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300B1 -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 - Google Patents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300B1
KR101604300B1 KR1020140018080A KR20140018080A KR101604300B1 KR 101604300 B1 KR101604300 B1 KR 101604300B1 KR 1020140018080 A KR1020140018080 A KR 1020140018080A KR 20140018080 A KR20140018080 A KR 20140018080A KR 101604300 B1 KR101604300 B1 KR 10160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able
control unit
state
unit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036A (ko
Inventor
임종훈
전철우
Original Assignee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3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용 부재와 소모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 제공된 식별 소자를 포함하는 소모품이 장착되는 소모품 장착부; 상기 소모 부재가 사용되는 소모 부재 사용부; 상기 식별 소자로부터 상기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소모품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유효성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 {CONSUMABLE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ONSUMABLES AND APPARATUS FOR USING CONSUMABLES}
본 발명은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품 자동 포장 장치는 병원 또는 약국에 비치되어 약사가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으로 분배한 약품을 자동으로 포장하는 장치를 말한다. 약품 자동 포장 장치에는 약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지가 릴 부재에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되며, 포장지 공급 장치 등에 의해서 릴 부재로부터 권출된다. 그리고 포장지가 모두 소진된 경우, 릴 부재는 포장지 공급자에 의해 회수된 후 포장지가 보충되어 약품 자동 포장 장치에 재 공급될 수 있다.
포장지 공급자간의 과다 경쟁이나, 포장지 소비자의 포장 비용 절감 등을 이유로 포장지의 보충 시 정품 포장지가 아닌 가품 포장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가품 포장지의 사용으로 인해 약품 자동 포장 장치에 고장이 날 수 있다.
그리고 약품 포장지뿐만 아니라 교체가 예정된 소모품은 유통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소모품을 사용하는 장치에 고장이 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모품을 사용하여 생산된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모품을 사용하는 장치의 생산자가 당해 소모품도 생산하는 경우에는, 자신들이 생산한 소모품 사용 장치의 수명 내에서 제 3 자가 생산한 소모품이 사용됨으로써 생산자가 기대하는 수준의 소모품을 판매하지 못하는 영업상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즉, 애프터마켓(AFTER MARKET)에서 재생산되는 소모품에 의해 소모품 사용 장치의 생산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또한, 교체가 예정되어 있고 타용도가 없는 특정 소모품을 사용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에 관한 특허권을 가진 권리자로부터 정당한 권원을 획득하지 않은 제 3 자가 상기 특정 소모품을 생산, 판매할 경우 특허권의 간접 침해가 형성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간접 침해를 실질적으로 예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15375호 (2006.02.1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승인된 공급처에서 생산, 보충, 판매되는 제품만이 시장에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모품의 상태에 따라 소모품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애프터마켓에서 재생산된 저급한 소모품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용 부재와 소모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 제공된 식별 소자를 포함하는 소모품이 장착되는 소모품 장착부; 상기 소모 부재가 사용되는 소모 부재 사용부; 상기 식별 소자로부터 상기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소모품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유효성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에는 상기 소모품의 식별 정보와, 상기 소모품의 사용 여부와, 상기 소모 부재의 사용량과, 상기 소모품의 사용 시각과,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 부재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소모 부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모 부재 감지부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소모 부재의 사용량을 판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량을 상기 식별 소자에 쓸 수 있고, 상기 상태 정보에는 상기 사용량이 포함된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량을 메모리에 기 저장된 사용량 또는 상기 식별 소자로부터 읽은 사용량과 비교하여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품을 상기 소모 부재 사용부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효성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생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규칙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이 시작된 경우 상기 식별 소자에 기록된 상기 소모품의 사용 여부를 수정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 또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량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식별 소자에 기록된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를 수정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에는 상기 정상 상태 여부가 포함되고, 상기 유효성은 상기 정상 상태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모품 장착부가 설치되는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읽는 리더기와 상기 상태 정보를 쓰는 라이터기를 포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품은 단속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효성을 상기 소모품이 사용될 때마다 판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식별 소자에 상기 상태 정보를 쓰기 전에 상기 식별 소자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쓰고 난 후에는 상기 식별 소자를 잠금 모드로 설정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 부재가 상기 소모 부재 사용부에 공급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공급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와 상기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소자는 RFID 식별 소자, NFC 식별 소자 중 하나인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품 장착부는 상기 통신부의 동작 중 상기 소모품을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 판단 여부를 음향 또는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 부재는 약품 포장지이고, 상기 수용 부재는 릴 부재이고, 상기 소모 부재 사용부는 약품 포장기인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효성의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약품 포장지의 공급을 차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품 포장지의 잔량을 측정하는 소모 부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품 포장지의 잔량에 따라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거나, 상기 잔량을 상기 식별 소자에 기록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 부재 감지부는 상기 약품 포장지 롤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감지 센서인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품 포장지 롤이 사용될 때 상기 약품 포장지의 잔량을 측정하여 상기 식별 소자에 기록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품 포장지의 잔량이 기 설정된 범위인 경우 상기 식별 소자에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를 비정상으로 기록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지가 상기 소모 부재 사용부에 공급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공급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상태 감지부에서 상기 약품 포장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약품 포장지의 잔량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패치 보드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소모품 장착부가 설치된 본체에 탈착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품은 다수 개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 개의 소모품의 식별 소자로부터 읽은 다수 개의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각각의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 소자의 상기 상태 정보만 수정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소자는 다수 개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소자로부터 읽은 다수 개의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각각의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 소자의 상기 상태 정보만 수정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모품 사용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소모품으로서, 수용 부재; 상기 수용 부재에 제공되는 소모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소모품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상태 정보가 기록된 식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에 따라 상기 소모품 사용 장치에 의해 수정될 수 있는 소모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소자는 상기 소모품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수용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소모품의 식별 정보와, 상기 소모품의 사용 여부와, 상기 소모 부재의 사용량과, 상기 소모품의 사용 시각과,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소모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품의 사용이 완료되거나 상기 소모품의 사용량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가 되면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는 비정상으로 수정되는 소모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 부재의 보충 시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는 정상으로 수정되는 소모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품의 사용 여부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 시작 시 사용으로 수정되는 소모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 부재의 보충 시 상기 소모품의 사용 여부는 미사용으로 수정되는 소모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 부재의 사용량 및 상기 소모품의 사용 시각은 상기 소모품이 사용될 때마다 수정되는 소모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소자는 RFID 식별 소자, NFC 식별 소자 중 하나인 소모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해 생성되는 소모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용 부재와 소모 부재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유통하는 소모품 유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에 식별 소자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식별 소자에 상기 소모품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소모품 사용 장치를 보유한 사용처에 상기 소모품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소모품 사용 장치에서 상기 상태 정보가 수정된 상기 소모품을 제공받아 상기 소모 부재를 보충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상기 상태 정보를 정상으로 수정하여 상기 사용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모품의 유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품 사용 장치는 전술된 소모품 사용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소모품 사용 장치인 소모품의 유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품은 전술된 소모품 중 어느 하나의 소모품인 소모품의 유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소자는 RFID 식별 소자, NFC 식별 소자 중 하나인 소모품의 유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는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해 생성되는 소모품의 유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승인된 공급처에서 생산, 보충, 판매되는 제품만이 시장에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소모품의 상태에 따라 소모품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애프터마켓에서 재생산된 저급한 소모품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모품 유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모품 및 소모품 사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모품이 약품 포장지 롤이고, 소모품 사용 장치가 약품 포장 장치인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약품 포장지 롤이 제어부의 제어 하에 사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약품 포장지에 단락이 발생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약품 포장지 롤이 약품 포장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모품 유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모품 및 소모품 사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모품(10)은 소비되어 소진되는 소모 부재(11)를 포함하는 물품이며, 소모 부재(11)는 다시 보충되어 재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소모품 사용 장치(1)는 이러한 소모품(10)을 사용하여 소모 부재(11)를 소비할 수 있는 장치이고, 소모품(10)은 소모품 사용 장치(1)에 장착되어 소모 부재(11)가 소진될 때까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품(10)은 잉크 카트리지, 약품 포장지 롤, 충전용 배터리 등일 수 있으며, 소모품 사용 장치(1)는 프린터, 약품 포장기, 전자제품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모품(10) 및 소모품 사용 장치(1)는 소모품(1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소모품(10)이 승인된 공급처에서 생산, 보충된 경우에만 소모품 사용 장치(1)에 의해 사용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모품(10)의 보충은 소모품(10)에 소모 부재(11)를 공급함으로써 소모품(10)을 다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소모품(10)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속성, 상태와 관련된 임의의 정보일 수 있고, 승인된 공급처에서 생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모품(10)이 승인된 공급처에서 생산 또는 보충되었는지 여부는 소모품(10)의 정품 여부라고 표현될 수 있다.
소모품(10)의 정품 여부는 소모품(10)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효성은 소모품(10)이 정품인지 여부 및 사용이 승인된 제품인지 여부 및 정상적인 유통 경로를 통해 유통된 제품인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이 식별된 상태를 의미하며 정상/비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모품(10)의 유통 방법은 소모품(10)에 식별 소자(13)를 제공하는 단계, 식별 소자(13)에 소모품(10)의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소모품(10)을 사용처에 공급하는 단계, 소모품(10)의 소모 부재(11)를 보충하는 단계, 소모 부재(11)가 보충된 소모품(10)을 사용처에 재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인 공급처는 소모품(10)을 생산 및 보충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공급처로서, 소모품(10)에 식별 소자(13)를 제공하고, 식별 소자에 소모품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상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소모품(10)을 생산 및 보충할 수 있는 권한은 소모품 사용 장치(1)의 제조사, 소모품(10) 및 소모품 사용 장치(1)를 적법하게 생산, 판매할 수 있는 자(예를 들어 특허권자) 등이 갖는 권한, 또는 그들로부터 부여 받은 권한일 수 있다.
식별 소자(13)는 소모품(10)에 부착되거나 매설되는 것 등의 방법으로 소모품(10)에 제공될 수 있다.
승인 공급처에서는 최초 소모품(10)을 생산할 때 식별 소자(13)에 소모품(10)의 상태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 이 때 식별 소자(13)에 기록되는 상태 정보는 소모품(10)의 유효성이 정상 상태로 판단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정상 상태의 상태 정보를 갖는 소모품(10)은 소모품 사용 장치(1)에 의해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승인 공급처는 소모품 사용 장치(1)를 보유한 사용처에 소모품(10)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 때, 소모품 사용 장치(1)는 식별 소자(13)에 기록된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사용처에 공급된 소모품(10)이 모두 소진되면, 소모품 사용 장치(1)는 소모품(10)의 유효성이 비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식별 소자(13)의 상태 정보를 수정한다. 비정상 상태 정보를 갖는 소모품(10)은 더 이상 소모품 사용 장치(1)에 의해 사용될 수 없다.
식별 소자(13)에 기록된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상태 정보는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규칙을 알지 못하는 승인된 공급처는 유효성이 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없다. 즉, 사용이 완료된 소모품(10)이 소모품(10)을 제작 및 공급할 권한이 없는 미승인 공급처로 제공된 후 소모 부재(11)가 보충되더라도 미승인 공급처는 식별 소자(13)의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없으므로, 소모품(10)의 유효성은 비정상 상태가 유지되며, 이에 따라 소모품 사용 장치(1)에 의해 사용될 수 없다.
사용처는 지속적으로 소모품(1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모품(10)을 승인 공급처로 반환해야 하며, 승인 공급처는 소모품(10)에 소모 부재(11)를 보충한 후, 소모품(10)의 상태 정보를 다시 유효성이 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수정해서 사용처로 재 공급한다. 따라서 정당한 권한을 갖는 소모품(10)의 생산자 또는 공급자만이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모품(10)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모품(10) 및 소모품 사용 장치(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소모품(10)은 실질적으로 소비되어 소모되는 소모 부재(11) 및 소모 부재(1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부재(12)를 포함한다. 소모품(10)은 소모 부재(11)가 모두 소진된 경우 수용 부재(12)에 소모 부재(11)가 보충되어 다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소모품(10)에는 소모품(10)의 상태 정보가 저장 및 수정될 수 있는 식별 소자(13)가 제공되며, 식별 소자(13)는 일 예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되는 태그(TAG)일 수 있으며, 수용 부재(12)에 장착된다. 소모품(10)은 하나의 식별 소자(13)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러 개의 식별 소자(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 소자(13)로 RFID 태그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식별 소자(13)는 데이터를 쓰거나 수정하는 것을 제한하는 잠금(LOCK)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식별 소자(13)에 기록된 정보가 무단으로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식별 소자(13)에 기록되는 상태 정보에는 소모품(10)의 식별 정보, 소모품(10)의 사용 여부, 소모 부재(11)의 사용량, 소모품(10)의 사용 시각 그리고 소모품(10)의 정상 상태 여부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전술된 정보 중의 일부 정보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태 정보는 일정한 규칙을 갖고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모품(10)의 식별 정보는 어느 하나의 특정 소모품(10)이 다른 하나의 소모품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서, 각각의 소모품(10)에 할당된 고유의 코드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소모품(10)의 식별 정보로, 해당 소모품(10)에 제공된 식별 소자(13)의 RFID 태그 ID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모품(10)의 사용 여부는 소모품(10)이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사용/미사용 상태로 구별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일 예로, 생산 또는 보충된 소모품(10)의 사용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소모품(10)의 사용 여부가 '미사용'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된 소모품(10)이 보충되는 경우에는 소모품(10)의 사용 여부가 '사용' 상태에서 '미사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모 부재(11)의 사용량은 소모품(10)에 제공된 소모 부재(11)가 사용된 양 또는 미사용된 양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으며, 길이, 두께, 부피, 무게 등 다양한 형태의 물리량이 사용되거나, 백분율 등의 비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모품(10)의 사용 시각은 소모품(10)이 소모품 사용 장치(1)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기록되는 시각이거나, 사용이 지속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모품(10)의 정상 상태 여부는 소모품(10)이 승인 공급처에서 생산, 보충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서, 정상/비정상 상태로 구별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모품 사용 장치(1)는 소모품(10)의 정상 상태 여부만 읽어도 당해 소모품(10)이 정품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소모품(10)의 정상 상태 여부는 승인 공급처에서 사용처로 소모품(10)이 공급될 때에는 '정상' 상태로 기록되어 있으며, 사용처에서 소모품(10)의 사용이 완료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되면 '비정상'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모품(10)을 사용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1)는 본체(100, 도 3참조), 소모품 장착부(200), 소모 부재 사용부(300), 통신부(400), 감지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소모품 사용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소모품 장착부(200), 소모 부재 사용부(300), 통신부(400), 감지부(500) 및 제어부(6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소모품(10)이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소모품 장착부(200)는 소모품(1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소모품(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소모품(10)이 롤 형태일 경우 소모품 장착부(200)는 롤의 중앙을 관통할 수 있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소모품 장착부(200)는 후술되는 구동부(7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700)는 소모품(10)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소모 부재(11)를 소모 부재 사용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소모 부재 사용부(300)는 소모품(10)의 소모 부재(11)가 사용되는 부분으로, 소모품(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소모 부재(11)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품(10)이 잉크 카트리지인 경우 소모 부재 사용부(300)는 프린터의 인쇄 모듈일 수 있으며, 소모품(10)이 약품 포장지 롤인 경우 소모 부재 사용부(300)는 약품 포장기일 수 있다.
또한, 구동부(700)는 소모 부재(11)를 소모 부재 사용부(300)에 공급하며, 모터,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400)는 소모품(10)의 식별 소자(13)와 통신하여 식별 소자(13)로부터 소모품(10)의 상태 정보를 읽거나 쓸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이러한 상태 정보를 제어부(600)로 전달하고 제어부(600)의 명령에 따라 식별 소자(13)에 상태 정보를 새로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가 무단으로 수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식별 소자(13)를 잠금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잠금 모드는 통신부(400)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00)는 식별 소자(13)로부터 상태 정보를 읽는 리더기 및 식별 소자(13)에 상태 정보를 쓰는 라이터기를 각각 구비하거나 하나의 장치에 리더기와 라이터기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식별 소자(13)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 소자(13)가 RFID 태그인 것을 예로 들고 있는 바, 통신부(400)는 RFID 리더일 수 있다.
감지부(500)는 소모 부재(11)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소모 부재 감지부(510) 및 소모 부재(11)가 소모 부재 사용부(300)에 공급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공급 상태 감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모 부재 감지부(510)는 소모 부재(11)의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소모 부재(11)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소모 부재 감지부(510)는 소모 부재(11)가 사용된 후 수용 부재(12)에 남아 있는 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소모 부재 감지부(510)는 제어부(600)의 명령에 따라 소모 부재(11)의 상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소모 부재 감지부(510)는 소모 부재(11)의 상태를 일정 주기를 갖고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소모 부재 감지부(510)는 소모 부재(11)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소모품(10)이 포장지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고 롤(ROLL) 형태로 권취된 물품인 경우에는 수용 부재(12)에 잔류하고 있는 소모 부재(11)의 두께를 측정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소모 부재(11)가 유체인 경우에는 중량 또는 부피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공급 상태 감지부(520)는 소모 부재(11)의 이동 경로 상에 장착되고, 소모 부재(11)의 이동 즉, 공급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중단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60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 상태 감지부(520)는 소모품 장착부(200) 및 소모 부재 사용부(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소모 부재 사용부(300), 통신부(400), 감지부(500), 구동부(700) 및 후술될 출력부(800)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소모품 사용 장치(1)에 제공된 메모리(900)에 기 저장된 정보와 통신부(400) 및 감지부(5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비교하여, 소모품(10)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900)에는 식별 소자(13)에 기록된 상태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형성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통신부(400) 및 감지부(600)로부터 전송된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식별 소자(13)에 소모품(10)의 유효성이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로 기록되어 있는지 또는 식별 소자(13)에 기록된 식별 정보가 메모리(900)에 저장된 기준 정보의 규칙에 부합하게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소모품(10)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식별 소자(13)에 기록된 소모품(10)의 사용 여부에 따라 소모품(10)이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 시각에 따라 변화되는 소모품(10)의 사용량에 따라 소모품(10)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어느 한 시점의 사용 시각과 그 이전 사용 시각의 사용량을 비교하여, 이전 시각의 사용량보다 이후 시각의 사용량이 감소한 경우 소모품(10)이 유효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소모품(10)의 유효성 판단 결과에 따라서 소모 부재 사용부(300) 및 구동부(70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소모품(10)이 유효성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소모 부재 사용부(300) 및 구동부(700)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비정상적으로 동작시켜, 사용자가 소모품 사용 장치(1)를 통해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0)에는 제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미도시)가 별도로 제공되고 제어부(600)는 소모품(10)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메인 제어부(미도시)가 별도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제어부(600)가 상기 서술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메인 제어부 및 서브 제어부로 구성되어 별도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제어부는 소모 부재 사용부(300) 및 구동부(70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서브 제어부는 소모품(10)의 정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어부(600)나 서브 제어부는 본체(100)에 제공된 입출력 단자를 통해 연결 가능한 패치 보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소모품(10)이 정품임을 판단하기 위해서, 통신부(400)를 통해 전송된 소모품(10)의 상태 정보가 정상적인 규칙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소모품(10)이 사용되는 과정에서 소모품(10)의 유효성 판단을 주기적으로 또는 규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비정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600)는 소모품(10)이 소모품 장착부(200)에 장착되어 소모품(10)의 사용이 시작된 경우 식별 소자(13)에 소모품(10)의 사용 여부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소모 부재 감지부(510)로부터 전송 받은 소모 부재(11)의 상태로부터 소모 부재(11)의 사용량을 판단할 수 있으며, 소모품(10)의 사용 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사용량 정보를 식별 소자(13) 또는 메모리(900)에 반복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식별 소자(13) 또는 메모리(900)에 쓰여진 기존의 사용량 정보와 최후 사용량 정보를 비교하여 소모품(10)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소모 부재(11)가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소모품(10)이 비정상적으로 교체되거나 보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소모품(10)의 사용량을 판단하기 위해서 소모 부재(11)의 두께 변화를 이용하는 경우, 소모 부재 감지부(510)는 수용 부재(12) 상에 남아 있는 소모 부재(11)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두께를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최후로 전송된 두께와 그 이전에 측정되어 기록된 두께를 비교하여 소모 부재(11)가 사용된 양을 환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이렇게 판단된 소모 부재(11)의 사용량을 통신부(400)를 통해 식별 소자(13)에 다시 쓸 수 있다. 따라서 소모 부재(11)가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소모 부재(11)의 양이 증가할 경우 제어부(600)는 소모품(10)이 유효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소모품(10)이 모두 소진 되면, 제어부(600)는 수용 부재(12)의 부정한 재사용을 막기 위해서, 식별 소자(13)의 유효한 정상 상태 정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도록 상태 정보를 비정상 상태로 수정할 수 있다. 이 때, 소모 부재 감지부(510)의 감지 오차 범위가 존재할 수도 있으므로, 소모품(10)의 사용량 정보가 기 설정된 일정 범위 이내이면 제어부(600)는 소모품(10)이 전량 소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공급 상태 감지부(520)가 소모품(10)을 감지할 경우에만, 즉 소모품(10)이 소모품 장착부(100)에 제공된 경우에만 소모품 사용 장치(1)가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소모품(10)이 제공되지 않거나 정품이 아닌 경우 스피커 또는 스크린과 같은 출력부(8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소모품(10) 장착 안내 메시지 또는 소모품(10)이 가품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출력부(800)는 기타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모품 및 소모품 사용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 소모품이 약품 포장지 롤이고 소모품 사용 장치는 약품 포장 장치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모품이 약품 포장지 롤이고, 소모품 사용 장치가 약품 포장 장치인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약품 포장지 롤이 제어부의 제어 하에 사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약품 포장지에 단락이 발생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소모품(10)은 약품 포장지롤 (10')이고, 소모 부재(11)는 약품 약품 포장지(11')이고 수용 부재(12)는 릴 부재(12')이고, 소모 부재 사용부(300)는 약품 포장기(300')이고, 소모품 사용 장치(1)는 약품 포장 장치(1')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약품 포장지 롤(10') 및 약품 포장 장치(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모품 및 소모품 사용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사에 의해 조제되는 약품의 경우에는 소비자가 복용할 때 그 복용량이 일정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므로 1회 복용량이 하나의 약품 봉투에 담겨 포장될 수 있으며, 포장의 편리성을 위해서 약품 포장 장치(1')가 사용될 수 있다.
약품 포장지 롤(10')은 박막 형상의 약품 포장지(11')를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 릴 부재(12')에 약품 포장지(11')가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약품 포장지(11')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셀로판지, 유산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릴 부재(12')는 약품 포장지(11')가 동일한 장력으로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도록 회전 반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릴 부재(12')에는 약품 포장지 롤(10')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식별 소자(13)가 장착될 수 있다. 식별 소자(13)에 입력된 상태 정보는 약품 포장지 롤(10')이 승인된 공급처에서 생산 또는 공급되었는지 여부, 사용이 되었는지 여부, 사용 시각 및 사용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릴 부재(12')에 권취되는 약품 포장지(11')의 종류나 생산일자, 일련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약품 포장 장치(1')는 본체(100) 내부에 약품 포장지 롤(10')이 장착되는 소모품 장착부(200), 약품을 약품 포장지(11')로 포장하는 약품 포장기(300'), 약품 포장지 롤(10')을 회전시켜 약품 포장지(11')를 약품 포장기(300')로 이송시키는 구동부(700) 그리고 약품 포장지 롤(10')의 정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통신부(400), 감지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품 포장기(300')는 약품 포장지(11')에 약품 정보 등을 인쇄하는 인쇄 유닛(310) 그리고 약품 포장지(11')를 열 융착 방식 등으로 밀봉하는 밀봉 유닛(320), 포장된 약품을 배출시키는 배출 유닛(330) 그리고 약품 포장지(11')가 단선될 경우 단선된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3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약품 포장기(300')는 인쇄유닛(310), 밀봉유닛(320), 배출 유닛(330), 연결 유닛(340)의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으며, 그 기능 및 구조가 한정되지 않는다.
소모품 장착부(200)는 릴 부재(12')가 장착되기 위한 회전축일 수 있으며, 구동부(700)와 연결되어 릴 부재(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700)는 소모품 장착부(200)를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으며, 구동부(700)의 구동 상태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700)는 약품 포장지(1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70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00)는 식별 소자(13)가 장착된 릴 부재(12')에 근접하게 장착되어 식별 소자(13)의 상태 정보를 읽거나 식별 소자(13)에 상태 정보를 쓸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소자(13)의 상태 정보는 정해진 약품 포장 장치(1')의 통신부(400)에 의해서만 변경될 수 있으며, 임의의 통신 장치에 의해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식별 소자(13)는 통신부(400)에 의해 잠금 모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통신부(400)에 의해서만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약품 포장지(11') 상태를 감지하는 소모 부재 감지부(510)는 소모 부재 감지부(510)와 약품 포장지 롤(10')의 외주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일 수 있으며, 측정된 거리 정보는 제어부(6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거리 정보를 릴 부재(12')에 잔류된 약품 포장지(11')의 두께 정보로 환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소모 부재 감지부(510)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큰 경우 약품 포장지(11')의 사용량이 크고 측정된 거리가 작은 경우 약품 포장지(11')의 사용량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즉, 소모 부재 감지부(510)가 측정한 거리 정보는 릴 부재(12')에 남아 있는 약품 포장지(11')의 두께 정보로 환산되어 약품 포장지(11')의 사용량이 측정될 수 있다.
약품 포장지(11')의 공급 상태를 감지하는 공급 상태 감지부(520)는 약품 포장지(11')가 공급되는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약품 포장지(11')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약품 포장지(11')가 단선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송신할 수 있다. 공급 상태 감지부(520)는 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800)는 약품 포장지 롤(10')이 소모품 장착부(10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약품 포장지 롤(10')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 소자(13)의 상태 정보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약품 포장지 롤(10')이 정품이 아님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약품 포장지 롤이 약품 포장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약품 포장 장치(1')에 전원이 인가되면, 약품 포장지 롤(10')이 소모품 장착부(200)에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제어부(600)는 공급 상태 감지부(520)에 약품 포장지(11')를 감지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약품 포장지(11')가 단선되거나 약품 포장지(11')가 모두 소진된 경우, 공급 상태 감지부(520)는 약품 포장지(11')를 감지할 수 없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사용자에게 약품 포장지 롤(10')이 소모품 장착부(200)에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부(8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약품 포장지 롤(10')이 약품 포장 장치(1')에 제공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어부(600)는 통신부(400)에 통신 수행 명령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약품 포장지 롤(10')이 소모품 장착부(200)에 장착된 경우 또는 출력부(800)의 안내 메시지를 전달 받은 사용자가 약품 포장지 롤(10')을 소모품 장착부(200)에 장착한 경우,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약품 포장 구동 명령을 대기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약품 포장을 위해서 구동 명령을 제어부(600)로 전송하면, 제어부(600)의 명령에 의해 통신부(400)가 식별 소자(13)의 상태 정보를 인식하고 제어부(600)로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제어부(600)는 전송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약품 포장지 롤(10')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성이 정상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는 약품 포장기(300') 및 구동부(700)에 구동 명령을 전송한다. 이 때, 통신부(400)가 인식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식별 소자(13)가 여러 개일 경우, 인식된 식별 소자(13) 중 어느 하나라도 유효할 경우에는 약품 포장지 롤(10')을 정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동부(700)가 구동되면 소모품 장착부(200)가 회전하고 약품 포장지(11')는 가이드 롤러(701) 상에서 이송되면서 약품 포장기(300')로 공급되어 약품 포장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제어부(600)는 약품 포장지 롤(10')의 사용 여부 정보를 사용이 시작된 것으로 수정할 수 있다.
반면에 약품 포장지 롤(10')이 정품이 아닌 경우 또는 통신부(400)가 식별 소자(200)의 상태 정보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에는 출력부(800)를 통해 소음 등이 출력되게 할 수 있으며, 약품 포장기(300') 또는 구동부(700)는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상태 정보가 정상일 경우를 살펴 보면, 제어부(600)는 약품의 포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약품 포장지 롤(10')이 비정상적으로 교체되거나 보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약품 포장지 롤(10')의 정품 상태를 지속적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600)는 통신부(400)가 일정 시간 동안 식별 소자(13)를 인식하도록 명령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시간은 통신부(400)가 식별 소자(13)를 유효하게 인식할 수 있는 시간으로, 일 예로 5초 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상기 일정 시간을 주기로 식별 소자(13)의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소모 부재 감지부(510)가 약품 포장지 롤(10')과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거리 정보를 약품 포장지(11')의 두께 값으로 환산하여 약품 포장지(11')의 사용량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사용량 정보 및 사용 시각을 메모리(900)에 저장하거나 식별 소자(13)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최후 측정된 사용량 및 그 이전에 측정된 사용량을 비교하여 약품 포장지 롤(10')의 정품 여부를 이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종 확인된 약품 포장지 롤(10')의 두께가 그 이전에 감지된 약품 포장지 롤(10')의 두께보다 증가된 경우에는 정품이 아닌 약품 포장지(11')가 제공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권한 없는 공급자가 정품의 릴 부재(12')에 권취되어 있는 약품 포장지(11')의 끝단에 임의의 약품 포장지를 연결하여 공급하는 경우에도 제어부(600)는 임의의 약품 포장지가 정품이 아님을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400)는 사용량 정보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식별 소자(13)의 잠금 모드를 해제한 후 상태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 권한 없는 공급자에 의해 임의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식별 소자(13)를 다시 잠금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된 감지부(500)가 약품 포장지(11')의 사용량 및 공급 상태를 감지하고 통신부(400)가 상태 정보를 읽고 쓰는 과정은 약품이 포장되는 과정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약품 포장이 완료된 경우 구동부(700) 및 약품 포장기(300')의 구동은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약품 포장지(11')의 공급이 지속되어 약품 포장지(11')가 전량 소진된 경우, 약품 포장지(11')는 더 이상 공급 상태 감지부(520)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며, 공급 상태 감지부(520)는 약품 포장지(11') 감지 실패 결과를 제어부(600)로 통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구동부(700) 및 약품 포장기(300')의 운전을 즉시 정지시키고, 약품 포장지(11')의 완전 소진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 소모 부재 감지부(510)로 약품 포장지 롤(10')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측정된 약품 포장지 롤(10')의 두께와 저장되어 있던 전량 소진 시의 약품 포장지 롤(10') 두께 값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약품 포장지(11')의 소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소모 부재 감지부(510)가 감지하지 못하는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전량 소진 시의 약품 포장지 롤(10') 두께 값은 릴 부재(12')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약품 포장지(11')가 전량 소진된 상태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600)는 약품 포장지 롤(10')이 임의로 재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식별 소자(13)의 상태 정보를 비정상 상태로 수정하고 식별 소자(13)를 잠금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완료된 약품 포장지 롤(10')의 릴 부재(12')가 권한 없는 공급자에 의해 수거된 후 정품이 아닌 약품 포장지가 보충되어 약품 포장 장치(1')에 제공될 경우, 제어부(600)는식별 소자(13)에 기록된 비정상 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품 포장 과정은 이루어 지지 않는다. 따라서 정품이 아닌 약품 포장지 롤(10')이 유통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소모품 및 소모품 사용 장치 및 소모품 유통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소모품 사용 장치 1': 약품 포장 장치 10: 소모품 10': 약품 포장지 롤
11: 소모 부재 11': 약품 포장지
12: 수용 부재 12': 릴 부재
100: 본체 200: 소모품 장착부
300: 소모 부재 사용부 400: 통신부
500: 감지부 510: 소모 부재 감지부
520: 공급 상태 감지부 600: 제어부
700: 구동부 800: 출력부
900: 메모리

Claims (43)

  1. 수용 부재와 소모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 제공된 식별 소자를 포함하는 소모품이 장착되는 소모품 장착부;
    상기 소모 부재가 사용되는 소모 부재 사용부;
    상기 소모 부재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소모 부재 감지부;
    상기 식별 소자로부터 상기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소모품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유효성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모 부재 감지부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소모 부재의 사용량을 판단하고,상기 사용량을 상기 식별 소자에 상기 통신부가 쓰도록 하고, 상기 사용량을 메모리에 기 저장된 사용량 또는 상기 식별 소자로부터 읽은 사용량과 비교하여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는 상기 사용량이 포함되는,
    소모품 사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에는 상기 소모품의 식별 정보와, 상기 소모품의 사용 여부와, 상기 소모 부재의 사용량과, 상기 소모품의 사용 시각과,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소모품 사용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을 상기 소모 부재 사용부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효성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생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규칙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이 시작된 경우 상기 식별 소자에 기록된 상기 소모품의 사용 여부를 수정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 또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량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식별 소자에 기록된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를 수정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에는 상기 정상 상태 여부가 포함되고, 상기 유효성은 상기 정상 상태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모품 사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모품 장착부가 설치되는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읽는 리더기와 상기 상태 정보를 쓰는 라이터기를 포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은 단속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효성을 상기 소모품이 사용될 때마다 판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식별 소자에 상기 상태 정보를 쓰기 전에 상기 식별 소자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쓰고 난 후에는 상기 식별 소자를 잠금 모드로 설정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 부재가 상기 소모 부재 사용부에 공급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공급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와 상기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소자는 RFID 식별 소자, NFC 식별 소자 중 하나인 소모품 사용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장착부는 상기 통신부의 동작 중 상기 소모품을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소모품 사용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 여부를 음향 또는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 부재는 약품 포장지이고, 상기 수용 부재는 릴 부재이고, 상기 소모 부재 사용부는 약품 포장기인
    소모품 사용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효성의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약품 포장지의 공급을 차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포장지의 잔량을 측정하는 소모 부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품 포장지의 잔량에 따라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거나, 상기 잔량을 상기 식별 소자에 기록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 부재 감지부는 상기 약품 포장지 롤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감지 센서인 소모품 사용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품 포장지 롤이 사용될 때 상기 약품 포장지의 잔량을 측정하여 상기 식별 소자에 기록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품 포장지의 잔량이 기 설정된 범위인 경우 상기 식별 소자에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를 비정상으로 기록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가 상기 소모 부재 사용부에 공급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공급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상태 감지부에서 상기 약품 포장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약품 포장지의 잔량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패치 보드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소모품 장착부가 설치된 본체에 탈착되는 소모품 사용 장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은 다수 개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 개의 소모품의 식별 소자로부터 읽은 다수 개의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각각의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 소자의 상기 상태 정보만 수정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소자는 다수 개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소자로부터 읽은 다수 개의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각각의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 소자의 상기 상태 정보만 수정하는
    소모품 사용 장치.
  30. 제1항의 소모품 사용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소모품으로서,
    수용 부재;
    상기 수용 부재에 제공되는 소모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소모품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상태 정보가 기록된 식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에 따라 상기 소모품 사용 장치에 의해 수정될 수 있는
    소모품.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소자는 상기 소모품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수용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소모품의 식별 정보와, 상기 소모품의 사용 여부와, 상기 소모 부재의 사용량과, 상기 소모품의 사용 시각과,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소모품.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의 사용이 완료되거나 상기 소모품의 사용량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가 되면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는 비정상으로 수정되는 소모품.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 부재의 보충 시 상기 소모품의 정상 상태 여부는 정상으로 수정되는 소모품.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의 사용 여부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 시작 시 사용으로 수정되는 소모품.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 부재의 보충 시 상기 소모품의 사용 여부는 미사용으로 수정되는 소모품.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 부재의 사용량 및 상기 소모품의 사용 시각은 상기 소모품이 사용될 때마다 수정되는 소모품.
  37.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소자는 RFID 식별 소자, NFC 식별 소자 중 하나인 소모품.
  38.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해 생성되는 소모품.
  39. 수용 부재와 소모 부재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유통하는 소모품 유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에 식별 소자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식별 소자에 상기 소모품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제1항의 소모품 사용 장치를 보유한 사용처에 상기 소모품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소모품 사용 장치에서 상기 상태 정보가 수정된 상기 소모품을 제공받아 상기 소모 부재를 보충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상기 상태 정보를 정상으로 수정하여 상기 사용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모품의 유통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사용 장치는 제 1 항, 제 2 항, 제6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하나의 소모품 사용 장치인 소모품의 유통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은 제 30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하나의 소모품인 소모품의 유통 방법.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소자는 RFID 식별 소자, NFC 식별 소자 중 하나인
    소모품의 유통 방법.
  4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해 생성되는 소모품의 유통 방법.
KR1020140018080A 2014-02-17 2014-02-17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 KR101604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080A KR101604300B1 (ko) 2014-02-17 2014-02-17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080A KR101604300B1 (ko) 2014-02-17 2014-02-17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36A KR20150097036A (ko) 2015-08-26
KR101604300B1 true KR101604300B1 (ko) 2016-03-17

Family

ID=5405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080A KR101604300B1 (ko) 2014-02-17 2014-02-17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3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69Y1 (ko) 2002-06-03 2002-11-13 (주)대청정보시스템 리필방지형 프린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69Y1 (ko) 2002-06-03 2002-11-13 (주)대청정보시스템 리필방지형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36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1030B2 (ja) 薬剤分包装置と薬剤分包紙ロールとの組み合わせ
US11510439B2 (en) Product recognition in aerosol generating devices
JP2020128093A (ja) 薬剤包装装置
US8983654B2 (en) Medicine packing apparatus
JP4843885B2 (ja) Icメモリチップ付不正防止ラベル
WO2016097911A1 (en)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 material for additive manufacturing
WO2008050143A1 (en) Consumables authentication
JP2006171768A (ja) 装置識別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062914A (ja) インク管理を制御する方法、プログラム製品、およびシステム
JP2008030436A (ja) テープ印刷装置用カートリッジ及びテープ印刷装置
KR101604300B1 (ko) 소모품 및 소모품 유통 방법 및 소모품 사용 장치
KR101480713B1 (ko) 포장용지를 고려한 약제 포장 제어 시스템
JP2005230242A (ja) 分包紙管理システム
JP3950163B2 (ja) 薬剤包装装置及び薬剤包装装置の制御方法
JP2005181411A (ja) 消耗品管理システム
KR20050123005A (ko) 약제 자동분배 포장기의 포장지 인증장치
JP2003182108A (ja) 磁気式タグ付カートリッジ
IT201800005820A1 (it) Metodo e sistema per il controllo della fornitura di materiale consumabile in una apparecchiatura avvolgitrice
KR200294669Y1 (ko) 리필방지형 프린터
JP2005202295A (ja) 画像形成装置、消耗品リサイクルシステム及び消耗品リサイクル方法
JP2003341938A (ja) 長尺材処理装置及び長尺材流通管理システム
JP2001222193A (ja) 電子写真装置
JP2004233647A (ja) 消耗品使用状況把握システムと消耗品使用状況把握方法と消耗品使用状況把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