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460Y1 -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460Y1
KR200244460Y1 KR2020010014618U KR20010014618U KR200244460Y1 KR 200244460 Y1 KR200244460 Y1 KR 200244460Y1 KR 2020010014618 U KR2020010014618 U KR 2020010014618U KR 20010014618 U KR20010014618 U KR 20010014618U KR 200244460 Y1 KR200244460 Y1 KR 200244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lcd display
case
unit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남 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더블류에스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더블류에스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더블류에스텔레콤
Priority to KR2020010014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460Y1/ko

Links

Landscapes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나 메모등에 사용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필기구 형상의 케이스를 분리형성하고, 상부케이스 일측에는 다수의 콘트롤 스위치가 설치된 LCD 표시창을 설치하고, 내부에는 LCD 표시창으로 노출되는 LCD 표시부를 설치하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는 메모리부와 제어부, 인식용 센서를 설치하여 인식용 센서를 하부케이스의 하단으로 돌출시키되, LCD 표시부의 하부와, 메모리부의 상부에 각각 콘넥터를 설치하여 서로 삽탈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종래의 필기구인 볼펜, 연필 등의 간편성을 이용하면서 기억용지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자적 처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달하고 싶은 문자를 인식하여 보전 및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LCD 표시부의 분리사용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Writing device with function as writing paper}
본 고안은 필기나 메모등에 사용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지나 각종 용지 등의 필기대상물이 필요 없이 필기구자체에 필기된 문자정보를 인식 기억하여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으면서도, LCD 표시부를 분리형성하여 유무선 송수신이 가능토록하여 초소형화가 가능한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메모나 필기를 위하여 메모지나 필기용지 등에 볼펜 또는 연필 등의 필기구를 이용하여 문자를 필기하였다.
또한, 전자 계산기 등의 전자적 처리수단을 사용하여 문자정보의 보존 및 전달하는 것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지와 필기구를 이용한 문자기재에 의해 정보를 보존, 전달하는 것은 반드시 필기구와 용지가 필요하므로 외출시 또는 전화 통화중에 메모를 하기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었다.
또한, 현재 계산기 등에 의해 전자적 처리에 의한 문자정보의 보존, 전달에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해야 하므로 간단한 메모 등의 작성에는 그다지 편리함을 느낄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필기구인 볼펜, 연필 등의 간편성을 이용하면서 기억용지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자적 처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달하고 싶은 문자를 인식하여 보전 및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LCD 표시부의 분리사용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내부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연결코드를 이용하여 사용한 상태이고, b는 무선으로 사용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케이스 2 : LCD 표시창
3 : 콘트롤 스위치 4 : 인식용 센서
5 : 메모리부 6 : 제어부
7,7' : 콘넥터 8 : LCD 표시부
10 : 연결코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내부회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필기구 형상의 케이스(1)(1')를 분리형성하고, 상부케이스(1') 일측에는 다수의 콘트롤 스위치(3)가 설치된 LCD 표시창(2)을 설치하고, 내부에는 LCD 표시창(2)으로 노출되는 LCD 표시부(8)를 설치하며, 하부케이스(1)의 내부에는 메모리부(5)와 제어부(6), 인식용 센서(4)를 설치하여 인식용 센서(4)를 하부케이스(1)의 하단으로 돌출시키되,
LCD 표시부(8)의 하부와, 메모리부(5)의 상부에 각각 콘넥터(7')(7)를 설치하여 서로 삽탈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1)내에 무선 송수신장치를 설치하여 상호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 필기구에 장착되는 인식용 센서(4)는 지면과의 접촉 및 비접촉을 인지하고, 접촉된 상태에서의 이동방향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기나 메모를 하기 위하여 상하케이스(1')(1)가 콘넥터(7')(7)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필기구를 쥐듯이 파지하여 책상면이나 벽면 등의 평면상에 인식용 센서(4)를 접촉시켜 문자를 쓰게 되면 인식용 센서(4)가 문자를 제어부(6)에 전달하고, 제어부(6)는 사용자가 필기한 문자를 메모리부(5)에 저장함과 동시에 LCD 표시부(8)로 필기한 문자를 표시하여 LCD 표시창(2)를 통해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정보는 상기와 같이 LCD 표시부(8)를 통해 확인하거나 도 4a의 도시와 같이 연결코드(10)를 하부케이스(1)의 콘넥터(7)에 결합하고 컴퓨터와 연결하여 문자정보를 저장하거나 컴퓨터 모니터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b의 도시와 같이 하부케이스(1)와 상부케이스(1')내에 무선 송수신장치(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내장시키므로서, 본 고안의 LCD 표시부(8)는 물론 별도의 모니터상에 입력한 문자의 디스플레이가 가능케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LCD 표시부(8)와, 메모리부(5), 제어부(6), 인식용 센서(4)등의 전자적 구성에 의해 별도의 용지가 필요없이 메모나 필기가 가능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케 하면서도, LCD 표시부(8)가 내장된 상부케이스(1')와 메모리부(5)와 제어부(6)가 내장된 하부케이스(1)를 분리형성하므로서 그 크기를 최소화 하여 사용이 보다 편리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필기구인 볼펜, 연필 등의 간편성을 이용하면서 기억용지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자적 처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달하고 싶은 문자를 인식하여 보전 및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LCD 표시부의 분리사용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Claims (2)

  1. 필기구 형상의 케이스(1)(1')를 분리형성하고, 상부케이스(1') 일측에는 다수의 콘트롤 스위치(3)가 설치된 LCD 표시창(2)을 설치하고, 내부에는 LCD 표시창(2)으로 노출되는 LCD 표시부(8)를 설치하며, 하부케이스(1)의 내부에는 메모리부(5)와 제어부(6), 인식용 센서(4)를 설치하여 인식용 센서(4)를 하부케이스(1)의 하단으로 돌출시키되,
    LCD 표시부(8)의 하부와, 메모리부(5)의 상부에 각각 콘넥터(7')(7)를 설치하여 서로 삽탈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1)내에 무선 송수신장치를 설치하여 상호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KR2020010014618U 2001-05-18 2001-05-18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KR200244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618U KR200244460Y1 (ko) 2001-05-18 2001-05-18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618U KR200244460Y1 (ko) 2001-05-18 2001-05-18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460Y1 true KR200244460Y1 (ko) 2001-10-15

Family

ID=7306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618U KR200244460Y1 (ko) 2001-05-18 2001-05-18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4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199A (ko) * 2001-05-18 2002-11-27 주식회사 상진하이테크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199A (ko) * 2001-05-18 2002-11-27 주식회사 상진하이테크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8679B2 (ja) 筆記具用グリップ
US5214428A (en) Data input grid for computer
US20070103431A1 (en) Handheld tilt-text computing system and method
US6614649B1 (en) Keyboard structur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KR20060087410A (ko) 스타일러스 로케이션에 의한 시스템 제어
KR101077005B1 (ko) 전자펜을 이용한 필기 인식 시스템
US10845988B2 (en) Handwriting board with fixing member to fix writing paper
KR200244460Y1 (ko)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US20040263493A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device with a wireless mouse
US73567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s to a communication or computing device
KR200244461Y1 (ko)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KR20020088199A (ko)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KR10036014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디바이스에서의 제스처를 통한필기입력 방법
KR200244379Y1 (ko) 그래픽 태블릿용 전자펜
KR200256033Y1 (ko) 외부 데이터 저장 수단이 실장될 수 있는 마우스
CN215416627U (zh) 户外手写设备
CN114253406B (zh) 触控笔结构以及触发模块
CN217982345U (zh) 触控笔
KR200232197Y1 (ko) 다용도 스타일러스 펜
CN209962228U (zh) 可藏收触控笔的电子装置
CN210348429U (zh) 一种电子白板的板擦结构
JP6934777B2 (ja) タッチペン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CN109426370B (zh) 触摸笔以及使用该触摸笔的显示装置
EP1607846A2 (e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device with a wireless mouse
JP3114797U (ja) 認識機能を備えたデジタルノート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