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765B1 -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 Google Patents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765B1
KR101604765B1 KR1020150007730A KR20150007730A KR101604765B1 KR 101604765 B1 KR101604765 B1 KR 101604765B1 KR 1020150007730 A KR1020150007730 A KR 1020150007730A KR 20150007730 A KR20150007730 A KR 20150007730A KR 101604765 B1 KR101604765 B1 KR 101604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fingerprint recognition
mechanical pencil
data storag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우
Original Assignee
김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우 filed Critical 김지우
Priority to KR102015000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3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optical equipment, e.g. magnifier, vi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morandum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펜슬의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한 후 다른 사람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는, 커버와, 커버 내부에 삽입되고 샤프심이 저장되는 샤프심통과, 샤프심통 하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에 체결되는 캡이 구비된 샤프펜슬; 및 샤프펜슬 상단에 체결되고, 기 저장된 지문에 의해 샤프심이 나오도록 하는 지문인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Pencils with a fingerprint reader}
본 발명은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펜슬의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한 후 다른 사람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프펜슬은 가는 심을 내부에 넣고 축의 끝 부분을 눌러 심을 조금씩 밀어내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이다. 이러한 샤프펜슬은 연필과 같이 깎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현대에는 널리 사용되는 필기구 중의 하나이다. 특히, 상기한 샤프펜슬은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학교에서 학생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샤프펜슬에 관한 종래 기술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68753호는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본체 덮개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심통으로 이루어지는 샤프 펜슬로서, 심통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창과; 일 측 단부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심통 내주 면과 밀착되는 마개부가 구비되며, 타 측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를 이용하여 창을 개폐하는 심통 덮개부)가; 부가된 샤프 펜슬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60005호는 필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샤프심파이프가 삽입되면서 스프링으로 지지되고, 샤프심파이프의 상부에 결합된 노브를 눌러주면 지지관에 결합되는 척이 캡과 결합되는 결합구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척 내부를 관통하는 샤프심이 필기관의 캡 통해 나오도록 구성된 샤프펜슬에 있어서, 샤프심파이프의 내벽면 둘레에 샤프심이 샤프심파이프의 내벽면에 점으로 접촉되어 샤프심이 척을 통과하면서 캡으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정전기방지돌기가 형성된 샤프펜슬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출입하는 교실에서 개인 소지품 등이 분실될 우려가 있고, 특히 학생들의 필수인 샤프펜슬이 자주 분실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한번 분실된 샤프펜슬은 개인 이름표 또는 표식이 없어 찾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68753호 (2013년08월26일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60005호 (2012년04월18일 등록)
본 발명은 샤프펜슬의 누름부에 지문인식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개인 생체정보인 지문을 저장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에 저장된 지문에 의해서만 샤프펜슬이 작동되도록 하는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는, 커버와, 커버 내부에 삽입되고 샤프심이 저장되는 샤프심통과, 샤프심통 하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에 체결되는 캡이 구비된 샤프펜슬; 및 샤프펜슬 상단에 체결되고, 기 저장된 지문에 의해 샤프심이 나오도록 하는 지문인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모듈; 지문인식모듈 하부에 위치되고, 샤프펜슬 사용자의 지문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지문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지문을 전달받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 데이터 저장부 하부에 위치되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제어부로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 및 결합부 내부에 위치되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샤프심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펜슬에 구비된 캡의 외주면에 위치되고, 사용자가 필기하는 문자의 형태를 인식하는 문자인식센서;를 더 포함하되, 문자인식센서는, 사용자가 필기한 문자가 데이터 저장부로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usb 단자를 이용하여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은 상단에 지문인식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개인 생체정보인 지문을 저장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에 저장된 지문에 의해서만 샤프펜슬이 작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의 개략적인 구성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의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의 개략적인 구성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100)은 커버(110), 샤프심통(120) 결합부(130), 캡(140), 지문인식장치(200) 및 문자인식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게 스톱퍼(11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는 합성수지 또는 나무 재질로 형성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샤프심통(120)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스톱퍼(111)는 커버(110)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1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샤프심통(12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110) 내부에 삽입되며, 다수개의 샤프심(1)을 저장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심통(120)은 하단부의 일부를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샤프심(1)이 중앙부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샤프심통(120)은 내부의 공간이 밀폐되고, 내부에 저장된 샤프심(1)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지우개(12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30) 샤프심통(120) 하부에 체결 고정되고, 커버(11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샤프심(1)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캡(140) 결합부(130)와 체결 고정되고, 결합부(130) 외부로 배출된 샤프심(1)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캡(140)은 결합부(130)와 탈착 가능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여 체결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200)는 샤프펜슬(100)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사용자의 지문에 의해 작동되며, 샤프펜슬(100)의 주인(사용자) 이외에 다른 사람이 쓸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200)는 지문인식모듈(210), 데이터 저장부(220), 제어부(230), 충전 배터리(240) 및 인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인식모듈(210)은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표시된 패턴을 입력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문인식모듈(210)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 저장부(220)는 지문인식모듈(210)의 하부에 위치되고, 샤프펜슬(100) 사용자의 지문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20)는 USB포트(260)에 USB단자를 연결하여 USB메모리처럼 별도의 데이터 저장부(220)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USB포트(260)에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는 USB단자와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재설정할 수 있고, 충전 배터리(240)로 전원이 충전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커버(110) 외주면 또는 충전 배터리(240) 외주면에 배터리의 남은 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별로 막대 그래프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충전 배터리(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지문인식모듈(210)과 데이터 저장부(220)와 연결되며, 지문인식모듈(210)에서 인식된 지문을 전달받아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지문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지문인식모듈(210)에서 인식된 지문을 전달받아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지문과 일치하는지 판단되면 지문이 일치되면 충전 배터리(24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인출부(25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문인식모듈(210)에서 인식된 지문을 전달받아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지문과 불일치되면 제어부(230)에서 알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내장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230)로 신호를 보내어 알람이 발생되도록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분실된 샤프펜슬(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샤프펜슬(10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230)는 USB포트(260)를 통해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받아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커버(110) 외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13)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커버(110) 외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13)와 제어부(230)가 연결되고, 제어부(230)를 통해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름과 학교 학년 등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인출부(250)는 샤프심통(120)에 저장된 샤프심(1)을 캡(14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인출부(250)는 전도체(251), 회전판(253) 및 회전체(25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체(251)는 결합부(130) 내주면을 따라 반 구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고, 제어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가 잘 전달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체(251)는 결합부(130)의 하단과 상단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253)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부(13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자석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판(253)의 외주면이 전도체(251)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판(253)은 전도체(251)가 형성된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고, 중앙에 샤프심(1)이 통과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며, 구멍은 일측이 넓고 타측으로 갈수록 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샤프심(1)이 중앙으로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판(253)은 전도체(25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제어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체(251)에 전기를 흐르도록 하면 자기력이 발생되어 회전판(253)이 회전하게 된다. 특히, 전도체(251)와 회전판(253)의 원리는 자기장의 원리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체(255)는 회전판(253)의 구멍을 통해 삽입된 샤프심(1)을 회전력에 의해 캡(140)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회전체(255)는 회전판(253)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회전판(253)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판(253)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샤프심(1)을 하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나선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인출부(2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문인식모듈(210)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지하면 제어부(230)에서는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지문이 일치되면 충전 배터리(24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전도체(251)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다음 전도체(25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회전판(253)이 회전되면서 동시에 회전체(255)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253)과 회전체(255)가 회전되면서 샤프심(1)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30)에서는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될 때 샤프심(1)이 일정거리 이동되도록 회전되게 설정할 수 있다.
문자인식센서(300)는 사용자가 필기하는 다양한 문자 또는 그림 등을 데이터 저장부(220)로 저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문자인식센서(300)는 레이저빔이 출력되는 광센서로 사용될 수 있고, 레이저빔에서 발사되는 광이 노트에 반사되어 사용자가 필기하는 내용이 데이터 저장부(22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문자인식센서(300)에서 출력되는 광의 길이는 노트의 표면과 약 5cm 이하로 설정하여 노트의 표면에서 샤프펜슬(100)이 일정거리 떨어지게 되면 문자인식센서(30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문자인식센서(300)는 커버(110) 외주면에 온(on)/오프(off)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문자인식센서(300)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커버(110)에 구비된 스위치를 온(on) 시키면 문자인식센서(300)가 작동되고, 문자인식센서(300)가 작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트 등에 필기를 한다. 사용자가 만약 "가"라는 문자를 필기하게 되면 샤프펜슬(100)이 문자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레이저빔에서 출력되는 광이 노트의 표면에 "가"라는 문자로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문자는 제어부(230)로 전송되어 데이터 저장부(220)로 저장되며 사용자가 노트를 분실하여도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저장된 문자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지문에 의해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로 출력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100)은 샤프심(1)을 캡(140) 외부로 배출시키는 인출부(250)의 구성인 고정체(256), 이동체(257) 및 스프링(258)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256)는 결합부(130)의 외주면을 따라 도넛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부(130)의 내주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256)는 제어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230)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전달받아 자성을 갖는 전자석으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체(256)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磁氣化)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전자석을 이용한다.
이동체(257) 고정체(256)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원판 형상의 중앙이 절개된 한 쌍의 반원 상태로 형성되며, 샤프심(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동체(257)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고정체(256)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고정체(256)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샤프심(1)을 고정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고정체(256)에 전류가 인가되면 한 쌍으로 형성된 이동체(257)가 양측으로 벌어져 샤프심(1)의 하중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스프링(258)은 고정체(256)와 이동체(257)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양측으로 벌어진 이동체(257)를 최초자리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샤프심 100; 샤프펜슬
110; 커버 111; 스톱퍼
113; 디스플레이 120; 샤프심통
121; 지우개 130; 결합부
140; 캡 200; 지문인식장치
210; 지문인식모듈 220; 데이터 저장부
230; 제어부 240; 충전 배터리
250; 인출부 251; 전도체
253; 회전판 255; 회전체
256; 고정체 257; 스프링
258; 이동체 260; USB포트
300; 문자인식센서

Claims (4)

  1. 커버와, 커버 내부에 삽입되고 샤프심이 저장되는 샤프심통과, 샤프심통 하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에 체결되는 캡이 구비된 샤프펜슬; 및 샤프펜슬 상단에 체결되고, 기 저장된 지문에 의해 샤프심이 나오도록 하는 지문인식장치;를 포함하며,
    지문인식장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모듈; 지문인식모듈 하부에 위치되고, 샤프펜슬 사용자의 지문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지문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지문을 전달받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 데이터 저장부 하부에 위치되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를 제어부로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 및 결합부 내부에 위치되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샤프심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전도체, 상기 샤프심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체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는 회전판, 및 상기 구멍을 통해 삽입된 샤프심을 회전력에 의해 상기 캡 외부로 이동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상기 결합부의 하단과 상단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은 자석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전도체가 형성된 상기 결합부의하단과 상단부분에 상기 전도체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는 나선형 형태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의 하단과 상단부분에 설치된 회전판들 사이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3. 제 2항에 있어서,
    샤프펜슬에 구비된 캡의 외주면에 위치되고, 사용자가 필기하는 문자의 형태를 인식하는 문자인식센서;를 더 포함하되,
    문자인식센서는,
    사용자가 필기한 문자가 데이터 저장부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4. 제 3항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usb 단자를 이용하여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KR1020150007730A 2015-01-16 2015-01-16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KR101604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730A KR101604765B1 (ko) 2015-01-16 2015-01-16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730A KR101604765B1 (ko) 2015-01-16 2015-01-16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765B1 true KR101604765B1 (ko) 2016-03-23

Family

ID=5564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730A KR101604765B1 (ko) 2015-01-16 2015-01-16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31B1 (ko) * 2017-06-26 2018-08-09 (주)리즘인터랙티브 생체인증형 스마트 펜을 이용한 서명 정보 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095A (ja) * 2001-12-14 2003-08-12 Hewlett Packard Co <Hp> 筆記具、電子デバイスと筆記具との組み合わせ、および筆記具の使用方法
JP2006051743A (ja) * 2004-08-13 2006-02-23 Koncheruto:Kk 本人確認筆記具
JP2009220552A (ja) * 2008-02-19 2009-10-01 Pilot Ink Co Ltd 電子ペン及びそれに用いる交換用ペン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095A (ja) * 2001-12-14 2003-08-12 Hewlett Packard Co <Hp> 筆記具、電子デバイスと筆記具との組み合わせ、および筆記具の使用方法
JP2006051743A (ja) * 2004-08-13 2006-02-23 Koncheruto:Kk 本人確認筆記具
JP2009220552A (ja) * 2008-02-19 2009-10-01 Pilot Ink Co Ltd 電子ペン及びそれに用いる交換用ペン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31B1 (ko) * 2017-06-26 2018-08-09 (주)리즘인터랙티브 생체인증형 스마트 펜을 이용한 서명 정보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7003A (ko) 교육용 커뮤니케이션 태블릿
Zepke Art as abstract machine: Ontology and aesthetics in Deleuze and Guattari
JP2007241227A (ja) バリアフリーを実現した視覚障害者用情報機器
CN107798322A (zh) 一种智能笔
KR101604765B1 (ko)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US20120029907A1 (en) myMedicalpen
KR102009150B1 (ko)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087640B1 (ko) 촉감 제시장치를 이용한 점자 교육 상호작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8569B1 (ko) 다목적 펜
KR102312888B1 (ko)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204155476U (zh) 英语点读笔
CN205656786U (zh) 一种英语学习设备
KR20190028002A (ko) 음성 송출펜
JP2017076252A (ja) 筆記ボードシステム、及び表示システム
CN113287085A (zh) 可调整触控笔
US20120186314A1 (en) Keychain reminder device
EP1939836A1 (en) Improvements in graphic recognition devices
KR20050077619A (ko) 문자 필기 학습장치
KR200244461Y1 (ko)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KR20160139803A (ko) 필기를 인지하고 저장하는 전자 펜
KR102296558B1 (ko) 블루투스 통신과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한 볼펜 장치
CN203093459U (zh) 会读英语单词的笔
KR20040005372A (ko)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KR200244460Y1 (ko)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KR101725307B1 (ko) 스마트 클립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