO2014112301A1 (ja) モータ
US11121596B2 (en) Stator of brushless motor, brushless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of brushless motor
JP2006129590A (ja) モータおよび電機子の製造方法
JPWO2009025144A1 (ja) 固定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
JP2008167604A (ja) インナーロータ型モールドブラシレスモータのステータ
JP6339041B2 (ja) モータ用固定子、モータ、及びモータ用固定子の製造方法
JP2005253286A (ja) 電動機の固定子
CN107404172B (zh) 电动机的绝缘部件
JP2005130586A (ja) 電動機の固定子
JP3902219B1 (ja) 集中配電部品
JP2010183660A (ja) ステータ、ブラシレスモータ、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8043020A (ja) 巻線絶縁構造
JP5111887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06280157A (ja) 相間絶縁体および相間絶縁方法
KR101904312B1 (ko) 브러쉬리스 모터의 버스바 배열방법
JP6488100B2 (ja) 電動モータ
KR100565347B1 (ko) 유도전동기의 리드와이어 고정장치
JP2021136792A (ja) 電動モータ及びモータ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