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473B1 -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473B1
KR101604473B1 KR1020140193917A KR20140193917A KR101604473B1 KR 101604473 B1 KR101604473 B1 KR 101604473B1 KR 1020140193917 A KR1020140193917 A KR 1020140193917A KR 20140193917 A KR20140193917 A KR 20140193917A KR 101604473 B1 KR101604473 B1 KR 101604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ser
units
input device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은
Original Assignee
이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은 filed Critical 이시은
Priority to KR102014019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와 마우스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는 몸체(2)와, 손에 착용한 컴퓨터 입력장치(1)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와, 사용자의 양손을 끼움공간부(16)를 통해 끼워넣은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1)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걸이부(6)와, 몸체(2)의 일측에 다수 설치되어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글자를 입력하는 입력부(18a)~(18f)와, 상기 입력부(18a)~(18f)가 설치된 몸체(2)의 타측에 다수 설치되어 입력부(18a)~(18f)에 의해 입력되는 키보드 배열의 입력모드를 변경하는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와, 마우스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26)로 구성하여서, 양손으로 컴퓨터 입력장치(1)를 동시에 조작하여 입력함으로써 입력속도로 빠르며, 사용자의 손이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동하면서 조작하여야 하는 시간낭비가 없어 작업효율이 우수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MOUSE AND KEYBOARD INTEGRATED COMPUTER INPUT DEVICE}
본 발명은 컴퓨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우스와 키보드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효율적으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에서 키보드를 사용하여 문서작업등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도중에 마우스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 수시로 손의 위치가 키보드에서 벗어나 마우스를 조작하여야 했다.
이러한 키보드와 마우스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손이 수시로 키보드에서 벗어나 마우스를 조작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의 시간지연 및 불편함이 있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번호 제10-1432529호, '키보드 기능을 갖는 마우스'가 게시되어 있으나, 마우스에 간단한 문자입력이 가능한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한손으로 조작하여야 함에 따라 입력이 불편하고, 입력할 수 있는 문자도 많지않아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432529호, '키보드 기능을 갖는 마우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우스와 키보드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효율적으로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키보드와 마우스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는 몸체(2)와, 손에 착용한 컴퓨터 입력장치(1)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와, 사용자의 양손을 끼움공간부(16)를 통해 끼워넣은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1)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걸이부(6)와, 몸체(2)의 일측에 다수 설치되어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글자를 입력하는 입력부(18a)~(18f)와, 상기 입력부(18a)~(18f)가 설치된 몸체(2)의 타측에 다수 설치되어 입력부(18a)~(18f)에 의해 입력되는 키보드 배열의 입력모드를 변경하는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와, 마우스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2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우스와 키보드를 일체형을 형성하고 양손으로 컴퓨터 입력장치를 동시에 조작하여 입력함으로써 입력속도로 빠르며, 사용자의 손이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동하면서 조작하여야 하는 시간낭비가 없어 작업효율이 우수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입력부와 입력모드 설정부의 확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컴퓨터 입력장치를 착용한 사용상태도,
도 4는 입력부와 입력모드 설정부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의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양손에 각각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버튼을 누름으로써 키보드에서의 자판을 누르는 것과 같이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며, 하나의 장치로 키보드 기능과 함께 마우스 기능도 겸할 수 있어 타이핑작업이 효율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컴퓨터 입력장치(1)는 무선통신으로 입력신호를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게 되며, 블루투스, 적외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유선통신에 의한 신호전송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1)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는 몸체(2)와, 사용자가 착용한 컴퓨터 입력장치(1)의 움직임을 지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와, 사용자의 양손을 끼움공간부(16)를 통해 끼워넣은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1)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걸이부(6)와,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다수의 입력부(18a)~(18f)와, 상기 입력부(18a)~(18f)에 의해 입력되는 키보드 배열을 설정하는 다수의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와, 마우스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26)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4)는 컴퓨터 입력장치(1)를 일측에 부착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사용자가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한 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컴퓨터 입력장치(1)를 조작할 수 있다.
고정부(4)는 흡착패드와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컴퓨터 입력장치(1)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컴퓨터 입력장치(1)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조작하는 것임에 따라 착용한 사용자 손의 움직임을 받쳐주는 걸이부(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6)는 컴퓨터 입력장치(1)의 착용시 사용자의 손등부위를 감싸는 형태의 받침판(8)과, 사용자의 손등에 맞닿는 받침판(8)의 움직임을 밀착고정하는 지지스프링(10)과, 걸이부(6)의 스윙작동을 지지하는 힌지부(14)로 구성한다.
받침판(8)은 사용자의 손등에 편안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넓은 라운드면을 가지며, 손등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는 받침판(8)을 통해 착용한 컴퓨터 입력장치(1)가 안정감을 갖도록 한다.
상기 지지스프링(10)은 사용자의 손을 끼움공간부(16)에 끼우고 손등에 받침판(8)이 위치하는 형태로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하는 상태에서 받침판(8)이 손등에 밀착되도록 누름으로써 컴퓨터 입력장치(1)의 조작시 착용감을 높이게 된다.
이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받침판(8)은 오픈상태가 되고, 착용시에는 받침판(8)가 사용자의 손등에 밀착되며, 이때 지지스프링(10)의 양단에 형성된 누름편(12)이 받침판(8)을 눌러주어 사용자의 손등에 받침판(8)이 더욱 밀착되어 착용시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즉, 컴퓨터 입력장치(1)의 하부에는 고정부(4)에 의해 고정되고 착용한 손은 걸이부(6)에 의해 고정함에 따라 안정적인 타이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힌지부(14)는 사용자의 착용에 따라 스윙작동하는 받침판(8)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것이며, 힌지부(14)를 중심으로 받침판(8)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의 조작으로 타이핑하는 것임에 따라 손가락으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8a)~(18f)를 몸체(2)의 일측에 다수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1)는 양손에 각각 착용하여 입력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한손에만 착용하고 설정된 조작법에 따라 타이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입력부(18a)~(18f)는 손가락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에 의해 조작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손가락으로 각각의 입력부(18a)~(18f)를 조작함으로써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입력부(18a)~(18f)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입력부(18a)~(18f)는 3개의 입력버튼(20a)~(20c)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입력버튼(20a)~(20c)을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글자를 입력하게 된다.
각각의 입력버튼(20a)~(20c)은 서로 다른 설정값에 의해 입력버튼(20a)~(20c) 마다 다른 글자들이 입력되며, 후술하는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에 의해 다양한 글자들의 입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하여 조작하는 입력부(18a)~(18f)는 6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하는 경우 좌우측의 끝단에 있는 입력부(18a)(18f)에는 손가락이 놓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키보드에서와 같이 검지와 소지로 양단의 입력부(18a)(18f)를 조작함으로써 전체 입력부(18a)~(18f)를 조작하여 글자를 입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18a)~(18f) 중 검지가 위치하는 제2 입력부(18b)는 다른 입력부(18a)(18c)(18d)(18e)(18f)와 달리 입력버튼(20a)~(20c) 중 제1, 제3 입력버튼(20a)(20c)의 위치가 반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기본 위치를 설정해주는 것이며, 손가락의 검지가 제2 입력부(18b)에 놓일 수 있도록 유도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손가락으로 입력버튼(20a)~(20c)을 조작하도록 한다.
다수의 입력부(18a)~(18f)가 설치된 컴퓨터 입력장치(1)의 타측에는 착용시 엄지로 조작가능한 다수의 입력모드 설정부(22a)~(22d)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드 설정부(22a)~(22d)는 입력부(18a)~(18f)의 한정된 입력버튼(20a)~(20c)을 이용해 다양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입력값이 타이핑될 수 있도록 입력부(18a)~(18f)의 입력모드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입력모드는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맞도록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미리 설정값을 지정할 수 있으며, 통상의 키보드에서 사용하는 단축키의 설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입력부(18a)~(18f)와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의 입력버튼(24a)~(24c) 구성은 동일하며, 사용자의 착용방향 기준으로 엄지가 위치하는 곳에는 다수의 입력모드 설정부(22a)~(22d)를 설치하고,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위치하는 곳에는 다수의 입력부(18a)~(18f)를 설치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즉,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입력부(18a)~(18f)의 입력버튼(20a)~(20c)을 눌러 글자를 입력하면서 엄지로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의 입력버트(24a)~(24c)을 눌러 입력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자유로이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제6 입력부(18a)~(18f)와 제1~제4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의 형태를 도 4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입력부(25)는 손가락이 입력버튼에 맞닿은 상태에서 아래, 위로 움직이거나 입력버튼을 눌러 조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의 일측에 엄지로 터치하여 마우스기능을 갖는 터치패드(26)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26)는 화면의 커서를 움직여야하는 경우 엄지를 접촉하여 압력에 의해 위치정보를 파악한 후 커서의 포인트를 움직임으로써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26)는 마우스기능과 함께 엄지로 터치패드(26)를 누른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움직여 조이스틱기능을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터치패드(26)의 후미에는 터치패드(26)를 고정함과 함께 조이스틱기능을 갖도록 하는 터치패드 지지볼(2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엄지로 터치패드(26)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여 게임기의 조이스틱과 같은 기능을 갖도록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패드(26)를 이용하여 조이스틱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마우스 기능은 무시되게 설정하고, 반대로 마우스 기능의 사용시에는 조이스틱 기능은 무시되도록 설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마우스 기능과 조이스틱 기능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제6 입력부(18a)~(18f)와 입력모드 설정부(22a)~(22d), 터치패드(26)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조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글자를 입력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컴퓨터 입력장치(1)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6 키보드를 기초로 입력값을 설정한 것이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입력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우선 오른손에 착용하는 컴퓨터 입력장치(1)의 글자 입력방법을 설명한다.
터치패드(26)의 기능을 설명하면, 엄지를 이용하여 터치패드(26)를 터치한 상태에서 제2 입력부(18b)의 제1 입력버튼(20a)을 누르면 마우스 왼쪽버튼과 같이 작동하고, 제3 입력부(18c)의 제1 입력버튼(20a)을 누르면 마우스 오른쪽버튼과 같이 작동한다.
또한, 제2 입력부(18b)의 제1 입력버튼(20a) 또는 제3 입력부(18c)의 제1 입력버튼(20a)을 누른 상태에서 엄지로 터치패드(26)를 아래위로 터치하는 경우에는 마우스의 휠 기능으로 작동한다.
터치패드(26)에 엄지의 터치작동이 없을 경우에는 제1~제6 입력부(18a)~(18f)는 각각의 설정값이 입력되는 키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의 기능을 살펴보면,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의 제1 입력버튼(24a)은 토글식으로 작동하며, 3단계로 설정된 입력모드에 따라 제1~제6 입력부(18a)~(18f)에 의한 입력값이 변화한다. 즉,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의 제1 입력버튼(24a)을 누름으로써 제1~제6 입력부(18a)~(18f)의 입력모드가 변경되는 것이다.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의 제2 입력버튼(24b)은 키보드의 Shift키, 제2 입력모드 설정부(22b)의 제1, 제2 입력버튼(24a)(24b)은 각각 Alt, Ctrl키를 입력하여 제1~제6 입력부(18a)~(18f)의 특정키와 함께 입력하는 조합키의 기능을 하며, 제3 입력버튼(24c)은 ESC키를 입력한다.
제3, 제4 입력모드 설정부(22c)(22d)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제1~제6 입력부(18a)~(18f)의 키 배열을 설정하거나 변경, 수정하기 위한 보조키로서,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제1~제6 입력부(18a)~(18f)에 설정된 키 배열구조를 표시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의 제1 입력버튼(24a)에 의한 3단계 입력모드 변화에 따른 제1~제6 입력부(18a)~(18f)의 설정값의 예시를 설명한다.
먼저 1단계 입력모드에서 제1~제6 입력부(18a)~(18f)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값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128042253-pat00001
여기서, 제2+제1 입력버튼(20b)(20a)의 조작은 손가락으로 제2 입력버튼(20b)을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을 구부려 제1 입력버튼(20a)을 같이 누르도록 조작하는 것이다.
다음은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의 제1 입력버튼(24a)을 눌러 2단계 입력모드로 변경한 경우 제1~제6 입력부(18a)~(18f)에 의해 입력되는 설정값을 보여준다.
Figure 112014128042253-pat00002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의 제1 입력버튼(24a)을 한번 더 눌르면 제1~제6 입력부(18a)~(18f)가 3단계 입력모드로 변경되며, 입력되는 설정값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4128042253-pat00003
제1~제6 입력부(18a)~(18f)의 3단계 입력모드에서 다시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의 제1 입력버튼(24a)을 누르게 되면 다시 제1단계 입력모드로 변경되면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왼손에 착용하는 컴퓨터 입력장치(1)의 글자 입력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컴퓨터 입력장치(1)는 오른손, 왼손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본적인 터치패드(26), 제1~제4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의 조작방법은 동일하다.
아래는 왼손에 착용한 컴퓨터 입력장치(1)의 입력모드에 따른 제1~제6 입력부(18a)~(18f)의 설정값을 예시하여 보여준다.
먼저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에 의한 1단계 입력모드에서 제1~제6 입력부(18a)~(18f)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값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128042253-pat00004
다음은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의 제1 입력버튼(24a)을 눌러 2단계 입력모드로 변경한 경우 제1~제6 입력부(18a)~(18f)에 의해 입력되는 설정값을 보여준다.
Figure 112014128042253-pat00005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의 제1 입력버튼(24a)을 눌러 변경되는 3단계 입력모드는 자유설정모드로 작동하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사용시에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다. 아래는 일 예로서 단축키들을 배열한 것이다.
Figure 112014128042253-pat00006

본 발명에서는 제1~제6 입력부(18a)~(18f)에 설정된 키 배열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시 제1~제6 입력부(18a)~(18f)에 설정된 키 배열구조를 화면으로 보여줌으로써 입력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컴퓨터 입력장치(1)의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가 이를 보면서 조작방법을 연습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입력모드 설정부(22a)에 의해 변경되는 제1~제3 단계 입력모드의 변경시 제1~제6 입력부(18a)~(18f)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키 배열을 디스플레이부(30)에 보여주어 사용자가 이를 눈으로 보면서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키인 제3 입력모드 설정부(22c)의 입력버튼(24a)~(24c) 중 어느 하나를 2~3초정도 누르고 있으면 각 입력부(18a)~(18f)에 설정된 키 배열 구조를 디스플레이부(30)에 보여주며, 다시 입력버튼(24a)~(24c)을 누름으로써 각 입력단계별로 설정된 키 배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제1~제6 입력부(18a)~(18f)와 제1~제4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의 작동방법을 변경하거나 키 배열의 수정 및 추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4 입력모드 설정부(22d)의 입력버튼(24a)~(24c) 중 어느 하나를 2~3초 정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30)에 현재 설정된 제1~제6 입력부(18a)~(18f)와 제1~제4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에 미리 설정된 키 배열구조가 표시되며, 디스플레이부(30)는 수정모드로 작동하여 각각의 키 배열구조와 함께 통상의 키보드의 구조도 함께 표시된다.
사용자는 수정 및 추가하고자 하는 각 입력부(18a)~(18f)나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의 입력버튼(24a)~(24c)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30) 상에 커서가 깜빡이면서 하이라이트되며, 이때 터치패드(26)를 이용하여 키보드의 해당 키를 선택함으로써 설정된 키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키를 조합하여 단축키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마우스와 키보드를 일체형을 형성하고 양손으로 컴퓨터 입력장치(1)를 동시에 조작하여 입력함으로써 입력속도로 빠르며, 사용자의 손이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동하면서 조작하여야 하는 시간낭비가 없어 작업효율이 우수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 컴퓨터 입력장치 (2)-- 몸체
(4)-- 고정부 (6)-- 걸이부
(8)-- 받침판 (10)-- 지지스프링
(12)-- 누름편 (14)-- 힌지부
(16)-- 끼움공간부
(18a)~(18f)-- 제1~제6 입력부
(20a)~(20c)-- 제1~제3 입력버튼
(22a)~(22d)-- 제1~제4 입력모드 설정부
(24a)~(24c)-- 제1~제3 입력버튼
(25)-- 입력부
(26)-- 터치패드 (28)-- 터치패드 지지볼
(30)--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키보드와 마우스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는 몸체(2)와,
    손에 착용한 컴퓨터 입력장치(1)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와,
    사용자의 양손을 끼움공간부(16)를 통해 끼워넣은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1)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걸이부(6)와,
    몸체(2)의 일측에 다수 설치되어 컴퓨터 입력장치(1)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글자를 입력하는 입력부(18a)~(18f)와,
    상기 입력부(18a)~(18f)가 설치된 몸체(2)의 타측에 다수 설치되어 입력부(18a)~(18f)에 의해 입력되는 키보드 배열의 입력모드를 변경하는 입력모드 설정부(22a)~(22d)와,
    마우스 기능과 조이스틱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2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는 흡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입력부(18a)~(18f)와 입력모드 설정부(22a)~(22d)는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설정된 키를 입력하는 다수의 입력버튼(20a)~(20c)(24a)~(24c)을 구비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6)는 컴퓨터 입력장치(1)의 착용시 사용자의 손등부위를 감싸는 형태의 받침판(8)과, 사용자의 손등에 맞닿는 받침판(8)의 움직임을 밀착고정하는 지지스프링(10)과, 걸이부(6)의 스윙작동을 지지하는 힌지부(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26)의 후미에는 터치패드(26)의 움직임을 지지하면서 조이스틱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터치패드 지지볼(28)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1~제6 입력부(18a)~(18f)에 설정된 키 배열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입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KR1020140193917A 2014-12-30 2014-12-30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KR101604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917A KR101604473B1 (ko) 2014-12-30 2014-12-30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917A KR101604473B1 (ko) 2014-12-30 2014-12-30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473B1 true KR101604473B1 (ko) 2016-03-18

Family

ID=5565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917A KR101604473B1 (ko) 2014-12-30 2014-12-30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4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31527A (ja) 入力装置
WO2012049942A1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タッチパネルの表示方法
CN103425430B (zh) 在移动终端中支持单手输入文字的方法和设备
CN104991658A (zh) 一种指套式计算机输入设备
TWI615747B (zh) 虛擬鍵盤顯示系統及方法
KR20160019762A (ko) 터치 스크린 한손 제어 방법
CN104731469A (zh) 一种触控设备及其单手操作方法
US20080024957A1 (en) Portable apparatus with thumb control interface
JP2004094768A (ja) 手指タイピング装置と方法
KR20090093250A (ko) 터치식 가상 키보드 상의 투명 가상 마우스 방법
CN201654719U (zh) 一种手持无线触摸屏键盘鼠标
CN105335008A (zh) 在多点触控板上实现多个位置动态被动确定的按键的方法
KR101604473B1 (ko) 마우스와 키보드 일체형 컴퓨터 입력장치
TW201812559A (zh) 輸入系統與輸入方法
CN204131576U (zh) 一种便于单手操作的大屏智能手机
KR101117117B1 (ko) 정보통신기기의 입력 장치
CN104516668A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WO2005059734A3 (en) Input device for multiple use with a digitising tablet
CN201698367U (zh) 一种手感改善的无线手握式鼠标
JP3180086U (ja) タッチパネル式小型端末用操作具
KR102378503B1 (ko) 무형 마우스를 통한 정보의 입출력 방법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3229374U (ja) 片手五指入力無線キイボード
AU2011294019A1 (en) Input apparatus using all of the fingers of one hand
KR20100011716A (ko) 입력 장치
US2016014732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