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743B1 - 중계기용 단위 모듈 - Google Patents

중계기용 단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743B1
KR101604743B1 KR1020130139032A KR20130139032A KR101604743B1 KR 101604743 B1 KR101604743 B1 KR 101604743B1 KR 1020130139032 A KR1020130139032 A KR 1020130139032A KR 20130139032 A KR20130139032 A KR 20130139032A KR 101604743 B1 KR101604743 B1 KR 10160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ard
connecting member
repeater
case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264A (ko
Inventor
김옥진
김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3013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7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4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중계기용 단위 모듈이 개시된다. 중계기용 단위 모듈은,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연결부재를 보호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outer surface)과 동일 평면(coplanar)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제1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계기용 단위 모듈 {Unit module for repeater}
본 발명은 중계기용 단위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케이블 없이 다른 단위 모듈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대형 건물의 지하 공간이나 고층 빌딩의 내부 등과 같은 음영지역(shadow area)에서의 서비스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가 이용된다. 중계기는 전송 매체의 종류에 따라 광 중계기, RF 중계기, 분산 중계기 등으로 구분되며, 중계기는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단위 모듈들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중계기에서 단위 모듈들 사이는 신호 송수신, 전원 공급 등을 위하여 케이블, 케이블 양단의 커넥터 및 단위 모듈들에 구비된 커넥터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데, 이 경우 케이블에 의한 신호, 전원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위 모듈들에 구비된 커넥터가 단위 모듈들 각각의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중계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고 커넥터의 파손 및 변형이 쉬워 접속 불량이 빈번하게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되 일면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다른 단위 모듈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은,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연결부재를 보호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outer surface)과 동일 평면(coplanar)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제1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양태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은,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연결부재를 보호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메인보드를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의 외면(outer surface)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제1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중계기용 단위 모듈은, 다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과의 연결 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되 일면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케이블에 의한 신호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커넥터 파손 및 변형에 따른 접속 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중계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계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단위 모듈들과의 연결 시 연결부재가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취급 및 설계가 용이하고 중계기 함체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 선을 따라 취한 일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 B' 선을 따라 취한 일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C - C' 선을 따라 취한 일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 - D' 선을 따라 취한 일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을 구비하는 중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중계기용 단위 모듈은 RF 중계기에 채용되는 단위 모듈, 예컨대, RF UPC(Up Converter) 모듈, RF DNC(Down Converter)모듈, RF 증폭 모듈, 필터 모듈 등과 같은 단위 모듈들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중계기용 단위 모듈은 광 중계기, 분산 중계기 등에 채용되는 단위 모듈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 선을 따라 취한 일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은 메인보드(110),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부재(120), 제1 연결부재(120)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 메인보드(110)와 제1 연결부재(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접속부재(140), 및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예컨대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 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보드(110)의 상면(110T) 상에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능동소자 및/또는 수동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다른 단위 모듈 또는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신호들을 상기 능동소자 및/또는 수동소자들로 전송하기 위한 단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자부(112)는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자부(112)는 메인 보드(110)의 상면(110T)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도 3 참조). 단자부(112)는 후술되는 제1 연결부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재(120)를 통해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이 채용되는 중계기의 다른 단위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신호들을 상기 능동소자 및/또는 수동소자들로 전송하거나, 상기 능동소자 및/또는 수동소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신호들을 상기 다른 단위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케이스(150) 내부의 중심 영역에서 케이스(15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50) 내부에서 메인보드(110)를 기준으로 외곽 영역에는, 예컨대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이 채용되는 중계기의 다른 단위 모듈, 또는 전원공급 모듈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재(120)가 메인보드(1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연결부재(120)의 측면(120S) 하부가 메인보드(110)의 측면과 접하도록 제1 연결부재(120)가 메인보드(1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는 케이스(150)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는 하면(120B)이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재(120)는 하면(120B)이 케이스(150)의 저면(150B)을 기준으로 Z 방향에서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보다 높거나 낮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연결부재(120)는 상기 Z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둥(pill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는 상기 Z 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이 원형인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재(120)는 상기 Z 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이 다각형인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20)는 상기 Z 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Z 방향을 따라 두께가 변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연결부재(120)는 도전성 물질, 예컨대 금, 구리 등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는 제1 접속부재(140)를 통해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접속부재(140)가 제1 연결부재(120)의 하면(120B) 및 단자부(112)의 적어도 일부와 접함에 따라, 제1 연결부재(120)와 메인보드(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접속부재(140)는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을 따라 연장되는 플랫(fla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속부재(140)는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과 이격되지 않고,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을 덮도록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접속부재(140)는 도전성 물질, 예컨대 금, 구리 등과 같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의 상면(120T)은 케이스(15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연결부재(120)의 상면(120T)은 케이스(150)의 외면(outer surface) 중 상면(150T)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재(120)의 상면(120T)은 케이스(150)의 상면(150T)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의 고정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제1 연결부재(120)의 외측으로 절연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절연부재(130)는 중공(hollow)을 구비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연결부재(120)가 절연부재(130)의 상기 중공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부재(130)는 저면의 일부가 메인보드(110)의 상면(110T)과 접할 수 있다. 절연부재(130)는 절연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의 측면(120S)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의 상면도 제1 연결부재(120)의 상면(120T) 및 케이스(150)의 상면(150T)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150)는 메인보드(110), 제1 연결부재(120), 절연부재(130), 제1 접속부재(140)를 보호하며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케이스(150)가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은 상면(120T)이 케이스(150)의 상면(150T)으로부터 노출되는 제1 연결부재(120)를 구비하고, 제1 연결부재(120)를 이용하여 유사한 구조를 갖는 다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 또는 전원공급 모듈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은 케이블 없이 유사한 구조를 갖는 다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 또는 전원공급 모듈 등과 대응하는 연결부재의 접촉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은 케이블에 의한 신호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이 채용되는 중계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은 기존과 같이 케이스(150)의 외부로 돌출되는 커넥터 구조를 갖지 않고, 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되되 일면만이 케이스(150)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재(150)를 통해 커넥터 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취급 및 설계가 용이하고 중계기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은 중계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10_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중계기용 단위 모듈(10_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중계기용 단위 모듈(10)의 변형예에 해당하므로,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기용 단위 모듈(10_1)은 메인보드(110),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부재(120), 제1 연결부재(120)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 및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메인보드(110)의 상면(110T)으로부터 노출되는 단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측면이 케이스(150) 내측면과 접하도록 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메인보드(110)의 Z 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 면적은 상기 케이스(150) 내부 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는 접속부재(140, 도 1 및 도 2 참조)없이 메인보드(11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재(120)는 하면(120B)이 단자부(112)와 직접 접하도록 메인보드(110)의 단자부(11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120)와 메인보드(11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재(120)는 소정의 도전성 접착물질, 예컨대 솔더 또는 금속 성분이 포함된 에폭시와 같은 도전성 접착 물질을 매개로 하여 메인보드(110)의 단자부(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재(120)의 하면(120B)과 단자부(112) 사이에 상기 도전성 접착 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의 상면(120T)은 케이스(150)의 상면(150T)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의 상면(120T)은 케이스(150)의 상면(150T)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절연부재(130)의 저면은 메인보드(110)의 상면(110T)과 접할 수 있다. 절연부재(130)의 상면도 제1 연결부재(120)의 상면(120T) 및 케이스(150)의 상면(150T)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노출될 수 있다.
중계기용 단위 모듈(10_1)도 돌출되는 커넥터 구조를 갖지 않고 케이블 없이 유사한 구조를 갖는 다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 또는 전원공급 모듈 등과 연결부재의 접촉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용 단위 모듈(10_1)도 케이블에 의한 신호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취급 및 설계가 용이하고 중계기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20)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 B' 선을 따라 취한 일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2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중계기용 단위 모듈(20)은 메인보드(110),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부재(122), 제2 연결부재(122)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 메인보드(110)와 제2 연결부재(1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접속부재(142), 및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으로 노출되는 단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케이스(150) 내부의 중심 영역에서 케이스(15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50) 내부에서 메인보드(110)를 기준으로 외곽 영역에는, 제2 연결부재(122)의 측면(122S) 하부가 메인보드(110)의 측면과 접하도록 제2 연결부재(122)가 메인보드(1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20)는 케이스(150)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고, 하면(122B)이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연결부재(122)는 제2 접속부재(142)를 통해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접속부재(142)가 제2 연결부재(122)의 하면(122B) 및 단자부(112)의 적어도 일부와 접함에 따라, 제2 연결부재(122)와 메인보드(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속부재(142)는 일부분이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과 이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속부재(142)는 양 단부 각각이 제2 연결부재(122)의 하면(122B) 및 단자부(122)와 접하고, 양 단부 사이가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과 이격되도록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치(arch)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재(122)는 Z 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재(122)의 하면(122B)이 케이스(150)의 저면(150B)을 기준으로 상기 Z 방향에서 메인보드(110)의 하면(110B)보다 낮아지도록 제2 연결부재(122)가 상기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22)는 상부가 케이스(15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연결부재(122)는 상면(122T) 및 측면(122S)의 일부가 케이스(15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재(122)의 상면(122T)은 메인보드(110)의 상면(110T)을 기준으로 케이스(150)의 상면(150T)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접속부재(142)가 아치 형상과 같은 구조를 통해 탄성을 가짐에 따라 제2 연결부재(122)는 상기 Z 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계기용 단위 모듈(20)이 다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과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2 연결부재(122)의 상면(122T)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고 케이스(150)의 상면(150T)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도 있다.
제2 연결부재(122)의 고정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제2 연결부재(122)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절연부재(130)의 저면의 일부는 메인보드(110)의 상면(110T)과 접할 수 있고, 절연부재(130)의 상면은 케이스(150)의 상면(150T)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노출될 수 있다.
중계기용 단위 모듈(20)도 돌출되는 커넥터 구조를 갖지 않고 케이블 없이 유사한 구조를 갖는 다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 또는 전원공급 모듈 등과 대응하는 연결부재의 접촉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중계기용 단위 모듈(20)은 제2 연결부재(122)가 케이스(150)로부터 일부 돌출되지만,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 간의 연결 시에는 제2 연결부재(122)의 상면(122T)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 간의 연결 시에 서로 대응하는 연결부재 사이의 접촉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10, 10_1)과 같이 케이블에 의한 신호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취급 및 설계가 용이하며 중계기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중계기용 단위 모듈(20_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중계기용 단위 모듈(20)의 변형예에 해당하므로,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계기용 단위 모듈(20_1)은 메인보드(110),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부재(122), 제2 연결부재(122)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 및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메인보드(110)의 상면(110T)으로부터 노출되는 단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측면이 케이스(150) 내측면과 접하도록 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메인보드(110)의 Z 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 면적은 상기 케이스(150) 내부 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22)는 탄성 접속부재(160)를 매개로 하여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연결부재(122)는 메인보드(110)의 단자부(112)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연결부재(122)의 하면(122B)과 단자부(112) 사이에 탄성 접속부재(160)가 개재되어, 제2 연결부재(122)와 메인보드(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접속부재(16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되 탄성을 갖는 구조체, 예컨대 도전성 스프링과 같은 구조체일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22)는 상부가 케이스(15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연결부재(122)는 상면(122T) 및 측면(122S)의 일부가 케이스(15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재(122)의 상면(122T)은 메인보드(110)의 상면(110T)을 기준으로 케이스(150)의 상면(150T)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 접속부재(160)에 의해 제2 연결부재(122)가 상기 Z 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계기용 단위 모듈(20_1)이 다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의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2 연결부재(122)의 상면(122T)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고, 케이스(150)의 상면(150T)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도 있다.
절연부재(130)는 제2 연결부재(122) 및 탄성 접속부재(16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절연부재(130)의 저면은 메인보드(11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절연부재(130)의 상면은 케이스(150)의 상면(150T)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노출될 수 있다.
중계기용 단위 모듈(20_1)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중계기용 단위 모듈(20)과 마찬가지로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 간의 연결 시에 서로 대응하는 연결부재 사이의 접촉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케이블에 의한 신호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취급 및 설계가 용이하며 중계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30)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C - C' 선을 따라 취한 일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2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중계기용 단위 모듈(30)은 메인보드(110),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연결부재(124), 제3 연결부재(124)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 및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메인보드(110)의 상면(110T)으로부터 노출되는 단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케이스(150) 내부의 중심 영역에서 케이스(15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보드(110)와 케이스(150)의 내측면과의 이격거리는, 후술되는 절연부재(130)의 X 방향으로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케이스(150) 내부에서 메인보드(110)를 기준으로 외곽 영역에는, 메인보드(110)의 에지측으로부터 케이스(150)의 외측면(150S)을 향하도록 제3 연결부재(124)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연결부재(124)는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인보드(110)의 에지측으로부터 케이스(150)의 외측면(150S)을 향하도록 메인보드(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부재(124)는 소정의 접속부재 없이 메인보드(11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연결부재(124)는 측면(124S) 하부가 단자부(112)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 접하도록 메인보드(110)의 단자부(11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3 연결부재(124)와 메인보드(11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연결부재(124)는 소정의 도전성 접착물질, 예컨대 솔더 또는 금속 성분이 포함된 에폭시와 같은 도전성 접착 물질을 매개로 하여 메인보드(110)의 단자부(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연결부재(124)의 하면(124B)과 단자부(112) 사이에 상기 도전성 접착 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제3 연결부재(124)의 상면(124T)은 케이스(15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3 연결부재(124)의 상면(124T)은 케이스(150)의 외면(outer surface) 중 외측면(150S)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으며, 제3 연결부재(124)의 상면(124T)은 케이스(150)의 외측면(150S)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제3 연결부재(124)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절연부재(130)의 저면은 일부가 메인보드(11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절연부재(130)의 상면은 제3 연결부재(124)의 상면(124T) 및 케이스(150)의 외측면(150S)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노출될 수 있다.
중계기용 단위 모듈(30)도 돌출되는 커넥터 구조를 갖지 않고 케이블 없이 유사한 구조를 갖는 다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 또는 전원공급 모듈 등과 연결부재의 접촉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에 의한 신호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취급 및 설계가 용이하고 중계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40)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 - D' 선을 따라 취한 일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4, 도 5, 도 7 및 도 8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중계기용 단위 모듈(40)은 메인보드(110),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연결부재(126), 제4 연결부재(126)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 메인보드(110) 상에 배치되며 제4 연결부재(126)와 접하는 탄성부재(170), 및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메인보드(110)의 상면(110T)으로부터 노출되는 단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케이스(150) 내부의 중심 영역에서 케이스(15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50) 내부에서 메인보드(110)를 기준으로 외곽 영역에는, 메인보드(110)의 에지측으로부터 케이스(150)의 외측면(150S)을 향하도록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제4 연결부재(126)가 메인보드(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연결부재(126)는 소정의 접속부재 없이 메인보드(11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4 연결부재(126)는 측면(126S) 하부가 단자부(112)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 접하도록 메인보드(110)의 단자부(11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4 연결부재(126)와 메인보드(11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연결부재(126)의 하면(126B)과 접하는 탄성부재(170)가 메인보드(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70)는 단자부(112)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메인보드(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다. 탄성부재(170)는 제4 연결부재(126)의 하면(126B)과 접하며 탄성을 갖는 구조체, 예컨대 도전성 스프링과 같은 구조체 및 지지체(도시 생략)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연결부재(126)는 상기 X 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제4 연결부재(126)는 상부가 케이스(15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4 연결부재(126)는 상면(126T) 및 측면(126S)의 일부가 케이스(15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연결부재(126)의 상면(126T)은 메인보드(110)의 측면을 기준으로 케이스(150)의 외측면(150S)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170)에 의해 제4 연결부재(126)가 상기 X 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어, 중계기용 단위 모듈(40)이 다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과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4 연결부재(126)의 상면(126T)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고, 케이스(150)의 외측면(150S)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도 있다.
제4 연결부재(126)를 둘러싸는 절연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절연부재(130)의 저면의 일부는 메인보드(110)의 측면과 접할 수 있고, 절연부재(130)의 상면은 케이스(150)의 외측면(150S)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노출될 수 있다.
중계기용 단위 모듈(40)도 제4 연결부재(126)가 케이스(150)로부터 일부 돌출되지만, 다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과의 연결 시에 제4 연결부재(126)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연결부재 사이의 접촉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케이블에 의한 신호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취급 및 설계가 용이하고 중계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을 구비하는 중계기(1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의 중계기용 단위모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예시한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중계기(1000)는, 기지국의 신호와 이동 단말기의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장치로, 예컨대 RF 중계기, 광 중계기, 분산 중계기 등과 같은 중계기일 수 있다.
중계기(1000)의 하부 함체(1100D)와 상부 함체(1100U)의 결합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 공간에는, 중계기(100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1200, 1300, 1400, 1500)이 구비될 수 있다. 중계기(1000)가 RF 중계기인 경우를 예로 들면,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1200, 1300, 1400, 1500)은 RF UPC(Up Converter) 모듈, RF DNC(Down Converter)모듈, RF 증폭 모듈, 필터 모듈 등과 같은 단위 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중계기용 단위 모듈(1200)은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용 단위 모듈(1200)의 케이스 상면과 측면 각각에서 노출되는 연결부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중계기용 단위 모듈(1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용 단위 모듈(1300)의 케이스 상면에서 노출되는 연결부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1400, 15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1400, 1500) 각각의 케이스 측면에서 노출되는 연결부재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1200, 1300, 1400, 1500)의 연결부재가 도 4 내지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부재들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1200, 1300, 1400, 1500)은, 각각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들을 통해 대응하는 단위 모듈들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중계기(1000) 내부에서 케이블 없이 중계기용 단위 모듈들(1200, 1300, 1400, 1500)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에 의한 신호 손실 저감이 가능하고, 중계기(1000)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과 중계기(1000)의 소형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몇 변경이 가능하다.
10, 10_1, 20, 20_1, 30, 40, 1200, 1300, 1400, 1500: 중계기용 단위 모듈
110: 메인보드 120, 122, 124, 126: 연결부재
130: 절연부재 140: 접속부재
150: 케이스 160: 탄성 접속부재
170: 탄성부재 1000: 중계기

Claims (9)

  1.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연결부재를 보호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outer surface)과 동일 평면(coplanar)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제1 면을 갖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메인보드의 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접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측면이 상기 단자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를 둘러싸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
  5. 삭제
  6.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연결부재를 보호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메인보드를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의 외면(outer surface)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제1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메인보드와 이격되는 접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과 상기 단자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접속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단자부와 접하고,
    상기 메인보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과 접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용 단위 모듈.
KR1020130139032A 2013-11-15 2013-11-15 중계기용 단위 모듈 KR10160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032A KR101604743B1 (ko) 2013-11-15 2013-11-15 중계기용 단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032A KR101604743B1 (ko) 2013-11-15 2013-11-15 중계기용 단위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264A KR20150056264A (ko) 2015-05-26
KR101604743B1 true KR101604743B1 (ko) 2016-03-18

Family

ID=5339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032A KR101604743B1 (ko) 2013-11-15 2013-11-15 중계기용 단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7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083Y1 (ko) 2000-08-09 2001-01-15 주식회사알에프알지오 쌍대칭 패치안테나
JP2011023394A (ja) * 2009-07-13 2011-02-0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中継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083Y1 (ko) 2000-08-09 2001-01-15 주식회사알에프알지오 쌍대칭 패치안테나
JP2011023394A (ja) * 2009-07-13 2011-02-0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中継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264A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5646A (ko) 전기 커넥터 장치
JP7139460B2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およびこれに含まれるコネクティング構造体
CN111656621B (zh) 插座连接器
WO2009061022A1 (en)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JP2021527982A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およびこれに含まれるコネクティング構造体
KR101153165B1 (ko)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고주파 통신선로
CN109216972B (zh) 板对板式高频插座及移动设备
JP7564269B2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
KR100731599B1 (ko) 상호 변조 왜곡 억압을 위한 케이블 고정접속 장치
CN111193979B (zh) 无线耳机
KR101872964B1 (ko) 하이브리드 커플러
US8481854B2 (en) Electronic component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same
KR101133054B1 (ko) 엔에프씨 안테나를 구비한 배터리팩
JP7245852B2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およびこれに含まれるコネクティング構造体
KR102329244B1 (ko) 캐비티 필터
KR101604743B1 (ko) 중계기용 단위 모듈
JP7430230B2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
CN108565552B (zh) 天线装置、连接结构及终端设备
KR20160110074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KR20160101652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JP2022180421A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
KR102422078B1 (ko) 소형 기기용 안테나 모듈
KR200404096Y1 (ko) 스위치 기능을 갖는 안테나 연결용 커넥터
KR101942720B1 (ko)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KR100829978B1 (ko) 안테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