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323B1 - Unloa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Unloa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323B1
KR101603323B1 KR1020147026821A KR20147026821A KR101603323B1 KR 101603323 B1 KR101603323 B1 KR 101603323B1 KR 1020147026821 A KR1020147026821 A KR 1020147026821A KR 20147026821 A KR20147026821 A KR 20147026821A KR 101603323 B1 KR101603323 B1 KR 10160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atertight
air
conveying mean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6085A (en
Inventor
카츠미 마스다
요네오 무라이
이사오 토메이
Original Assignee
우베고산카이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오케이엠
세이와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1160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033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우베고산카이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오케이엠, 세이와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베고산카이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0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3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양하장치(100)는, 분립체 운반선(1)에 설치되고, 분립체 등의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홀드(2)의 바닥부 중앙부(2c)에 선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동시에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접속되어, 분립체 등의 화물을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홀드(2)의 바닥부(2a)에 바닥부 중앙부(2c)를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홀드(2) 내의 분립체를 플로우 컨베이어(120)를 향해서 이송하는 에어 슬라이더(140)를 구비한다. 분립체 운반선(1)은, 수밀한 복수의 홀드(2)를 구비하고, 이들 플로우 컨베이어(120) 및 에어 슬라이더(140)의 접속부에는, 접속부를 수밀하게 폐쇄 가능한 수밀 배출 게이트(1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The releasing device 100 includes a bucket elevator 110 installed in the powder carrier 1 for transferring a cargo such as a powder or the lik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bucket elevator 110 provided in the bottom center portion 2c of the holder 2, A flow conveyor 120 connected to the bucket elevator 110 to feed the cargo such as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lower end side of the bucket elevator 110, And an air slider 140 which is disposed to be sloped toward the bottom center portion 2c and feeds the powder in the hold 2 toward the flow conveyor 120. [ The powder carrier 1 has a watertight plurality of holders 2 and watertight discharge gates 130 capable of watertightly closing the connect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low conveyor 120 and the air slider 140 Is installed.

Description

양하장치{UNLOADING APPARATUS}UN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멘트, 플라이애쉬, 탄산 칼슘(탄칼), 슬래그, 클링커(clinker) 등의 무기재의 분립체(粉粒體)의 화물이나, 곡물 등을 포함하는 유기재의 분립체의 화물을 반송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적용 가능한 양하장치(揚荷裝置: unloading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veying a cargo of a granular material of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cement, fly ash, calcium carbonate (tin), slag, clinker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loading apparatus applicable to a powder carrier.

시멘트, 플라이애쉬, 탄칼, 슬래그, 클링커나 곡물 등의 분립체의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운반선으로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분체 수송선이 알려져 있다. 이 분체 수송선은, 선박 바닥 구조로서, 복수로 구획된 선창(船倉) 내의 바닥부 중앙부의 분체 도입로를 향해서 포재(布材)를 구비한 경사부를 지니고, 이 포재의 바닥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취출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성을 확보하여 분체 도입로에 반송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BACKGROUND ART As a freight carrier carrying freight of granular materials such as cement, fly ash, coal, slag, clinker or grain, for example, a powder transporting lin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known. This powder transporting line is a ship bottom structure having an inclined portion provided with a cloth material toward a powder introduction path at a center portion of a bottom portion in a plurality of comparted holds and extracting compressed air from the bottom portion Thereby ensuring the fluidity of the fluid and returning it to the powder introduction path.

압축 공기에 의해서 분체 도입로에 유도된 분체는, 분체 도입로에 설치된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서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반송되고, 수직 이송 수단에 의해 셀러 펌프(cellar pump)까지 반송된 뒤에 양하된다. 이들로부터, 이 분체 수송선은, 구획된 선창, 그 선박 바닥 구조나 분체 도입로, 반송 컨베이어 등에 의해 구성된 양하장치를 구비한다고 할 수 있다.The powder introduced into the powder introduction path by the compressed air is convey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hull by the conveying conveyor provided in the powder introduction path and discharged after being conveyed to the cellar pump by the vertical conveying means. From these, it can be said that the powder conveying line is provided with a separating device, a separating device constituted by the bottom structure of the ship, a powder introduction path, a conveying conveyor and the like.

JPJP 2002-3561942002-356194 AA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분체 수송선에서는, 양하장치를 구성하는 분체 도입로가 복수의 선창을 연통하여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뻗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손상 시 복원성(데미지 스태빌리티(Damage Stability): DS)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powder transporting lin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powder introduction path constituting the releasing device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ull through a plurality of pods.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Damage Stability: DS) at the time of damage is not good.

즉, 예를 들어, 복수의 선창 중 적어도 하나에 바닷물이 침입해서 침수되면, 분체 도입로를 개재해서 각 선창에 바닷물이 도달해 버려, 모든 선창이 침수되어 버리므로, 선창 내에 실은 분체를 제품으로서 취급할 수 없게 되는 동시에, 손상 시 복원성이 양호하지 않다.In other words,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loats is submerged in water, the seawater reaches each of the floors via the powder introduction path, and all the floors are flooded. Therefore, It can not be handled, and the stability at the time of damage is not goo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손상 시 복원성이 양호하고, 또한 선창으로부터 분립체를 안정적으로 내릴 수 있는 양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easing device capable of relie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ving a good restoring property upon damage and capable of reliably lowering the powdered particle from the pail.

본 발명에 따른 양하장치는, 분립체를 복수로 구획된 선창 내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설치되어, 상기 선창 내로부터 상기 분립체를 내리는 양하장치로서, 격벽에 의해 내부가 수밀하게 되도록 구획된 상기 선창 내로부터 반출된 분립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과, 상기 선창의 바닥부 중앙부에 상기 분립체 운반선의 선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동시에 상기 수직 이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수단과, 상기 선창의 바닥부에 상기 바닥부 중앙부를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을 향해서 이송하는 선창 내 이송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 이송 수단 및 상기 선창 내 이송 수단의 접속부는, 수밀 수단에 의해 폐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lea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leas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 powder carrier carrying a powder compacted in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nd carrying the powder compact from the inside of the pail so as to be watertight, Vertical conveying means for vertically conveying the powde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pail; and vertical conveying means connected to the vertical conveying means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pail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ship, A vertical conveying means for horizontally conveying the powder in the hol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lower end side of the vertical conveying means and a horizontal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powder in the hold in a horizontal direction, Means for transferring the object to the container, wherein the horizontal transfer means and the inner container The connec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which is closed possibly connected by a water-tight mean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이 세로형 스크류 컨베이어 또는 세로형 버킷 엘리베이터(bucket e1evator)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이 플로우 컨베이어(flow conveyor)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창 내 이송 수단이 에어 슬라이더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conveying means comprises a vertical screw conveyor or a vertical bucket elevator,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is a flow conveyor, The means consists of an air slider.

본 발명에 따르면, 손상 시 복원성이 양호하고 또한 선창으로부터 분립체를 안정적으로 내릴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in case of damage and to stably lower the powdered particle from the p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측방향 단면도;
도 2는 상기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상방 평면도;
도 3은 상기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폭방향 단면도;
도 4는 상기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폭방향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later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rticle carrier employing a relea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upper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rticle carrier employing the releasing devic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rticle carrier employing the releasing device in a width direction; FIG.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rticle carrier applying the releasing device.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rticle carrier employing a relea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elea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측방향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이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상방 평면도이다. 도 3은 이 분립체 운반선의 폭방향 단면도, 도 4는 그 확대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rticle carrier employing a relea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upper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wder carrier carrying the releasing devic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rticle carrier, and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hereof.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하장치(100)는 분립체 운반선(1)에 설치되어 있다. 양하장치(100)는, 예를 들어, 분립체 운반선(1)의 선창인 홀드(hold)(2) 내에 적재된 시멘트, 플라이애쉬, 탄산 칼슘(탄칼), 슬래그, 클링커 등의 무기재의 분립체나, 곡물 등을 포함하는 유기재의 분립체 등의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의 버킷 엘리베이터(11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releasing device 100 is provided in the powder carrier 1. The unloading device 100 can be used as a separator of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cement, fly ash, calcium carbonate (tin), slag, clinker or the like loaded in a hold 2 which is a pod of the particle carrier 1 And a bucket elevator 110 of a vertically moving means for vertically transporting cargo such as granules of organic materials including grains and the like.

또, 양하장치(100)는, 홀드(2)의 바닥부 중앙부(2c)에 분립체 운반선 선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동시에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접속되어, 분립체 등의 화물을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수단인 플로우 컨베이어(120)를 구비한다.The releasing device 100 is disposed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portion 2c of the bottom portion 2c of the holder 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ulk carrier carrying ship and is connected to the bucket elevator 110, And a flow conveyor 120 which is a horizontal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lower end side of the conveyor 110.

또한, 양하장치(100)는, 홀드(2)의 바닥부(2a)에 바닥부 중앙부(2c)를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홀드(2) 내의 분립체를 플로우 컨베이어(120)를 향해서 이송하는 선창 내 이송 수단의 에어 슬라이더(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플로우 컨베이어(120) 및 에어 슬라이더(140)의 접속부에는 접속부를 수밀하게 폐쇄 가능한 수밀 배출 게이트(1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The releasing device 100 is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2a of the holder 2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center portion 2c and feeds the powder in the holder 2 toward the flow conveyor 120 And an air slider 140 of the conveying means in the hold. A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capable of watertightly closing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low conveyor 120 and the air slider 140, respectively.

여기에서, 분립체 운반선(1)은, 본 예에서는 선박 바닥을 구성하는 선각 밑판(3) 위에 배치된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4)와, 이 밸러스트 탱크(4)의 상판인 홀드(2)의 밑판(4a)를 구비하고, 선수부(6)와 선미부(7) 사이에, 예를 들어, 선체 전후 방향에 4개, 그리고 선체 폭방향에 2개씩 구획된 8개의 홀드(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홀드(2)는, 격벽(2b)에 의해 선체의 전후 방향 및 폭방향으로 수밀 상태로 구획되어 있다.Here, the particle conveyor 1 includes a ballast tank 4 disposed on a wavy bottom plate 3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vessel in this embodiment, and a holder 2, which is a top plate of the ballast tank 4, Eight holders 2 are provided between the forward portion 6 and the aft portion 7 and divided into four piec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hull and two piec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Respectively. These holders (2)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b) in a watertight s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ip.

분립체 운반선(1)의 선적장치는, 예를 들어, 홀드(2) 내에 적재되는 화물(적하물)을 육상으로부터 분립체 운반선(1)에 받아들이는 수납 에어 슬라이드(150)를 개재해서 접속된 중앙 분배 탱크(152)와, 이 중앙 분배 탱크(152)에 접속된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와, 이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로부터 분기되는 홀드 선적부(154)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shipping device of the powder carrier 1 is connected via a containment air slide 150 which receives, for example, the cargo (drip material) loaded in the hold 2 from the land on the carrier 1, A distribution air slide 153 connected to the central distribution tank 152 and a hold shipping section 154 branched from the distribution air slide 153 and the like.

중앙 분배 탱크(152)는, 선체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는, 중앙 분배 탱크(152)로부터 선수부(6)의 방향 및 선미부(7)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중앙 분배 탱크(152) 측에서부터 이들 방향으로 경사져서 내려가도록 4개 설치되고, 각 홀드(2)의 상부에 설치된 홀드 선적부(154)와 중앙 분배 탱크(152)를 연결한다.The central distribution tank 152 is disposed substantially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The distribution air slide 153 extends from the central distribution tank 152 in the direction of the bow portion 6 and in the direction of the stern portion 7 and is inclined downward in these directions from the central distribution tank 152 side And the hold shipping portion 154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holders 2 is connected to the central distribution tank 152.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에 연결된 홀드 선적부(154)는, 각 홀드(2)에 대해서 설치되어 있고, 홀드 선적부(154)와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 사이에 설치된 게이트(155)의 개방 조작에 의해, 시멘트 등의 분립체가 홀드 선적부(154) 바로 아래의 홀드(2) 내에 낙하하여, 적재된다. 이때, 분립체는 유동화된 상태에서 홀드(2) 내에 낙하되므로, 적재 표면은 거의 수평화된다.The hold shipping section 154 connected to the distributing air slide 153 is provided for each of the hold 2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gate 155 provided between the hold shipping section 154 and the distributing air slide 153 The powder of cement or the like falls into the hold 2 immediately below the hold shipping portion 154 and is loaded. At this time, since the powder is dropped in the holder 2 in the fluidized state, the loading surface is almost relaxed.

또한, 중앙 분배 탱크(152)나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 등의 구조는 공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에어 슬라이드는, 예를 들어, 덕트 내에 경사진 캔버스를 배치하고, 이 캔버스의 아래 쪽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해서 분립체를 유동화시키면서 이동시키는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central distribution tank 152, the distribution air slide 153, and the like is well known,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However, the air slide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arranging a tilted canvas in the duct, And air is supplied from below to move the powder particles while fluidizing them.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립체 운반선(1)의 양하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홀드(2)의 밑판(4a) 위에 설치된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5)의 위쪽에 설치된 선창 내 이송 수단의 홀드용의 에어 슬라이더(140)와, 각 홀드(2)의 바닥부 중앙부(2c)에 설치되고, 에어 슬라이더(140)에 의해 홀드(2) 내를 선체의 폭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어온 분립체를,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예를 들어, 플로우 컨베이어(120)의 선수부(6) 측의 단부와 접속되어, 그 하단 측으로부터 플로우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어온 분립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버킷 엘리베이터(110)를 구비한다.3,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powder carrier 1 is provided above the bottom plate 5 with the air slider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4a of the holder 2 as described above The air slider 140 for holding the holding means in the holding means and the air slider 140 provided at the bottom central portion 2c of each holder 2 and horizontally moving the hold 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2 The flow conveyor 1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low conveyor 120 on the side of the forward portion 6 and the flow conveyor 120 is connected to the flow conveyor 120 from the lower end thereof, And a bucket elevator (110) for vertically transporting the powder fed by the feeder (120).

또, 양하장치(100)는, 버킷 엘리베이터(110) 근방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선체의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셀러 펌프(160)와, 이들 셀러 펌프(160)와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상단 측을 접속하는 셀러 펌프(160)에의 급송관(161)과, 셀러 펌프(160) 내의 분립체를 양하시키기 위한 수송관(양하관)(162)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The releas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ellar pumps 160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bucket elevator 1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ip and a plurality of the cellar pumps 160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bucket elevator 110, A feed pipe 161 to the seller pump 160 for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a feed pipe (feed pipe) 162 for feeding off the powder in the feeder pump 160.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5)은, 홀드(2) 내로부터의 분립체의 누설이나 밑판(4a) 측으로부터의 바닷물의 침입 등이 없도록, 수밀 구조로 홀드(2)의 바닥부(2a)의 전체 면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 슬라이더(140)는, 밑판(4a)과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5)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된, 공기 배관(149)이나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공기 공급 밸브(에어 슬라이더 밸브)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The bottom plate 5 with an air slider has a watertight structure so as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powder from the inside of the holder 2 and the infiltration of seawater from the side of the bottom plate 4a, . The air slider 140 includes an air pipe 149 and a plurality of air supply valves (air slider valves) (not shown)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4a and the air slider- .

공기 배관(149)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 공급 밸브를 개재해서 에어 슬라이더(140)의 에어 슬라이더 박스(148) 내에 공급되어, 에어 슬라이더 캔버스(147)를 통해서 홀드(2) 내로 취출된다. 또한, 공기는 공기 공급 밸브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된 복수의 통기 밸브를 개재해서 홀드(2) 내에 공급된다. 통기 밸브는 홀드(2) 내의 통기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piping 149 is supplied into the air slider box 148 of the air slider 140 through the air supply valve and is taken out into the holder 2 through the air slider canvas 147. Further, the air is supplied into the holder (2) through a plurality of air valves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air supply valve. The vent valve is for adjusting the ventilation pressure in the holder 2.

또,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에어 슬라이더(140)의 접속부에는, 에어 슬라이더(140)로부터의 분립체를 플로우 컨베이어(120)에 배출하기 위한 수밀 수단인 수밀 배출 게이트(130)가 배치되어 있다. 수밀 배출 게이트(130)는, 전동식 또는 공동식(空動式)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나이프 게이트 밸브나 나비형 밸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A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which is a watertight means for discharging the powder particles from the air slider 140 to the flow conveyor 120, is dispos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low conveyor 120 and the air slider 140. The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is constituted by a knife gate valve, a butterfly valve, or the like having an electric or hollow (idle) cylinder.

에어 슬라이더(140)는, 홀드(2)의 선체 측면 측의 격벽(2b) 측으로부터 수밀 배출 게이트(130) 쪽으로 약간 경사져서 흘러 내리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유동화된 홀드(2) 내의 분립체를 수밀 배출 게이트(130)의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수밀 배출 게이트(130)는, 도시하지 않은 자동제어장치 또는 수동제어장치에 의해 폐쇄 조작됨으로써, 홀드(2) 내의 에어 슬라이더(140)와 플로우 컨베이어(120)의 접속부를 수밀하게 폐쇄한다. 이것에 의해, 각 홀드(2)는 각각 수밀하게 구획된다.The air slider 140 is disposed so as to be slightly inclined from the side of the partition wall 2b on the side of the hull side of the holder 2 toward the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Therefore,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gate 130. The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closes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air slider 140 and the flow conveyor 120 in the holder 2 by closing operation by an automatic control device or a manual control device not shown. As a result, each of the holders 2 is partitioned by wat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100)는, 플로우 컨베이어(120)에 의해서 각 홀드(2)가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어도, 수밀 배출 게이트(130)에 의해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에어 슬라이더(140)를 수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홀드(2) 중 어느 것인가에 바닷물이 침입해도, 수밀 배출 게이트(130)를 폐쇄 조작함으로써 다른 홀드(2) 내에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손상 시 복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로우 컨베이어(120), 에어 슬라이더(140) 및 버킷 엘리베이터(110) 등은 기존의 구조의 것을 이용하고, 수밀 배출 게이트(130)만을 신규로 설치하는 것만으로 양하장치(100)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The unloa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moving the flow conveyor 120 by the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even if the holders 2 are communic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hull by the flow conveyor 120, And the air slider 140 can be made watertight. Therefore, even if the seawater intrudes into any one of the holders 2, the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can be closed to prevent flooding in the other hold 2.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at the time of damage. In addition, the flow conveyor 120, the air slider 140, the bucket elevator 110, and the like can be constructed using conventional structures, and only the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can be newly installed to realize the releasing device 100 Therefore, it can be constructed at low cost.

또, 버킷 엘리베이터(110) 대신에, 세로형 스크류 컨베이어 등의 수직 이송 수단을 채용하거나, 플로우 컨베이어(120)로서 체인 컨베이어나 가로형 스크류 컨베이어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밀 배출 게이트(130)를 그 개방도에 따라서 분립체의 플로우 컨베이어(120)에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밸브로서 동작시키거나, 에어 슬라이더(140)의 통기를 제어해서 이 유량을 조정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Vertical conveying means such as a vertical screw conveyor may be employed instead of the bucket elevator 110, or a chain conveyor or a horizontal screw conveyor may be employed as the flow conveyor 120.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watertight outlet gate 130 as a flow rate adjusting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powder to the flow conveyor 120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degree thereof or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air slider 140 It is also possible to do.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100)에 따르면, 수밀 배출 게이트(130)의 구조를 나이프 게이트 밸브 등의 기존의 수밀 수단에 의해 구성하고, 게이트의 개구 형상을 직사각 형상, 원 형상 등 각종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에어 슬라이더(140)의 접속 부분에 이들의 접속을 위한 데드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되고, 보다 간단한 구조로 손상 시 복원성을 향상시키는 양하장치(100)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lea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is constituted by a conventional watertight means such as a knife gate valve, and the opening shape of the gate is chang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The dead space for connection between the flow conveyor 120 and the air slider 140 is not requir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low conveyor 120 and the air slider 140 and the releasing device 100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at the time of damage with a simpler structure Can be realiz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하장치(100A)는,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플로우 컨베이어(120)의 접속부에 수밀 배출 게이트(13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점이, 앞서의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100)와 상이하다.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rticle carrier employing a relea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unloading apparatus 100A is further provided with a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ucket elevator 110 and the flow conveyor 120. The unloading apparatus 100A according to the abov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evice 100.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홀드(2)의 부분과 선수부(6)를 수밀 상태로 구획하여, 손상 시 복원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에어 슬라이더(140)의 접속부에 수밀 배출 게이트(130)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보다 적합하게는 각 홀드(2)를 수밀 상태로 구획할 수 있는 구성이 양호하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portion of each of the hold 2 and the head portion 6 can be partitioned into a watertight state, and the restoration property can be improved in case of damage.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watertight discharge gate 130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low conveyor 120 and the air slider 140, but more preferably, the structure in which each of the hold 2 can be partitioned into a watertight state .

1: 분립체 운반선 2: 선창(홀드)
2a: 바닥부 2b: 격벽
3: 선각 밑판 4: 밸러스트 탱크
4a: 밑판 5: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
6: 선수부 7: 선미부
100: 양하장치 110: 버킷 엘리베이터
120: 플로우 컨베이어 130: 배출 게이트
140: 에어 슬라이더
1: Particle carrier 2: Hold (Hold)
2a: bottom part 2b: partition wall
3: Hollow bottom plate 4: Ballast tank
4a: Base plate 5: Base plate with air slider
6: bow 7: stern
100: releasing device 110: bucket elevator
120: Flow conveyor 130: Discharge gate
140: air slider

Claims (2)

분립체(粉粒體)를 복수로 구획된 선창 내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설치되어, 상기 선창 내로부터 상기 분립체를 내리는 양하장치(揚荷裝置: unloading apparatus)로서,
격벽에 의해 내부가 수밀하게 되도록 구획된 상기 선창 내로부터 반출된 분립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
상기 선창의 바닥부 중앙부에 상기 분립체 운반선 선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동시에 상기 수직 이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수단; 및
상기 선창의 바닥부에 상기 바닥부 중앙부를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공기류에 의해 유동화시켜서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을 향해서 이송하는 에어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이송 수단 및 상기 에어 슬라이더의 접속부는 수밀 나비형 밸브에 의해 폐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하장치.
1. An unloading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powdered granular material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nd transporting the powdered granular material 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Vertical conveying means for vertically conveying the powde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pod, the inside of which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so as to be watertight;
And a vertical conveying means connected to the vertical conveying means for horizontally conveying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lower end side of the vertical conveying means, Way; And
And an air slider disposed on a bottom portion of the hull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to fluidize the powder in the hull by the air flow and feed the hull to the horizontal feed means,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feed means and the air slider is connected to be closable by a watertight butterfly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은 세로형 스크류 컨베이어 또는 세로형 버킷 엘리베이터(bucket e1evator)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은 플로우 컨베이어(flow convey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conveying means comprises a vertical screw conveyor or a vertical bucket elevator,
Wherein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comprises a flow conveyor.
KR1020147026821A 2012-03-05 2012-03-05 Unloading apparatus KR10160332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5575 WO2013132579A1 (en) 2012-03-05 2012-03-05 Unloa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085A KR20140146085A (en) 2014-12-24
KR101603323B1 true KR101603323B1 (en) 2016-03-14

Family

ID=4911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821A KR101603323B1 (en) 2012-03-05 2012-03-05 Unloa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14461B2 (en)
KR (1) KR101603323B1 (en)
CN (1) CN104203744B (en)
WO (1) WO201313257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5299B2 (en) * 2015-05-15 2017-06-28 宇部興産海運株式会社 Lifting equipment
JP2017013574A (en) * 2015-06-30 2017-01-19 宇部興産海運株式会社 Unloading device
JP6470786B2 (en) * 2017-04-19 2019-02-13 宇部興産海運株式会社 Lifting equipment
JP6772206B2 (en) * 2018-01-31 2020-10-21 宇部興産海運株式会社 Unloading device
SG10201909072XA (en) * 2019-09-27 2021-04-29 Eng Soon Goh Mixed Cargoes Barge
CN113353198A (en) * 2021-07-13 2021-09-07 中集船舶海洋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Bulk cement shi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278A (en) * 2007-09-14 2009-04-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Particulate transporting shi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09780U (en) * 1986-12-03 1987-09-09 彭志平 Self-unloading bulk cargo ship
JP3491165B2 (en) * 1992-09-04 2004-01-26 株式会社 商船三井 Self-unloading system for bulk carriers
JP3383681B2 (en) * 1992-11-13 2003-03-04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powder cargo
JP3523612B2 (en) * 2001-05-31 2004-04-26 双栄海運株式会社 Powder transport ship
CN101239652A (en) * 2007-02-06 2008-08-13 周兆弟 Self-discharging method of self-discharging bulk carrier and balk carg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278A (en) * 2007-09-14 2009-04-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Particulate transporting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132579A1 (en) 2015-07-30
JP5814461B2 (en) 2015-11-17
CN104203744A (en) 2014-12-10
CN104203744B (en) 2016-10-26
WO2013132579A1 (en) 2013-09-12
KR20140146085A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323B1 (en) Unloading apparatus
DK2032426T3 (en)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of bulk material from a ship
JP2009067278A (en) Particulate transporting ship
KR101603322B1 (en) Unloading apparatus
JP2010202015A (en) Ship
RU2608013C1 (en) Versatile machine for loose materials transportation and loading into electrolytic cell
KR101258925B1 (en) Vessel having freight handling machinery using duct keel
US33051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hips
JP6056034B2 (en) Lifting equipment
JP3211318U (en) Lifting equipment
JP6484211B2 (en) Lifting equipment
RU2328437C2 (en) Plant for continuous feed of powdered hard material into pneumatic transport pipeline
CN103857280A (en) System for loading, preserving and distributing fodder, applied on a ship for transporting a large number of animals
JP6056030B2 (en) Powder carrier and method for fluidizing powder
JP4562646B2 (en) Hull structure of powder loading ship
JP2002240778A (en) Bulk carrying vessel
JP6470786B2 (en) Lifting equipment
JP2018070158A (en) Loading device
JP7104526B2 (en) Bulk storage equipment and bulk carriers
JP6056029B2 (en) Powder carrier
JP6056028B2 (en) Powder carrier
JP4552172B2 (en) Bulk carrier
JPS629197Y2 (en)
JP2017013574A (en) Unloading device
JP6456866B2 (en) Powder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