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989B1 - S-니트로소글루타티온의 안정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 Google Patents

S-니트로소글루타티온의 안정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989B1
KR101601989B1 KR1020107017003A KR20107017003A KR101601989B1 KR 101601989 B1 KR101601989 B1 KR 101601989B1 KR 1020107017003 A KR1020107017003 A KR 1020107017003A KR 20107017003 A KR20107017003 A KR 20107017003A KR 101601989 B1 KR101601989 B1 KR 101601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sno
solution
composition
polymer
nitrosoglutathi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206A (ko
Inventor
존보르 라크자
이슈트반 호냑
Original Assignee
파마제닉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마제닉스 아게 filed Critical 파마제닉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2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8Vasodilators for multiple ind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일반적인 첨가제와 함께, 임의로 하나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유형 폴리머(들)과 함께 S-니트로소글루타티온(GSNO)를 포함하는 알칼리성 pH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GSNO를 포함하는 용액 또는 비-고형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이고 상기 용액 또는 조성물의 pH는 알칼리성 값으로 조정된다.

Description

S-니트로소글루타티온의 안정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METHOD FOR STABILIZATION OF S-NITROSOGLUTATHIONE AND COMPOSITION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주로 활성 성분으로서의 S-니트로소글루타티온(GSNO)을 일반적인 첨가제와 함께, 임의로 하나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형 폴리머(들)와 함께 포함하는 알칼리성 pH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성 조건 하에서 양호한 수율로 생산된 GSNO가 알칼리성 조건 하에서, 특히 안정화 폴리머의 존재 하에서 더 안정적이라는 뜻밖의 발견을 기반으로 한다.
혈전증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미세 순환 장애 동안 발생되는 혈관 수축 및 특정 대사 문제에서 방출되는 유리기의 축적은 상처 치료 효과를 감소시키고 여러 경우에서 만성 궤양을 일으키는 복합 조직 손상을 야기한다[Greenman et al., 2005, Lancet, 366, 1711-7; Sigaudo-Roussel et al., 2004, Diabetes, 53, 1564-9; Veves et al., 1998, Diabetes, 47, 457-63; Hile and Veves, 2003, Curr. Diab. Rep., 3, 446-51; Nikolovska et al., 2005, Acta Dermatovenerol Croat, 13, 242-6]. 많은 피부 약제는 예를 들어, 당뇨병 또는 혈관 수축으로 발생되는 미세 순환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이들 조성물은 정유(예를 들어, 로즈마리) 및 임상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효능을 갖는 기타 비특이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산화 질소(NO)는 미세 순환 장애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ls-Grierson and Ormerod, 2004, Nitric Oxide, 10, 179-93]. 무엇보다도, NO는 신속하게 반응하는 기체 화합물로, 평활근 이완 효과를 갖고, 이것은 물리적 치료에서 흡입제로서 사용된다. 그것의 견고성으로 인해, NO는 피부 용도로는 거의 사용될 수 없지만, 임상 관찰은 비-치유 궤양의 치료에 대한 그것의 효과를 확인한다[Miller et al., 2004, J. Cutan. Med. Surg., 8, 233-8]. 대체적으로, 니트로프루시드 나트륨와 같은 NO 공여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NO가 표피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의 투여는 그들의 적용을 어렵게 만드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들을 수반한다. 즉, 대부분의 NO 공여체는 NO 뿐만 아니라, 장기 적용 동안 조직에 해로울 수 있는 다른 활성 질소종(active nigrogen species)도 방출한다. 더 중요한 문제는 NO 공여체의 분해가 매우 빠르다는 사실이고, 따라서 적합한 안정성 및 예측가능한 국소 혈관 확장제 효과를 갖는 혈류-증가 조성물들이 최선은 아니다. 셋째, 피부를 통한 흡수에 의해,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이 천천히 분해하는 NO 공여체 조성물은 체순환에 도달하고, 치료 영역으로부터 떨어져있는 조직에 그들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질산염-함유 피부 패치(patch)는 의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그들의 효과는 부분적으로 그들의 NO-공여체 특성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혈관 확장제(NO)의 전구체로 고려되는 질산염은 노출된 피부 표면의 혈액 순환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체순환에 전달된다. 미세 순환 장애의 치료를 위한 NO-공여체의 원하는 효과는 정반대이다: 이것은 전신에 상당한 효과를 미치지 않고 국소 혈관 확장을 일으켜야만 한다.
특정 과학 연구는 이미 미세 순환 장애의 치료에서의 NO 신타아제의 기질, 즉 L-알기닌의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왔다[Fossel, 2004, Diabetes Care, 27, 284-5]. NO 신타아제 시스템 그 자체는 L-알기닌이 그 활성을 발휘하기 위해 필수적이지만, 상기 효소 시스템의 손상은 미세 순환 장애의 특징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L-알기닌은 또한 알기닌아제, 알기닌 데카르복실라제 등과 같은 여러가지 다른 NO-신타아제-경쟁 효소의 기질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를 기반으로, 명백하게는 NO를 국소 순환계에 투여하는 것이 그것의 전구체를 적용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하다.
NO-공여체 화합물이 일산화질소를 원하는 속도로 방출하는 국소 조성물로 사용한다는 것이 알려진 수많은 특허들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287,601 Bl호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와 조합하여 NO-공여체 화합물로 사용되고 있는 니트로글리세린, 히드록실아민, 니트로프루시드, 니트레이트 또는 아지드의 제형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5,519,020호는 수-불용성 질소 산화물/폴리머 부가물의 용도를 개시하고, 상기 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민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미국 특허 제7,048,951 Bl B2호는 분말 아질산 나트륨, 아스코르빈산 및 바람직하기는 말레산이 혼합되고, 얻어진 혼합물이 물에 노출될 때 일산화질소를 방출한다고 개시한다.
폴리머-기재 매트릭스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일산화질소를 포함하는 여러 구현예들이 알려져있다. 미국 특허 제5,994,444호는 생물학적으로 분해가능한 폴리머(바람직하기는 폴리-L-락틱산)는 산화 질소 공여체 화합물, 바람직하기는 무기 아질산염 화합물에 함침된다고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5,770,645 2호는 -NOx로 유도된 후 NO를 방출할 수 있는 폴리머를 개시한다.
NOlabs(Helsinborg, Sweden)는 일산화질소가 당뇨병성 궤양 및 신경 장애를 포함한 여러 질병의 치료에 사용된다는 몇몇의 출원(WO2006/084911-14)을 제출하였다. 이들 질병에서 NO 방출 폴리머는 원하는 NO 방출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기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L-PEI-NO)의 NO-유도체가 사용된다. 일반 명세서에서 키토산은 NO로 유도될 수 있는 특정 폴리머의 유형으로 언급된다. 더욱이, 폴리사카라이드는 NO-방출 폴리머용 불활성 지지체로서만 언급된다(예를 들어, WO 2006/084912, pp. 11-12).
연구들은 내인성 니트로소티올 화합물, 천연 NO-공여체인 GSNO가, 국소 혈관 확장제 조성물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는 것을 입증한다[Sogo et al., 2000, Br. J. Pharmacol., 131, 1236-44]. NO 및 항산화 효과가 알려진 환원된 글루타티온은 GSNO의 분해 동안 생성된다. 그것의 혈관 확장 및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로 인해, 국소 순환에 침투된 NO는 피부에서의 혈액 순환을 향상시키고 혈전증 형성을 억제한다[Khan et al., 2005, J. Cereb. Blood Flow Metab., 25, 177-92; Kuo et al, 2004, J. Surg. Res., 119, 92-9; Sogo et al., 2000, Biochem. Biophys. Res. Commun., 279, 412-9]. 그러나, 수용액 중에서 상기 화합물의 반감기는 매우 짧기(오직 5.5 시간) 때문에 그것의 적용은 제한된다.
GSNO의 안정성은 약제학적으로 알려진 비히클을 사용하여 상당히 향상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폴리(비닐-알콜)은 모두 주로 수소 결합을 형성함에 의해, GSNO의 분해율을 감소시키는데 적합하다[A. B. Seabra et al., May 2005, J. Pharm. Sci, 95, No.5, 994-1003; A. B. Seabra, M.G de Oliveira, 2004, Biomaterials, 25, 3773-82; Seabra et al., 2004, Nitric Oxide, 11, 263-72]. 그러나, 제제의 반감기는 주위 온도 또는 4℃에서 수일 동안만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접근 방법은 실제 의료 현장에 적합한 안정한 조성물을 생산하는데는 충분하지 않다.
수소 결합 안정화의 역할은 또한 미국 특허 제7,015,347 B2호에서 강조하고, 여기서 S-NO 기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분자 내 OH기 또는 SH기를 갖는 화합물이 청구되었다.
추가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구조체와 공유적으로 결합하는 S-NO기를 포함한 NO-공여체 거대 분자도 알려져있다[Seabra et al., 2005 Spt-Oct, Biomacromolcule, 6(5), 2512-20].
본 발명자의 연구를 근거로, 특정 폴리사카라이드(바람직하기는 키토산 및 유사한 천연 폴리머)가 GSNO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고 명시할 수 있다. 이들은 거대분자의 히드록실기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오직 하나의 출원 만이 히드로겔을 포함하는 GSNO을 건강한 지원자에게 투여하고, 국소 혈류의 NO-의존성 증가가 연구에서 관찰되었음을 개시한다[Seabra et al., 2004, Bristish J. Dermatol, 151, 977-83]. 혈관 확장 속도는 적용된 GSNO의 농도 및 피부에서 측정된 대사성 NO-산물 둘 다와 관련있고, 따라서 효과의 특이성을 입증한다. 연구 동안 대상에 의해 보고된 부작용은 없었다. 본 연구에서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프로필렌옥시드) 기재의 Synperonic F127 히드로겔(Uniquema, Belgium)이 비히클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히드로겔 조성물은 GSNO의 분해를 둔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임상 적용에는 부적합하고, 따라서 각각의 투여를 위해 새롭게 제조되어야 한다.
국소적 혈관 확장을 위해 발달된 니트로소글루타티온 유도체도 알려져있다[Lacer SA, 헝가리 특허 출원 제P0105203호 참조]. 이들 환상 화합물은 그들의 효능 또는 대사 작용에 대한 정보가 없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임상 시험에 적용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GSNO와 같이 잘 알려진 대사 작용을 갖는 내인성 제제는 합성 유도체에 비해 부작용이 적을 것이므로,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GSNO 안정화의 향상 및 그 결과 가정 내뿐만 아니라 약제 분야에서 저장시 충분하게 안정적인 피부 적용에 적합한 혈관 확장제 조성물의 개발이다. GSNO 성분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적으로 혈류를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고, 그러므로 바람직하기는 궤양, 당뇨병성 말초 신경 장애, 및 당뇨병성 족부 신경병증과 같은 신경 장애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약
상기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에 관한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광범위한 시험을 수행하였고 GSNO의 대사 속도가 알칼리 조건 하에서 상당히 감소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또한 GSNO가 산성 조건 하에서 최대 수율을 얻도록 생산되기 때문에 뜻밖이다(하기의 GSNO의 설명 및 도 1 참조).
뜻밖에도, GSNO의 안정성은 약 pH 7.5 내지 10 범위, 바람직하기는 약 pH 8 내지 9 범위에서 최대 평탄형(plateau-like maximum)을 갖고, 이런 경우 분자는 더 안정한 배열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또한 GSNO가 이런 범위 내에서 완충 용량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pH 4.26에 비해 약 pH 8.6 에서 매우 우수한 안정성이 발견되었다(도 3 참조). 이것은 약 pH 4.26에서도 GSNO가 완충제로 작용하고, 따라서 현재까지, 통상적인 산성 제제에 이어서 GSNO가 대략 상기 pH를 갖는 용액에 보관되어왔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흥미롭게도, GSNO 대사 작용은 알칼리 조건 하일 때 가속되었다(pH 12의 곡선 참조).
상기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본 발명은 주로 (바람직하기는 pH 7 내지 약 10을 갖는) 알칼리성 GSNO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는 보관시 적절하게 안정적이고, 피부 위에 놓은 후(선택적으로, 적용에 앞서 중화한 후에), 조성물은 국소 혈관 확장 및 혈류 증가 효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것은 상기 언급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적합한 폴리머(들)가 조성물에 사용될 때 특히 안정적인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GSNO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폴리머(예를 들어, PVA, PEG)의 안정화 효과는 조성물의 pH 값이 알칼리 범위 내에 있을 때 상당히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기는, (천연 산성 폴리머인) 키토산의 적용에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기는 약 pH 7(즉 거의 중성 또는 약한 알칼리 값)로 알칼리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문제들에 관한 것이다:
1. 활성 성분으로서 GSNO를 통상의 첨가제와 함께, 임의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들)과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의 pH 값이 7 초과, 바람직하기는 약 7.5 - 10, 더 바람직하기는 약 8-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1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로, 폴리사카라이드, PVA, PVP, PEG, 알긴산 및 그의 염 및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2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로, 수성 겔이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로서, PVA 및 PEG 폴리머를 임의로 폴리사카라이드와 함께, 바람직하기는 키토산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건조에 의해, 바람직하기는 동결 건조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의 약제학적 조성물.
5. GSNO를 함유하는 용액 또는 비-고형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 용액 또는 조성물의 pH 값을 7 초과, 바람직하기는 약 7.5 - 10, 더 바람직하기는 약 8-9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5항의 방법으로, 상기 용액이 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5항의 방법으로,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들) 및 첨가제(들)을 함유하는 비-고형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7항의 방법으로, 폴리사카라이드, PVA, PVP, PEG, 알긴산 및 그의 염 및 에스테르로 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8항의 방법으로, 상기 조성물은 수성겔이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로서, PVA 및 PEG 폴리머를 임의로 폴리사카라이드와 함께, 바람직하기는 키토산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정의
GSNO
GSNO(S-니트로소글루타티온)는 NO의 대사 작용에서 중요한 역할하는 내인성 화합물이다. 세포 및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특정 세포 성분에서 발견되는 유리기 포획 트리펩타이드로서 환원된 글루타티온은 분자에서 중심 타이로신의 측쇄의 황 원자와 결합하는 NO와 반응할 수 있고 니트로소글루타티온이 형성된다. GSNO의 대사작용 동안, 이 결합이 분리되고 NO가 방출되므로, GSNO는 유리기 포획 분자일 뿐만 아니라 NO 전달체 분자이다. GSNO의 상당한 양이 세포에서 발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외 공간, 예를 들어, 혈액에서도 존재하므로, 이것의 생리학적 기능은 NO 전달 및 일정한 NO 혈액 수치의 유지에 기여한다.
GSNO를 합성하기 위한 여러 반응 계획이 알려져있다. 알려진 반응에 따르면, 아질산 나트륨 및 이후 아세톤이 차가운, 산성 글루타티온 수용액에, 바람직하기는 여러개의 분취로 및 교반 중에 첨가된다.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 및 세척한 후, 적절히 순수 S-니트로소글루타티온을 얻었다[Tetrahedron Letters, Vol. 26, No. 16, 2013-2016, 1985]. 다른 제조 방법은 Ace. Chem. Res. 1999, 32, 869-876;J. Chem. Soc. Perkin Trans. L, 1994에 개시되어 있고, 이는 산성 환경에서 수행되는 반응의 가능성도 개시한다.
GSNO는 특징적인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갈색 화합물이다. 그것의 두가지 피크들 중 하나는 UV 범위인 반면, 다른 것의 최대는 약 540 nm이다. 분해 동안 GSNO의 흡수 스펙트럼은 변화를 겪는다. 540 nm에서 피크 높이의 변화는 GSNO의 농도와 선형적으로 비례한다. 원 적외선(far IR)범위에서 파장은 GSNO의 분해과정 동안 그들에게서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바탕 흡수(background absorption)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특성들은 GSNO의 농도를 분광측광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
본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콜) [PVA],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아크릴산 기재 폴리머 (예를 들어, "카르보머"로 상품화된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셀룰로오스, 알긴산 및 그의 염 및 에스테르(예를 들어, 알지네이트-기재의 폴리머)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유사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폴리사카라이드"는 모노머가 글리코시드 결합(글리칸)을 통해 서로 결합하는 고분자 탄수화물을 의미한다. 이것은 전분, 글리코겐 및 셀룰로오스 (덱스트란 및 글루코스의 축합 중합 산물로 간주됨), 이눌린 (프럭토스의 축합 중합 산물), 키틴, 알긴산 등과 같은 중요한 바이오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사카라이드가 특이 사카라이드의 축합 중합 산물이기 때문에, 이들은 호모폴리머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다른 모노머들(헤미셀룰로오스, 헤파린, 히알루론산, 뮤레인과 같은 헤테로글리칸)을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들도 본 발명의 구현예에 사용될 수 있다. 여러 공지의 유도된 (예를 들어, 탈아실화된, 술폰화된, 등) 폴리사카라이드는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사카라이드는 바람직하기는 (알길산, 그의 염 및 에스테르와 같은) 알칼리 조건 하에서 안정하다. 그러나, 약산성의 pH 조건 하에서 가장 높은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중성 또는 알칼리 조건 하에서도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 [키틴 (β-1,4-폴리-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디아실화 유도체로 간주될 수 있는 키토산(β-1,4-폴리-D-글루코사민)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더욱이, 본 조성물은 본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어느 일반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조성물은 불활성 비히클, 겔화제, 점성 향상제, 착색제, 완충제, 취기제, 보존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기는 히드로겔, 또는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물과의 접촉에 의해 히드로겔로 변형될 수 있는 건조 조성물이다.
히드로겔-형 조성물은 바람직하기는 증류수 또는 수용액을 포함한다.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자체로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기는, 수성겔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폴리머(들)(바람직하기는, PAG, PVA, 알지네이트, 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 제조되고, 그리고나서 원하는 농도의 GSNO가 여기에 혼합된다.
임의로, 생성된 알칼리성 겔은 동결 건조된다. 장기 저장을 위해, 동결 건조된 조성물을 냉장고에 보관시킬 수 있다. 가능하게도, 동결 건조된 조성물은 적용하기 직전에 물, 바람직하기는 증류수로, 바람직하기는 알칼리성 조건 하에서, 재생된다.
pH 조절
본 조성물의 pH 조절은 다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 성분들을 혼합한 후 pH 값 조절;
b) 초기 GSNO 용액의 pH 값을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한 후, 추가의 성분의 첨가 후에 pH 값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알칼리 또는 산을 첨가하여 원하는 값으로 조절.
알칼리성화 또는 산성화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알칼리(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산(수소 할로겐화합물, 예를 들어 염화수소, 일반적인 유기산, 예를 들어 락트산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PH 값은 평소와 같이 측정된다(pH 측정 전극봉, 적정 등을 사용).
도 1은 여러 pH 값에서 GSNO 생산을 나타낸다. 측정된 흡수값은 생성된 GSNO 농도와 비례한다. X-축은 pH 값을, Y-축은 흡수치를 나타낸다.
도 2는 GSNO의 알칼리 적정(NaOH로 수행됨) 곡선을 나타낸다. 완충 용량이 pH 8-10에서 발휘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여러 pH 값에서 얻은 GSNO 대사 작용의 결과를 나타낸다. X-축은 시간(주어진 날짜), 및 Y-축은 흡수치를 나타낸다.
기호는 하기의 pH 값을 나타낸다:
*: pH= 0.3;
◆: pH= 4.26;
□: pH= 7.4;
●: pH= 8.6;
○: pH= 12.6.
도 4는 실시예 3에 따라 수행된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X-축은 용액의 번호, 및 Y-축은 상대적인 흡수치를 나타낸다(출발 용액의 흡수성은 100으로 간주된다). 각각의 용액의 분해는 제36일에 관찰되었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재료의 리스트는 하기와 같다:
1. 키토산, 기술적 순도(Sigma-Aldrich)
2. 키토산, 저분자량 (Sigma-Aldrich)
3. 키토산, 중간 분자량 (Sigma-Aldrich)
4. L-글루타티온 (환원된, 99% 순도, Sigma-Aldrich)
5. 아질산 나트륨 (99% 순도, Sigma, Aldrich)
6.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몰량: 200; Sigma-Aldrich)
7. 폴리(비닐 알콜), 80% 가수분해, 평균 몰량: 9000-10000 (Sigma-Aldrich)
8. 락트산 (Fluka)
9. 분석적으로 순수한 탈이온수 (Millipore Milli-Q)
GNSO 측정
GSNO의 분해는 GSNO의 흡수 스펙트럼이 변화되고 540 nm에서 피크의 크기 변화가 GSNO의 농도와 선형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에 분광측광학적으로 관찰되었다. 원 적외선 범위에서 파장은 GSNO의 분해 동안 변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탕 흡수로 사용되었다.
1. 실시예 1
GSNO 의 제조
방법 A
L-글루타티온(GSH) 1.53 g (5 mmol)을 얼음 욕조에서 냉각시킨 물 5.5 ml와 HCl 수용액 2.5 ml (2 N)의 혼합물에 용해시킨 후, 아질산 나트륨 0.345 g (mmol)을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5℃에서 40분 동안 교반한 후, 아세톤 10 ml을 첨가하고 그 용액을 10 분 동안 더욱 교반하였다. 침전된 갈색 침전물을 여과한 후 순차적으로 냉수(5 x 1 ml), 아세톤 (3 x 10 ml) 및 에테르 (3 x 10 ml)로 세척하였다. 그리하여 S-니트로소글루타티온 1.29 g (3.8 mmol)을 얻었다(76% 수득율).
방법 B
먼저 GSH 0.204 g (0.666 mmol)을, 그리고나서 NaNO2의 등몰량을 탈이온수 8 ml에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얼음에 보관하고 암실에서 10 분 동안 더욱 교반하였다. 생성된 신선 용액의 산출된 농도는 2.726 w%이다.
이어진 실험에서 상기 방법 B에 따라 신선하게 제조된 GSNO 용액을 사용하였다.
2. 실시예 2
연구된 용액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
이미 제조한 PVA 및 키토산 겔을 원래의 GSNO 용액을 3-배로 희석한 양의 실시예 1B의 GSNO 용액에 혼합하였다. 분취액 200 μl을 이중으로 96-웰 플레이트의 웰에 피펫하였다. 플레이트를 덮고 4℃의 암실에서 보관하였다. 보관 동안 제제는 다양한 양의 물을 손실하기 때문에, 실험을 끝마친 후 물을 사용하여 원래의 용량으로 맞춰줄 필요가 있다. GSNO 농도를 실험의 시작 및 끝에서 분광 측광학적으로 측정된 광학 밀도의 감소%로 나타내었다.
3. 실시예 3
36- day 안정화 데이터
하기의 겔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측정은 36일 후에 수행하였다.
1-2. 용액 1-12:
스톡 용액: 물 4 ml에 용해된 PVA 0.2 g 및 PEG 0.6 g (Millipore Milli- Q). 하기의 용액을 스톡으로부터 제조하였다:
1. 용액 1 : 800 μl 스톡 용액, pH 5.
2. 용액 2: NaOH를 사용하여 pH 9로 조절된 800 μL 스톡 용액.
3-4. 용액 3-4:
스톡 용액: 물 4 ml에 용해된 PVA 0.15 g 및 PEG 0.65 g (Millipore Milli-Q).
3. 용액 3: 800 μl 스톡 용액, pH 5.
4. 용액 4: NaOH를 사용하여 pH 9로 조절된 800 μl 스톡 용액.
5-6. 용액 5-6:
스톡 용액: 물 4 ml에 용해된 PVA 0.1 g 및 PEG 0.7 g (Millipore Milli- Q).
5. 용액 5: 800 μl 스톡 용액, pH 5.
6. 용액 6: NaOH를 사용하여 pH 9로 조절된 800 μl 스톡 용액.
7-8. 용액 7-8:
스톡 용액: 물 4 ml에 용해된 PVA 0.05 g 및 PEG 0.75 g (Millipore Milli-Q).
7. 용액 7: 800 μl 스톡 용액, pH 5.
8. 용액 8: NaOH를 사용하여 pH 9로 조절된 800 μl 스톡 용액.
9-10. 용액 9-10:
스톡 용액: 물 4 ml에 용해된 PEG 0.8 g (Millipore Milli-Q) (PVA-프리 용액).
9. 용액 9: 800 μl 스톡 용액, pH 5.
10. 용액 10: NaOH를 사용하여 pH 9로 조절된 800 μl 스톡 용액.
도 4는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다. 36일 후, GSNO의 분해는 알칼리성 폴리머 용액에서 상당히 낮다는 것이 명확하다.
도 3 및 4의 비교는 또한 알칼리 조건에서 발견된 GSNO의 안정성 향상이 안정화 효과가 있는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더욱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폴리머 자체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산성 용액을 사용하여 36일에서도 약 30의 상대 흡수치가 관찰되므로 GSNO의 안정화를 향상시킨다. 놀랍게도, 폴리머의 안정화 효과는 폴리머를 알칼리 조건 하에서 사용할 때 상당하게 향상될 수 있고, 용액 6 및 8에서 상대적인 흡수치는 60 초과였고, 즉 효과가 약 80% 증가했음을 발견하였다.

Claims (9)

  1. 활성 성분으로서 GSNO를, 일반적인 첨가제 및, 폴리사카라이드, PVA, PVP, PEG, 알긴산 및 그들의 염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들)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의 pH 값은 8 내지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성 겔이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로서 PVA 및 PEG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를 함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건조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의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동결 건조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의 약제학적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7017003A 2008-01-16 2009-01-16 S-니트로소글루타티온의 안정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KR101601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0800031A HU0800031D0 (en) 2008-01-16 2008-01-16 Method for stabilization of s-nitrosoglutathione and composition prepared by the same
HUP0800031 2008-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206A KR20100127206A (ko) 2010-12-03
KR101601989B1 true KR101601989B1 (ko) 2016-03-09

Family

ID=8998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003A KR101601989B1 (ko) 2008-01-16 2009-01-16 S-니트로소글루타티온의 안정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404266B2 (ko)
EP (1) EP2252260B1 (ko)
JP (1) JP5508286B2 (ko)
KR (1) KR101601989B1 (ko)
CN (2) CN101969922B (ko)
BR (1) BRPI0906874A2 (ko)
CA (1) CA2712299C (ko)
CY (1) CY1116359T1 (ko)
DK (1) DK2252260T3 (ko)
ES (1) ES2538338T3 (ko)
HK (1) HK1153944A1 (ko)
HR (1) HRP20150578T1 (ko)
HU (2) HU0800031D0 (ko)
PL (1) PL2252260T3 (ko)
PT (1) PT2252260E (ko)
WO (1) WO20090904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197417T3 (da) * 2007-10-17 2012-06-25 Pharmagenix Ag Farmaceutisk sammensætning, omfattende s-nitrosoglutathion og polysaccharid
CN101897948B (zh) * 2010-07-16 2013-03-13 浙江大学 一种s-亚硝基谷胱甘肽的用途
KR101555523B1 (ko) * 2014-02-28 2015-09-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질소 방출성 상처치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89132A (zh) * 2016-12-30 2017-05-24 中国农业科学院麻类研究所 一种提高红麻幼苗期耐镉性能的组合物
CN107823627A (zh) * 2017-12-01 2018-03-23 成都卓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还原型谷胱甘肽在制备治疗糖尿病足涂沫药剂中的应用
WO2019236825A1 (en) * 2018-06-08 2019-12-12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s with wound healing properti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209A (ja) 2000-03-20 2003-09-16 ノボバ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一酸化窒素供与体及び還元剤を含有するマトリックス並びに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04350D0 (en) * 1995-03-04 1995-04-26 Sod Conseils Rech Applic Arginine derivatives
US20070185205A1 (en) * 2000-01-14 2007-08-09 Hunt John F Airway Alkalinization as Therapy for Airway Diseases
US20020002136A1 (en) * 2000-06-28 2002-01-03 Hebert Rolland F. Salts of glutathione
CN1531546A (zh) * 2001-01-02 2004-09-22 ����ҩƷ��ҵ��ʽ���� 肽化合物
ATE485849T1 (de) * 2005-12-02 2010-11-15 Univ Michigan Polymerzusammensetzungen, überzüge und vorrichtungen und herstellungs- und anwendungsverfahren damit
DK2197417T3 (da) * 2007-10-17 2012-06-25 Pharmagenix Ag Farmaceutisk sammensætning, omfattende s-nitrosoglutathion og polysacchari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209A (ja) 2000-03-20 2003-09-16 ノボバ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一酸化窒素供与体及び還元剤を含有するマトリックス並びにそ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0439A2 (en) 2009-07-23
EP2252260A2 (en) 2010-11-24
EP2252260B1 (en) 2015-03-04
HK1153944A1 (en) 2012-04-20
PT2252260E (pt) 2015-07-09
DK2252260T3 (en) 2015-06-08
CY1116359T1 (el) 2017-02-08
JP5508286B2 (ja) 2014-05-28
US20110136910A1 (en) 2011-06-09
HU0800031D0 (en) 2008-03-28
HUE025573T2 (en) 2016-04-28
HRP20150578T1 (hr) 2015-08-14
CA2712299C (en) 2016-10-11
US8404266B2 (en) 2013-03-26
CN101969922A (zh) 2011-02-09
JP2011509993A (ja) 2011-03-31
CN101969922B (zh) 2013-07-10
CA2712299A1 (en) 2009-07-23
BRPI0906874A2 (pt) 2019-02-19
KR20100127206A (ko) 2010-12-03
PL2252260T3 (pl) 2015-08-31
CN103417973A (zh) 2013-12-04
ES2538338T3 (es) 2015-06-19
WO2009090439A3 (en)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741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nitrosoglutathione and polysaccharide
KR101601989B1 (ko) S-니트로소글루타티온의 안정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EP3017808B1 (en) Water-soluble hyaluronic acid g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717685B1 (en) Method for producing hydrogels
Anirudhan et al. Novel pH switchable gelatin based hydrogel for the controlled delivery of the anti cancer drug 5-fluorouracil
Muchová et al. Design of dialdehyde cellulose crosslinked poly (vinyl alcohol) hydrogel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wound dressings
CN108676177B (zh) 一种以纳米淀粉粒子为骨架的智能水凝胶加工方法
Qian et al. Therapeutic delivery of nitric oxide utilizing saccharide-based materials
Dong et al. Macroporous zwitterionic composite cryogel based on chitosan oligosaccharide for antifungal application
Chow et al. Formulation of hydrophilic non-aqueous gel: drug stability in different solvents and rheological behavior of gel matrices
Kolipaka et al. Stimuli-responsive polysaccharide-based smart hydrogels for diabetic wound healing: Design aspects, preparation methods and regulatory perspectives
Sintov et al. A New Nanoparticulate System Based on Divanillin‐Crosslinked Starch: Mode of Manufacturing and In‐Vitro Evaluation of Skin Penetration
CN115624647A (zh) 一种复合创口愈合药物与膜精华液的生物膜医用敷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łosiński et al. Synthesis and potential cytotoxicity evaluation of carboxymethyl chitosan hydrogels
Zhang et al. A guanosine/konjac glucomannan supramolecular hydrogel with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immunoregulatory properties for cutaneous wound treatment
CN111920712A (zh) 一种含超氧化物歧化酶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353756B (zh) 一种具有微孔结构的医用缓释凝胶的制备方法及治疗皮炎和湿疹的冷敷凝胶
KR102132478B1 (ko) 히알루론산-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복합체와 이를 활용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45256A1 (en) Antimicrobial gels
Arjun et al. Chitin in drug delivery
KR20240039631A (ko) 키토올리고당-겐티스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하이드로겔
CN118058994A (zh) 一种3d保湿材料及其制备方法、应用和含有该3d保湿材料的化妆品
CN114748682A (zh) 用于制备烧创伤敷料的组合物及其制剂和制备方法
Kunakbayeva et al. Development of hydrogel ointments based on carbopol with α-lipoic acid
CARRIER et al. DRUG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