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312B1 -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312B1
KR101604312B1 KR1020150040611A KR20150040611A KR101604312B1 KR 101604312 B1 KR101604312 B1 KR 101604312B1 KR 1020150040611 A KR1020150040611 A KR 1020150040611A KR 20150040611 A KR20150040611 A KR 20150040611A KR 101604312 B1 KR101604312 B1 KR 10160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ld
forming
rubber
rub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장
윤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경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경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경테크
Priority to KR102015004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16L27/1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the bellows being reinforc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16L1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having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과 다른 배관을 연결하는 신축이음관 제작과정에 발생하는 기포로 인한 제품의 불량 현상 및 금형으로부터 발췌 작업과정에서 사용하는 이형제로 인한 불량요인을 제거하여, 금형 세척과정 및 후처리 낭비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고무 신축이음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품의 내면과 외면에 생기는 기포로 인한 흠집으로 인한 불량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일론 테이프를 랩핑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표면상태 개선과, 금형으로부터의 발췌 작업이 용이하고,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이형제로 인하여 발생하였던 불량요인을 제거하며, 종래의 기술로 작업시 금형에 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시간 단축할 수 있으며, 추가작업이 필요 없어져 고무 신축이음관을 제작하는 제작환경 개선에 이바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omitted}
본 발명은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신축이음관의 제작과정에서 발생하였던, 기포로 인한 제품의 불량 현상과, 제품을 금형으로부터 발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요인을 제거 한,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신축이음관은 배관과 배관 사이에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신축이음관은 주로 고무재질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기존 제작과정의 모든 공정이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지다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한 기포들이 존재하고 있어, 제품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열팽창에 의하여 금형과 제품 사이에 축적되어 흠집이 남아있게 되면서 제품의 불량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작업이 완료된 후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발췌하는 작업과정에서 사용하는 이형제로 인한 불량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일론 랩핑테이프를 고무층 내면과 외면에 각각 랩핑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상기 랩핑테이프의 섬유 틈새를 통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게 함으로 기포가 빠져나가, 기포로 인한 흠집이 발생하지 않게 하며, 작업이 완료된 후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발췌하는 작업과정에서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쉽게 발췌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형제로 인한 불량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품의 제작 공정을 개선하여 품질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방법을 발명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05-0103790호(2005.11.01)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 신축이음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품의 내면과 외면에 생기는 기포로 인한 흠집으로 인한 불량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일론 테이프를 랩핑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개선할 수 있다.
이로써, 제품의 표면상태 개선과, 금형으로부터의 발췌 작업이 용이하고,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형제로 인하여 발생하였던 불량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 작업시 금형에 녹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녹을 제거하거나 제품의 흠집을 제거하는 등의 추가작업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제품제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하는데 효과적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내부파이프금형(10);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의 외주면에 감겨 랩핑층(20a')을 형성하는 랩핑테이프(20a);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에 고정되는 가류플랜지금형(30);
아치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에 장착되는 고무아치몰드(40);
상기 고무아치몰드(40);가 장착된 내부파이프금형(10)의 외부면에 감겨 내면고무층(50')을 형성하는 제1내열고무(50);
상기 내면고무층(50')의 외주면에 감겨 내면하포보강층(60')을 형성하는 제1보강포(60);
상기 내면하포보강층(60')의 외주면에 감겨 내부보강층(70')을 형성하는 강선(70);
상기 내부보강층(70')의 외주면에 감겨 중간고무층(80')을 형성하는 제2내열고무(80);
상기 중간고무층(80')의 외주면에 감겨 내면상포보강층(90')을 형성하는 제2보강포(90);
상기 내면상포보강층(90')의 외주면에 감겨 외부고무층(100')을 형성하는 제3내열고무(100);
상기 내면고무층(50')에서 외면고무층(100')까지 적층된 적층구조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가류플랜지금형(30)과 체결되는 플랜지보강스틸링(11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고무 신축이음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품의 내면과 외면에 생기는 기포로 인한 흠집으로 인한 불량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일론 테이프를 랩핑하는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완성된 제품의 표면상태 개선과, 금형으로부터의 발췌 작업이 용이하고,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이형제로 인하여 발생하였던 불량요인을 제거하며, 종래의 기술로 작업시 금형에 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녹을 제거하거나 제품의 흠집을 제거하는 등의 추가작업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고무 신축이음관을 제작하는 제작환경 개선에 이바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부파이프금형랩핑단계(S-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볼트고정단계(S-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몰드장착단계(S-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면고무층적층단계(S-4)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면하포보강단계(S-5)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부보강층형성단계(S-6)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중간고무층형성단계(S-7)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면상포보강단계(S-8)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외부고무층형성단계(S-9)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체결플랜지부형성단계(S-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제2랩핑단계(S-1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적층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몰드장착단계(S-3)까지 실시한 실시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부보강층형성단계(S-6)를 실시한 실시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으로 제작하여 종래 기술로 제작한 제품과 비교한 비교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인용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발명으로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을 먼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내부파이프금형(10);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의 외주면에 감겨 랩핑층(20a')을 형성하는 랩핑테이프(20a);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에 고정되는 가류플랜지금형(30); 아치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에 장착되는 고무아치몰드(40); 상기 고무아치몰드(40);가 장착된 내부파이프금형(10)의 외부면에 감겨 내면고무층(50')을 형성하는 제1내열고무(50); 상기 내면고무층(50')의 외주면에 감겨 내면하포보강층(60')을 형성하는 제1보강포(60); 상기 내면하포보강층(60')의 외주면에 감겨 내부보강층(70')을 형성하는 강선(70); 상기 내부보강층(70')의 외주면에 감겨 중간고무층(80')을 형성하는 제2내열고무(80); 상기 중간고무층(80')의 외주면에 감겨 내면상포보강층(90')을 형성하는 제2보강포(90); 상기 내면상포보강층(90')의 외주면에 감겨 외부고무층(100')을 형성하는 제3내열고무(100); 상기 내면고무층(50')에서 외면고무층(100')까지 적층된 적층구조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가류플랜지금형(30)과 체결되는 플랜지보강스틸링(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배관과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이음관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 방법으로 제작할 때 발생하였던 불량현상의 요인을 제거하여 제품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는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전체적인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파이프금형(10), 랩핑층(20a'), 가류플랜지금형(30), 고무아치몰드(40), 내면고무층(50'), 내면하포보강층(60'), 내부보강층(70'), 중간고무층(80'), 내면상포보강층(90'), 외면고무층(100'), 랩핑층(20') 차례로 적층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적층이 완료된 적층구조체를 가마에 찌는 방법으로 형태를 형성하며, 형태 형성이 완료되면, 금형에서 제품을 발췌하여 신축이음관이 제작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부파이프금형랩핑단계(S-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랩핑테이프(20a)를 이용하여 형성된 층을 랩핑층(20a')이라 칭하기로 한다.
내부파이프금형랩핑단계(S-1)는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 외부에 랩핑테이프(20a)를 이용하여 랩핑층(20a')을 형성하는 단계로써,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의 외주면에 감겨 층을 형성하는 랩핑테이프(20a)의 섬유 틈새를 통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게 되면서, 기포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기포가 제품 성형과정 중 빠져나가지 못하고 내부에 존재하면, 최종 제품의 표면에 엠보싱 형태로 형상이 만들어지므로, 이는 제품 외관 품질 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성형 과정중 적절히 기포를 인출시킬 경우에는 기포로 인하여 발생하는 흠집(엠보싱 형태의 자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부파이프금형(10)이 랩핑되기 때문에 외부와 차단되어 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을 금형에서 발췌하는 과정에서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이형제로 인한 불량요인이 제거된다.
상기 랩핑테이프(20a)는 나일론 재질의 랩핑테이프를 사용하지만, 랩핑테이프의 재질은 나일론 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볼트고정단계(S-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파이프금형랩핑단계(S-1) 다음으로 진행하는 단계로써, 볼트고정단계(S-2)는 만들고자 하는 플랜지 종류 및 크기에 알맞도록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과 가류플랜지금형(30)을 세팅하여 볼트로 고정하는 단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몰드장착단계(S-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고정단계(S-2) 다음으로 진행하는 단계로써,
몰드장착단계(S-3)는 상기 볼트로 고정된 내부파이프금형(10)의 외주면에 상기 고무아치몰드(40)를 장착하는 단계로, 본 단계는 신축이음관의 진동 및 충격 흡수를 위한 충격흡수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면고무층적층단계(S-4)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내열고무(50)를 적층하여 형성된 층을 내면고무층(5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몰드장착단계(S-4) 다음으로 진행하는 단계로써,
내면고무층적층단계(S-4)는 상기 랩핑층(20a')과 고무아치몰드(40)가 장착된 내부파이프금형(10)의 외주면에 제1내열고무(50)를 적층하여 내면고무층(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면하포보강단계(S-5)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보강포(60)를 적층하여 형성된 층을 내면하포보강층(6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내면고무층적층단계(S-4) 다음으로 진행하는 단계로써,
내면하포보강단계(S-5)는 상기 내면고무층(50')의 외주면에 제1보강포(60)를 감아 내면을 보강하는 내면하포보강층(6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부보강층형성단계(S-6)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강선(70)을 감아 형성하는 층을 내부보강층(70')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내면하포보강단계(S-5) 다음으로 진행하는 단계로써,
내부보강층형성단계(S-6)는 상기 내면하포보강층(60')의 외주면에 강선(70)을 감아 내부보강층(7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플랜지의 전체적인 형상을 잡아주는 단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중간고무층형성단계(S-7)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2내열고무(80)를 감아 적층하여 형성된 층을 중간고무층(8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내부보강층형성단계(S-6) 다음으로 진행 단계로써,
중간고무층형성단계(S-7)는 상기 내부보강층(70')의 외주면에 제2내열고무(80)를 감아 적층하여 중간고무층(8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면상포보강단계(S-8)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2보강포(90)를 감아 형성하는 층을 내면상포보강층(9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중간고무층형성단계(S-7) 다음으로 진행하는 단계로써, 내면상포보강단계(S-8)는 상기 중간고무층(80')의 외주면에 제2보강포(90)를 감아 내면상포보강층(9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외부고무층형성단계(S-9)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3내열고무(100)를 감아 형성된 층을 외면고무층(10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내면상포보강단계(S-8) 다음으로 진행하는 단계로써, 외부고무층형성단계(S-9)는 상기 내면상포보강층(90')의 외주면에 제3내열고무(100)를 감아 적층하여 외면고무층(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체결플랜지부형성단계(S-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고무층형성단계(S-9) 다음으로 진행하는 단계로써,
체결플랜지부형성단계(S-10)는 상기 외면고무층(100')을 형성한 후, 체결플랜지부(111)를 만들기 위하여 플랜지보강스틸링(110)을 장착하여 플랜지의 연결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플랜지보강스틸링(110)을 상부와 하부에서 장착하여 체결플랜지부(111)를 형성하게 되며, 두 개의 플랜지보강스틸링(110)을 이용하여 하나의 체결플랜지부(111)가 형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제2랩핑단계(S-1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랩핑테이프(20)를 감아 형성되는 층을 랩핑층(2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체결플랜지부형성단계(S-10) 다음으로 진행하는 단계로써, 제2랩핑단계(S-11)는 외부고무층(100')의 외주면에 랩핑테이프(20)를 감아 랩핑층(20')을 형성하여 플랜지의 외부면에 생기는 기포에 의한 흠집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 랩핑테이프(20a)의 섬유 틈새를 통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게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적층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된 내면고무층(50'), 내면하포보강층(60'), 내부보강층(70'), 중간고무층(80'), 내면상포보강층(90') 및 외면고무층(100')이 순차적으로 적층 된 적층구조체를 도시하였으며, 상기 적층구조체를 가마에 찌는 단계로, 신축이음관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열을 가하는 단계인 형태형성단계(S-12)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형태형성단계(S-12) 다음으로 진행하는 단계로써,
금형철거단계(S-13)는 상기 형태형성단계(S-12)에서 가열한 적층구조체를 상온에서 냉각시키고,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을 철거하는 단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몰드장착단계(S-3)를 실시한 실시사진이다.
도 14와 같이, 내부파이프금형(10)에 (S-1)단계와 (S-2)단계 이후 고무아치몰드(40)를 장착하는 실시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의 내부보강층형성단계(S-6)를 실시한 실시사진이다.
도 15와 같이, 내부보강층형성을 위하여 강선(70)을 감고 있는 실시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으로 제작하여 종래 기술로 제작한 제품과 비교한 비교 사진이다.
도 16와 같이, 본 발명의 제작방법으로 제작한 제품의 단면에 기포로 인한 흠집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로 제작한 제품보다 우수한 품질의 제품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품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열팽창에 의하여 금형과 제품 사이에 축적되어 흠집이 남아있게 되면서 제품의 불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랩핑단계 (S-1), (S-11)를 추가하여 적용하여, 불량 현상을 개선하였다.
또한, 작업이 완료된 후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발췌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이형제로 인한 불량현상이 발생하는데, 상기 랩핑단계(S-1), (S-11)를 추가 적용함으로써,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금형으로부터 제품의 발췌가 용이하여, 상기 이형제로 인한 불량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 작업시 금형에 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시간 단축할 수 있으며, 추가작업이 필요 없어져 고무 신축이음관을 제작하는 제작환경 개선에 이바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10 : 내부파이프금형
20, 20a : 랩핑테이프
20', 20a' : 랩핑층
30 : 가류플랜지금형
40 : 고무아치몰드
50 : 제1내열고무
50' : 내면고무층
60 : 제1보강포
60' : 내면하포보강층
70 : 강선
70' : 내부보강층
80 : 제2내열고무
80' : 중강고무층
90 : 제2보강포
90' : 내면상포보강층
100 : 제3내열고무
100' : 외면고무층
110 : 플랜지보강스틸링
111 : 체결플랜지부

Claims (3)

  1. 내부파이프금형(10)의 외주면에 랩핑테이프(20a)를 감아 랩핑층(20a')을 형성하는 내부파이프금형랩핑단계(S-1);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과 가류플랜지금형(30)을 고정하는 볼트고정단계(S-2);
    상기 내부파이프금형(10)의 외주면에 고무아치몰드(40)를 장착하는 몰드장착단계(S-3);
    상기 고무아치몰드(40)가 장착된 내부파이프금형(10)의 외주면에 제1내열고무(50)를 적층하여 내면고무층(50')을 형성하는 내면고무층적층단계(S-4);
    상기 내면고무층(50')의 외주면에 제1보강포(60)를 감아 내면하포보강층(60')을 형성하는 내면하포보강단계(S-5);
    상기 내면하포보강층(60')의 외주면에 강선(70)을 감아 내부보강층(70')을 형성하는 내부보강층형성단계(S-6);
    상기 내부보강층(70')의 외주면에 제2내열고무(80)를 적층하여 중간고무층(80')을 형성하는 중간고무층형성단계(S-7);
    상기 중간고무층(80')의 외주면에 제2보강포(90)를 감아 내면상포보강층(90')을 형성하는 내면상포보강단계(S-8);
    상기 내면상포보강층(90')의 외주면에 제3내열고무(100)를 적층하여 외면고무층(100')을 형성하는 외부고무층형성단계(S-9);
    상기 외면고무층(100')을 형성한 후, 체결플랜지부(111)를 만들기 위하여 플랜지보강스틸링(110)을 배치하여 체결플랜지부(111)를 형성하는 체결플랜지부형성단계(S-10);
    상기 내면고무층(50'), 내면하포보강층(60'), 내부보강층(70'), 중간고무층(80'), 내면상포보강층(90') 및 외면고무층(1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구조체를 가마에 찌는 형태형성단계(S-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플랜지부형성단계(S-10) 이후, 외면고무층(100)의 외주면에 랩핑테이프(20)를 랩핑층(20')을 형성하는 제2랩핑단계(S-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

  3. 삭제
KR1020150040611A 2015-03-24 2015-03-24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 KR10160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11A KR101604312B1 (ko) 2015-03-24 2015-03-24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11A KR101604312B1 (ko) 2015-03-24 2015-03-24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312B1 true KR101604312B1 (ko) 2016-03-17

Family

ID=5565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611A KR101604312B1 (ko) 2015-03-24 2015-03-24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496B1 (ko) * 2016-11-11 2018-03-29 (주)영일엔지니어링 대구경 장척 호스 제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250A (ja) 1998-08-07 2000-02-22 Komatsu Ltd ホース
KR101423435B1 (ko) * 2013-12-02 2014-07-25 오화진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250A (ja) 1998-08-07 2000-02-22 Komatsu Ltd ホース
KR101423435B1 (ko) * 2013-12-02 2014-07-25 오화진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496B1 (ko) * 2016-11-11 2018-03-29 (주)영일엔지니어링 대구경 장척 호스 제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76737A (en) Corrugated annularly reinforced hos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2727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rrugated tubes
HK1131767A1 (en) Method for minimizing fiber distortion during fabrication of one-piece composite barrel section
KR101604312B1 (ko)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의 기포방생 방지방법
JP4806835B2 (ja) 管ライニング工法及びライニング管
JPWO2008065951A1 (ja) 更生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0238062A (ja) 積層ゴム支承体の成型方法および成型装置
CN103267179B (zh) 一种弹性体复合吸泥胶管及其生产工艺
JP2016007756A (ja) 空気入りタイヤの加硫成形方法
JP2013095096A (ja) タイヤ加硫金型の設計方法
CN206633281U (zh) 一种变壁厚复合材料裙的制备工装
JP6742594B2 (ja) タイヤ加硫用金型
WO2020000980A1 (zh) 一种踝足矫形器的一步成型工艺和踝足矫形器
JP5396026B2 (ja) 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貫通孔成形型
WO2009049446A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batte de baseball
JP2007098907A (ja) タイヤ用モールド及びタイヤ製造方法
JP2006283788A (ja) マリンホースとその製造方法
KR101824732B1 (ko) 반전형 에어펜더및 그 제조방법
US20160074974A1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moulds for the manufacturing of glass parts and containers
JP2001232644A (ja) タイヤ加硫成形用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513629A (ja) 2つの部品を改変するための一体形成部分を用いた、同部品の密着接合の方法
JPS58114931A (ja) 筒状複合ゴム予備成形品のだき込みエア除去方法
TWI583460B (zh) 改善連續鑄造生產之金屬胚之頭端品質的方法
JP2019199006A (ja) タイヤ成型用金型の製造方法
KR101176750B1 (ko) 냉간가공을 이용한 플랜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