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274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274B1
KR101601274B1 KR1020090089976A KR20090089976A KR101601274B1 KR 101601274 B1 KR101601274 B1 KR 101601274B1 KR 1020090089976 A KR1020090089976 A KR 1020090089976A KR 20090089976 A KR20090089976 A KR 20090089976A KR 101601274 B1 KR101601274 B1 KR 101601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external interface
power suppl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473A (ko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2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에 전달하고,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에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단속부; 및,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에 전달되는 전원의 이상 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상기 전원 단속부로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 단속부는 상기 피드백부를 통해 피드백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트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외부인터페이스에 따른 과전류 IC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외부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때는 일정 전류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된 USB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외부저장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각 외부기기에 일정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출력 포트의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에 정격전류 이상이 흐를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인터페이스(30)에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외부인터페이스(30)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불량에 의한 단락회로의 형성 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감지부(20)와, 연결된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인터페이스(30)와, 상기 과전류 감지부(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의해 상기 과전류 감지부(20)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3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제어부(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과전류 감지부(20)는 제 1핀(Vin)을 통해 상기 전원을 입력받아 제 2 핀(Vout)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과전류 감지부(20)의 제 2핀을 통해 상기 전원이 출력되면, 외부 인터페이스(30)는 상기 전원을 입력받아 연결 외부기기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과전류 감지부(20)는 상기 외부인터페이스(30)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불량에 의한 단락 회로가 형성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 3 핀(Fault)을 통해 출력 이상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전원 제어부(40)는 상기 과전류 감지부(20)의 제 3핀과 연결되어, 상기 전송되는 출력 이상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외부인터페이스(30)에 전달되는 전원의 차단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과전류 감지부(20)는 제 4핀(Enable)을 통해 상기 차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인터페이스(30)에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과전류 감지부(20)의 동작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적인 과전류 동작 설정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30)에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원 제어부(40)의 제어 포트를 2개(이상신호 수신 포트, 전원 차단신호 출력 포트) 할당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하드웨어적으로 과전류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회로를 구성하여 제어부의 제어 포트 부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에 전달하고,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에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단속부; 및,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에 전달되는 전원의 이상 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상기 전원 단속부로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 단속부는 상기 피드백부를 통해 피드백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단속부는 OCP(Over Current Protection)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와 전원 단속부 사이의 전원 공급 라인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전원 단속부의 특정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부는 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항의 용량은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 감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피드백회로를 적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과전류 감지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구현의 완성도에 따른 동작 오류의 소지를 없앴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포트가 할당되지 않아도 됨에 따른 제어 포트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 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10)와, 상기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인터페이스(130)에 전달하고,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에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단속부(120)와, 외부기기가 연결되며, 상기 전원 단속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에 전달하는 외부인터페이스(130)와,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에 전달되는 전원의 이상 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상기 전원 단속부로 전달하는 피드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 단속부(130)는 상기 피드백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공급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사용자의 입력 지시에 따른 전원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신호를 기준으로 현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전원을 각 구성부에 공급하게 된 다. 상기 동작 모드에는 정상 동작 모드와, 스탠바이 동작 모드가 존재함,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변경된다.
전원 단속부(12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출력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외부인터페이스(130)에 전달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원 단속부(120)는 OCP(Over Current Protection)부이다.
즉, 상기 전원 단속부(120)는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공급하는 전원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이상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에 지속적으로 상기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외부인터페이스(130)는 외부기기가 연결되어,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로 상기 전달되는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는 USB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피드백부(140)는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에 전달되는 전원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이상 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상기 전원 단속부(120)에 전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부(140)는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로 전달되는 전원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동작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전달되는 전원의 출력 이상 신호를 상기 전원 단속부(120)에 전달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드백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드백부(140)는 상기 외부인터페이스 부(130)와 전원 단속부(120) 사이의 전원 공급 라인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저항이 연결된 다이오드(D1)와, 일단이 상기 다이오드(D1)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전원 단속부(120)의 특정 단자(Disable)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드백부(14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외부인터페이스(130)에 외부기기가 연결되어, 상기 전원 단속부(120)에서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20)로 전원이 전달되고 있는 환경에서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불량에 의한 단락 회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원 단속부(120)로부터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로 제공되는 전원은 강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단속부(120)로부터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로 제공되는 전원이 강하되면, 상기 전원 단속부(120)와 상기 인터페이스(130)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압이 낮아지게 되며(Vout-Vf),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압이 낮아지면서 상기 전원 단속부(120)의 특정 핀에는 로우 레벨의 출력 전원 이상 신호가 전달된다.
이때, 상기 로우 레벨의 출력 전원 이상 신호가 상기 전원 단속부(120)로 전달되기까지에는 상기 다이오드의 일단에 연결된 저항이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상기 저항의 용량에 따라 상기 출력 전원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도가 설정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저항의 용량을 조정함에 따라 상기 출력 전원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하는 기준 전원 레벨이 증감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저항은 출력 쇼트시 전류에 의한 상기 다이오드의 손상을 막고, 또한 상기 출력 전원의 이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감도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 단속부(120)는 상기 피드백부(140)를 통해 출력 전원 이상에 따른 로우 레벨의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외부인터페이스(1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피드백회로를 적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과전류 감지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구현의 완성도에 따른 동작 오류의 소지를 없앴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포트가 할당되지 않아도 됨에 따른 제어 포트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드백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Claims (5)

  1. 외부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에 전달하고,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에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단속부; 및,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에 전달되는 전원의 이상 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상기 전원 단속부로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 단속부는 상기 피드백부를 통해 피드백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와 전원 단속부 사이의 전원 공급 라인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전원 단속부의 특정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부는 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상기 외부인터페이스와 전원 단속부 사이의 전원 공급 라인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속부는 OCP(Over Current Protection)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의 용량은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 감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90089976A 2009-09-23 2009-09-23 디스플레이장치 KR10160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976A KR101601274B1 (ko) 2009-09-23 2009-09-23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976A KR101601274B1 (ko) 2009-09-23 2009-09-23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473A KR20110032473A (ko) 2011-03-30
KR101601274B1 true KR101601274B1 (ko) 2016-03-08

Family

ID=4393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976A KR101601274B1 (ko) 2009-09-23 2009-09-23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218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3163A (ja) * 1998-11-30 2000-06-16 Nec Corp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994B1 (ko) * 2003-11-27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전원제어장치
KR100621104B1 (ko) * 2004-08-25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KR100667070B1 (ko) * 2004-11-05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과전류 방지를 위한 유기전계 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3163A (ja) * 1998-11-30 2000-06-16 Nec Corp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218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473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2197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server using the same
US990614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tic current shunt and overcurrent protection (OCP) for power supplies
CN101320913B (zh) 电源设备以及电源设备控制方法
CN100438297C (zh) 电流平衡电路
JP5427356B2 (ja) 過電圧保護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US10579085B2 (en) Power distribution unit and fault detecting method
JP2008061342A (ja) 電子システム、電子装置および電源装置
CN104731293A (zh) 电源供应装置及其电源供应方法
JP4849094B2 (ja) 地絡検出回路
US9368955B2 (en) System and method to derive power and trip a circuit breaker from an external device
US10119999B2 (en) Circuit connectivity and conveyance of power status information
CN112003247A (zh) 一种使用均流信号的冗余电源保护方法及冗余电源
TW201616771A (zh) 電源轉接器及應用其之電子系統
TWI578664B (zh) 備用電源控制電路及使用其之備用電源供應系統
KR101601274B1 (ko) 디스플레이장치
TWI502853B (zh) 用於高電流脈衝電源供應器的短路控制
US9030044B2 (en) Methods and circuits for power switching
KR20190002680A (ko) 전압 발생 장치 및 반도체 칩
US9525296B2 (en) Battery state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JP2009142028A (ja) 並列電源システム
CN212572111U (zh) 一种电源管理电路
CN201340826Y (zh) 带选择性的断路器
US10817450B1 (en) USB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906580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80017697A (ko)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