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211B1 -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211B1
KR101603211B1 KR1020090120717A KR20090120717A KR101603211B1 KR 101603211 B1 KR101603211 B1 KR 101603211B1 KR 1020090120717 A KR1020090120717 A KR 1020090120717A KR 20090120717 A KR20090120717 A KR 20090120717A KR 101603211 B1 KR101603211 B1 KR 101603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ning
circuit
tilting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217A (ko
Inventor
오재윤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2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는 회로부, 틸팅부 및 패닝부를 포함한다. 틸팅부는 광학계를 내장하고 회로부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틸팅(tilting)을 수행한다. 패닝부는 회로부와 틸팅부 사이에서 회로부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틸팅부가 패닝(panning)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에서, 회로부가 1차 코일 및 제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패닝부가 2차 코일 및 제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1차 코일에 제1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2차 코일에 제2 교류 전원이 유도된다. 또한, 제1 무선 통신부와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회로부와 패닝부가 통신을 수행한다.
CCTV, 감시 카메라

Description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Monitoring camera wherein slip-ring is removed}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부, 틸팅부 및 패닝부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들은 촬영에 의하여 라이브-뷰(live-view)의 영상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또한, 감시 카메라들은 모니터링 장치로서의 호스트 장치들과 통신하면서 라이브-뷰(live-view)의 영상 신호들을 호스트 장치들에 전송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회로부, 틸팅부 및 패닝부를 포함한다. 틸팅부는 광학계를 내장하고 회로부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틸팅(tilting)을 수행한다. 패닝부는 회로부와 틸팅부 사이에서 회로부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틸팅부가 패닝(panning)하도록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회로부와 틸팅부 사이의 패닝 축에는 회전하면서 전기 신호들을 전달하는 슬립-링(slip-ring)이 내장된다.
하지만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슬립-링(slip-ring)이 사용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첫째, 슬립-링(slip-ring)의 접점 방식의 동작 특성에 따라 전기 신호들에 노이즈가 삽입된다.
둘째, 슬립-링(slip-ring)의 수명이 다른 부품들에 비하여 짧으므로 감시 카메라의 수명도 짧아진다.
셋째, 슬립-링(slip-ring)의 핀 수 제약에 따라 감시 카메라의 회로 설계에 제약이 있다.
넷째, 슬립-링(slip-ring)의 크기에 따라 감시 카메라의 기구 설계에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신호들에 노이즈가 삽입됨을 방지하고, 수명이 연장되며, 회로 및 기구 설계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는 회로부, 틸팅부 및 패닝부를 포함한다.
상기 틸팅부는 광학계를 내장하고 상기 회로부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틸팅(tilting)을 수행한다. 상기 패닝부는 상기 회로부와 틸팅부 사이에서 상기 회로부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틸팅부가 패닝(panning)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에서, 상기 회로부가 1차 코일 및 제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닝부가 2차 코일 및 제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코일에 제1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2차 코일에 제2 교류 전원이 유도된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회로부와 상기 패닝부가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하면, 상기 패닝부와 상기 틸팅부는 상기 2차 코일에 유도된 상기 제2 교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제2 무선 통신부에 의하여 상기 회로부와 상기 패닝부가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회로부와 패닝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 선들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회로부와 패닝부 사이에서 슬립-링(slip-ring)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슬립-링(slip-ring)의 접점 방식의 동작 특성에 따른 전기적 노이즈가 제거된다.
둘째, 다른 부품들에 비하여 수명이 짧은 슬립-링(slip-ring)이 제거되므로 감시 카메라의 수명도 길어진다.
셋째, 슬립-링(slip-ring)의 핀 수 제약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회로 설계의 제약이 없어진다.
넷째, 슬립-링(slip-ring)의 크기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기구 설계의 제약이 없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들(1a,1b,1c)이 적용된 감시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들(1a,1b,1c) 각각은 촬영에 의하여 라이브-뷰(live-view)의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감시 카메라들(1a,1b,1c) 각각은, 호스트 장치(3a,3b,3c)와 통신 신호 들(DCOM)을 주고 받으면서 라이브-뷰(Live-view)의 비디오 신호(SVID)를 호스트 장치(3a,3b,3c)에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1a,1b,1c)의 제1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20은 설치 위치 예를 들어, 천장(20)을 가리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1a,1b,1c)는 회로부(21), 틸팅부(23) 및 패닝부(25)를 포함한다.
회로부(21)는 천장(20)에 고정된다. 패닝부(25)는 베어링을 포함한 패닝 축(22)에 의하여 회로부(21)와 결합된다. 틸팅부(25)는 틸팅 지지부(24)에 의하여 패닝부(23)와 결합된다.
틸팅부(25)는 광학계를 내장하고 회로부(21)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틸팅(tilting)을 수행한다. 패닝부(23)는 회로부(21)와 틸팅부(25) 사이에서 회로부(21)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틸팅부(25)가 패닝(panning)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에서, 회로부(21)가 1차 코일(211) 및 제1 무선 통신부(213)를 포함한다. 패닝부(23)는 2차 코일(231) 및 제2 무선 통신부(233)를 포함한다. 1차 코일(211)에 제1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2차 코일(231)에 제2 교류 전원이 유도된다. 즉, 패닝부(23)와 틸팅부(25)는 2차 코일(231)에 유도된 제2 교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한다. 또한, 제1 무선 통신부(213)와 제2 무선 통신부(233)를 통하여 회로부(21)와 패닝부(23)가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회로부(21)와 패닝부(23)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 선들이 불필요하므 로, 회로부(21)와 패닝부(23) 사이의 패닝 축(22)에서 슬립-링(slip-ring)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슬립-링(slip-ring)의 접점 방식의 동작 특성에 따른 전기적 노이즈가 제거된다.
둘째, 다른 부품들에 비하여 수명이 짧은 슬립-링(slip-ring)이 제거되므로 감시 카메라의 수명도 길어진다.
셋째, 슬립-링(slip-ring)의 핀 수 제약에 따른 감시 카메라(1a,1b,1c)의 회로 설계의 제약이 없어진다.
넷째, 슬립-링(slip-ring)의 크기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기구(1a,1b,1c) 설계의 제약이 없어진다.
도 3은 도 2의 감시 카메라(1a,1b,1c)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2의 패닝부(23)와 틸팅부(25)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도 2의 감시 카메라(1a,1b,1c)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301), 타이밍 회로(302), 제어부로서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307), 비디오-신호 발생부(308),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필터 모터(MD), 패닝 모터(MP), 틸팅 모터(MT), 구동부(310), 통신 인터페이스(112), 마이크로 컴퓨터(313), 제1 무선 통신부(213) 및 제2 무선 통신부(233)를 포함한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한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야간 동작 모드에 사용되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주간 동작 모드에 사용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틸팅부(25) 안에서 광학계(OPS)와 연결된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패닝부(23) 안의 제2 무선 통신부(233) 및 회로부(21) 안의 제1 무선 통신부(213)을 통하여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301)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는 타이밍 회로(3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3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타이밍 회로(302)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회로부(21) 안의 제1 무선 통신부(213) 및 패닝부(23) 안의 제2 무선 통신부(233)를 통하여 틸팅부(25) 안의 광전 변환부(OEC)에 입력된다.
CDS-ADC(101)는, 제1 무선 통신부(213)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 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는 CDS-ADC 소자(1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비디오-신호 발생부(308)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SVID)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는, 통신 인터페이스(312)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도 1의 3a,3b,3c)와 통신 신호들(DCOM)을 주고 받으면서, 비디오 신호 채널(SVID)을 통하여 비디오-신호 발생부(30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SVID)를 호스트 장치들(3a,3b,3c)에 전송한다.
또한,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필터 모터(MD), 패닝 모터(MP) 및 틸팅 모터(MT)의 구동을 위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는 마이크로 컴퓨터(313)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마이크로 컴퓨터(313)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제1 무선 통신부(213) 및 제2 무선 통신부(233)를 통하여 구동부(310)에 입력된다.
제2 무선 통신부(23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들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부(310)는 틸팅부(25)에 구비된 모터들(MA,MZ,MF,MD,MT) 및 패닝부(23) 안의 패닝 모터(MP)를 구동한다.
틸팅부(25) 안의 조리개 모터(MA)는 조리개를 구동하고, 틸팅부(25) 안의 줌 모터(MZ)는 줌 렌즈를 구동하며, 틸팅부(25) 안의 포커스 모터(MF)는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 틸팅부(25) 안의 필터 모터(MD)는 필터부에서의 광학적 저역통과필터와 적외선 차단 필터를 구동한다.
패닝부(23) 안의 패닝 모터(MP)는 패닝부(23) 자체에 패닝 회전력을 인가하면서 패닝부(23)를 회전시킴에 따라 틸팅부(25)도 함께 패닝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틸팅부(25) 안의 틸팅 모터(MT)는 틸팅부(25) 자체에 틸팅 회전력을 인가하면서 틸팅부(25)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전원부에 있어서, 회로부(21)는 제1 직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고, 회로부(21)에서 제1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변환부(314)가 구비된다.
직류/교류 변환부(314)로부터의 제1 교류 전원은 1차 코일(211)에 인가되고, 패닝부(23) 내의 2차 코일(231)에서 제2 교류 전원이 유도된다.
또한, 패닝부(23)에서 제2 교류 전원을 제2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316)가 구비되고, 패닝부(23)가 제2 직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1a,1b,1c)의 제2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1a,1b,1c)는 회로부(21), 틸팅부(23) 및 패닝부(25)를 포함한다.
회로부(21)는 천장(20)에 고정된다. 패닝부(25)는 베어링을 포함한 패닝 축(22)에 의하여 회로부(21)와 결합된다. 틸팅부(25)는 틸팅 지지부(24)에 의하여 패닝부(23)와 결합된다.
틸팅부(25)는 광학계를 내장하고 회로부(21)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틸팅(tilting)을 수행한다. 패닝부(23)는 회로부(21)와 틸팅부(25) 사이에서 회로부(21)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틸팅부(25)가 패닝(panning)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에서, 회로부(21)가 1차 코일(211) 및 제1 무선 통신부(213)를 포함한다. 패닝부(23)는 2차 코일(231) 및 제2 무선 통신부(51)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틸팅부(25)는 3차 코일(53) 및 제3 무선 통신부(52)를 포함한다.
1차 코일(211)에 제1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2차 코일(231)에 제2 교류 전원이 유도되고, 3차 코일(53)에 제3 교류 전원이 유도된다.
제1 무선 통신부(213)와 제2 무선 통신부(51)를 통하여 회로부(21)와 패닝부(23)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제1 무선 통신부(213)와 제3 무선 통신부(52)를 통하여 회로부(21)와 틸팅부(52)가 통신을 수행한다.
패닝부(23)는, 2차 코일(231)에 유도된 제2 교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고, 제1 무선 통신부(213)와 제2 무선 통신부(51)에 의하여 회로부(21)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틸팅부(25)는 3차 코일(53)에 유도된 제3 교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고, 제1 무선 통신부(213)와 제3 무선 통신부(233)에 의하여 회로부(21)와 통신을 수행한다.
즉, 회로부(21)와 패닝부(23)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 선들이 불필요하므로, 회로부(21)와 패닝부(23) 사이의 패닝 축(22)에서 슬립-링(slip-ring)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패닝부(23)와 틸팅부(25)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 선들이 불필요하므로, 패닝부(23)와 틸팅부(25) 사이의 틸팅 지지부(24)에서 슬립-링(slip-ring)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과들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감시 카메라(1a,1b,1c)의 전원 공급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회로부(21)가 제1 직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고, 회로부(21)에서 제1 직류 전원을 제1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변환부(314)가 구비된다.
직류/교류 변환부(314)로부터의 제1 교류 전원이 1차 코일(211)에 인가되면, 2차 코일(231)에 제2 교류 전원이 유도되고, 3차 코일(53)에 제3 교류 전원이 유도된다.
패닝부(23)에서 제2 교류 전원을 제2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교류/직류 변환부가 구비되고, 패닝부(23)가 제2 직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한다.
틸팅부(25)에서 제3 교류 전원을 제3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교류/직류 변환부(61)가 구비되고, 틸팅부(25)가 제3 직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한다.
도 7은 도 5의 패닝부(23)와 틸팅부(25)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5 및 7을 참조하면, 패닝부(23)는 패닝 모터(MP), 제1 구동부(710)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부(710)를 구비한다.
패닝 모터(MP)는 패닝을 위한 틸팅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제1 구동부(710)는 패닝 모터(MP)를 구동한다. 제2 무선 통신부(51)는 제1 무선 통신부(도 5의 213)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1 구동부(710)에 입력시킨다.
틸팅부(25)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필터 모터(MD), 틸팅 모터(MT), 제2 구동부(711) 및 상기 제3 무선 통신부(5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각 부의 개별적인 기능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제2 구동부(711)는 제3 무선 통신부(5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면서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필터 모터(MD) 및 틸팅 모터(MT)를 구동한다.
제3 무선 통신부(52)는 제1 무선 통신부(213)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을 제2 구동부(711) 및 광전 변환부(OEC)에 입력시킨다. 또한, 제3 무선 통신부(52)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무선 통신부(213)에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1a,1b,1c)의 제3 실시예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8에서 도 2 내지 4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8의 제3 실시예의 일 예의 내부적 구성 및 동작은 도 2 내지 4의 제1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그 외부적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패닝부(23)의 주위를 회로부(21)가 에워싼다. 또한, 패닝부(23)와 회로부(21) 각각의 대향면들에 같은 극성의 자석들(81, 82)이 구비되어, 패닝부(23)의 주위에 반발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패닝부(23)가 회로부(21)와 이격된 상태에서 회로부(21)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도 2의 제1 실시예에 비하여, 베어링을 포함한 패닝 축(도 2의 22)마저 제거할 수 있는 추가적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1a,1b,1c)의 제3 실시예의 또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9에서 도 8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9의 제3 실시예의 또다른 예의 기본적 구성 및 동작은 도 8의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그 외부적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패닝부(23)에서 자력 코일들(91)이 구비되어, 자력 코일들(91) 주위의 자계 내에서 자력 코일들(9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제어됨에 의하여 패닝부(23)에 패닝 회전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8의 예에 비하여, 패닝 모터(도 4의 MP)를 간략화할 수 있는 추가적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1a,1b,1c)의 제4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1은 도 10의 감시 카메라(1a,1b,1c)에서 틸팅부(25)와 연장 패닝부(1011)의 대 향 구조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0 및 11에서 도 5 내지 7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0의 제4 실시예의 내부적 구성 및 동작은 도 5 내지 7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그 외부적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패닝부(23)로부터 돌출 및 연장된 한 쌍의 연장 패닝부(1011)는 틸팅부(2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한 쌍의 연장 패닝부(1011)는 틸팅부(25)의 주위를 에워싸면서 패닝 경로를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틸팅부(25)와 상기 연장 패닝부(1011) 각각의 대향면들에 같은 극성의 자석들(111, 112)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틸팅부(25)의 주위에 반발력이 발생하므로, 틸팅부(25)가 연장 패닝부(1011)와 이격된 상태에서 연장 패닝부(1011)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도 5의 제2 실시예에 비하여, 기구적인 틸팅 지지부(도 5의 24)마저 제거할 수 있는 추가적 효과가 있다.
도 12는 도 10의 감시 카메라(1a,1b,1c)에서 틸팅부(25)와 연장 패닝부(1011)의 대향 구조의 또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12에서 도 1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2의 또다른 예의 기본적 구성 및 동작은 도 11의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그 외부적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를 참조하면, 틸팅부(25)에서 자력 코일들(121)이 구비되어, 자력 코일들(121) 주위의 자계 내에서 자력 코일들(12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제어됨에 의하여 틸팅부(25)에 틸팅 회전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11의 예에 비하여, 틸팅 모터(도 7의 MT)를 간략화할 수 있는 추가적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에 의하면, 패닝부와 틸팅부는 2차 코일에 유도된 제2 교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고, 제1 무선 통신부와 제2 무선 통신부에 의하여 회로부와 패닝부가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즉, 회로부와 패닝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 선들이 불필요하므로, 회로부와 패닝부 사이에서 슬립-링(slip-ring)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슬립-링(slip-ring)의 접점 방식의 동작 특성에 따른 전기적 노이즈가 제거된다.
둘째, 다른 부품들에 비하여 수명이 짧은 슬립-링(slip-ring)이 제거되므로 감시 카메라의 수명도 길어진다.
셋째, 슬립-링(slip-ring)의 핀 수 제약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회로 설계의 제약이 없어진다.
넷째, 슬립-링(slip-ring)의 크기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기구 설계의 제약이 없어진다.
추가적으로, 패닝부와 틸팅부 사이에서 슬립-링(slip-ring)도 제거될 수 있고, 회로부와 패닝부 사이의 기구적 연결부가 완전히 제거될 수도 있으며, 패닝부 와 틸팅부 사이의 기구적 연결부가 완전히 제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뿐만 아니라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모든 카메라들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들이 적용된 감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감시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패닝부와 틸팅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감시 카메라의 전원 공급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5의 패닝부와 틸팅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제3 실시예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제3 실시예의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감시 카메라에서 틸팅부와 연장 패닝부의 대향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일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감시 카메라에서 틸팅부와 연장 패닝부의 대향 구조의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 일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1c...감시 카메라들, 3a,3b,3c...호스트 장치들,
20...천장, 21...회로부,
22...패닝 축, 23...패닝부,
24...틸팅 지지부, 25...틸팅부,
211...1차 코일, 213...제1 무선 통신부,
231...2차 코일, 233, 51...제2 무선 통신부,
314...직류/교류 변환부, 316...제1 교류/직류 변환부,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301...CDS-ADC, 302...타이밍 회로,
307...디지털 신호 처리기, 308...비디오-신호 발생부,
310...구동부, 312...통신 인터페이스,
313...마이크로 컴퓨터, 52...제3 무선 통신부,
53...3차 코일, 61...제2 교류/직류 변환부,
710...제1 구동부, 711...제2 구동부,
81, 82, 111, 112...자석들, 91, 121...자력 코일들,
1011...연장 패닝부들.

Claims (15)

  1. 회로부,
    광학계를 내장하고 상기 회로부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틸팅(tilting)을 수행하는 틸팅부, 및
    상기 회로부와 틸팅부 사이에서 상기 회로부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틸팅부가 패닝(panning)하도록 동작하는 패닝부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가 1차 코일 및 제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닝부가 2차 코일 및 제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1차 코일에 제1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2차 코일에 제2 교류 전원이 유도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회로부와 상기 패닝부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패닝부의 주위를 상기 회로부가 에워싸고,
    상기 패닝부와 상기 회로부 각각의 대향면들에 같은 극성의 자석들이 구비되어,
    상기 패닝부가 상기 회로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회로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감시 카메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가 제1 직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회로부에서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변환부가 구비되며,
    상기 패닝부에서 상기 제2 교류 전원을 제2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가 구비되고,
    상기 패닝부가 상기 제2 직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감시 카메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가 3차 코일 및 제3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1차 코일에 제1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2차 코일 및 상기 3차 코일에 제2 교류 전원 및 제3 교류 전원이 각각 유도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회로부와 상기 패닝부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3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회로부와 상기 틸팅부가 통신을 수행하는 감시 카메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90120717A 2009-12-07 2009-12-07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KR101603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717A KR101603211B1 (ko) 2009-12-07 2009-12-07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717A KR101603211B1 (ko) 2009-12-07 2009-12-07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17A KR20110064217A (ko) 2011-06-15
KR101603211B1 true KR101603211B1 (ko) 2016-03-14

Family

ID=4439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717A KR101603211B1 (ko) 2009-12-07 2009-12-07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2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827B1 (ko) 1998-06-11 2006-07-19 폴리콤 인코포레이티드 두 개의 직교축선을 중심으로 카메라 또는 유사물품을회전가능하게 위치결정시키기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302B1 (ko) * 2007-08-06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0946175B1 (ko) * 2008-04-14 2010-03-08 주식회사 로보멕 팬틸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827B1 (ko) 1998-06-11 2006-07-19 폴리콤 인코포레이티드 두 개의 직교축선을 중심으로 카메라 또는 유사물품을회전가능하게 위치결정시키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17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2068A1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Electronic Camera,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US10026286B2 (en) Network camera
CN111050064B (zh) 摄像设备、配件设备及其控制方法
JP2011147118A (ja) 電子機器、通信システム
KR101815052B1 (ko) 촬영 장치의 포커싱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촬영 장치
JP2007310303A (ja) レンズシステム
KR101603211B1 (ko)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KR101586698B1 (ko) 감시 카메라
JP4274161B2 (ja) 撮像システム
JP5162719B1 (ja) 光伝送システム
JP2004356752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
JP2006222554A (ja) 撮像装置
KR101238250B1 (ko) 감시 카메라
CN112655192A (zh) 相机系统和线缆
CN112673618A (zh) 相机系统及线缆
KR102158835B1 (ko) 감시 카메라
KR101553013B1 (ko) 전자기파 감소부를 포함한 팬틸트줌 네트워크 카메라 장치
KR20140102560A (ko) 화각 조정 방법, 이 방법을 채용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
KR101375829B1 (ko)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한 감시 카메라
KR10142951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보온 시스템
KR20160016451A (ko) 감시 시스템
KR101012698B1 (ko)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
JP5443278B2 (ja) レンズ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無線アダプタ
JP3213115U (ja) ウェブ撮影装置
KR101279565B1 (ko) 조명 장치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