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164B1 -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164B1
KR101604164B1 KR1020120151656A KR20120151656A KR101604164B1 KR 101604164 B1 KR101604164 B1 KR 101604164B1 KR 1020120151656 A KR1020120151656 A KR 1020120151656A KR 20120151656 A KR20120151656 A KR 20120151656A KR 101604164 B1 KR101604164 B1 KR 10160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inflatable
traction
pulling
inner infl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791A (ko
Inventor
호이 밍 마이클 호
Original Assignee
호이 밍 마이클 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이 밍 마이클 호 filed Critical 호이 밍 마이클 호
Publication of KR2014001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inflatable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팽창가능 공간과의 연통을 위한 공기 밸브를 갖춘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보다 폭이 작고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외면을 이동가능하게 둘러싸는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를 포함하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제1 단부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과하여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내면까지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제2 단부는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제1 단부에 구비된 고정링을 손쉽게 통과할 수 있고, 팽창된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와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 양쪽 모두를 사용자의 허리에 동시에 단단히 조이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인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AIR TRACTION BELT STRUCTURE}
본 발명은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에 대한 지지, 견인, 스트레칭, 감압 및 보호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팽창된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를 사용자의 허리에 쉽고 단단하게 조일 수 있도록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외면을 이동가능하게 둘러쌀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인장될 수 있는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를 포함하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에 관한 것이다.
미국 질병 통제 및 예방 센터(CDC)가 미국 내의 의료 보조기의 사용 현황에 관해 1994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견인 벨트 사용자의 47.1%는 44세 이하였고, 36.4%가 45세 내지 64세, 16.5%가 65세 이상이었다. 견인 벨트는 일반적으로 지팡이, 보행기 및 휠체어와 같은 개인용 이동 보조기를 더 많이 사용하는 65세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사용 빈도가 낮긴 하지만 다른 연령 그룹에서는 매우 중요하고 일상적인 의료 보조기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러 해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 사무직 근로자, 컴퓨터 사용자, 무거운 물체를 취급하는 자, 장시간 서있어야 하는 판매원들이 주로 견인 벨트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들은 척추 관절, 요추 디스크 및 주변 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하고, 요추와 등 아래 부분의 이동성을 제한하며, 정상 요부 만곡을 유지하고, 자세를 교정하거나 조절할 목적으로 요부를 지지하기 위해 견인 벨트를 사용한다. 견인 벨트는 또한 복부의 압력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고, 관절에 작용하는 힘을 완화하며, 헤르니아 요추 디스크를 감압하고, 근육을 이완시키며, 경기(convulsion) 또는 경련을 저감하고, 등 근육 주위의 혈액 순환을 향상시켜 조직 회복을 촉진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시판되는 견인 벨트의 대부분은 나일론, 라이크라(Lycra) 섬유 등을 포함하는 탄성 섬유로 제조되지만, 이들 견인 밸트는 대개 바람직한 지지, 견인, 감압 및 보호를 제공하지 못한다. 개선된 버전으로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가 개발되었다. 도 1과 도 2는 내부에 팽창가능 공간이 형성된 기존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를 도시한다.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의 외면은 팽창을 위해 공기 펌프가 연결될 수 있는 공기 밸브(12)와 연결된다.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의 외측 및 내면은 체결 요소(10, 11)(예컨대 자착식(self-adhesive) 섬유 또는 벨크로)를 각각 구비한다. 일단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가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감기고 나면, 체결 요소(10, 11)가 고정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체결될 수 있다.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견인 벨트를 공기로 팽창시키기 전에 견인 벨트가 허리 주위에 아주 타이트하게 감길 필요가 있다. 사용자의 골반능(pelvic crest)에 견인 벨트의 하부를 고정하고 사용자의 흉곽 하부에 견인 벨트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견인 벨트가 허리 주위에 타이트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견인 벨트가 공기에 의해 팽창될 때, 견인 벨트는 약 3.25 인치(8 cm)만큼 수직으로 팽창한다. 만약 견인 벨트가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타이트하게 감기지 않는다면 견인 벨트의 상부 및 하부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흘러내리게 되며, 이로 인해 견인 및 감압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견인 벨트가 쓸모 없어진다. 종래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와 결부된 다른 문제점은 벨트가 완전히 팽창된 후에도 연성 및 탄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벨트의 탄성으로 인해, 벨트는 적절한 지지를 제공할 수 없다.
종래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를 조이기 위해서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를 조일 때와 체결 요소(10, 11)를 체결할 때 사용자가 양손으로 상당한 힘을 가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조임 및 체결 동작을 완료하는 데 문제를 겪고, 신체적 민첩성과 완력이 비교적 떨어지는 사람들(예컨대 노인이나 병약자)은 조임 및 체결 동작을 결코 완료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를 조일 때, 사용자의 팔이 안쪽으로 굽혀지고 불편한 자세로 엇갈리게 되는데, 이는 힘의 인가를 방해한다. 또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의 큰 폭은 사용자가 공기 주입식 벨트(1)를 잡고 인장력을 가하기 어렵게 만든다. 그 결과, 다수의 사용자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가 충분한 지지, 견인 및 보호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허리 주위에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를 충분히 타이트하게 감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펌프의 배출 밸브(20)가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의 공기 밸브(12)에 연결될 때, 두 개의 밸브는 오직 고정 클램프(21)에 의해서만 연결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발명자의 조사 및 연구에 따르면 팽창 과정 중에 배출 밸브(20)와 공기 밸브(12)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빈번한 누출로 인해 공기 펌프는 공기주입식 견인 밸브(1) 내로 공기를 효과적으로 펌핑할 수 없다. 비효율적인 펌핑 과정은 시간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허리에 견인, 스트레칭 또는 감압 효과가 없는 불충분한 지지 상태를 제공하는 불완전 팽창 상태라는 것을 모르는 채로 사용자가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1)를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오늘날 시장에서는, 온라인 또는 전화를 통한 견인 벨트의 주문시 소비자가 자신의 몸에 제대로 맞지 않는 견인 벨트를 구입하게 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소비자가 소매점에서 견인 벨트를 구입할 수 있다 하더라도, 소매점의 점원이 사용자의 허리 치수를 알지 못하고 사용자 자신도 자신의 정확한 허리 치수를 알지 못해서 자신의 몸에 맞지 않는 견인 벨트를 고르게 되는 일이 여전히 있을 수 있다. 실제로 너무 작은 견인 벨트는 허리 주위에 감길 수 없고, 너무 느슨한 견인 벨트는 소비자의 허리에 지지, 견인, 스트레칭 및 감압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견인 벨트가 소비자에게 어떤 혜택을 제공함에 있어 올바른 치수 맞춤은 필수적이다. 적절한 지지와 견인을 제공하기 위해서, 견인 벨트의 양측 단부에 부착하여 견인 벨트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소비자의 허리에 맞출 수 있도록 하는(벨크로와 같은) 길이 조절 부재(extension piece)가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의 견인 벨트의 가장 큰 문제점은 그 제조 과정에서 모든 소비자의 허리 치수에 맞는 치수를 디자인하는 것이 극히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견인 벨트는 6 가지의 다른 치수, XS, S, M, L, XL, XXL로 제조되어야 하고, 각각의 견인 벨트는 온갖 다양한 소비자의 허리 치수에 맞춰지도록 길이 조절 부재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처리하고자 하는 사안은 종래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의 여러 결점을 극복하고, 조이는 힘이 편리하게 인가될 수 있고 따라서 완력과 민첩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노인, 병약자 등이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를 손쉽게 조일 수 있도록 하여 충분한 지지, 견인, 스트레칭, 감압 및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를 구성하는 것이다. 신규 구성은 또한 두 개의 벨트, 즉 내피에 배치되는 연성의 탄력적 공기 팽창식 견인 벨트와 외피에 배치되는 강성의 비탄력적(non-giving) 지지 벨트를 하나로 결합한 것이다. 외피의 강성 비탄력적 벨트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가 수축되거나 팽창될 때 강한 지지를 제공하는 반면, 내피의 연성 탄력적 공기 팽창식 벨트는 허리에 견인, 스트레칭 및 감압 효과를 제공한다. 신규 구성은 사용자가 오직 지지용으로 그리고/또는 견인, 스트레칭 및 감압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는 팽창 과정 중에 누출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등록특허공보 제4,756,306호(1988.07.12)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의 전술한 결점을 고려하여 폭넓은 연구와 실험을 행하였고, 마침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개시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은 팽창 중에 누출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비교적 신체적 완력과 민첩성이 떨어지는 사용자가 손쉽게 조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은 사용의 편리함을 특징으로 하며, 지지, 견인, 스트레칭, 감압 및 보호 효과 면에서 향상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와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를 포함하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는 팽창가능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한다.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외면에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일측 단부에 인접한 공기 밸브가 마련되며, 공기 밸브는 팽창가능 공간과 연통된다.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에는 또한 상기 단부에 인접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보다 폭이 좁고,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횡방향 중간 섹션에 대응하는 영역에 걸쳐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외면을 이동가능하게 둘러쌀 수 있다.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제1 단부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내면까지 연장되며, 체결링이 고정식으로 구비된다.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제2 단부는 고정링을 통과할 수 있으며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를 조이도록 인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를 팽창시키기 전에,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제2 단부가 고정링을 통해 삽입되어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를 동시에 조이기 위해 강력하게 인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의도적으로,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구성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상부가 사용자의 하부 흉곽에 대해 조여질 수 있도록 하고,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하부가 사용자의 골반능에 대해 조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조임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외주의 중간 섹션 주위에 조임 효과를 생성하게 된다. 이는 그 외의 탄력적인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측방 확장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강한 지지를 제공한다. 일단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가 사용자의 허리에 조여지고 나면, 사용자는 이제 사용자의 등 아래 부분에 견인, 스트레칭 및 감압 효과를 일으키도록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일단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가 팽창되어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감기고 나면,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제2 단부가 고정링을 통해 삽입되어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를 조이도록 강하게 인장될 수 있고, 이로써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횡방향 중간 섹션을 조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횡방향 중간 섹션은 사용자의 허리에 대해 타이트하게 압박되고 사용자의 허리에 조임 효과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팔을 밖으로 뻗어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를 조일 수 있고 외측 중실형 벨트가 저감된 폭을 가지기 때문에, 신체적 완력이 비교적 떨어지고(예컨대 노인 또는 병약자) 민첩성이 모자란 사람도 손쉽게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를 타이트하게 인장하여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와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를 둘 다 동시에 조일 수 있다.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조절가능 체결 위치의 길이와 큰 범위로 인해, 본 발명의 견인 벨트는 길이를 증가시켜 사용자의 허리에 견인 벨트를 적절히 맞추기 위한 길이 조절 부재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견인 벨트는 길이 조절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모든 허리 치수에 적절히 맞춰지도록 손쉽게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견인 벨트는 두 가지 치수, 즉 A 치수와 B 치수로 제조될 수 있되, A 치수는 엑스트라 스몰에서 미디엄까지의 모든 허리 치수에 맞고 B 치수는 라지에서 엑스트라 라지까지의 모든 허리 치수에 맞도록 되어있다. 소비자가 자신의 허리 치수를 정확히 모르더라도 올바른 견인 벨트를 선택하기가 쉬워질 것이다. 또한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는 소비자의 허리 사이즈가 체중 증가 또는 감소로 인해 바뀔 때, 허리 사이즈가 식사 전후로 바뀔 때, 사용자가 기립 자세에서 착석 자세로 바뀔 때에도 계속해서 본 발명의 견인 벨트가 소비자에 맞춰지도록 한다.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전통적인 견인 벨트의 여섯 가지 치수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견인 벨트는 허리 치수가 각기 다른 모든 소비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지지와 견인을 제공하고 따라서 등의 통증 및 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해 두 가지 치수만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내면에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두 횡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인접한 두 개의 탄성 지지 밴드가 마련되는 전술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탄성 지지 밴드는 허리의 조임부 위아래 영역에 탄력적이고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하도록 의도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탄성 지지 밴드의 내면이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내면보다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지는 전술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횡방향 중간 섹션이 사용자의 허리에 대해 타이트하게 압박될 때, 허리의 조임부 위아래의 영역은 탄성 지지 밴드에 의해 탄력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탄성 지지 밴드의 내면과 허리 조임부 위아래 영역 간의 마찰이 실질적으로 저감되어 사용자 허리의 이동성 및 이동 중에 허리의 편안함을 증대시키게 된다.
두 개의 탄성 지지 밴드의 또 다른 목적은 이들이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에 부착되는 방식이다.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를 조이기 위해 힘을 사용할 때, 힘은 상부 및 하부 탄성 지지 밴드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조여지도록 해당 밴드에도 인가된다. 두 개의 탄성 지지 밴드는 고마찰재로 제조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조여질 때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벨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타이트하게 밀착된다.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가 팽창되는 동안, 벨트는 견인, 스트레칭 및 감압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수직으로 확장되는데, 이런 효과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상부 및 저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타이트하게 고정되는 경우에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펌프의 배출 밸브와 나사식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공기 밸브의 일측 단부에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고, 따라서 공기 펌프가 팽창가능 공간을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팽창 과정 중에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전술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링이 관통공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전술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가 타이트하게 인장될 때 고정링이 변위되거나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따라서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는 일단 타이트하게 인장되면 떨어져 나오지 않도록 유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내면이 관통공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한부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전술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각각의 제한부는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제1 단부 또는 고정링에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가진다. 따라서, 일단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가 타이트하게 인장되면,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의 제1 단부와 고정링은 모두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의 내면에 확실히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 바람직한 사용 모드,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조여지기 이전의 본 발명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사용을 위해 조여진 후의 본 발명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의료 보조기구 관련 분야에서 오랜 기간 연구 및 개발에 종사했다. 그런 중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공기주입식 견인 밸트가 허리에 대해 오직 느슨한 압박만을 가하고, 따라서 지지, 견인, 스트레칭, 감압을 제공하는 데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요구되는 조임 및 체결 동작이 신체적 완력과 민첩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사람이 수행하기에는 힘들다는 것 뿐 아니라 종래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가 폭이 너무 넓어서 파지 및 인장이 어렵다는 것에 기인한다. 종래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의 구조를 더 개량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긴 했지만, 이상적인 해법은 아직 발견되지 못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자는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로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를 이동 가능하게 둘러싸는 착상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를 타이트하게 인장함으로써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는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조여질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의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을 개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3)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와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를 포함하되,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는 내부에 팽창가능 공간(300)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는 섬유층 사이에 개재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예컨대 네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를 제조하기 위해, TPU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 내의 팽창가능 공간(300)은 기밀성 세관(tubule)의 네트워크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팽창가능 공간(300)이 공기로 충전되면,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는 균일하게 가요성을 가지게 되어 균일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제조에 관해서는 어떤 제한도 부과하지 않는다.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재료 및 제조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팽창가능 공간(300)의 구조적 설계는 사용자의 요구나 설계 고려사항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모든 수정과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외면에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해서 공기 밸브(301)가 마련된다. 공기 밸브(301)는 팽창가능 공간(300)과 연통되며, 공기 펌프의 배출 밸브(4)가 공기 밸브(301)에 나사식으로 고정되게 연결되어 팽창가능 공간(300)을 팽창시킬 수 있도록 나사산(301a)이 외면에 마련된 일측 단부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내면(즉,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압박되는 면)에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두 횡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인접한 두 개의 탄성 지지 밴드(32)를 구비한다. 또한 관통공(302)이 상기 단부(즉, 공기 밸브(301)가 마련된 곳에 인접한 단부)에 인접한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 상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폭(D1)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폭(D2)보다 작고,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횡방향 중간 섹션에 대응하는 영역에 걸쳐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외면을 이동가능하게 둘러쌀 수 있다.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관통공(302)을 통과하여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내면까지 연장되고 고정링(310)이 고정식으로 마련된 제1 단부를 가진다.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제2 단부는 고정링(310)을 통과할 수 있고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를 조이기 위해 인장될 수 있다. 고정링(310)은 관통공(302)보다 큰 폭을 가지며, 따라서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가 타이트하게 인장될 때 관통공(302)을 통과하거나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타이트하게 인장될 때,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가 떨어져 나오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뿐만 아니라,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내면은 관통공(302)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한부(303)를 구비하도록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부(303)의 수효가 2 개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관해서는 어떤 제한도 부과하지 않는다. 일단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가 타이트하게 인장되고 난 후에는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제1 단부와 고정링(310)이 둘 다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내면에 확실히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제한부(303)는 그 일측 단부가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제1 단부 또는 고정링(310)에 연결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를 팽창시키기 전에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제2 단부가 고정링(310)을 통해 삽입되어 외측 중실형 벨트(31)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를 동시에 조이기 위해 강력하게 인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의도적으로,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구성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상부가 사용자의 하부 흉곽에 대해 조여질 수 있도록 하고,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하부가 사용자의 골반능에 대해 조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조임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외주의 중간 섹션 주위에 조임 효과를 발생시키고 그외의 탄성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측방 확장을 방지하여 허리에 대한 강한 지지를 제공한다. 일단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가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조여지고 나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등 아래 부분에 견인, 스트레칭 및 감압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 이제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를 팽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사용자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를 팽창시키고, 허리 주위에 해당 벨트를 감한 후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제2 단부를 고정링(310)을 통해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제2 단부를 강하게 인장함으로써,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횡방향 중간 섹션이 조여지고, 따라서 사용자의 허리에 대해 타이트하게 압박된다. 그 결과, 조임 효과가 사용자의 허리에 발생한다. 도 5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가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에 의해 조여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횡방향 중간 섹션이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에 의해 조여지고 나면,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횡방향 중간 섹션에 압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팽창가능 공간(300)의 공기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횡방향 가장자리 쪽으로 압착되어 탄성 지지 밴드(32)가 허리(W)의 조임부 위아래의 영역을 탄력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횡방향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허리(W)에 대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각각의 탄성 지지 밴드(32)의 내면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내면보다 마찰 계수가 높고, 두 개의 탄성 지지 밴드(32)는 고상 지지 벨트(31)의 조임에 의해 두 개의 탄성 지지 밴드(32)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조여짐으로써 흘러내림이 최소화되도록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에 고정된다.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횡방향 중간 섹션이 사용자의 허리(W)에 대해 타이트하게 압박되고 허리(W) 조임부 위아래의 영역이 탄성 지지 밴드(32)에 의해 지지될 때, 탄성 지지 밴드(32)의 내면과 허리(W) 조임부의 위아래 영역 간의 마찰은 현저히 저감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W)의 이동성은 효과적으로 향상되고 이동 중에 허리(W)의 편안함도 향상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제2 단부가 고정링(310)을 통해 삽입된 후에 사용자의 신체에서 먼 쪽으로 인장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래의 방식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안쪽으로 팔을 굽혀 인장력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팔을 바깥쪽으로 뻗어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를 조일 수 있다. 그러므로 신체적 완력과 민첩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사람(예컨대 노인이나 병약자)도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를 손쉽게 조일 수 있고, 이로써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를 조일 수 있다. 또한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보다 작은 폭(D1)은 파지를 용이하게 하며, 따라서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가 편리하게 타이트하게 인장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밸브(301)의 일측 단부의 외부 나사산(301a)은 공기 펌프의 배출 밸브(4)와의 안정감 있는 나사식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팽창 과정 중에 누출을 방지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이 특정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긴 했지만, 다수의 변경과 변형이 특허청구범위에서 개진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시행될 수 있다.

Claims (8)

  1.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3)이며,
    내부에 팽창가능 공간(300)이 형성된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횡방향 중간 섹션에 대응하는 영역에 걸쳐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외면을 이동가능하게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를 포함하되,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한 공기 밸브(301)를 구비한 외면을 가지고, 공기 밸브(301)는 팽창가능 공간(300)이 공기 펌프의 배출 밸브(4)를 통해 팽창될 수 있도록 팽창가능 공간(300)과 연통되며,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에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단부에 인접한 관통공(302)이 형성되고,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내면에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두 횡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인접한 두 개의 탄성 지지 밴드(32)가 마련되고, 두 개의 탄성 지지 밴드(32)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에 고정되고,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는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관통공(302)을 통과하여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내면까지 연장되고 고정링(310)이 고정식으로 마련된 제1 단부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가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제2 단부를 인장함으로써 조여질 수 있게 고정링(310)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제2 단부를 갖고,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조임을 통해 두 개의 탄성 지지 밴드(32)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조여지게 되어 흘러내림을 최소화하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3).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공기 밸브(301)는 배출 밸브(4)에 나사식으로 고정되게 연결되도록 나사산이 외면에 마련된 단부를 가지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3).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탄성 지지 밴드(32)의 내면은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내면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3).
  5. 제3항에 있어서, 고정링(310)은 관통공(302)보다 큰 폭을 가지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3).
  6. 제3항에 있어서,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내면은 관통공(302)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한부를 갖추도록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제한부는 외측 중실형 지지 벨트(31)의 제1 단부 또는 고정링(310)에 연결되는 단부를 가지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3).
  7. 제3항에 있어서, 내측 팽창가능 견인 벨트(30)의 내면은 관통공(302)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한부를 갖추도록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제한부는 고정링(310)에 연결되는 단부를 가지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3).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 공간(300)은 기밀성 세관의 네트워크로서 형성되는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3).
KR1020120151656A 2012-07-31 2012-12-24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 KR101604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214759U TWM442137U (en) 2012-07-31 2012-07-31 Air traction belt structure
TW101214759 2012-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91A KR20140016791A (ko) 2014-02-10
KR101604164B1 true KR101604164B1 (ko) 2016-03-16

Family

ID=4692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656A KR101604164B1 (ko) 2012-07-31 2012-12-24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77882B2 (ko)
EP (1) EP2692317A1 (ko)
JP (1) JP3180360U (ko)
KR (1) KR101604164B1 (ko)
CA (1) CA2792062C (ko)
HR (1) HRP20130051A2 (ko)
RU (1) RU127623U1 (ko)
TW (1) TWM44213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162831S (zh) * 2014-01-27 2014-09-11 何浩明 腰帶之部分
EP3116462B1 (en) 2014-03-10 2018-05-02 Stryker Corporation Limb positioning system
US9951904B2 (en) 2015-03-24 2018-04-24 Stryker Corporation Rotatable seat clamps for rail clamp
US11540935B2 (en) * 2017-06-07 2023-01-03 Ortho Systems Welded back brace
TWI678198B (zh) 2017-11-28 2019-1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可調式胸甲
KR20190086602A (ko) 2018-01-12 2019-07-23 임화목 허리 신장기
CN110151379A (zh) * 2018-03-19 2019-08-23 马金邦 一种神经外科临床保护装置
TWI675652B (zh) * 2018-09-19 2019-11-01 楊進松 護腰輔助腰帶
KR102258388B1 (ko) 2019-01-14 2021-05-31 임화목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
KR102281756B1 (ko) 2019-02-01 2021-07-26 임화목 기체 주입 신장 물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신장 물품
KR102127610B1 (ko) 2020-03-04 2020-06-29 임화목 허리 신장기
CN112754855B (zh) * 2021-01-19 2022-10-25 常州市第二人民医院 一种耳科用幼儿检查防动辅助固定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4179A2 (en) 1984-09-03 1986-03-12 Seton Healthcare Group plc Corset
US4756306A (en) * 1984-03-20 1988-07-12 Safeguard Technologies, Inc. Therapeutic bel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1809A (en) * 1992-02-26 1995-06-06 Rise; Mark J. Back support belt
JP2911437B2 (ja) * 1997-03-12 1999-06-23 イク チュン チャン 空気注入式腰部圧迫腹帯
US7896825B2 (en) * 2005-06-17 2011-03-01 Bridgepoint Medical, Inc. Medical compression devices and methods
US8012113B2 (en) * 2007-03-12 2011-09-06 Disc Disease Solutions, Inc. Spinal br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6306A (en) * 1984-03-20 1988-07-12 Safeguard Technologies, Inc. Therapeutic belt
EP0174179A2 (en) 1984-09-03 1986-03-12 Seton Healthcare Group plc Cor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130051A2 (hr) 2014-02-14
KR20140016791A (ko) 2014-02-10
CA2792062A1 (en) 2014-01-31
EP2692317A1 (en) 2014-02-05
US20140039369A1 (en) 2014-02-06
US8777882B2 (en) 2014-07-15
TWM442137U (en) 2012-12-01
RU127623U1 (ru) 2013-05-10
JP3180360U (ja) 2012-12-13
CA2792062C (en)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164B1 (ko)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
US882142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ressure to mammalian limb
US6254554B1 (en) Compression sleeve for treating lymphedema
US9204984B2 (en) Contour bracing
KR101584194B1 (ko) 척추 보호 및 보정 용구
US2015007331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ressure to a mammalian limb
JP2009532186A (ja) 仙腸ベルト並びに複合構造体
US20170095390A1 (en) Devices for mobilizing the hip joint capsul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60228320A1 (en) Inversion therapy spinal decompression accessory
US5782781A (en) All-in-one girdling belt for lumbar and coxa support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2253097B1 (ko) 어깨 자세 교정장치
US808808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shoulder dislocations
KR20140100342A (ko) 허리보호대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JP2576473Y2 (ja) 腰痛帯
CN209377834U (zh) 腰椎牵引护理装置
JP6949308B2 (ja) 矯正用締め付け腰ベルト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CN219480510U (zh) 骨科固定肩关节支具用减压装置
CN211884477U (zh) 一种抗疲劳牵拉装置
US20230010951A1 (en) Flexion Blocking Elbow Brace for Cubital Tunnel Treatment
JP2012147912A (ja) 腰痛改善作業用装具
CN208492419U (zh) 一种新型腰椎固定器
JP5519855B1 (ja) 加圧と指圧とストレッチができるサポ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