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388B1 -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388B1
KR102258388B1 KR1020190004812A KR20190004812A KR102258388B1 KR 102258388 B1 KR102258388 B1 KR 102258388B1 KR 1020190004812 A KR1020190004812 A KR 1020190004812A KR 20190004812 A KR20190004812 A KR 20190004812A KR 102258388 B1 KR102258388 B1 KR 10225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gas
guide tube
tub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157A (ko
Inventor
임화목
Original Assignee
임화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화목 filed Critical 임화목
Priority to KR102019000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3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는 기체 주입기(13)에 연결된 제1 유도 튜브(W1)의 한쪽 끝에 결합된 제1 커플러(14); 기체 신장 몸체(11)와 연결되는 제2 유도 튜브(W2)의 한쪽 끝에 결합된 제2 커플러(15); 및 제2 유도 튜브(W2)의 다른 끝에 형성된 튜브 고정 유닛(16)을 포함하고, 제1 커플러(14)와 제1 커플러(15)는 탄성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된다.

Description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An Apparatus for Injecting a Gas into a Human Body Stretching Device}
본 발명은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허리 신장기 또는 목 신장기와 같이 기체 주입 및 배출에 의하여 신축하여 허리 또는 목을 신장시키는 인체 신장기에 기체를 주입하는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뼈와 천골 사이에 위치하여 신체를 지지하면서 평행을 유지하고, 척수를 보호하면서 척추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허리는 사람의 활동의 중심부에 해당한다. 또한 허리는 상체의 하중을 지탱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허리의 건강이 유지될 필요가 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허리의 건강 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 그러므로 허리 건강을 유지하거나 허리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기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번호 10-0473936은 디스크의 치료 및 보호를 위하여 견인되는 허리 벨트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4-0016791은 견인 벨트 구조물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로 개시된 허리 신장기는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의하여 팽창 및 수축이 되는 구조를 가진다.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의하여 신축하는 신장기의 경우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허리 신장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목 신장기에 기체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적절한 공기 주입 장치가 요구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효과적으로 기체를 주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는 기체 주입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0473936(장익춘, 2005년03월14일 공고) 압박 분산이 가능토록 된 디스크 허리벨트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14-0016791(호 호이 밍 마이클, 2014년02월10일 공개) 공기 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분리 가능하면서 탄성 결합이 되는 커플러를 통하여 기체를 주입시키는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는 기체 주입기에 연결된 제1 유도 튜브의 한쪽 끝에 결합된 제1 커플러; 기체 신장 몸체와 연결되는 제2 유도 튜브의 한쪽 끝에 결합된 제2 커플러; 및 제2 유도 튜브의 다른 끝에 형성된 튜브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제1 커플러와 제1 커플러는 탄성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커플러는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끝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제2 커플러에 한 쌍의 걸림 돌기의 끝 부분이 회전에 의하여 삽입 및 분리되는 삽입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커플러는 제1 커플러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탄성에 의하여 이동되는 탄성 이동 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는 허리 신장기, 목 신장기 또는 이와 유사한 인체 신장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적용되는 기체 주입 장치는 분리 가능하면서 탄성에 의하여 결합되는 커플러를 적용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이와 동시에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주입 장치는 다양한 신장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주입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주입 장치에 적용되는 커플러의 잠금 상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주입 장치가 적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는 기체 주입기(13)에 연결된 제1 유도 튜브(W1)의 한쪽 끝에 결합된 제1 커플러(14); 기체 신장 몸체(11)와 연결되는 제2 유도 튜브(W2)의 한쪽 끝에 결합된 제2 커플러(15); 및 제2 유도 튜브(W2)의 다른 끝에 형성된 튜브 고정 유닛(16)을 포함하고, 제1 커플러(14)와 제2 커플러(15)는 탄성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된다.
기체 주입 장치는 허리 신장기, 목 신장기 또는 이와 유사한 인체 신장기에 적용될 수 있고, 인체 신장기는 공기 주입 및 배출에 의하여 신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체 주입기(13)의 작동에 의하여 공기와 같은 기체가 제1 유도 튜브(W1)를 통하여 유도될 수 있고, 제2 유도 튜브(W2)를 경유하여 기체 신장 몸체(11)로 유입될 수 있다. 기체 신장 몸체(11)는 고정 부분(12)에 의하여 인체에 착용되어 허리 또는 목에 착용될 수 있고, 기체의 주입에 따라 기체 신장 몸체(11)가 상하로 신장되면서 허리 또는 목을 상하로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견인에 의하여 허리, 목 또는 다른 인체 부위의 통증이 완화되거나, 치료가 될 수 있다. 기체 주입기(13)는 공기 주입 펌프 또는 이와 유사한 기기가 될 수 있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되어 외부 공기 또는 기체를 주입시킬 수 있다. 기체 주입기(13)를 통하여 유입된 기체는 내부에 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된 제1 유도 튜브(W1)를 통하여 유도될 수 있다. 제1 유도 튜브(W1)의 한쪽 끝에 제1 커플러(14)가 결합될 수 있고, 제1 커플러(14)는 전체적으로 한쪽 면이 열리고, 내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커플러(14)의 한쪽 부분은 제1 유도 튜브(W1)에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제2 커플러(15)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체결 부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부위가 제2 커플러(15)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제1 유도 튜브(W1)와 제2 유도 튜브(W2)가 서로 연결되어 외부 기체가 기체 신장 몸체(11)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제2 커플러(15)의 한쪽 끝에 결합 부위가 형성되어 제1 커플러(14)와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고, 제2 커플러(15)의 다른 끝은 제2 유도 튜브(W2)의 한쪽 끝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도 튜브(W2)의 다른 끝은 기체 신장 몸체(11) 또는 고정 부분(12)에 결합된 튜브 고정 유닛(16)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플러(15)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제1 커플러(14)와 결합되어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커플러(15)의 한쪽 끝에 형성된 결합 부위가 제1 커플러(14)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제1, 2 커플러(14, 15)가 기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2 커플러(14, 15)는 탄성 결합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커플러(15)의 앞쪽 끝에 형성된 결합 부위가 탄성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튜브 고정 유닛(16)은 제2 유도 튜브(W2)의 다른 끝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견고한 합성수지 소재로 판 형상으로 만들어져 기체 신장 몸체(11) 또는 고정 부분(12)에 고정될 수 있다. 튜브 고정 유닛(16)에 제2 유도 튜브(W2)가 관통할 수 있는 고정 홀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홀을 통하여 유도되어 고정된 제2 유도 튜브(W2)의 다른 끝은 기체 신장 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기체 유입 경로에 연결될 수 있다. 튜브 고정 유닛(16)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유도 튜브(W2)의 끝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기체 신장 몸체(11)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 실린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 실린더는 예를 들어 견고한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지고, 제2 유도 튜브(W2)의 끝 부분이 고정 실린더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튜브 고정 유닛(16)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배출 유도 탭(17)이 설치될 수 있고, 배출 유도 탭(17)에 의하여 기체 신장 몸체(11)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가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플러(15)의 끝 부분에 형성된 결합 부위는 탄성 이동이 가능하고, 강제적으로 결합 부위가 제2 커플러(15)의 내부로 이동되면 기체 신장 몸체(11)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유도 탭(17)의 끝 부분에 결합 부위의 내부로 삽입되는 배출 팁이 형성될 수 있고, 배출 팁이 결합 부위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부위를 제2 커플러(15)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는 다양한 부가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주입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커플러(14)는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끝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걸림 돌기(142, 143)를 포함하고, 제2 커플러(15)에 한 쌍의 걸림 돌기(142, 143)의 끝 부분이 회전에 의하여 삽입 및 분리되는 삽입 홈(154)이 형성된다.
기체 주입기(13)는 압축 펌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외부 기체를 유입시키는 유입 실린더(131); 유입 실린더(131)의 내부에서 피스톤(134)이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부재(132); 및 기체 신장 몸체(11)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양 또는 내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1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체 주입기(131)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기체 또는 공기 주입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유도 튜브(W1)의 한쪽 끝에 결합되는 제1 커플러(14)는 한쪽 끝이 제1 유도 튜브(W1)에 고정되는 실린더 형상의 제1 고정 몸체(141) 및 제1 고정 몸체(141)의 끝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142, 1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걸림 돌기(142, 143)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고정 몸체(1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유도 부분 및 유도 부분의 끝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 부분은 동일한 방향으로 꺾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각각의 걸림 부분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꺾일 수 있다. 제1 커플러(14)와 결합되는 제2 커플러(15)는 제2 유도 튜브(W2)에 한쪽 끝이 고정되면서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되는 제2 고정 몸체(151); 제2 고정 몸체(151)로부터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는 삽입 몸체(152); 및 삽입 몸체(152)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끝 부분이 삽입 몸체(152)의 외부로 돌출되는 탄성 이동 관(1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 몸체(152)는 제1 고정 몸체(141)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2 고정 몸체(151)의 끝 부분에 걸림 돌기(142, 143)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삽입 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이동 관(153)의 끝 부분에 제한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이동 관(153)은 제2 고정 몸체(151)의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에 의하여 실린더 형상의 삽입 몸체(152)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커플러(14)와 제2 커플러(15)의 결합을 위하여 삽입 몸체(152)와 탄성 이동 관(153)이 제1 고정 몸체(14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커플러(15)에 압력을 가하면서 탄성 이동 관(153)이 삽입 몸체(152)의 안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정 몸체(141)와 제2 고정 몸체(151)의 원형의 테두리가 서로 접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고정 몸체(141)를 회전시키면 한 쌍의 걸림 돌기(142, 143)가 한 쌍의 삽입 홈(154)에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삽입 홈(154)은 걸림 돌기(142, 143)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리 돌기(142, 143)의 걸림 부분이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이동 관(153)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삽입 몸체(152)에 이동 제한 홀(155, 156)이 형성될 수 있고, 이동 제한 홀(155, 156)은 삽입 홈(154)의 내부 및 삽입 홈(154)의 위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이동 제한 홀(155, 156)에 결합되어 탄성 이동 관(153)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돌기가 탄성 이동 관(153)의 둘레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제한 홀(155, 156) 및 그에 결합되는 제한 돌기는 제2 커플러(15)의 내부에서 기체 유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이동 관(153)이 이동 제한 홀(155, 156)에 의하여 삽입 몸체(152)의 바깥쪽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상태에서 제2 커플러(15)의 내부에 형성된 기체 유동 경로는 닫힌 상태라 된다. 이에 비하여 탄성 이동 관(153)에 압력이 가해져 삽입 몸체(152)의 내부로 이동되어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제2 커플러(15)의 기체 유동 경로가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오리피스 또는 개폐 밸브의 다이어프램 개폐 구조와 유사한 구조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고정 몸체(141)의 내부에 제1 유도 튜브(W1)와 연결되는 제1 유도 관(144)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이동 관(153)의 내부에 제1 유도 관(144)과 연결 가능한 제2 유도 관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플러(14)와 제2 커플러(15)가 결합되면 제1 유도 관(144)과 제2 유도 관이 서로 연결되어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주입 장치에 적용되는 커플러의 잠금 상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커플러와 제2 커플러의 결합을 위하여 삽입몸체 및 탄성 이동 관이 제1 고정 몸체(14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고정 몸체(141)의 원형 테두리와 제2 고정 몸체(151의 원형 테두리는 걸림 돌기(142)의 두께 만큼 분리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커플러의 내부에 형성된 기체 유동 경로는 닫힌 상태가 된다. 제1 고정 몸체(141) 또는 제2 고정 몸체(151)에 압력을 가하면 탄성 이동 관이 삽입 몸체의 내부로 이동되고, 다시 제1 고정 몸체(151) 또는 제2 고정 몸체(152)를 회전시키면 걸림 돌기(142)가 삽입 홈(154)에 삽입되면서 제1 커플러와 제2 커플러가 체결 및 잠금 상태가 되고, 도 3의 오른쪽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커플러의 내부에 형성된 기체 유동 경로가 열리고 위에서 설명된 기체 주입기의 작동에 의하여 제1 유도 튜브(W1)로부터 제2 유도 튜브(W2)로 기체가 유도되어 기체 신장 몸체로 기체가 주입될 수 있다. 신장기의 사용이 완료된 이후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역으로 진행하여 제1 커플러와 제2 커플러를 분리시키고 이후 탄성 이동 관을 가압시킬 수 있다.
기체 주입 장치는 다양한 인체 신장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주입 장치가 적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체 주입 장치는 허리 신장기 및 목 신장기에 적용될 수 있다. 허리 신장기는 허리의 둘레 면에 착용되는 기체 신장 몸체(11) 및 기체 신장 몸체(11)의 양쪽 끝에 형성된 제1, 2 고정 부분(12, 12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허리 신장기의 사용을 위하여 제1 커플러(14)와 제2 커플러(15)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기체 신장 몸체(11)가 허리에 착용되어 고정 부분(12, 12a)에 의하여 고정된 이후 기체 주입기(13)에 의하여 기체가 주입될 수 있다. 목 신장기는 기체 신장 몸체(41), 제1, 2 고정 부분(42, 42a) 및 턱 받침대(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유도 튜브(W2)를 통하여 기체가 유도되는 과정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유도 튜브(W2)의 끝 부분이 튜브 고정 유닛(16)에 고정될 수 있다. 목 신장기에 연결되는 제2 유도 튜브(W2)의 끝 부분은 기체 신장 몸체(41)의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된 실린더 형상의 튜브 고정 유닛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기체 주입 장치는 다양한 인체 신장기에 적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는 허리 신장기, 목 신장기 또는 이와 유사한 인체 신장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적용되는 기체 주입 장치는 분리 가능하면서 탄성에 의하여 결합되는 커플러를 적용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이와 동시에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주입 장치는 다양한 신장기에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기체 신장 몸체 12, 12a: 고정 부분
13: 기체 주입기 14: 제1 커플러
15: 제2 커플러 16: 튜브 고정 유닛
17: 배출 유도 탭
131: 유입 실린더 132: 이동 부재
133: 압력계 134: 피스톤
141: 제1 고정 몸체
142, 143: 걸림 유닛 144: 제1 유도 관
151; 제2 고정 몸체
152: 삽입 몸체 153: 탄성 이동 관
154: 삽입 홈 155, 156: 이동 제한 홀

Claims (3)

  1. 기체 주입기(13)에 연결된 제1 유도 튜브(W1)의 한쪽 끝에 결합된 제1 커플러(14);
    기체 신장 몸체(11)와 연결되는 제2 유도 튜브(W2)의 한쪽 끝에 결합된 제2 커플러(15); 및
    제2 유도 튜브(W2)의 다른 끝에 형성된 튜브 고정 유닛(16)을 포함하고,
    제1 커플러(14)와 제2 커플러(15)는 탄성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되고,
    제1 커플러(14)는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끝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걸림 돌기(142, 143)을 포함하고, 제2 커플러(15)에 한 쌍의 걸림 돌기(142, 143)의 끝 부분이 회전에 의하여 삽입 및 분리되는 삽입 홈(1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커플러(15)는 제1 커플러(14)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탄성에 의하여 이동되는 탄성 이동 관(153)을 포함하는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
KR1020190004812A 2019-01-14 2019-01-14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 KR10225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812A KR102258388B1 (ko) 2019-01-14 2019-01-14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812A KR102258388B1 (ko) 2019-01-14 2019-01-14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57A KR20200088157A (ko) 2020-07-22
KR102258388B1 true KR102258388B1 (ko) 2021-05-31

Family

ID=7189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812A KR102258388B1 (ko) 2019-01-14 2019-01-14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3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3266A (en) 1993-07-06 1995-04-04 United States Manufacturing Company Inflatable cervical traction collar
US8118761B2 (en) 2005-03-24 2012-02-21 Rogachevsky Richard J System and method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ecompression during cervical traction
CN204364184U (zh) * 2015-01-07 2015-06-03 田垒 一种充气式腰围
CN204723486U (zh) 2015-06-10 2015-10-28 青岛大学附属医院 腹膜透析管体外收纳固定带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36B1 (ko) 2003-11-18 2005-03-14 장익춘 압박 분산이 가능토록 된 디스크 허리벨트
TWM442137U (en) 2012-07-31 2012-12-01 Hoi-Ming Michael Ho Air traction belt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3266A (en) 1993-07-06 1995-04-04 United States Manufacturing Company Inflatable cervical traction collar
US8118761B2 (en) 2005-03-24 2012-02-21 Rogachevsky Richard J System and method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ecompression during cervical traction
CN204364184U (zh) * 2015-01-07 2015-06-03 田垒 一种充气式腰围
CN204723486U (zh) 2015-06-10 2015-10-28 青岛大学附属医院 腹膜透析管体外收纳固定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57A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0688B2 (en) Spring clip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AU2017412462B2 (en) End portion execution instrument, end portion execution device, delivery device, and assembly box
US20030195541A1 (en) Universal seal for use with endoscopic cannula
KR101509891B1 (ko) 간편연결식 몸체분리형 수술도구 가이더포트
US20140066953A1 (en) Laparoscopic system
CA2522617A1 (en) Surgical access apparatus
JP2009000547A (ja) オーバーセンタークランプを備えるバルーンカニューレ
CN102264309A (zh) 具有固定装置的低矮轮廓式外科进入装置
KR101089101B1 (ko) 복강경 수술용 견인장치
KR20150127114A (ko) 투관침 수술용 시일
KR102258388B1 (ko) 인체 신장기용 기체 주입 장치
KR102150487B1 (ko) 요도 협착 억제장치
US20200254230A1 (en) Dilatable balloon catheter
KR20200005745A (ko) 취입 유지 장치
US9801753B2 (en) Vacuum attachment for a penis extension device
CN209203356U (zh) 一种具有良好气密性的手术通道装置
KR101589634B1 (ko) 트로카용 일자 실리콘 밸브 및 이에 의한 슬리브
CN110996818B (zh) 手术多通道装置
WO2014162363A1 (ja) 膣内部支持具及び流体注入デバイス
KR101919441B1 (ko) 트로카
US863571A (en) Means for attaching flexible tubes to sources of water-supply.
KR102239217B1 (ko) 흡인 압력이 일정한 의료용 흡인기
KR101850342B1 (ko) 시트의 공압 제공 장치
KR102513976B1 (ko) 소프트 타입 챔버
KR100340335B1 (ko) 복강경 수술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