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194B1 -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194B1
KR101603194B1 KR1020150006636A KR20150006636A KR101603194B1 KR 101603194 B1 KR101603194 B1 KR 101603194B1 KR 1020150006636 A KR1020150006636 A KR 1020150006636A KR 20150006636 A KR20150006636 A KR 20150006636A KR 101603194 B1 KR101603194 B1 KR 10160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memory
black box
signal output
contac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환
장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건
(주)크레이티브인피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건, (주)크레이티브인피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to KR102015000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는, 승강 동작을 통해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면 케이스에 형성된 메모리 삽입구를 개폐하는 잠금커버; 열쇠에 의해 상기 잠금커버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자물쇠부; 및 상기 자물쇠부에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을 온(ON) 혹은 오프(OFF)시키는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접점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Memory lock device interlocked power supply of blackbox}
본 발명은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생활 필수품화되어 감에 따라 주정차 문제, 교통 문제 및 교통사고 등의 부작용도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통사고는 당사자간에 합의에 따라 원만하게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과실 정도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 당사자간의 합의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뺑소니 사고의 경우에는 도의적인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통사고 처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항공기의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를 차량에도 실제 탑재하여 사고 처리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외에, 사고 상황에서의 음성이나 다양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추가로 기록 저장하는 방식도 개발되고 있다. 기록되는 차량의 주행 정보에는 차량의 속도, 핸들 각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영상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급브레이크 등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차량의 전방 외부 또는/및 내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기록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 외부 또는/및 내부를 향하도록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한 후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저장 매체에는 차량이 주행되는 동안 촬영된 영상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저장 매체에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578호(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장치)에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저장수단으로 사용하여 차량의 주변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장치가 개시되어 있기도 하다.
차량의 정지 또는 운행시에 차량 내부 또는 주변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 경찰서 또는 보험사 등이 단말기에 저장이 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고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는 용도로 적용하게 된다.
그런데, 차량 운전자가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차량 운행 정보와 관련된 영상을 자유롭게 저장 또는 편집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최근 택시 또는 운송 트럭과 같이, 상용 차량의 경우에 운전자가 자유롭게 운행 정보의 편집을 할 수 있게 된다면, 운전자에 의해 사고 영상이 악의적으로 편집 또는 누락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교통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효용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578호(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장치)
본 발명은 메모리의 안전한 보관 관리가 가능하고 전원 온/오프(ON/OFF) 기능과 연동되어 열쇠로 잠금 해제시 전원이 차단되고 잠금시 전원이 인가되는 일체형 타입의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리자만이 메모리 취급을 가능하게 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본체에서 탈거시에 전원이 연동하여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승강 동작을 통해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면 케이스에 형성된 메모리 삽입구를 개폐하는 잠금커버; 열쇠에 의해 상기 잠금커버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자물쇠부; 및 상기 자물쇠부에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을 온(ON) 혹은 오프(OFF)시키는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접점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자물쇠부는, 전면에 마련된 열쇠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열쇠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열쇠에 의해 회전하는 자물쇠 몸체와; 상기 자물쇠 몸체의 둘레에서 회전축에 수직하게 돌설된 걸림쇠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커버에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걸림쇠가 걸리도록 후면 방향으로 걸림쇠 걸림부가 돌설되어 있어, 상기 걸림쇠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쇠에서 전달되는 외력이 가해지거나 가해지던 외력이 사라져 상기 잠금커버가 승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걸림쇠 걸림부는 상기 자물쇠부 측 단부가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단이 상기 메모리 삽입구의 일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잠금커버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부에 걸리는 복귀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걸림쇠에서 전달되는 외력이 사라질 경우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메모리 삽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잠금커버가 원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귀용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접점신호 출력부는 상기 자물쇠 몸체를 수용하고, 상기 걸림쇠의 회전을 안내하는 걸림쇠 가이드홈이 형성된 접점신호 출력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자물쇠 몸체의 후면에는 접점 연결단자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접점신호 출력부 몸체의 후면에는 접점신호 출력단자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걸림쇠가 상기 잠금커버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접점 연결단자와 상기 접점신호 출력단자가 만나 접점 ON 신호를 상기 메인보드로 출력하여 상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을 온(ON) 시킬 수 있다.
상기 전면 케이스의 후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잠금커버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잠금커버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의 안전한 보관 관리가 가능하고 전원 온/오프 기능과 연동되어 열쇠로 잠금 해제시 전원이 차단되고 잠금시 전원이 인가되는 일체형 타입의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만이 메모리 취급을 가능하게 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본체에서 탈거시에 전원이 연동하여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의 전면부 모습 및 후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열림 상태-전원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부 모습 및 후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닫힘 상태-전원 온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부 모습 및 후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잠금 커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후면부 모습,
도 8은 접점신호 출력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습.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의 전면부 모습 및 후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열림 상태-전원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부 모습 및 후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닫힘 상태-전원 온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부 모습 및 후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잠금 커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후면부 모습이며, 도 8은 접점신호 출력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100), 전면 케이스(110), 메모리 삽입구(112), 열쇠(10), 자물쇠부(120), 자물쇠 몸체(122), 걸림쇠(124), 접점 연결단자(125, 126), 열쇠 삽입구(128), 접점신호 출력부(130), 걸림쇠 가이드홈(134), 접점신호 출력단자(135, 136), 전원케이블(171, 172), 메인보드(170), 잠금커버(140), 걸림쇠 걸림부(142), 복귀용 스프링(150), 스프링 고정부(152), 스프링 걸이부(144), 잠금커버 가이드(16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100)는 블랙박스에 장착되는 착탈형 메모리의 보안을 위한 잠금 장치로서, 착탈형 메모리의 안전한 보관 관리가 가능하고 전원 온/오프 기능이 연동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100)는 전면 케이스(110)에 형성되어 있는 메모리 삽입구(112)를 개폐하는 잠금커버(140), 열쇠(10)에 의해 잠금커버(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물쇠부(120), 자물쇠부(120)에 연동하여 메인보드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접점신호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100)는 차량 등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시스템에 구비되며,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 케이스(110)에 마련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10)에는 블랙박스 시스템에 장착 가능한 착탈형 메모리가 삽입될 수 있는 메모리 삽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착탈형 메모리는 메모리 삽입구(112)를 통해 블랙박스 시스템에 삽입 장착되어 사고 영상 혹은 주행 영상 등을 저장하게 된다. 추후 착탈형 메모리는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인출되어 저장되어 있는 영상 정보가 PC 혹은 영상 재생 장치를 통해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착탈형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저장 용량을 확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D 메모리일 수 있다.
자물쇠부(120)는 전면에 열쇠(10)가 삽입될 수 있는 열쇠 삽입구(128)가 마련되어 있는 실린더 형상의 자물쇠 몸체(122)를 포함하고 있다. 자물쇠 몸체(122)는 짝이 맞는 열쇠(10)가 열쇠 삽입구(128)에 꽂힌 경우에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열쇠(10)를 이용하여 자물쇠 몸체(122)를 회전시키는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 상세한 설명은 략하기로 한다.
자물쇠 몸체(122)의 둘레에는 회전축에 수직하게 걸림쇠(124)가 돌설되어 있다. 걸림쇠(124)는 자물쇠 몸체(122)의 회전에 따라 그 돌출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걸림쇠(124)의 돌출 방향을 조절하여 자물쇠부(120)는 잠금커버(140)에 소정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거나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에는 걸림쇠(124)가 상측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잠금 해제 상태에 놓여진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자물쇠 몸체(122)가 열쇠(10)의 회전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쇠(124)가 우측 방향으로 향하게 되면서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자물쇠 몸체(122)가 열쇠(10)의 회전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쇠(124)가 다시 상측 방향으로 향하게 되면서 잠금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
잠금커버(140)는 전면 케이스(110)의 후면에 설치되며, 자물쇠부(120)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메모리 삽입구(112)를 개방 혹은 폐쇄한다.
여기서, 전면 케이스(110)의 후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잠금커버(14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잠금커버 가이드(16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잠금커버(140)는 걸림쇠(124)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에 관계없이, 잠금커버 가이드(160)에 의해 그 이동방향이 제한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메모리 삽입구(112)가 전면 케이스(110)의 가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때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모리 삽입구(112)가 상측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모리 삽입구(112)가 하측에 마련된 경우 잠금커버(140)가 상승하면 메모리 삽입구(112)가 개방되고 잠금커버(140)가 하강하면 메모리 삽입구(112)가 잠금커버(140)에 의해 막혀 폐쇄된다.
메모리 삽입구(112)가 개방된 경우에는 착탈형 메모리의 삽입 혹은 인출이 자유로우며, 메모리 삽입구(112)가 폐쇄된 경우에는 착탈형 메모리의 삽입 혹은 인출이 제한된다. 즉, 잠금커버(140)를 이용하여 착탈형 메모리의 비정상적인 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잠금커버(140)는 복귀용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기본적으로 메모리 삽입구(11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잠금 해제 상태)에 놓여져 있을 수 있다(도 2 참조).
복귀용 스프링(150)은 일단이 전면 케이스(110)의 후면 중 메모리 삽입구(112)의 일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부(152)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잠금커버(14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부(144)에 걸리는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복귀용 스프링(150)은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잠금커버(140)의 후면 상부에는 걸림쇠 걸림부(142)가 후면 방향으로 돌설되어 있어,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열쇠(10)를 이용하여 잠금 동작을 수행할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걸림쇠(124)가 걸리도록 하여 걸림쇠(124)에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잠금커버(140)가 잠금커버 가이드(160)에 의해 안내되어 하강하게 된다. 잠금커버(140)가 하강하면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메모리 삽입구(112)가 잠금커버(140)에 의해 막히게 되고, 착탈형 메모리의 삽입 혹은 인출이 제한된다.
걸림쇠 걸림부(142)는 자물쇠부(120) 측 단부(도 2에서는 우측 단부)가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걸림쇠()에 의한 외력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열쇠(10)를 이용하여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걸림쇠(124)에 의해 잠금커버(140)에 가해지던 외력이 사라지게 되고, 복귀용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커버(140)는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메모리 삽입구(112)가 개방되어 착탈형 메모리의 삽입 혹은 인출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열쇠(10)의 삽입 및 인출은 잠금 상태에서만 가능할 수 있다.
열쇠(10)는 지정된 관리자에 의해 보관 관리되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잠금커버(140)가 닫혀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임의로 블랙박스 시스템에 삽입된 착탈형 메모리를 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열쇠(10)를 이용한 메모리 삽입구(112)의 개폐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커버(140)를 이용한 메모리 삽입구(112)의 개페 이외에 블랙박스 시스템의 메인보드(170)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 역시 열쇠(10)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 온/오프가 메모리 삽입/인출의 잠금 혹은 잠금 해제에 연동하게 된다.
접점신호 출력부(130)는 내부에 자물쇠부(120)를 수용하고, 걸림쇠(124)의 회전을 안내하는 걸림쇠 가이드홈(134)이 형성되어 있는 접점신호 출력부 몸체(132)를 포함한다.
접점신호 출력부 몸체(132)의 후면에는 접점신호 출력단자(135, 136)가 설치되어 있어, 메인보드(1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171, 172)이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자물쇠 몸체(122)의 후면에는 접점 연결단자(125, 1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접점 연결단자(125, 126)가 접점신호 출력단자(135, 136)와 만나는 경우에 접점 ON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접점 연결단자(125, 126)는 걸림쇠(124)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 자물쇠 몸체(122)의 회전에 따라 그 배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것가 같은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걸림쇠(124)가 수직 방향으로 놓여지게 되고, 접점 연결단자(125, 126) 역시 수직 방향으로 놓여지게 된다. 이 경우 수평 방향으로 놓여진 접점신호 출력단자(135, 136)와는 만나지 않게 되어 접점 ON 신호가 출력되지 않거나 접점 OFF 신호가 출력되어, 블랙박스 시스템이 전원 오프 상태가 된다. 도 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잠금 상태에서는 걸림쇠(124)가 수평 방향으로 놓여지게 되고, 접점 연결단자(125, 126) 역시 수평 방향으로 놓여지게 된다. 이 경우 수평 방향으로 놓여진 접점신호 출력단자(135, 136)와 만나게 되어 접점 ON 신호가 출력되므로, 블랙박스 시스템이 전원 온 상태가 되어 정상 동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잠금커버(140)가 상승하여 메모리 삽입구(112)가 개방될 때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이 연동되어 오프 상태가 됨으로써,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메모리를 탈거하거나 장착하여 메모리 혹은 블랙박스 시스템 자체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쇠(10)를 통해서만 잠금커버(140)의 개폐가 가능하여 인가받은 관리자만이 메모리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고,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탈거되어 메모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10: 열쇠
110: 전면 케이스 112: 메모리 삽입구
120: 자물쇠부 122: 자물쇠 몸체
124: 걸림쇠 125,126: 접점 연결단자
128: 열쇠 삽입구 130: 접점신호 출력부
132: 접점신호 출력부 몸체 134: 걸림쇠 가이드홈
135,136: 접점신호 출력단자 140: 잠금커버
142: 걸림쇠 걸림부 144: 스프링 걸이부
150: 스프링 152: 스프링 고정부
160: 잠금커버 가이드 170: 메인보드
171,172: 전원케이블

Claims (7)

  1. 승강 동작을 통해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면 케이스에 형성된 메모리 삽입구를 개폐하는 잠금커버;
    열쇠에 의해 상기 잠금커버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자물쇠부;
    상기 자물쇠부에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을 온(ON) 혹은 오프(OFF)시키는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접점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물쇠부는,
    전면에 마련된 열쇠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열쇠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열쇠에 의해 회전하는 자물쇠 몸체와;
    상기 자물쇠 몸체의 둘레에서 회전축에 수직하게 돌설된 걸림쇠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커버에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걸림쇠가 걸리도록 후면 방향으로 걸림쇠 걸림부가 돌설되어 있어, 상기 걸림쇠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쇠에서 전달되는 외력이 가해지거나 가해지던 외력이 사라져 상기 잠금커버가 승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 걸림부는 상기 자물쇠부 측 단부가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메모리 삽입구의 일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잠금커버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부에 걸리는 복귀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걸림쇠에서 전달되는 외력이 사라질 경우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메모리 삽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잠금커버가 원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용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신호 출력부는 상기 자물쇠 몸체를 수용하고, 상기 걸림쇠의 회전을 안내하는 걸림쇠 가이드홈이 형성된 접점신호 출력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자물쇠 몸체의 후면에는 접점 연결단자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접점신호 출력부 몸체의 후면에는 접점신호 출력단자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걸림쇠가 상기 잠금커버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접점 연결단자와 상기 접점신호 출력단자가 만나 접점 ON 신호를 메인보드로 출력하여 상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후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잠금커버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잠금커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KR1020150006636A 2015-01-14 2015-01-14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KR10160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636A KR101603194B1 (ko) 2015-01-14 2015-01-14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636A KR101603194B1 (ko) 2015-01-14 2015-01-14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194B1 true KR101603194B1 (ko) 2016-03-28

Family

ID=5700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636A KR101603194B1 (ko) 2015-01-14 2015-01-14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1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570A (ja) * 2001-05-29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端末
KR20080095994A (ko) * 2007-04-26 2008-10-30 프롬투정보통신(주) 메모리카드 도난 및 분실방지장치
KR20120001578U (ko) 2010-08-26 2012-03-07 주식회사 니씨콤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장치
KR101175024B1 (ko) * 2010-12-16 2012-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기 자전거용 전원 공급장치
KR20130007002U (ko) * 2012-05-29 2013-12-09 (주)에이빅이미징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570A (ja) * 2001-05-29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端末
KR20080095994A (ko) * 2007-04-26 2008-10-30 프롬투정보통신(주) 메모리카드 도난 및 분실방지장치
KR20120001578U (ko) 2010-08-26 2012-03-07 주식회사 니씨콤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장치
KR101175024B1 (ko) * 2010-12-16 2012-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기 자전거용 전원 공급장치
KR20130007002U (ko) * 2012-05-29 2013-12-09 (주)에이빅이미징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2567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vehicles
DE102011076451B4 (de) Verriegelung eines Elektrofahrzeugs
US7699336B2 (en) Protective housing for a trailer coupler
EP3654298B1 (de) Zugriffssteuereinrichtung für eine notbetätig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CN104718660B (zh) 电池管理装置
WO2014121811A1 (de) Kraftfahrzeug für ein carsharing-system
CN209650419U (zh) 一种兼具防盗和规范行驶功能的电动车自动化管理系统
US5136284A (en) Security system
KR101603194B1 (ko) 블랙박스 전원 연동 메모리 잠금 장치
JP4394668B2 (ja) 盗難防止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204222808U (zh) 交通工具防盗系统
US6527312B1 (en) Shipping container seal
KR200485777Y1 (ko)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의 록킹 박스
CN206431703U (zh) 一种内置打印机的多媒体汽车行驶记录仪
JP6035062B2 (ja) 管理装置の錠前構造
KR200424807Y1 (ko) 차량용 카메라
US9527356B2 (en) Locking hitch ring
JP7448934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ー、補助記憶装置
KR102114900B1 (ko) 차량 도어의 자동 잠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05563745U (zh) 车载记录仪
JP2005163465A (ja) 扉用ハンドル
KR20220168336A (ko) 차량용 블랙박스 보안 시스템
US20230339430A1 (en) Road vehicles anti-theft security device based on automotive embedded systems software
CN204695413U (zh) 汽车行驶记录仪的存储单元保护锁
CN115909524A (zh) 车载etc安防系统、车载etc安防方法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